관심있는 사회 현상을 보고서에 녹여내는 법 (공대생 특화 보고서)
#압사 사고
#분자동역학
#소셜포스모델
#컴퓨터공학
#재료공학
과제물 1건 |
첨부파일 33개 |
35page
2025.05.15

배배우
아주대 첨단신소재공학과 25학번
충남 천안고 졸업
13
7,000 원
13
멘토 소개
안녕하세요 현재 아주대학교 첨단신소재공학과에 재학중인 25학번입니다. 저는 고교 시절 6종합을 지원했던 만큼 누구보다 학생부 종합 전형에 대해 진심이고, 좋은 보고서 쓰는 법부터 어떻게 하면 생기부에 좋게 기록되는지까지 자세히 알려드릴 수 있습니다.

학교 정보
재학중인 대학 | 아주대 첨단신소재공학과 |
출신 고등학교 | 충남 천안고 |
추천 대상
재료 공학 분야 중 분자 동역학에 대해 알고 싶은 학생
사회 현상을 어떻게 하면 보고서에 잘 녹여서 진로와 연계지을 수 있을지
컴퓨터 공학 중 CNN 등 다양한 기법을 알아보고 싶은 학생
목차※ 세부 목차는 내용 소개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군중사고 예방을 위한 보행자 동역학 시뮬레이션 및 탈출 시나리오 작성3p
내용 소개
해당 보고서는 3학년 때 과학과제연구 시간에 작성했던 최종 과제물입니다.
이태원 참사사고와 관련해 컴퓨터 공학과를 지망하는 학생과 함께 시뮬레이션을 통해
어떻게 하면 이를 예방할 수 있을지 고안한 연구 보고서입니다.
Ⅰ. 연구 동기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사전 조사
1-1 보행자 압사사고의 특징
1-2. 보행자 압사사고 연구의 필요성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Ⅲ. 연구 과정 및 결과
Physical model
(social force model)
헬빙 모델에 착안한 탈출수 분석
3. 알갱이계의 분자 동역학 방법
3-2 상용 프로그램을 통한 심화연구 (github 코드 활용)
VCNN4PuDe: 군중 사고에서 가장 먼저 민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새로운 Voronoi 기반 CNN 프레임워크
Ⅳ. 결론 및 제언
1) Helbing의 물리적 사회적 포스 모델에 의한 결론
2) 셀룰러 오토타마로 알아본 결론
3) 무충돌 모델 (분자동역학적 방법) 로 알아본 보행자 흐름의 결론
4) 구글 CNN 기반 푸시 감지 모델로 알아본 결론
이태원 참사사고와 관련해 컴퓨터 공학과를 지망하는 학생과 함께 시뮬레이션을 통해
어떻게 하면 이를 예방할 수 있을지 고안한 연구 보고서입니다.
Ⅰ. 연구 동기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사전 조사
1-1 보행자 압사사고의 특징
1-2. 보행자 압사사고 연구의 필요성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Ⅲ. 연구 과정 및 결과
Physical model
(social force model)
헬빙 모델에 착안한 탈출수 분석
3. 알갱이계의 분자 동역학 방법
3-2 상용 프로그램을 통한 심화연구 (github 코드 활용)
VCNN4PuDe: 군중 사고에서 가장 먼저 민 사람을 감지하기 위한 새로운 Voronoi 기반 CNN 프레임워크
Ⅳ. 결론 및 제언
1) Helbing의 물리적 사회적 포스 모델에 의한 결론
2) 셀룰러 오토타마로 알아본 결론
3) 무충돌 모델 (분자동역학적 방법) 로 알아본 보행자 흐름의 결론
4) 구글 CNN 기반 푸시 감지 모델로 알아본 결론
리뷰 0건
(평점 0.0)
작성된 리뷰가 아직 없어요.
멘토님에게 첫 리뷰를 달아주세요.
멘토님에게 첫 리뷰를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