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결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24학번
서울 성덕고 졸업
URL 복사
수시 합격 대학
일반고 6학종 5합격하여 현재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에 재학 중인 은결입니다!
1.2학년 때 경영학과를 희망했지만, 3학년 때 전략적으로 사회계열로 바꾸어 대학에 합격했습니다.
저는 고등학교 생활을 하면서 아래와 같은 고민들을 했었습니다.
1. 학생부 종합전형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하다.
2. 비교과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3. 사회학, 도시사회학, 정보사회학, 융합인재학과가 궁금하다.
4. 면접 준비에 관해 궁금하다.
5. 희망 진로가 중간에 바뀌어 걱정이 많다.
이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거나 수시전형을 준비하면서 궁금한 점이 생기면 언제든 질문주세요 :)
3년동안 성실하게 생활하며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열심히 도와드리겠습니다!
1.2학년 때 경영학과를 희망했지만, 3학년 때 전략적으로 사회계열로 바꾸어 대학에 합격했습니다.
저는 고등학교 생활을 하면서 아래와 같은 고민들을 했었습니다.
1. 학생부 종합전형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하다.
2. 비교과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3. 사회학, 도시사회학, 정보사회학, 융합인재학과가 궁금하다.
4. 면접 준비에 관해 궁금하다.
5. 희망 진로가 중간에 바뀌어 걱정이 많다.
이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거나 수시전형을 준비하면서 궁금한 점이 생기면 언제든 질문주세요 :)
3년동안 성실하게 생활하며 얻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열심히 도와드리겠습니다!
대학교 최종 합격 인증이완료된 멘토입니다.
스토리노트
-
학생부 관리학급임원·학생회 활동, 꼭 해야 할까?고등학생이라면 한 번쯤 고민해 봤을 질문이 있습니다.“학종 생기부를 채우려면 학급임원이나 학생회를 꼭 해야 할까?”실제로 고3 학생들이 많이 묻습니다. 예를 들어, “학급 반장 정도도 플러스가 되나요?”라거나, “학생회를 하면 내신 관리에 무리가 갈까요?” 같은 질문이죠. 또 다른 학생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때 전교 회장과 학생회를 했는데, 고등학교에서도 다시 해보고 싶은데 공부 시간은 충분할지 고민하기도 합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무조건 해야 하는 활동은 아닙니다.단순히 생기부에 한 줄 채우기 위해, ‘리더십을 어필해야 한다’는 이유만으로 임원 활동을 선택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진심과 활동 과정입니다. 어떤 일을 맡았는지, 그 과정에서 무엇을 배웠는지, 어떤 목표를 세우고 달성했는지가 핵심입니다. 학급임원 활동의 장점과 단점장점리더십과 공동체 역량 어필 가능학급임원 활동은 단순히 직함을 얻는 것이 아니라, 학급 내에서 친구들을 조율하고 의견을 모으며 문제를 해결한 경험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입니다.예를 들어, 학급 행사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운영하면서 조직 관리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울 수 있습니다.대인관계와 의사소통 능력 강화친구들과 협업하고 갈등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의견 차이가 생겼을 때 중재하고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 경험은 학종에서 기록할 수 있는 구체적 사례가 됩니다.책임감과 자기주도성 향상임원 활동은 정기적인 회의, 과제, 행사 준비 등 계획성과 시간 관리가 요구됩니다.이를 통해 남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스스로 업무를 관리하는 습관이 생깁니다.학습과 성장의 경험임원 활동을 통해 얻는 경험은 단순히 생기부 기록용이 아니라, 고등학교 시절 의미 있는 추억이자 성장의 밑거름이 됩니다.단점시간 부담이 크다회의, 행사 준비, 학급 업무 등으로 자유 시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특히 고학년일수록 공부 시간 확보가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무리한 역할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내신 관리에 부담 가능활동에 집중하다 보면 시험 준비나 과제 시간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학종에서는 활동 자체보다 성과와 배움을 중요하게 평가하므로, 내신이 떨어지면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형식적 참여는 의미 없음단순히 직함만 얻고 활동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지 않으면 학종에서 크게 평가되지 않습니다. 학생회 활동의 장점과 단점장점리더십, 공동체 역량, 적극성 어필 가능학생회 활동은 학급 단위를 넘어 학교 전체를 관리하고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는 경험을 제공합니다.세특에 구체적 사례로 기록하면, 다른 지원자와 차별화된 역량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대인관계와 의사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강화다양한 학년, 학급 친구들과 협력하며 의견을 조율하는 경험을 통해, 학교 생활 전반에서의 협업 능력을 배울 수 있습니다.책임감과 자기주도성 향상학생회는 정기 회의와 행사 준비, 학교 행사 진행 등 다양한 책임이 뒤따릅니다.이 과정에서 시간 관리, 업무 우선순위 설정, 자기 주도적 계획 능력을 배울 수 있습니다.추억과 성장 경험단순히 생기부 기록을 넘어, 친구들과 협력하며 성취와 성장을 경험하는 의미 있는 활동이 됩니다.단점시간과 에너지 소모가 크다회장이나 부회장 같은 책임이 큰 역할은 공부 시간 확보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점심시간, 방과 후, 주말까지 시간을 투자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내신과 학업 부담활동에 몰입하면 시험 준비나 과제 수행 시간이 줄어, 학업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형식적 참여의 의미 없음학생회 활동도 단순히 직함만 기록하고 구체적 성과가 없으면 학종에서 큰 플러스 요인이 되지 않습니다.심리적 부담행사 준비, 의견 조율, 일정 조정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며, 이를 감당하지 못하면 학업과 활동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진심과 과정이 중요하다많은 고등학생들이 학종을 준비하면서 흔히 갖는 오해가 있습니다. “학종에서는 무조건 임원이나 학생회 경험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실제로 주변 친구들을 보면, 학생회장, 동아리 회장, 학급 임원 등 직함을 생기부에 기록하며, 자신을 돋보이게 하려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학종에서 평가되는 것은 직함 자체가 아니라, 그 과정에서 무엇을 배우고 어떻게 성장했는가입니다.즉, 단순히 ‘임원이었다’, ‘학생회에 참여했다’라는 형식적인 기록만으로는 큰 메리트가 되지 않습니다. 대학 입시에서는 경험의 질과 진심이 드러나는 활동 기록이 훨씬 중요합니다. 어떤 일을 맡았는지, 왜 그 일을 하게 되었는지, 활동 과정에서 어떤 문제를 겪었고 어떻게 해결했는지, 활동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 등이 생기부와 면접에서 더 주목받습니다. 생기부에 기록할 때 중요한 순서임원이나 학생회 활동을 생기부에 기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녹이는 것이 좋습니다.참여 동기: 왜 이 활동에 참여했는지 솔직하게 기록합니다.예: “학급 내 의견을 수렴하고,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학급 문화를 만들고 싶어 학급 임원에 지원했습니다.”활동 과정: 구체적으로 무엇을 했는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를 적습니다.예: “학급 회의에서 친구들의 의견을 정리하고, 다양한 행사와 프로젝트를 기획했습니다. 의견 충돌이 있었지만 회의를 주도하며 합리적 결정을 내렸습니다.”성과와 결과: 활동을 통해 달성한 목표나 개선된 점을 적습니다.예: “그 결과 학급 문화 개선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학생들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배움과 성장: 활동을 통해 배운 점과 본인의 성장 경험을 정리합니다.예: “이번 활동을 통해 공동체 의식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우고, 친구들과의 소통 능력도 크게 향상되었습니다.”이와 같이 참여 동기 → 과정 → 성과 → 배움과 성장 순서를 따라 기록하면, 단순히 직함만 적은 것보다 훨씬 설득력 있는 생기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임원·학생회 활동, 꼭 해야 할까?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임원이나 학생회는 무조건 해야 하는 활동이 아니라는 것입니다.만약 내신과 공부 관리가 우선이라면, 임원 활동 없이도 충분히 좋은 학종 기록을 만들 수 있습니다.또한, 학종에 대한 이해 없이 단순히 ‘리더십을 어필해야 한다’는 이유만으로 활동을 시작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많은 고등학생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이겁니다. 욕심 없이 형식적으로 참여하면, 시간과 노력을 들였음에도 불구하고 학종에서는 거의 평가받지 못합니다. 반대로, 작은 학급 임원이라도, 본인이 왜 참여했고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성과를 냈는지가 명확하면, 학생회 활동보다 더 효율적으로 자신의 역량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본 접근법어떤 학생은 학급 반장 정도의 활동만 있었지만, 참여 동기와 과정을 생기부에 구체적으로 녹였습니다. 그 결과, 단순한 직함 이상의 리더십과 협업 능력을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또 다른 학생은 고등학교에서 학생회 활동을 했지만, 공부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과 업무를 조율했습니다. 이를 통해 시간 관리 능력과 자기주도성을 키울 수 있었고, 생기부에는 단순한 직함이 아닌 활동의 의미와 배움을 기록했습니다.이 사례들이 보여주듯, 활동의 양보다는 질, 형식보다는 진심이 학종에서 더 중요합니다. 활동 선택의 기준자신이 즐겁게 할 수 있는 활동인지억지로 직함을 위해 하는 활동은 스트레스만 쌓이고, 학종에서 의미 있는 기록으로 이어지기 어렵습니다.학업과 균형을 맞출 수 있는지특히 고등학생에게는 내신 관리가 최우선입니다. 시간과 에너지가 과도하게 소모되는 활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배움과 성장 경험을 담을 수 있는지활동 과정에서 구체적인 목표, 문제 해결, 협력 경험 등을 쌓을 수 있어야 합니다.즉, 임원이나 학생회 활동은 진심과 과정이 있는 활동이어야 하고, 형식적인 참여를 피하며, 학업과 균형을 맞출 수 있어야 합니다.2025.09.17
-
