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477명이 봤어요
1. 학생 현황 및 고민
진로가 확정되지 않아 생활기록부의 방향성이 불분명함.
처음에는 수의학과·생명공학과를 희망했으나 현재는 반도체 분야로 관심이 이동.
내신 관리 미흡으로 학종 경쟁력에 대한 불안이 있음.
모의고사 성적이 내신보다 훨씬 우수하여 정시 중심 전략을 고민 중.
수능 한 번으로 결정되는 정시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학종도 병행 고려.
목표 대학은 성균관대, 상향 지원은 서성한 라인, 마지노선은 중경외시 수준.
2. 내신 및 모의고사 분석
전 교과 내신 2.66등급.
주요 과목 중 수학Ⅰ 3등급, 확통 2등급, 물리 3등급으로 공대 진학 시 다소 불리.
모의고사 평균 백분위 98.67, 9월 평가원 기준 평균 99.2로 상위권 대학 및 의약학계열도 지원 가능 수준.
정시 경쟁력은 충분하나 내신 보완이 필요함.
3. 학습 태도 및 잠재력 평가
공부량은 적지만 집중력과 시험 적응력이 높음.
단기간 몰입형 학습 패턴이 반복됨.
자사고 특성상 수능형 내신으로 정시 대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음.
정시 중심으로 준비하되, 내신을 일정 수준 유지해 학종 기회를 확보할 필요 있음.
겨울방학 동안 수학 내신을 집중 보완하면 모의고사 실력도 상승 가능.
4. 생활기록부 평가 및 개선 방향
활동 주제가 다양하지만 탐구의 깊이와 논리적 근거 제시 부족.
과학탐구 및 발표 주제는 흥미로우나 탐구 과정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음.
독서 활동 부재로 주제 연결성이 약함.
생기부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과학 개념 심화, 독서 연계 탐구, 주제별 결과 정리 필요.
내신 상승과 함께 생기부 주제 통일성을 강화하면 학종 경쟁력 확보 가능.
5. 전형별 지원 전략
정시 중심, 학종 보완형 이중 전략 권장.
정시 성적이 현재 수준이라면 서성한 라인도 충분히 가능.
학종 1순위: 성균관대 공학 계열 학생부 종합 전형(전기전자·반도체 등).
학종 2순위: 서강대 사이언스 기반 자유전공학부(자사고 선호도 높음).
학종 3순위: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데이터사이언스 또는 인터칼리지 서류형.
안정 지원: 중앙대 융합공학부(탐구형), 이화여대 면접형, 건국대 K자유전공학부.
생기부가 강화되면 한양대·성균관대 수준까지도 학종 합격 가능성 존재.
6. 종합 조언
현재는 정시 주력, 학종 보조 전략이 합리적.
3학년 내신 상승 시 학종 활용 폭이 넓어짐.
생기부의 탐구 깊이 강화와 수학 내신 보완이 핵심 과제.
목표 대학을 성대 중심으로 두고, 수시·정시 모두 대비하는 균형 잡힌 접근 필요.
다음글 말 못하는 학생도 면접 합격! 입사관 출신 선생님의 모의면접 피드백 전격 공개 [입시이야기]
202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