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

서류평가의 뒤집기 한판승이 가능한 면접 준비 방법

2024.09.30 486명이 봤어요

리로교육연구소 선임연구원

 

수시 원서 접수가 마무리되고 면접 일정이 다가오면서 많은 수험생들이 긴장과 기대 속에서 면접 준비에 돌입하고 있습니다.

입학사정관으로 재직하던 시절 면접관을 해보면서 느낀 것은 결국 얼마나 면접준비를 잘했는지와 멘탈싸움에서 결정이 난다는 것이었습니다.

면접은 짧은 시간 낯선 교수님들 앞에서 질문을 받고 본인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른 말로 설명해야 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연습을 많이 해야 합니다. 평소 본인이 아는 것이 많고 학생부에 아무리 좋은 내용이 기재되어 있어도 질문 받은 내용을 제대로 이야기 하지 못하면 면접에서 좋은 평가를 받기 쉽지 않습니다.

면접관들은 학생들이 얼마나 긴장을 하고 들어오는지 잘 압니다. 그리고 자신만 긴장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면접을 보는 친구들 모두가 긴장하고 있다는 것, 내 옆의 친구도 나랑 수준이 다 비슷비슷하다고 생각하면서 끝까지 집중력을 온전히 발휘하면 면접은 서류점수를 뒤집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되어 줄 것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서류 기반 면접의 특징과 단계별 준비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면접의 종류

1) 서류 기반 면접 : 제출한 서류를 바탕으로 학생이 지닌 기본적인 학업 소양을 확인하는 면접

2) 제시문 활용 면접 : 제시문을 활용하여 전공 적성 및 학업 능력을 평가하는 면접

3) MMI(다중 미니 면접) : 정해진 시간에 맞춰 여러 면접실을 순서대로 들어가 도덕적인 딜레마 상황에 대한 대처나 제시문 분석을 요구하는 면접. 다중미니면접은 여러 개의 작은 인터뷰라 불리며 학생들의 순발력 뿐만 아니라 인성을 검증하는데도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음

 

2. 서류기반 면접 준비 전략

서류기반 면접은 제출한 서류를 바탕으로 학생의 경험을 확인하고 기본적인 학업 소양을 평가하기 위한 면접이므로 반드시 면접 전에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를 꼼꼼히 확인하면서 탐색(활동)을 하게 된 계기, 탐색(활동) 과정, 자신에게 의미 있었던 점이나 성장하게 된 점 등에 대해 답변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0분 내외로 면접관 앞에서 본인의 생각을 이야기해야 하므로 평소 학교에서 토론이나 발표 시간에 자기 생각을 조리 있게 이야기 해보는 경험을 해본다면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면접 일정이 다가오면 모의 면접을 통해 실전에 대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단계별면접 준비 방법

1) 2025학년도 대학별 면접평가 방법 확인하기

면접고사를 치러야 하는 대학의 면접고사 방법, 시간, 평가 요소 및 배점을 미리 확인합니다. 확인하는 방법은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사이트 접속] > [전형 평가기준 및 전년도 결과 공개] 배너 클릭 > 대학 선택 > [학생부종합전형] 탭 클릭 > [2025학년도 전형별 주요사항] 클릭시 면접평가가 있는 대학의 경우 표로 안내되어 있습니다.

 

 

 

2) 선행학습 영향평가 결과보고서 확인하기

대학에서 공개한 선행학습 영향평가 결과보고서에는 해당 대학의 전년도 면접고사 문항과 문제 뿐만 아니라 출제 의도 문항 분석 및 해설이 담겨 있으므로 반드시 참고해야 할 자료!

확인하는 방법은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사이트] 접속 > 원하는 대학교 검색 > 대학정보 클릭

 

 

3) 학교생활기록부에서 항목별 핵심 사례 추출하여 질문 만들기

자신의 학생부를 보며 항목별로 예상 면접 질문을 추출하여 질문을 만들어 보기

 

4) 모의면접으로 실전에 강해지기

학교에서 모의면접 스터디를 구성하거나 선생님께 부탁을 드려 꼭 실전처럼 모의면접을 경험해보기

#학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