기타밴드, 뮤지컬, 오케스트라? 취미와 공부, 둘 다 잡은 고등학교 생활 법<악기연주를 좋아한 멘토의 고등학교 활동이야기> 저는 악기연주,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는데요. 고등학생 때도 좋아해서 음악 관련 활동들을 안 할 수가 없더라고요!고등학생 때 정말 많은 공연에 참여해서 ‘피아노하면 걔 있잖아..!' 이란 말을 듣기도 했습니다 ㅎㅎ 학종으로 대학에 왔고, 학교 생활과 내신관리도 열심히 하면서 어떻게 취미생활도 같이 할 수 있었는지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취미생활과 공부 모두 놓치고 싶지 않은 학생이라면 이번 글을 봐주세요! 제가 고등학생 때 참여한 음악 관련 활동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2학년 밴드부→ 저는 원래 기자동아리를 하고 있었는데, 밴드부에서 키보드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우연히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기자동아리와 밴드부를 동시에 하면서 1학년 축제 무대에서 공연도 했습니다. 밴드부 활동은 자율동아리였고, 저희 학교는 2개 동아리 가입이 가능했습니다. 이 활동은 생기부 행특에 기록되었습니다. 1학년 합창제 피아노 반주→ 저희 학교는 미션스쿨이라 기독교 관련 활동들이 있는데요. 저는 무교이지만, 거부감없이 재미있게 참여했습니다.1학년 반별 대항전으로 합창대회가 열리고, 각반에서는 성가 합창을 해야합니다. 각 반에서 1명이 반주자를 맡아 연주를 하는데, 피아노 반주에 자신이 있어서 제가 반주자를 맡게 되었습니다.‘종교’ 과목이 1학년에 있어서 이 과목 세특에 합창제 관련 내용을 적을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합창제 피아노 반주를 한 내용이 세특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2,3학년 성탄절 행사 피아노 연주→ 저희 학교가 미션스쿨이라 성탄절 행사가 정말 크게 열리는데요. 축제처럼 성탄절 축하 공연을 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저는 학교 선생님의 권유로 콰르텟 연주와 피아노 독주를 맡아서 공연하게 되었습니다. 이 활동을 과목에 세특에 넣지는 않았고, 행특에 담임선생님께서 적어주셨습니다. 2학년 축제 뮤지컬 피아노 반주→ 축제 때 학생과 선생님이 같이 뮤지컬 공연을 한다고 했는데, 피아노 반주 담당이 필요해서 제가 맡아 했었습니다. 뮤지컬 반주 역할을 처음이라 설렜고, 준비하는 것도 매우 재밌었습니다. 합창제나 성탄절과는 또 다른 경험이었고, 협업의 즐거움을 많이 느꼈습니다. 이 내용은 2학년 행특에 적혔습니다. 고1까지 지역 청소년 오케스트라 단원 피아노→ 이 활동은 교내활동이 아니기 때문에 생기부에 기록되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고, 악기연주가 취미인 저에게 정말 뜻깊은 활동입니다. 1년에 한 번 연주장에서 공연을 하기 위해 연습하고, 합주하는 경험이 아직까지도 기억에 남습니다. 고등학교에 오케스트라 동아리가 있는 곳도 있고, 지역 청소년 오케스트라가 있는 경우도 있는데요. 저는 학교에 없어서 지역 청소년 오케스트라에 들어갔습니다. 피아노 오디션을 보고 들어갔고, 중학생 때부터 고등학교 1학년 때까지 했습니다. 매주 합주 연습일정 때문에 고1까지 하는 게 시간관리 측면에서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때 너무 좋았어서 대학생인 지금 오케스트라 동아리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고등학생 때 참여한 음악 관련 활동들은 대부분 행특에 들어갔습니다. 종교 과목처럼 활동과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세특에 넣을 수도 있지만, 1~2줄로 끝나는 기록이라면 차라리 행특에 정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과목 세특에 넣기엔 탐구활동을 다 못 넣을 것 같기도 하고, 1-2줄 들어가는 건 의미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행특에 선생님께 어필을 해서 넣었습니다. 여러분이 만약 음악 관련 활동을 심화적으로 녹여낼 수 있다면 관련 과목에 넣는 것이 좋지만, 관련 과목이 없고 1-2줄만 들어가는 내용이라면 행특에 넣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시간관리도 매우 중요한데요!! 저는 공부를 하다가 쉬는 시간에 잠깐 악기 연습을 하거나, 학교 점심시간에 음악실에 가서 연습을 했습니다. 내신공부, 수능공부, 수행평가 등 지금 해야하는 걸 우선적으로 하고, 나머지 시간에 잠깐 취미활동을 즐기면서 시간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저는 취미활동을 하면서 스트레스도 풀고, 학교생활이 더 즐거워졌습니다. 우리 학교에선 음악관련 활동을 하기 힘든데..?? 취미관련 활동을 하기 어려운데..?? ㅠㅠ라고 생각하시는 학생분들!! 그렇다면 공부에 집중하시고취미활동은 대학에 와서 해도 충분합니다!!! 저는 대학생이 된 지금 더 열정적으로 많이 취미활동을 하고 있습니다.1-2학년 오케스트라 동아리→ 대학에 입학하고 나서 지금까지 학교 오케스트라 동아리를 하고 있습니다. 피아노, 타악기(베이스드럼, 탬버린, 트라이앵글 등), 바이올린, 플룻을 했는데요. 저처럼 클래식 음악에 진심이고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하니 더 재밌었습니다. 클래식 소모임 피아노→ 목관 4중주 모임으로 어떤 곡을 연습하고 영상으로 남기는 소모임입니다. 생상스 곡을 했었는데, 어렵긴 하지만 연습하고 결과물을 남기는 게 너무 뿌듯합니다. 고등학교에서는 학교 생활과 내신 관리를 우선으로 하면서, 가능한 선에서 취미 활동을 즐기면 충분합니다. 만약 지금은 음악 활동을 하기 어려워도 괜찮습니다. 대학에 와서도 하고 싶은 활동을 마음껏 할 수 있으니까요! 저는 음악이 공부와 삶의 균형을 잡아주는 좋은 취미였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도 자신만의 즐거움을 찾고, 학교 생활을 충실히 보내길 응원합니다 :)2025.08.31
-
학생부 관리"3학년 진로변경=망한다?" 일반고 6학종 성공할 수 있던 비결안녕하세요. 저는 고등학생 때 경영학에 관심을 가졌다가, 3학년 1학기를 기점으로 사회학과로 진로를 전환한 학생이었습니다. 지금은 도시사회학과에 재학 중이며 고등학생 후배들에게 진심 어린 조언을 드리고자 이 글을 씁니다. 혹시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신가요?진로를 바꾸면 학종에서 불리하지 않을까?진로가 흔들리는데 학종을 유지해도 괜찮을까?나는 일반고인데, 학종에서 경쟁력이 떨어지지 않을까? 저도 똑같은 고민을 했고, 실제로 많은 조언을 들으며 전략적으로 준비한 끝에 일반고 6개의 학종 지원 중 5개 대학에서 합격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지금부터 저의 구체적인 학종 전략을 공유드리겠습니다. 진로를 바꿔도 학종은 충분히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전략 1> 1학년에는 ‘넓게’, 2학년에는 ‘계열 중심으로’ 활동하기진로가 확실하지 않은 학생들이라면, 저는 1학년 때부터 한 분야만 좁게 파지 말라고 꼭 말씀드리고 싶습니다.저는 1학년 때 경영학에 관심이 있었지만, ‘경영 관련 활동만’ 하지는 않았습니다. 경제, 사회, 통계, 윤리, 심지어 환경과 관련된 주제까지 다양한 주제에 도전했습니다. 예를 들면, 공정무역에 대한 발표, 환경과 소비자의 책임에 대한 토론, 청소년 소비문화에 관한 보고서 작성 등 활동의 폭을 넓게 잡았습니다. 이 활동들은 나중에 사회학 진로로 방향을 전환했을 때도 저의 배경이 되어주었습니다.2학년이 되면서부터는 상경계열 중심으로 탐구 주제를 좁혀나갔습니다. 경제와 법, 통계,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상경계와 관련된 폭넓은 탐구를 했고, 이 중 일부는 나중에 사회학과 연결되는 중요한 고리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1학년에는 진로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시야를 확보했고, 2학년에는 특정 계열을 중심으로 탐색의 깊이를 키워 진로 변경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 두 단계 모두가 제가 학종을 설득력 있게 준비할 수 있었던 중요한 과정이었습니다. 전략 2> 대학 교육과정, 교수 전공, 인재상까지 꼼꼼히 읽어보기진로 변경 후, 제가 가장 먼저 한 일은 ‘가고 싶은 학과의 홈페이지를 정독’하는 것이었습니다.저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에 관심이 생긴 이후, 학과 홈페이지를 정말 하나하나 읽었습니다. 어떤 과목을 배우는지, 교수님들은 어떤 연구를 하시는지, 교육 목표는 무엇인지, 학과가 선발하고자 하는 인재상은 어떤지 모두 정리했습니다.이 과정을 통해 제가 내린 결론은 이렇습니다.“나는 단순히 경영에서 사회학으로 방향을 튼 것이 아니라, ‘경영과 사회의 연결지점’을 찾은 것이다. 그 중심에 ‘노동사회’에 관심이 생긴 것이다.”사회학은 개인이 아닌 집단, 제도, 구조를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경영학이 조직과 사람의 효율성을 탐구한다면, 사회학은 조직과 사람의 관계를 제도적으로 조망합니다. 두 학문은 다르지만, 노동, 조직, 산업이라는 키워드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이 관점을 잡은 뒤부터는 생기부의 모든 탐구 주제를 이 연결고리 위에 올려놓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경제 시간에 배운 최저임금의 개념 → “노동자의 생계와 사회구조에 미치는 영향”으로 확장통계 수업 시간에 다룬 노동시장 분석 자료 → “청년 노동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으로 재해석생활과 윤리 시간에 발표한 공정거래 주제 → “노동의 윤리성과 사회구조”로 연결 이처럼 단순히 겉으로 보기엔 상경계열 활동이지만, 사회학적 시야를 입혀 새로운 해석을 더했습니다.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에 맞춰 스토리라인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전략 3> 진로 변경을 숨기지 말고, ‘내 이야기’로 설득하자가장 중요한 전략이자, 저에게 학종 성공의 핵심이 된 부분입니다.진로 변경은 단점이 아닙니다. 오히려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많은 학생들이 진로를 바꾸면 생기부가 흐트러지는 걸 두려워합니다. 그러나 중요한 건 어떤 진로든, 그 이유와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가입니다.저는 경영학에서 사회학으로 진로를 전환하게 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기업의 이윤도 중요하지만, 그 속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삶이 더 궁금해졌습니다. 조직의 성과뿐 아니라, 그 안에서 발생하는 갈등, 권리, 불평등 문제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저는 ‘조직 내 인간’이 아닌, ‘사회 속 인간’을 바라보는 학문인 사회학에 매력을 느꼈습니다.”그리고 이를 생기부에 담기 위해 3학년 1학기 생기부는 아예 ‘노동사회학’을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주제도 “청년 고용”, “노동 유연성”, “비정규직 문제”, “노동조합의 역할”처럼 사회학 전공자가 다룰 만한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1, 2학년 때 했던 활동들도 그대로 두지 않았습니다. 다시 들여다보면서 어떻게든 노동, 사회, 사람의 관계로 엮어 스토리텔링을 강화했습니다. 단순히 ‘했던 활동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진로의 관점으로 재해석’한 것입니다.결국 제 생기부는 진로를 바꾼 학생이 아니라, 처음에는 좁은 관점에서 출발했지만, 학업과 탐구를 통해 더 넓은 시야를 얻고 성장한 학생의 서사로 완성되었습니다. 이 과정이 입학사정관들에게도 강하게 전달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학종이 절대 어려운 전형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나라는 사람을 입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인간적인 전형이라고 생각합니다. 학종에서 중요한 건 내가 어떤 길을 걸어왔고, 앞으로 어떤 길을 가고 싶은지를 스스로 납득하고, 입학사정관에게 납득시키는 것입니다. 진로를 바꿨다고 포기하지 마세요. 진로를 바꿨다면, 그 이유를 제대로 담은 스토리를 만들어보세요. 저처럼 진로 변경을 계기로 더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생기부를 다시 정리해보는 것도 분명한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 여러분, 지금의 고민과 방황이 오히려 여러분의 이야기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문장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그것을 증명한 사람이고, 여러분도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1대1톡을 통해 언제든지 더 자세한 조언도 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의 진심이 꼭 닿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2025.07.24
