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리로 서포터즈 4기로 활동하게 된 멘토입니다!
전국단위 자사고 출신으로 다양한 활동기반 생기부를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내신 성적으로도 학종을 통해 건국대학교 KU자유전공학부에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3년동안 다양한 고민과 활동을 하며 쌓아온 경험을 후배 여러분들에게 전수해 주고 싶습니다!
반도체 한방에 이해하기(심화편)
#축전기
#DRAM
#op-amp
#반도체
#전기전자
과제물 1건 |
첨부파일 14개 |
16page
2025.09.10
정원의방식
건국대 KU자유전공학부 25학번
충남 북일고 졸업
6
2,000 원
6
멘토 소개

학교 정보
재학중인 대학 | 건국대 KU자유전공학부 |
출신 고등학교 | 충남 북일고 |
추천 대상
전기전자공학과가 진로인 학생
목차※ 세부 목차는 내용 소개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반도체 회로의 핵심 소자와 동작 원리에 대한 심화 탐구 시리즈3p
내용 소개
안녕하세요 멘토 정원의방식입니다.
이번 포트폴리오는 반도체를 배울때 가장 많이 배우는 소자인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을 건너뛰고(!) DRAM, OP-amp, 축전기 요 3가지에 대한 보고서를 묶은 포트폴리오입니다. 본인이 반도체에 대해 조금 안다 하시는 분들이 읽으시면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실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포트폴리오 목차:
DRAM: DRAM의 기본 구조(셀 구성, WL/BL, 캐패시터, 트랜지스터, Sense Amplifier)를 분석하고, 데이터의
저장(write), 판별(read), 재생(refresh) 과정을 회로
흐름을 따라 정리함.
축전기: DRAM 내부 캐패시터의 동작 원리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축전기의 기본 구조와 유전 분극 개념, 다양한 유형(전해 콘덴서, 탄탈럼, 세라믹, 필름, 슈퍼
콘덴서 등)을 정리함.
op-amp: DRAM의 Sense Amplifier가 op-amp와 원리가
유사함을 파악하고, 트랜지스터 기반 증폭 회로에서
op-amp가 어떤 구조와 수식을 따르는지 학습함. 반전
입력과 비반전 입력의 차이, 종속 전원과 저항을 이용한
전압 증폭 수식(V=IR), 버퍼 회로 및 반전 증폭기
회로의 실제 동작 방식에 대해 사례 중심으로 서술함.
포트폴리오 특징:
이 시리즈는 단편적인 소자 소개를 넘어서, 실제 반도체 메모리
회로에서의 상호작용과 수식적 해석까지 포함한 고난도 탐구
보고서로 구성되었다. 단일 DRAM의 read/write 구조에서 출발하여, 그 작동의 기반이
되는 축전기의 전위차 형성과 충전 메커니즘, 전압 증폭을
가능하게 하는 op-amp의 회로 설계까지 단계적으로 탐색한
방식은 학문 간 연결 능력과 회로 해석력을 동시에 보여준다.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물리학, 회로설계, 시스템 반도체 설계 등
전공적합성을 입증할 수 있는 핵심 포트폴리오이며, 특히
자기소개서에서 “DRAM을 이해하기 위해 축전기·op-amp까지
거슬러 올라가 분석한 경험”으로
이번 포트폴리오는 반도체를 배울때 가장 많이 배우는 소자인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을 건너뛰고(!) DRAM, OP-amp, 축전기 요 3가지에 대한 보고서를 묶은 포트폴리오입니다. 본인이 반도체에 대해 조금 안다 하시는 분들이 읽으시면 관련 보고서를 작성하실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포트폴리오 목차:
DRAM: DRAM의 기본 구조(셀 구성, WL/BL, 캐패시터, 트랜지스터, Sense Amplifier)를 분석하고, 데이터의
저장(write), 판별(read), 재생(refresh) 과정을 회로
흐름을 따라 정리함.
축전기: DRAM 내부 캐패시터의 동작 원리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축전기의 기본 구조와 유전 분극 개념, 다양한 유형(전해 콘덴서, 탄탈럼, 세라믹, 필름, 슈퍼
콘덴서 등)을 정리함.
op-amp: DRAM의 Sense Amplifier가 op-amp와 원리가
유사함을 파악하고, 트랜지스터 기반 증폭 회로에서
op-amp가 어떤 구조와 수식을 따르는지 학습함. 반전
입력과 비반전 입력의 차이, 종속 전원과 저항을 이용한
전압 증폭 수식(V=IR), 버퍼 회로 및 반전 증폭기
회로의 실제 동작 방식에 대해 사례 중심으로 서술함.
포트폴리오 특징:
이 시리즈는 단편적인 소자 소개를 넘어서, 실제 반도체 메모리
회로에서의 상호작용과 수식적 해석까지 포함한 고난도 탐구
보고서로 구성되었다. 단일 DRAM의 read/write 구조에서 출발하여, 그 작동의 기반이
되는 축전기의 전위차 형성과 충전 메커니즘, 전압 증폭을
가능하게 하는 op-amp의 회로 설계까지 단계적으로 탐색한
방식은 학문 간 연결 능력과 회로 해석력을 동시에 보여준다.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물리학, 회로설계, 시스템 반도체 설계 등
전공적합성을 입증할 수 있는 핵심 포트폴리오이며, 특히
자기소개서에서 “DRAM을 이해하기 위해 축전기·op-amp까지
거슬러 올라가 분석한 경험”으로
리뷰 0건
(평점 0.0)
작성된 리뷰가 아직 없어요.
멘토님에게 첫 리뷰를 달아주세요.
멘토님에게 첫 리뷰를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