-
기타"6학종” 추천하지 않는 이유, feat. 일반고 6학종 5합격안녕하세요. 저는 일반고를 졸업하고, 6개의 대학에 학종으로 지원해서 그중 5곳에 최종 합격한 멘토 은결입니다. 지난 글에서는 왜 저는 학종을 선택했고, 어떤 점에서 학종이 일반고 학생에게 기회가 될 수 있는지를 이야기했습니다.하지만 이번 글에서는 조금은 다른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학종을 준비하면서 제가 느꼈던 어려움들, 주변 친구들이 겪었던 시행착오들을 돌아보며 학종이 모든 학생에게 ‘무조건 좋은 전형’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떤 점이 특히 부담이 되었고, 어떤 상황에서는 학종이 오히려 위험한 선택일 수 있었는지, 진솔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지금 학종을 고민하고 있다면, 이 글이 판단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왜 6학종을 추천하지 않을까? ① 합격 기준이 모호해요. 그래서 결과가 예측되지 않아요.학종은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전형입니다.학생부, 자소서(과거 기준), 면접 등으로 ‘학생의 가능성’을 본다고 하지만, 그 평가 방식이 명확하지 않아요.예를 들어, 수능은 점수로 커트라인이 정해지고, 교과전형은 내신 평균이 확실하잖아요? 그런데 학종은 ‘누가 붙고 누가 떨어지는지’를 기준으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저는 6곳 중 1곳에서 불합격을 받았는데, 정말 예상치 못한 학교였어요. 오히려 더 어렵다고 생각했던 학교에선 붙고, 적정이라고 생각했던 학교에서 떨어졌거든요.결과를 받아들여야만 이유를 유추할 수 있는 전형, 그게 학종입니다.그래서 저는 ‘정확한 결과 예측을 선호하는 학생’에게는 학종이 큰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② 생기부는 내가 다 통제할 수 있는 게 아니에요.학종은 학생부종합전형, 말 그대로 생활기록부를 중심으로 평가합니다.하지만 이 생활기록부는 학생 혼자서 만드는 게 아닙니다.담임 선생님, 교과 선생님의 기록 역량과 관심도에 따라 동일한 활동도 기록의 질이 달라져요.어떤 선생님은 발표 내용을 세부적으로 기록해주시고, 어떤 분은 “발표에 참여함”으로 끝내시기도 해요.이건 학생이 아무리 열심히 해도 바꾸기 어렵습니다. 또, 학교별로 비교과 활동의 기회가 다르다는 점도 문제입니다.어떤 학교는 자율활동, 독서, 진로활동이 풍부하지만, 어떤 학교는 형식적으로만 운영되기도 하죠.학종은 ‘학교 환경 차이’를 어느 정도 감안한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평등한 전형이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③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를 요구해요.학종은 단순히 성적만으로 승부하지 않습니다.교과, 비교과, 독서, 탐구, 동아리, 발표, 진로활동… 하나하나가 평가 요소입니다.즉, 공부만 잘한다고 끝나는 전형이 아니라, 학교생활 전체가 준비 영역이 되는 전형이에요.학생회, 교내 대회, 봉사활동까지 하나하나가 의미 있어야 하고, 그 안에서 ‘내가 어떤 역할을 했고 무엇을 배웠는지’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고2 중반쯤 저는 체력적으로 너무 힘들어서, 일정을 다 놓아버릴까 생각한 적도 있어요.학종은 '과정형 인간'에게 유리하다고 하지만, 그 과정이 생각보다 고되다는 것, 저는 꼭 말씀드리고 싶습니다.그리고 그 과정에서 번아웃이 온 친구들도 여럿 보았어요. 꾸준히 하려면 체력, 멘탈, 환경, 동기부여까지 정말 많이 필요해요. ④ 면접까지 고려하면 부담이 두 배예요.학생부 기반 면접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이 활동을 왜 했나요?” “이 과목에서 배운 점은 뭔가요?” “당신의 진로와 이 활동은 어떤 연관이 있나요?”이런 질문에 논리적으로, 진정성 있게 답변해야 해요. 문제는, 아무리 본인이 했던 활동이어도 “왜 했는지, 뭘 느꼈는지”를 바로바로 말로 풀어내는 건 쉽지 않다는 점이에요.그래서 면접은 정말 많은 준비가 필요하고, 외부 도움이나 학교 피드백 없이 준비하기 어려워요. 게다가, 말을 잘하는 친구와 못하는 친구의 결과가 너무 차이 나는 전형이기도 합니다.내용이 더 알찼던 친구가, 면접에서 긴장해서 흐릿하게 답하면 탈락하고,내용은 평범하지만 말 잘하는 친구가 합격하는 경우도 실제로 있었어요.학종은 결국 ‘보여지는 나’를 전략적으로 설명해야 하는 전형이기 때문에, 표현력이 부족한 친구에겐 큰 벽이 될 수 있어요. ⑤ 혼자 준비하기엔 정말 어렵습니다.학종은 전략이 필요한 전형이에요.진로를 일찍 잡고, 관련 활동을 꾸준히 쌓고, 생기부에 흐름을 만들어야 하죠.하지만 고등학생 입장에서 이런 전략을 혼자 세운다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지도교사의 관심, 멘토의 조언, 주변 정보의 도움 없이 준비하면 방향을 잃기 쉽습니다. 저는 학교에서 생기부를 잘 써주지 못해서, 혼자서 외부 설명회를 열심히 다니고 정보를 얻고자 노력했습니다.학교 친구들 중 일부는 방향 없이 활동을 나열했고, 그 결과 학종으로 합격하는 학생이 거의 없었습니다.제가 합격한 학교 중 하나의 경우, 저만 전교생에서 학종으로 합격해서 선생님들 사이에서 수근수근 거렸던 적이 있습니다 ㅎㅎ 학종은 ‘기회가 열려 있는 전형’이지만, 그 기회를 잡을 수 있는 환경과 사람이 곁에 있느냐가 매우 중요한 전형입니다.그렇지 않다면, 오히려 큰 리스크를 떠안을 수도 있습니다. 2. 어떤 학생이라면 6학종을 다시 생각해보는 게 좋을까? ① 정해진 기준에서 승부 보고 싶은 학생점수로 결과가 나오는 수능이나 내신 중심 전형이 더 잘 맞을 수 있어요.불확실한 결과보다는 명확한 수치로 평가받는 게 마음 편한 학생이라면 학종은 오히려 불안 요소입니다. ② 표현하는 게 부담스러운 학생글쓰기나 말하기보다 행동으로 보여주는 스타일의 학생에게는 학종이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요.특히 면접에서 자기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면, 생기부 내용이 아무리 좋아도 평가받기 어렵습니다. ③ 학교의 지원이 부족한 학생동아리, 탐구활동, 진로활동이 형식적으로 운영되거나, 교사의 기록 역량이 부족한 경우,학생의 노력만으로는 경쟁력 있는 생기부를 만들기 어렵습니다.이런 학교 환경에서는 교과나 정시 중심으로 전략을 짜는 것이 더 안전할 수 있어요. ④ 수능 점수가 내신 성적보다 매우 낮은 학생학종은 보통 6장의 카드를 던질 수 있는 전형입니다.하지만 이 6장이 모두 불합격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실제로 아무리 활동이 좋아도, 학교별 평가 기준에 맞지 않으면 ‘6광탈'을 경험하는 일도 적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 정시로 돌아가려 해도 수능 점수가 너무 낮다면 선택지가 거의 사라지게 됩니다.결국 ‘재수’를 고려하거나, 원하지 않는 대학·학과에 지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저는 수능 점수가 현저히 낮은 학생이라면, 학종만 믿고 준비하기보다는 정시 가능성도 함께 고려하며 병행 준비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학종은 ‘무조건 안전한 길’이 아닙니다.때로는 ‘올인’보다 ‘플랜 B’를 함께 준비하는 전략이 여러분의 입시 실패를 막아줄 수 있어요.학종을 준비하더라도, 수능이라는 마지막 안전망은 반드시 유지해주세요.그래야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자신 있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3. 그렇다면 학종은 나쁜 전형일까?절대 그렇지 않습니다.저는 학종 덕분에 제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었고, 좋은 결과도 얻었습니다.하지만 학종은 ‘모두에게 좋은 전형’이 아닙니다. 준비 과정의 피로도, 예측 불가능성, 학교 환경의 차이, 표현력의 차이 등고려해야 할 요소가 너무 많습니다.그래서 저는 학종을 선택할 땐 반드시 본인의 성향, 현재의 생기부 상태, 학교의 여건, 지원 시스템, 표현력까지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무작정 “학종은 상향지원할 수 있다”는 마음으로 시작하면, 도중에 좌절할 수 있습니다. 학종은 분명 나를 입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회입니다.하지만 그 기회는 엄청난 준비와 전략, 그리고 꾸준한 실행력 위에서만 작동합니다.‘나에게 정말 맞는 전형이 뭔지’를 고민해보세요.학종이 그 답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무엇보다 중요한 건 입시에 휘둘리지 않고, 나만의 방향을 세우는 것입니다.저도 그렇게 입시를 경험했고, 여러분도 충분히 해낼 수 있습니다.여러분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 ω •́ )y2025.07.22
-
수시 준비"6학종" 추천하는 이유, feat. 일반고 6학종 5합격안녕하세요. 저는 일반고를 졸업하고, 6개의 대학에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지원해서 그중 5곳에 최종 합격한 멘토 은결입니다. 주변에서는 어떻게 일반고에서 학종으로 이렇게 결과를 낼 수 있었는지 많이들 물어보곤 해요. 사실 ‘학종’은 아직도 많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불확실한 전형’ 혹은 ‘특목/자사고 전용 전형’처럼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저는 일반고 학생으로서, 학종이 오히려 제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이 글에서는 제가 왜 학종을 추천하는지, 어떤 사람에게 특히 학종이 잘 맞는지, 그리고 학종을 준비할 때 고려해야 할 기준이 무엇인지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지금 입시를 고민하고 있다면, 꼭 한 번 읽어봐 주세요. 1. 왜 학종을 추천하는가? ① '내 이야기'로 승부할 수 있기 때문에수능은 점수로, 교과전형은 내신으로 경쟁합니다. 하지만 학종은 점수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학생 개개인의 성장과정, 관심분야, 노력의 맥락을 평가해요. 예를 들어, 저는 내신이 완벽하진 않았지만, 특정 분야(사회 문제에 대한 탐구)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드러내고, 다양한 활동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에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단순히 '잘한 사람'이 아닌, ‘어떻게 성장했는가’를 보는 전형이기 때문에, 자신만의 스토리가 있다면 누구든 승산이 있어요. 특히 일반고처럼 비교과가 풍부하지 않아도, 학교 내 활동을 충실히 채운 학생이라면 학종에서 충분히 경쟁력 있습니다. ② 일반고라서 불리할 수 있지만, 그래서 더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에솔직히 말해서, 일반고 학생이 자사고나 특목고 학생들에 비해 조건적으로 불리한 점이 있는 건 사실이에요. 비교과 기회나 학업 분위기, 지원 시스템 면에서 차이가 나기도 하니까요. 그렇지만 많은 대학들이 학생의 ‘학교 환경’을 함께 고려하며 평가한다는 것도 중요한 사실이에요. 똑같은 활동이라도, 자사고보다 일반고에서 했을 때 오히려 더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상황도 분명 존재하죠. 입학사정관들은 이 학생이 어떤 환경에서, 어떤 방식으로 성장했는지를 매우 중요하게 본다고 해요. 조건이 불리할수록 그 안에서 보여주는 노력과 성장이 더 크게 읽히기도 하니까, 학종은 일반고 학생에게 오히려 역전의 기회가 될 수 있어요. ③ 입체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전형이기 때문에학종은 단순히 1회성 시험으로 당락이 결정되지 않습니다. 1학년부터의 생활기록부, 자소서, 추천서, 면접까지 종합적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한 요소가 부족해도 다른 요소로 커버가 가능해요. 이는 오히려 안정적인 전략이 될 수 있어요.예를 들어, 제가 지원한 대학 중 한 곳은 내신이 조금 부족했지만, 동아리 활동과 진로탐색 활동이 뛰어나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었어요. 반대로 또 다른 대학은 활동은 다소 평범했지만, 학업 성취도가 높아 합격할 수 있었죠. 학종은 ‘균형 잡힌 준비’가 중요하지만, 다양한 장점으로 보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현실적으로 유리합니다. 2. 어떤 학생에게 학종을 추천하는가?학종은 ‘모두를 위한 전형’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아래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학종을 적극 고려해보세요. ① “성적이 완벽하진 않아도 진로와 관련된 과목엔 자신 있어요.”학종에서는 모든 과목의 성적이 높지 않아도, 진로와 관련된 과목에서 꾸준히 좋은 성취를 보이거나,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인다면 충분히 강점이 됩니다. 예를 들어 심리학에 관심 있는 학생이 사회나 과학탐구 과목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었다면, 그것만으로도 자신의 진로 적합성과 역량을 어필할 수 있어요.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이 향상된 경우, 즉 ‘성장형 학생’으로 읽힌다면 평가자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학종은 단순히 성적의 높고 낮음보다 어떤 맥락에서,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를 중요하게 평가하기 때문에, 자신의 변화와 노력이 드러나는 생기부라면 도전할 만한 충분한 자격이 됩니다. ② “나만의 관심사나 목표가 있어요.”특정 분야에 꾸준한 관심을 갖고 활동해왔거나, ‘진로’를 향한 명확한 고민이 있다면 학종에 강합니다. 예를 들어 환경문제에 관심 있는 학생이 관련 주제로 독서, 발표, 동아리 활동을 해왔다면, 이건 입학사정관에게 분명한 ‘스토리’로 읽힙니다. ③ “학교생활을 성실히 해왔어요.”학생회, 동아리, 교내 대회, 봉사활동 등을 열심히 해온 학생에게는 학종만큼 좋은 전형이 없습니다. 학종은 ‘학교생활기록부 중심 전형’이기 때문에, 단순히 실적이 아닌 활동의 성실성과 맥락을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④ “시험형 인간보단, 과정형 인간이에요.”시험만으로는 나를 표현하기 어렵고, 오히려 프로젝트, 발표, 에세이 같은 활동에서 강점을 발휘하는 학생이라면 학종이 더 잘 맞습니다. 물론 공부를 게을리해도 된다는 말은 아니에요.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역량을 표현할 수 있는 전형이기에, 시험 외의 능력이 많은 친구에게 추천합니다. 3. 학종 준비, 이런 기준으로 생각해보자 ① 생활기록부가 말해주는 나의 이야기학종은 생기부 전형입니다. 자신의 생기부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봤을 때 “이 학생은 어떤 관심을 가지고, 어떤 활동을 했고, 무엇을 배웠는가”가 뚜렷하게 보인다면 성공적인 준비입니다.같은 활동이라도 ‘진로와 연결’되어 있느냐,활동에서 ‘배운 점’이 드러나느냐,활동 간의 ‘맥락과 흐름’이 있느냐,이 세 가지 기준으로 내 생기부를 점검해보세요. 이게 학종에서 매우 중요한 기준입니다. ② 스펙보다 ‘일관성’과 ‘진정성’학종에서 많이 하는 오해 중 하나는 ‘스펙 쌓기 경쟁’이라는 거예요. 하지만 입학사정관은 단발성, 형식적인 활동을 금방 알아차립니다. 오히려 소박해도 진로와 관련 있고, 꾸준히 이어진 활동이 훨씬 좋은 평가를 받아요. ③ 면접 대비: 나를 설명하는 힘학종은 최종 면접에서 당락이 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이 했던 활동을 스스로 납득하고 설명할 수 있는가, 예상 질문에 대해 논리적으로 말할 수 있는가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활동을 하면서도 왜 이걸 했는지, 무엇을 느꼈는지 메모해두는 습관이 중요해요. ④ 지원 대학/학과에 맞춘 ‘전략’학종은 단순히 생활기록부만 보고 합격이 결정되는 전형이 아닙니다. 해당 대학과 학과가 어떤 인재를 원하는지, 어떤 역량을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철저히 분석하고 그에 맞춰 준비하는 전략이 핵심이에요. 저는 지원할 대학마다 인재상과 전형 안내 자료를 꼼꼼히 확인했어요. 각 학교는 공통적으로 ‘자기주도성’, ‘전공 적합성’, ‘소통 능력’ 등 다양한 키워드를 강조하는데, 그 기준에 맞춰 내용과 강조할 활동들을 조정했죠. 그리고 저는 특히 면접에 강점이 있었기 때문에, 면접 비중이 높은 ‘면접형 학종 전형’을 선택해 전략적으로 지원했어요. 그 결과 제 강점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었고,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었습니다. ‘나는 어떤 강점을 가지고 있는지’, ‘이 대학은 어떤 학생을 원하는지’, 그 교집합을 잘 찾아서 전략적으로 준비한다면, 학종만큼 나를 제대로 보여줄 수 있는 전형도 드물다고 생각해요.저에게는 그래서 학종이 가장 잘 맞는 선택이었어요. 학종은 어렵고 불확실한 전형이 아닙니다. 오히려 나를 가장 입체적이고 깊이 있게 보여줄 수 있는 전형이에요. 일반고 학생이라면, 학종은 '불리한 전형'이 아닌 '기회의 전형'이 될 수 있어요. 물론 학종은 만만치 않습니다. 생기부 준비, 면접까지 해야 하니까요. 하지만 그만큼 다양한 나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고, 단순한 수치로 줄 세우지 않는 전형이라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어요. 혹시 아직도 "나는 특별한 게 없는데 학종은 어려울 것 같아"라고 생각하나요? 저는 말하고 싶어요. 학종은 특별한 사람을 찾는 전형이 아니라, 평범한 학생 속에서 특별한 가능성을 찾아내는 전형이라고요.여러분도 할 수 있어요.여러분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2025.07.21
-
학생부 관리사회계열 희망 학생이라면, 생활과윤리 탐구 주제를 이렇게 심화해보세요사회계열 희망 학생이라면, 생활과윤리 탐구 주제를 이렇게 심화해보세요 생활과윤리는 단순한 도덕 공부를 넘어서, 우리가 사는 사회와 연결된 복잡한 윤리 문제를 탐구하는 과목입니다. 사회학과 결합하면 더 깊이 있고 현실적인 탐구가 가능해집니다. 사회학적 시선은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가?’ ‘문제가 개인의 잘못인가, 사회 구조 때문인가?’를 고민하게 해 줍니다. 사회학 개념과 윤리를 더해, 어떻게 더 구체적이고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환경 윤리와 구조적 불평등: ‘누가 피해를 더 입는가?’ 묻기사회학 개념 : 환경 정의(Environmental Justice) — 환경 피해가 사회적 약자에게 더 집중되는 현상활용 이론 : 롤스의 정의론(차등의 원칙), 공리주의(최대다수의 최대행복)탐구 아이디어 :특정 지역에 공장, 폐기물 처리장이 몰려 있는 이유를 조사해 보세요. 그 지역 주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저소득층, 소수자 등)를 조사해 불평등 여부를 확인해보는 겁니다.공리주의 관점에서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해 일부는 희생돼도 되는가?’라는 윤리적 딜레마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롤스의 차등의 원칙에 비춰, 사회적 약자에게 더 큰 피해가 가는 상황이 정의로운가 생각해보세요.심화 팁 : 피해를 입는 지역 주민 인터뷰, 뉴스 사례, 정부 정책 분석 등을 활용해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면 더 생생합니다. 2. 디지털 윤리와 감시 사회: ‘내 정보는 누구의 것인가?’사회학 개념 : 푸코의 ‘판옵티콘’과 ‘감시사회’활용 이론 : 칸트 의무론(개인의 존엄성), 롤스 정의론(공정한 분배)탐구 아이디어 :스마트폰 위치 추적, CCTV 감시, SNS 개인정보 수집 문제를 조사하세요.이 중 어떤 감시가 개인 자유를 침해하는지, 어떤 경우에 사회 안전을 위한 정당한 감시인지 비교 분석합니다.푸코의 권력-지식 이론으로, 감시가 어떻게 우리 행동을 규율하고 내면화하는지 설명해보세요.심화 팁 : 실제 앱 사용약관이나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분석하거나 친구·가족 인터뷰를 진행하면 구체적인 자료가 됩니다. 3. 젠더 윤리와 사회화 과정: ‘젠더는 만들어진다’사회학 개념 : 젠더 사회화, 사회적 역할 이론활용 이론 : 시몬 드 보부아르(여성은 만들어진다), 캐롤 길리건(배려 윤리 vs 정의 윤리)탐구 아이디어 :학교 내 남녀 복장 규정, 교과서 속 성 역할 묘사, 체육 활동 배정 등에서 나타나는 성 고정관념을 조사해보세요.남성 중심적 가치관과 여성 중심적 가치관이 어떻게 갈등하는지 윤리적 시선으로 분석합니다.배려 윤리가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어떻게 더 존중하는지 설명할 수 있습니다.심화 팁 : 학교 생활 속 사례를 수집하거나 SNS, 미디어 속 젠더 표현을 분석해보면 탐구가 풍부해집니다. 4. 기업 윤리와 자본주의 구조: ‘기업은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사회학 개념 : 마르크스주의 관점(자본과 노동 착취), 사회적 책임(CSR)활용 이론 : 밀의 공리주의, 아리스토텔레스 덕 윤리탐구 아이디어 :기업의 이윤 추구가 노동자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 사례로 조사하세요.CSR 활동이 실제로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 비판적으로 살펴봅니다.윤리적 소비(친환경 제품 구매 등)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 분석합니다.심화 팁 : 국내외 기업의 CSR 사례 비교, 소비자 인식 조사, 노동환경 인터뷰 활용 추천합니다. 5. 생명 윤리와 사회 제도: ‘누가 생명권을 누리는가?’사회학 개념 : 의료 불평등, 사회 자본, 경제적 능력 차이에 따른 권리 차별활용 이론 : 롤스 정의론, 누스바움 역량 이론, 칸트 의무론탐구 아이디어 :안락사, 유전자 편집 등 첨단 의료 윤리 문제를 다룰 때, 사회적 자원과 경제력에 따라 접근성이 다른 점을 조사하세요.‘생명’을 수단으로 보지 않는 칸트 윤리 관점과 사회적 자원의 한계를 연결해 윤리적 갈등을 탐구합니다.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노인, 장애인 사례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 문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세요.심화 팁 : 병원, 복지시설 자료나 뉴스 인터뷰 인용하면 현실감 있는 탐구가 됩니다. 6. 인권과 사회 정의: ‘법이 있어도 실현되지 않는 인권’사회학 개념 : 구조적 불평등, 권력관계, 제도적 차별활용 이론 : 롤스 정의론, 푸코 권력 분석, 보부아르·프레이리·벨 훅스 저항 철학탐구 아이디어 :성소수자 차별, 장애인 이동권 제한, 난민 인권 문제 등 법적으로는 보장돼도 현실에서 차별 받는 사례를 조사하세요.법적 권리와 사회적 수용의 괴리를 사회학적 관점으로 분석하고, 저항 철학자들의 관점으로 문제 해결 방향을 모색합니다.통계, 인터뷰, 뉴스 사례를 활용해 인권 현실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면 탐구가 깊어집니다.심화 팁 : 현장 조사, NGO 활동 사례 등 직접적인 자료를 수집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생활과윤리는 사회학과 만나면 ‘왜 그런 윤리 문제가 발생하는지’ 구조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옳고 그름을 넘어서, 사회적 배경과 권력 관계를 고려한 윤리적 판단이 가능해지지요.고등학생 여러분이 탐구 주제를 정할 때는, 사회학 개념과 윤리 이론을 한두 가지씩 의도적으로 연결해 보세요. 예를 들어 ‘환경 문제 → 환경 정의 + 롤스 정의론’, ‘디지털 감시 → 푸코 감시사회 + 칸트 의무론’ 이런 식입니다. 이런 융합적 접근은 학교 세특 기록에서 비판적 사고와 탐구 능력을 돋보이게 하며, 사회계열 진로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구체적 사례, 뉴스, 인터뷰 자료 등을 적극 활용해 자신만의 ‘진짜 이야기’를 만들어보세요!2025.07.04
-
학생부 관리후속 연계 탐구: 나만의 생기부 스토리 만드는 방법!!후속 연계 탐구, 왜 중요한가요? 고등학교 생활기록부를 단순한 활동 기록이 아닌, 나만의 성장 흐름이 담긴 이야기로 만들고 싶다면 꼭 고민해봐야 할 것이 바로 ‘후속 연계 탐구’입니다. 후속 탐구란 말 그대로, 하나의 활동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활동에서 얻은 질문이나 궁금증을 새로운 탐구로 이어가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이 학년을 거치며 점점 깊어지고, 다양한 과목으로 확장된다면, 단편적인 활동이 아닌 논리적인 사고력과 주도적인 학습 태도가 드러나는 학생부가 완성됩니다. 대학은 바로 이런 ‘탐구의 흐름’을 보고 싶어 합니다. 단순히 활동을 많이 했다는 것보다, 그 활동 이후 어떤 질문을 던졌고, 그 질문에 어떻게 답하려 노력했는지를 통해 학생의 학습역량과 성장을 평가하는 것이죠. 아래 예시를 통해 나만의 생기부 스토리 만드는 공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예시① 환경문제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았던 한 학생의 사례를 살펴볼까요? 이 학생은 고1 과학 시간에 지구온난화 단원을 배우며,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변화의 원리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막연하게 생각하던 ‘환경’이 보다 구체적인 과학적 문제로 다가왔고, 관련 도서를 탐색하던 중 《플라스틱의 역습》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책을 통해 플라스틱의 생산, 소비,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접하면서,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환경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죠. 책을 읽고 난 뒤, “우리 학교는 얼마나 많은 일회용 플라스틱을 사용할까?”라는 궁금증이 생겼고, 이를 직접 조사해 보기로 결심했습니다. 급식실에서 사용되는 일회용품 사용량을 알아보기 위해 교내 환경미화원, 영양사 선생님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일주일간 플라스틱 사용량을 관찰하며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단순한 의문에서 시작된 행동이 실제 조사로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이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 학생은 환경 동아리 친구들과 함께 다회용 수저 사용 캠페인을 기획하게 되었고, 학생들에게 대체 수저를 나눠주거나 홍보물을 제작해 실천을 유도했습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에 대한 궁금증으로 이어져, 옥수수 전분 빨대, 종이 빨대, 금속 빨대의 사용감, 내구성, 환경적 영향 등을 비교하는 실험을 과학 시간에 직접 진행했습니다. 실험 결과를 발표 자료로 정리해 공유하면서, 과학적 탐구로 활동이 마무리되었죠. 그런데 이 학생의 탐구는 고2에서도 이어졌습니다. 사회 과목의 ‘시민의 책임과 참여’ 단원을 배우던 중, 환경 문제는 단순한 과학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실천의 영역이기도 하다는 걸 느끼게 된 것입니다. 그래서 앞서 경험한 학교 캠페인을 되돌아보며, “개인의 환경 실천이 지역사회나 정책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새롭게 품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플라스틱 규제 현황을 조사하고, 서울시의 일회용품 규제 정책과 해외 도시의 환경 교육 사례를 비교한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사회 시간 발표 수업에서 토론 주제로도 활용되었습니다. 하나의 관심사에서 시작된 탐구가 과학 → 실천 → 탐구 → 사회 참여 → 정책 분석으로 이어지며, 과목을 넘나드는 연계와 사고의 깊이를 모두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예시② 국어 시간의 소소한 호기심에서 시작된 진로 연계또 다른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고1 국어 수업에서 ‘디지털 소통’을 주제로 한 수업을 듣던 한 학생은, 친구들이 줄임말이나 이모티콘을 자주 사용하는 모습을 보며 “우리는 왜 줄임말을 쓸까?”라는 궁금증을 갖게 되었습니다. 단순한 호기심에서 출발했지만, 이 학생은 실제로 교내 친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다양한 결과를 수집했습니다. 그 결과, 줄임말 사용이 대화의 속도를 높이고 친밀감을 형성하는 데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 시간에 소논문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고2가 되어 사회문화 과목을 배우면서 이 학생은 ‘문화와 일상생활’ 단원에서 줄임말과 같은 디지털 언어가 또래 집단의 정체성과 하위문화 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인식하게 됩니다. 이때, 국어 시간에 했던 활동이 문화 사회학적 질문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졌습니다. “디지털 언어는 또래 집단의 소속감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할까?”라는 주제로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문화자본’, ‘하위문화’, ‘상징자본’ 등의 개념을 접목했습니다. 언어라는 현상을 단순히 국어 교과 안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에서 분석하려는 시도였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고3에서도 계속되었습니다. 정치와 법 과목에서 ‘표현의 자유와 책임’ 단원을 배우던 중, 이전에 탐구했던 디지털 언어의 문제를 법적·윤리적 책임과 연결시켜보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줄임말, 이모티콘 등 디지털 표현은 어디까지 자유로울 수 있을까?”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발표 활동을 진행했고, 이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 관련 진로를 구체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단순한 말 줄임 현상에 대한 흥미가 국어 → 사회문화 → 정치와 법으로 이어지고, 마지막에는 진로와의 연결로 이어진 흐름이죠. 이처럼 하나의 소소한 관심이 학년이 올라갈수록 더 넓은 시야와 깊이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사례들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예시’임을 말씀드립니다위에서 소개한 두 가지 사례는 제가 직접 경험했던 활동과 관심사를 바탕으로, 그 흐름에 살을 덧붙여 만든 ‘예시’입니다. 실제 학생들이 겪는 탐구 과정과 매우 흡사하지만, 완전히 실제 사례라기보다는 이렇게 후속 연계 탐구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보여드리기 위해 구체적으로 상상하여 작성한 내용임을 알려드립니다. 따라서 여러분도 각자의 경험과 관심사에 맞게 이러한 탐구의 흐름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중요한 것은 꼭 완벽한 결과물이 아니라, “내가 무엇에 궁금해했고, 어떻게 이어갔는지” 그 과정 자체를 진솔하게 기록하고 보여주는 것입니다. 이 점을 기억하며, 자신만의 후속 탐구 이야기를 만들어 가시길 바랍니다. 후속 탐구,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요?이 두 가지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중요한 것은 질문에서 시작해 확장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이 활동을 하고 나서 나는 무엇이 궁금했는가?’, ‘이 질문은 다른 교과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 ‘이 주제는 사회 전체 혹은 나의 진로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와 같은 질문을 던지면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야 합니다.교과 수업이나 독서, 동아리 활동, 수행평가 등 다양한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통점은 하나입니다. 스스로 질문을 만들고,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려는 태도가 있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그 질문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목이 달라질수록 더 깊어지고, 더 넓어져야 하죠. 대학이 주목하는 ‘후속 탐구’의 가치후속 연계 탐구는 단순히 활동을 많이 한 학생보다, 한 가지 주제를 끝까지 고민하고 발전시켜 나간 학생의 사고력과 주도성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즉, 대학은 단순한 활동이 아닌, “이 학생은 어떤 과정을 통해 지적으로 성장했는가?”, “이 학생의 관심은 어떻게 확장되고 연결되었는가?”를 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 질문에 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후속 연계 탐구의 흐름을 생기부 안에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생기부 스토리 만드는 3단계 공식관심 갖기 – 교과, 독서, 시사 이슈에서 출발질문 던지기 & 탐구하기 – 조사·실험·인터뷰·정리기록하고 연결하기 – 관련 과목·단원과 자연스럽게 엮기2025.07.03
-
기타최우수멘토까지 해본 리로스쿨 서포터즈 리얼 후기안녕하세요! 은결 멘토입니다 :) 저는 2024년부터 현재까지 리로스쿨 서포터즈 2기, 3기, 4기로 활동하고 있는데요.그중에서도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2기 최우수 멘토로 선정되어 장학금 100만 원을 받은 일✔️현재 인기순 1위 멘토로 활동하고 있는 점입니다. 또한 콘텐츠기자단으로도 활동하면서 카드뉴스를 제작하고, 영상 콘텐츠 제작에도 직접 참여하며 저만의 입시 경험과 이야기를 진심을 담아 전달하고 있습니다.이 글은 제가 열정을 다해 참여했던 리로스쿨 서포터즈 활동 후기이며, 이 활동을 고민 중이신 분들께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리로스쿨 서포터즈 멘토 활동멘토로서 맡은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로톡 질문 답변 (매달 최소 5건 이상)1:1 톡 상담스토리노트 작성 (매달 최소 1개 이상)포트폴리오 업로드 특히 1:1 톡은 학생들의 진로 고민, 학과 선택, 학습법 등 구체적인 질문이 많아 신중하게 답변을 드리고자 많은 시간을 들였습니다. 실제로 1시간 이상 걸려 작성한 답변도 있을 정도로, 진심을 담아 소통하려 노력하였습니다. 스토리노트는 매달 한 편씩 작성하며 입시 경험, 공부법, 대학생활 팁 등을 공유했습니다. → 학종에 유리한 탐구주제 정하는 방법→ 3학년때 진로변경하고도 학종 5관왕 할 수 있었던 방법 (경영-> 사회)→ 독서로 차별화된 학생부를 만드는 방법→ 사회&심리학 희망학생을 위한 탐구주제와 내용 알려드립니다! (1) → 대학생 재테크: 돈 안 쓰고 살아남기 -용돈 관리, 알바 추천, 장학금→ 면접관이 뽑고 싶지 않은 지원자는? 위와 같은 주제를 포함하여 굉장히 다양한 글을 작성했습니다.또한 고등학생 때 작성했던 수행평가나 탐구보고서를 정리해 포트폴리오로 업로드하기도 하였습니다. → 마케팅과 언어와 매체의 연결: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광고 분석→ 문학 후속탐구, 어디까지 해봤니? 소설까지 써본 활동 다 알려줄게!→ 학업/전공/잠재/공동체역량 모두 드러내는 사회탐구 보고서의 정석 멘토로 활동할 때 제 이름과 소속 학과를 걸고 활동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책임감을 가지게 되더라구요답변을 할 때도 하나하나 정성을 들여서 하고, 글을 쓸 때도 제가 직접 경험한 팁들을 알려주고 싶었습니다! 가장 보람 있었던 순간은, 제 답변이 실제로 학생에게 도움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입니다.2025년 1월, 대학 입학처에서 주관한 '컴패스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했을 때, 한 학생이 저를 알아보며 "리로스쿨에서 받은 답변이 정말 큰 도움이 되었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온라인 활동 특성상 학생들의 반응을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데, 이런 피드백을 들었을 때 정말정말 뿌듯했습니다 ヾ(≧▽≦*)o 콘텐츠기자단 및 영상 콘텐츠 제작리로스쿨 서포터즈 활동은 단순한 멘토링에 그치지 않고, 콘텐츠 제작 기회도 함께 제공됩니다.콘텐츠기자단 활동을 통해 매달 5편의 카드뉴스를 제작하고 있으며, 주제는 입시, 학과, 진로, 공부법, 대학생활 등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내용들입니다. 매달 어떻게 만들어야 가독성있고, 궁금한 주제로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또한 영상 콘텐츠 제작에도 참여하였습니다. 제 입시 이야기를 직접 말로 풀어 영상으로 전달하면서, 리로스쿨이 추구하는 ‘진짜 선배의 조언’을 실현할 수 있었던 경험이었습니다. 말과 화면을 통해 다양한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어 더욱 의미 있었습니다. 리로스쿨 서포터즈가 특별한 이유 리로스쿨 공식블로그 멘토 인터뷰에서 저를 다음과 같이 소개했습니다.“학생들의 꿈을 밝히는 멘토, 시대를 밝히는 별이 되리라.”리로스쿨은 단순한 정보 제공 플랫폼이 아닙니다.입시를 직접 겪은 대학생 멘토들이 자신의 경험과 고민을 바탕으로 진심을 담아 조언을 전하는 따뜻한 멘토링 공간이라 생각합니다. 저 역시 고등학생 시절, 정보가 부족해 막막했던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 이 활동이 더욱 특별하게 느껴졌습니다.저와 같은 고민을 가진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조언을 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런 분들께 추천합니다! 입시 경험을 나누고 싶은 대학생멘토링 활동에 관심 있는 분카드뉴스나 영상 등 콘텐츠 제작에 흥미 있는 분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싶은 분 리로스쿨 서포터즈는 단순히 정보를 알려주는 활동을 넘어, 누군가의 길잡이가 되어줄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인 것 같습니다.(그래서 더욱 열심히 하게 되는 것 같아요 ㅎㅎ) 인상 깊었던 1대1톡 질문들멘토링 활동을 하며 가장 인상 깊었던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세특 작성 방향이 궁금하다는 질문진로를 변경하고 싶다는 고민“도시사회학과에 너무 오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라는 진심이 가득한 질문 이런 질문을 받을 때마다 정말 해주고 싶은 이야기가 많아서, 1시간 넘게 답변을 작성한 적도 있습니다.학생 한 명, 한 명의 고민이 진지하게 느껴졌고, 그에 걸맞은 책임감을 갖고 답변드리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앞으로의 계획과 방향앞으로도 꾸준히 스토리노트를 작성하며,입시 팁, 공부 노하우, 대학생활 이야기 등 다양한 주제를 학생들과 공유하고자 합니다.지금처럼 성실하게 활동을 이어가며 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는 멘토가 되고 싶습니다. 아쉬운 점과 바라는 점리로스쿨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1:1 톡 상담 기능이었습니다.하지만 현재 이 기능이 유료화되면서 학생들의 접근성이 낮아진 점은 아쉬웠는데요. 매달 한 번, 원하는 멘토와 무료 1:1 톡 상담 기회를 제공구독 멤버십에서 1:1 톡 횟수를 확대하는 방향 이런 방식으로 학생들이 보다 부담 없이 멘토링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리로스쿨에는 입시에 도움이 되는 무료 정보들도 있습니다. → 입시매거진 무료, 진로정보(카드뉴스), 추천도서 등등 전문가, 멘토들이 작성한 자료를 참고한다면 수행평가를 할 때, 탐구주제를 정할 때, 고민이 생겼을 때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추천도서는 관심분야, 과목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니 꼭 이용해보세요! 리로스쿨에서 활동하는 멘토님들, 그리고 이 글을 읽고 계신 모든 학생 여러분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앞으로도 '진짜 선배'로서 진심을 담은 조언을 전하고, 누군가의 길을 밝히는 멘토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2025.06.26
-
주제탐구보고서[탐구주제 추천] 선발과 시험은 어떠한 사회와 인간을 만드는가?고등학교 시절, 저 역시 매일같이 수행평가와 내신, 수능 준비에 치이며 살았습니다. 좋은 대학에 가야 한다는 목표 아래, 실수 없이 문제를 풀고, 남들보다 앞서야 한다는 압박이 너무나 당연했습니다. 그렇게 대학에 진학한 뒤 사회학을 공부하고, 리로스쿨 멘토 활동을 하며 후배들과 교육에 대해 대화를 나눌 기회가 생겼습니다. 그 과정에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가 너무 익숙하게 받아들여 온 교육 시스템은 정말 모두에게 공정한 것일까?” 특히 수능은 ‘누구에게나 같은 시험지, 같은 시간’이라는 이유로 가장 평등한 시험처럼 여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요?같은 시험지를 받기까지의 과정, 그리고 그 시험을 준비해온 시간들은 정말 모두에게 같았을까요? 누군가는 학교 수업만으로도 충분한 지원을 받았지만, 누군가는 사교육 없이는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구조 안에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너무 익숙해서 오히려 비판적으로 바라보지 않았던 수능과 선발이라는 제도, 그 이면의 구조적인 불평등을 되짚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이 질문은 고등학생 여러분이 탐구보고서 주제로 연결지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을 단순히 탐구보고서를 위한 것이라고만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시험을 잘 치는 방법’을 중심으로 공부해왔지만, 이제는 한 번쯤은 ‘왜 이런 시험을 치르고 있을까?’, ‘이 시험은 우리를 어떤 사람으로 만들고 있을까?’라는 질문도 해보았으면 합니다. #시험은 누구에게 유리하고, 누구를 배제하는가?#시험은 인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우리는 어떤 교육을 원하고, 어떤 사회를 만들고 싶은가? 1. 한국 교육은 어떤 인간을 ‘높게’ 평가하고 선발하는가?한국의 교육은 기본적으로 ‘선발’을 중심에 두고 운영되고 있습니다. 대학 입시 제도는 물론이고, 고등학교의 수행평가와 내신 체계, 비교과 활동 등도 결국은 특정한 기준에 맞춘 평가를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렇다면 이 ‘기준’은 어떤 인간을 이상적인 인재로 상정하고 있을까요?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학생이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정해진 정보와 규칙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정확히 적용할 수 있는 사람, 실수 없이 문제를 풀고, 주어진 상황에서 벗어나지 않는 사람, 자신의 감정이나 의견보다는 결과를 위해 최적의 방식으로 움직이는 사람입니다. 이러한 기준은 표면적으로는 공정해 보일 수 있으나, 사실은 굉장히 제한적인 인간상을 전제하고 있습니다. 창의적이지만 산만한 학생, 속도는 느리지만 통찰력 있는 학생, 틀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시도를 하는 학생은 현재의 평가 구조 안에서 불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교육의 ‘선발 기준’이 사실상 어떤 인간을 사회적으로 재생산하고 있는지를 탐구해보는 것은, 사회학적으로 깊이 있는 탐구를 할 수 있습니다. 2. 집중선발체제가 한국 교육의 핵심 문제인가?한국의 입시는 대부분 집중선발체제를 따릅니다. 고등학교 3학년이라는 한 시기에, 수능과 내신이라는 집중된 평가로 대부분의 진학이 결정됩니다. 이 체제는 효율적일 수 있지만,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낳기도 합니다. 평가가 특정 시점에 몰려 있어, 실수나 컨디션의 영향을 지나치게 많이 받습니다. 학습의 목적이 ‘이 시점에 맞춰 실력을 끌어올리는 것’에 집중되며, 장기적인 탐구나 흥미 중심 학습이 소외됩니다. 많은 학생들이 고등학교 3학년이라는 시기를 ‘인생의 승부처’로 받아들이며 과도한 스트레스에 노출됩니다. 반면, 분산선발체제는 학생의 여러 시점, 다양한 활동, 과정 중심의 성장을 바탕으로 평가가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포트폴리오 기반 전형, 프로젝트형 평가, 협업 중심 발표 평가 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물론 분산선발은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 교사 역량 차이에 따른 불평등 문제 등의 단점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처럼 ‘한 번의 시험’이 지나치게 많은 것을 결정하는 구조보다는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방향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주제를 탐구보고서로 발전시키고 싶다면, 현재의 수능/내신 중심 구조를 설명하고, 외국 사례(예: 핀란드, 네덜란드 등)를 비교해 분석하거나, 분산선발이 학생의 어떤 자질을 더 잘 드러낼 수 있는지 실제 인터뷰를 통해 분석해보는 방법도 좋습니다. 3. 객관식 시험은 학습자를 조건에 순응하는 인간으로 만드는가?객관식 시험은 많은 학생들이 매일같이 접하는 익숙한 시험 양식입니다. 빠르고 공정하게 채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형식이 학습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판적으로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객관식 시험은 대체로 하나의 정답이 있고, 제시된 조건 안에서 빠르게 반응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다시 말해, 그 구조 안에서는 다른 가능성을 상상하거나, 정답 외의 해석을 제시하거나, 문제 자체를 되묻는 사고는 불가능합니다. 이런 시험에 반복적으로 노출된 학생은 스스로 사고하기보다는, ‘무엇이 정답일까’라는 감각에 익숙해지게 됩니다. 문제를 분석하거나, 해석하거나, 새로운 질문을 던지는 훈련보다는, 주어진 조건에 익숙하게 반응하는 수동적인 학습 태도가 자리잡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관식이나 서술형 평가는 정답을 쓰는 것뿐 아니라, 사고의 과정, 논리의 전개, 표현 능력까지 포함하여 평가합니다. 물론 채점에 시간과 노력이 더 필요하고, 평가자 간 편차나 기준의 모호성 등 현실적인 문제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학생 개개인의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방식, 자기 의견의 구성력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평가 방식입니다. 이 질문은 철학적인 동시에 교육학적인 문제로, 탐구보고서 주제로 다룬다면 객관식/주관식 시험의 비교 사례, 본인의 학습 경험 분석, 교사 또는 친구들의 인식 조사 등을 통해 실증적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시스템이 아니라, 사회가 어떤 인간을 길러내고 싶은지를 보여주는 제도입니다. 우리가 겪는 시험, 평가, 선발의 구조를 비판적으로 바라본다는 것은, 단지 제도를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이 어떤 인간으로 길러지고 있는지를 돌아보는 일입니다. “시험은 누구에게 유리하고, 누구를 배제하는가?” “시험은 인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우리는 어떤 교육을 원하고, 어떤 사회를 만들고 싶은가?” 이 질문은 어렵지만, 동시에 깊이 있는 탐구의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단순한 정보 조사가 아닌,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녹여낼 수 있는 보고서를 쓰고 싶다면, 이 주제를 꼭 한 번 고민해보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이 이 질문을 던질 수 있다면, 이미 교육을 소비하는 학생이 아니라 교육을 다시 묻는 ‘생각하는 사람’으로 한 걸음 나아간 것입니다.2025.06.23
-
학생부 관리우리 학교 급식은 왜 항상 이럴까? – 사회학의 눈으로 탐구활동 확장하기우리 학교 급식은 왜 항상 이럴까? – 사회학의 눈으로 본 학교 속 불만들 “왜 우리 학교 급식은 맛이 없을까?”“교복은 왜 이렇게 불편하게 생겼을까?”“화장실은 누가 관리하는 건데 이렇게 더럽지?”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느끼는 이런 불만들은 단순한 ‘불편’이 아닙니다. 사회학적인 관점에서는, 학교라는 공간이 단지 ‘교육의 장’이 아니라, 다양한 제도와 권력 관계가 얽혀 있는 작은 사회라는 점에 주목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겪는 급식, 교복, 화장실 문제를 사회학의 개념으로 어떻게 바라볼 수 있을까요? 1. 급식은 왜 항상 똑같을까? – 제도화된 시스템의 특징 학교 급식은 학교 구성원 모두가 매일 이용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그런데 학생들이 원하는 메뉴나 질적인 만족과는 달리, 식단 구성은 거의 변하지 않고, 때로는 형식적으로 운영되기도 합니다. 이는 제도화된 급식 시스템의 전형적인 특징입니다.급식 운영은 대부분 위탁 업체에 의해 결정되며, 교사와 행정 담당자의 승인, 영양사 기준에 따라 식단이 구성됩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의견은 거의 반영되지 않거나, 형식적인 만족도 조사 수준에 그칩니다. 제도로서의 급식은 오랜 시간 동안 ‘관례’처럼 운영되기 때문에, 바꾸기 어려운 구조가 되어버린 것입니다. 사회학에서는 이런 현상을 ‘제도화’라고 설명합니다. 즉, 특정 방식이 반복되고 안정되면서 사회적 현실로 고정되는 과정을 뜻합니다. 2. 교복은 왜 학생의 ‘불편’보다 ‘단정함’을 우선할까? – 규범과 통제의 구조 많은 학교에서 교복 규정을 엄격히 적용하고, 이를 어겼을 경우에는 생활기록부에 반영하거나 벌점을 부과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교복이 불편하거나 계절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여름철 긴바지 착용 강요나 치마 길이 제한 등은 학생의 신체적 자유와 편안함을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처럼 학교는 규범을 통해 학생들을 통제합니다. 규범은 특정 사회(이 경우는 학교)에서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행동 기준입니다. 교복 규정은 단순한 복장 규제가 아니라, ‘학생답다’는 이미지를 강제하기 위한 규범적 장치이며, 그 이면에는 학교가 학생들을 질서 있게 관리하려는 목적이 존재합니다. 3. 화장실은 왜 신경 쓰지 않을까? – 권위의 구조와 관심의 배분 학교 내 화장실은 대부분 열악한 관리일 때가 많습니다. 변기가 고장 난 채 방치되거나, 청소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흔합니다. 하지만 급식이나 교복에 비해 화장실 문제는 상대적으로 학생들의 민원이 적고, 학교 측도 우선순위를 낮게 둡니다.이 문제는 권위의 작동 방식과 관계가 있습니다. 권위란 사회에서 특정 집단이나 개인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지시할 수 있는 힘을 의미합니다. 학교에서 권위는 대부분 교사나 행정실, 교장 선생님에게 집중되어 있으며, 이들은 학생들의 ‘목소리’보다 행정적 효율이나 예산 문제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학생이 느끼는 불편은 권위 구조 내에서 쉽게 반영되지 않습니다. 4. 학생회는 실질적인 권한이 있을까? 학생회는 종종 급식 개선, 교복 자유화, 화장실 개선 등의 요구를 제기하는 통로가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학생회가 실질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가지는 경우는 드뭅니다. 학생들의 의견은 ‘참여’라는 명분 아래 수렴되지만, 실제 결정 권한은 성인 교직원에게 있습니다.이런 상황은 학교 안에서 상징적 참여가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학생회는 제도적으로 존재하지만, 실제로는 의사결정 구조의 핵심에서 멀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회학에서는 이런 현상을 형식적 참여와 실질적 참여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5. 우리는 무엇을 바꿀 수 있을까? (탐구활동으로 연결하는 방법)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고등학생들은 단순한 ‘불만 제기’에 그치지 않고 문제의 구조를 이해하고 구체적인 개선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급식 만족도 조사를 학생회 주도로 정기화하고, 결과를 학교운영위원회에 직접 전달하기교복에 대한 설문조사와 실용적 대안 제시화장실 환경에 대한 실태조사 보고서 작성 및 발표이러한 활동은 자율동아리, 학생회, 사회탐구보고서, 생활기록부 자율활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되고 평가될 수 있습니다. << “우리 학교 급식·교복·화장실 문제”를 중심으로 고등학생이 실제 탐구 활동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단계별 방법 >> 탐구 주제 예시: 학교 생활 속 불편함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하고 개선 방안 제안하기 1. 주제 선정과 문제의식 구체화먼저 "불편하다"는 학생들의 생활 속 경험을 출발점으로 삼아야 합니다. 단순히 “급식이 맛없다”가 아니라, “왜 급식에는 학생 의견이 반영되지 않을까?”라는 식의 구조적 질문으로 바꿔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 활동이 가능합니다:학교생활 만족도 설문(소규모로 친구들 대상)수업 시간, 쉬는 시간, 자습 시간 등에서 친구들 인터뷰교내 게시판, 온라인 커뮤니티, 학생회 건의함 등에서 수집된 민원 사례 검토 탐구 질문 예시“우리 학교 급식 시스템에는 학생의 선택권이 있는가?”“교복 규정은 어떤 규범과 권위 구조 아래 만들어졌을까?”“학생의 의견은 학교 제도에서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는가?” 2. 사회학적 개념과 연결 탐구가 단순한 불만 기록이나 개인적 감정이 아닌 학문적 탐구로 인정받으려면 사회학 개념과 연결되어야 합니다. 아래 개념을 구체 사례에 맞게 적용해보세요.제도화: 급식, 교복, 화장실 운영 방식은 어떻게 반복되고 고정화되어 왔는가?규범: 학생다운 태도나 복장 기준은 누가, 어떤 이유로 정한 것인가?권위: 학교 내 의사결정권자는 누구이며, 학생은 어떤 위치에 있는가? 활동 예시교과서 및 인터넷에서 ‘학교와 사회’, ‘사회제도’ 단원 조사관련 개념 요약 후 우리 학교 사례에 적용하기교내 행정 담당자(급식소, 생활지도부, 행정실 등) 인터뷰 3. 실태조사 및 자료 수집이 단계에서는 학생 스스로 조사 도구를 설계하고 직접 자료를 수집합니다. 단순한 느낌이 아니라, 수치화된 결과와 정성적 의견을 함께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식 예시:만족도 1~5점 척도로 설문학생들이 선호하는 메뉴/불만 요소 정리‘이의 제기 방법’에 대한 인식 여부 조사교복 예시:여름/겨울 교복 만족도교복 규정 위반 경험 및 이유체형별 불편 정도, 성별 차이 등화장실 예시:청결도 평가, 고장 경험, 위치에 따른 차이안전 문제(잠금 장치 등)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구체적 부분 활동 확장:학급 단위 실태조사 → 전교생 대상 확대표집 방법 고려(무작위, 학년별 비율 등)구글 폼 등 디지털 설문 도구 사용 4. 자료 분석 및 시각화수집한 자료는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정리하고 분석해야 합니다. 활동 예시:설문 결과 그래프(막대그래프, 파이차트 등)학생/교사 의견 대비 분석표인터뷰 주요 인용문 정리 이런 자료들은 PPT 발표, 보고서 첨부자료, 포스터 제작 등에 활용 가능하며, 학교 내 행사나 발표대회에 제출해도 좋습니다. 5. 개선 방안 도출 및 제안자료를 바탕으로 단순한 “바꿔주세요”가 아닌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합니다. 이때도 가능한 범위 내 현실적인 안을 생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식 관련 제안:월 1회 ‘학생 자율 메뉴 공모’ 제도 제안양식/한식/분식 선택형 메뉴 운영 시범 도입 요청식자재 품질 개선을 위한 외부 점검 제안교복 관련 제안:여름철 반바지 선택제 도입치마/바지 선택 자유화 요청디자인 리뉴얼 공청회 개최 제안화장실 관련 제안:주 1회 학생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조명 교체, 안전장치 설치 요구‘내가 사용하는 공간’ 캠페인 전개실천 방법:학생회 정식 건의안 제출교사 면담 및 운영위원회 참석 요청교내 공익 포스터 제작 및 게시 6. 결과 정리 및 기록모든 활동은 보고서나 기록물로 남겨야 합니다. 이 자료는 생활기록부, 학생회 기록, 공모전 출품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합니다. 기록 구성 예시:탐구 주제 및 문제의식사회학 이론 적용실태조사 방법 및 결과분석 및 해석제안 내용느낀 점 및 후속 계획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교내 탐구발표대회, 교외 공모전(예: 학생인권 관련 에세이 공모전 등)에 출품하거나, 학생회 차원에서 정책 자료로 학교에 공식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 학교는 단지 공부하는 곳이 아니라, 사회가 작게 축소된 공간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하고, 구조적인 문제를 이해하고 나아가 개선해나가는 경험은 입시를 넘어서, 훌륭한 시민으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습니다. “급식은 왜 이럴까?”라는 질문에서 시작했지만, 그 속에는 사회를 읽는 눈과 바꾸려는 의지가 숨어 있습니다. 사회학은 바로 그런 질문에서 출발합니다.2025.05.13
-
기타[사회학의 눈으로] 시험은 공정한가?[사회학의 눈으로] 시험은 공정한가? – 능력주의 이데올로기의 함정 시험은 오랫동안 공정함의 상징처럼 여겨져 왔습니다. 누구나 동일한 시간 안에 같은 문제를 풀고, 그 결과로 순위를 정하는 시스템. 겉으로 보기엔 이보다 더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방식이 있을까 싶을 정도입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이 시험 제도가 노력과 능력을 공정하게 평가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말 그런 것일까요? 시험이 공정하다는 믿음은 능력주의라는 생각에서 비롯됩니다. 능력주의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는 가치관입니다. 이 생각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 뿌리내리고 있으며, 교육 시스템은 그 중심에 있습니다. 학교는 시험을 통해 학생의 능력을 수치화하고, 그 점수에 따라 대학 입학, 직업 선택, 나아가 삶의 경로까지 결정됩니다. 이 모든 과정이 마치 한 치의 오차도 없는 공정한 경쟁처럼 포장됩니다.그러나 이 믿음은, 과연 현실에서도 유효할까요? 한번 생각해보아야 할 점은, 시험 이전의 '과정'입니다.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과 자원은 학생마다 다릅니다. 조용한 공부방, 시간을 내어 도와주는 부모, 양질의 사교육, 수준 높은 학교와 교사의 지원, 이런 요소들은 모두 시험 성적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하지만 이러한 자원은 경제력, 부모의 학력, 거주 지역 등 구조적 요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입니다. 시험은 동일한 문제를 던지지만, 학생들은 전혀 다른 조건에서 그것을 풀고 있는 셈입니다. 마치 마라톤에서 어떤 이는 평지에서, 어떤 이는 오르막길에서 출발한 후 도착 시간을 비교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시험이 능력만을 측정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또한, 시험은 평가의 도구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사회적 분류의 수단으로 기능합니다. 점수에 따라 사람을 줄 세우고, 상위권은 더 많은 기회를 얻고, 하위권은 점점 더 기회에서 멀어집니다. 문제는 이 순위가 한 번 결정되면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입니다. 좋은 대학, 좋은 직장, 안정된 삶이라는 일종의 '성공 루트'는 이 시험에서의 순위에 의해 미리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자신이 처한 구조적 조건보다는 개인의 노력만을 탓하게 됩니다. “내가 더 열심히 했어야지”, “나는 머리가 나빠서 안 돼”, 이런 생각들은 현실의 불평등을 가리는 능력주의 이데올로기의 전형적인 효과입니다. 사회는 학생들에게 오로지 '개인의 책임'을 강조하고, 교육 격차나 구조적 불평등에 대한 질문은 뒤로 밀립니다. 하지만 단순히 시험을 없애거나 바꾸는 것이 해답은 아닐지도 모릅니다. 시험 그 자체보다 중요한 것은, 그 시험을 준비하고 치르는 과정에 어떤 불평등이 숨어 있는지를 인식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의 교육 시스템이 진정으로 학생 개개인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이 필요합니다. 시험은 공정한가? 이 질문에는 쉬운 답이 없습니다. 다만 이 질문을 던지는 순간, 우리는 시험이라는 제도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결과에 대해 고민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고민이 모여, 지금보다 조금 더 나은 교육의 방향을 상상할 수 있게 됩니다. 어쩌면 지금 필요한 것은 '공정한 시험'이 아니라, '공정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글을 쓴 이유는 시험을 치르며 느끼는 그 불공정함을, 함께 고민해봤으면 해서입니다. 누구나 한 번쯤은 ‘이게 정말 공정한 걸까?’라고 생각했을 것 같습니다. 그런 질문을 던져보는 것만으로도 우리 교육 현실을 조금이라도 바꿀 수 있지 않을까요? *함께 읽으면 좋은 책: 공정하다는 착각 (마이클 센델)2025.05.04
-
주제탐구보고서교육의 기회는 평등하지만 결과는 왜 불평등한가?오늘날, 많은 국가들은 교육의 기회가 평등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교육을 통해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모든 아이에게 같은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면, 그들이 자라서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 역시 평등할 것"이라는 믿음은 오랫동안 교육의 핵심 가치로 자리잡았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기회는 평등할지 몰라도, 결과는 매우 불평등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우리는 교육을 평등하게 받을 수 있지만, 그로 인한 결과는 불평등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것일까요? 이 글에서는 교육의 기회가 평등하다고 하더라도 결과는 불평등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구조적 원인에 대해 탐구해보겠습니다. <교육의 기회는 평등하지만 결과는 왜 불평등한가?> – 결과적 불평등의 구조 1. 교육의 기회 평등, 그 이면의 불평등우리는 교육에 있어 기회의 평등을 주장하며, 이를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중등 교육은 의무교육으로 모든 학생이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국가가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학입시에서도 많은 장학금 제도와 공정성을 기하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회 평등’의 모습은 사실 표면적인 접근에 불과합니다.기회가 평등하다고 하더라도, 그 기회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같은 교과서를 사용하더라도 가정환경과 사회적 지원의 차이가 학생들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합니다. 가정에서 부모의 교육 수준이나 경제적 여건에 따라 자녀의 학습 환경이 달라지고, 이로 인해 교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성과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2. 가정환경의 영향학교에서 제공하는 교육은 기본적으로 평등하게 제공됩니다. 그러나 가정환경에 따라 그 교육의 효과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모가 학문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자녀에게 지속적인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경우, 자녀는 더 나은 학습 성과를 올릴 확률이 높습니다. 반면, 가정에서의 경제적 어려움이나 부모의 낮은 교육 수준으로 인해 자녀가 학습에 필요한 자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환경 차이는 결국 학생들의 성취도 차이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교육의 기회는 평등했지만 결과는 불평등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습니다.학습에 필요한 보조자료나 과외, 학원 등 외부 자원의 접근 가능성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가정에서 경제적인 여유가 없는 학생들은 학교 수업 외의 추가 학습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가정의 학생들은 다양한 사교육을 통해 학습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자원의 차이는 결과적으로 성적의 차이로 이어지며, 이는 다시 사회적 계층의 재생산으로 이어집니다. 3. 사회적 배경과 문화적 차이교육의 기회가 평등하다고 하더라도, 사회적 배경이나 문화적 차이가 학생들의 결과에 영향을 미칩니다. 문화적인 차이는 학생들의 학습 태도,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그리고 심리적인 자원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일부 가정에서는 자녀에게 교육을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겨, 학습에 대한 자극과 지원을 아끼지 않지만, 다른 가정에서는 경제적 문제나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학교 교육을 받는 동안의 동기와 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학교에서의 성적 차이를 발생시킵니다.또한, 지역적인 차이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도시와 지방의 교육 인프라나 학습 자원의 차이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대도시의 학생들은 더 다양한 학습 기회를 얻을 수 있는 반면, 지방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제한된 교육 자원과 기회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교육의 기회는 평등하지만, 결과적으로는 그 지역적 배경이 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4. 학교 내 불평등과 교사의 역할학교 내에서도 교육의 결과는 평등하지 않습니다. 같은 교과서를 사용하고 같은 시간에 수업을 듣는다고 하더라도, 교사의 태도와 학생에 대한 기대는 매우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부 교사는 학생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 개별적인 학습 스타일을 존중하면서 교육을 진행하는 반면, 다른 교사는 그런 배려 없이 일률적인 교육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에게는 더 많은 관심과 자원이 제공되고, 성적이 낮은 학생에게는 그만큼의 지원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런 교사의 기대 차이는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성취도를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교육 기회는 평등하더라도 결과는 불평등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습니다. 5. 사회적 기대와 평가 시스템마지막으로, 사회적 기대와 평가 시스템 역시 결과적 불평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한국 사회에서는 높은 학력을 갖춘 사람들이 사회에서 높은 지위나 기회를 얻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 보니, 학벌이 중요한 사회적 기준으로 작용하고, 그에 따라 학생들은 과중한 입시 경쟁과 학력 지상주의에 시달리게 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사회적 배경이나 자원의 차이가 결국 학생들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평가 시스템은 교육의 기회가 평등하게 제공되더라도, 그 기회를 실제로 활용하는 데는 큰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교육은 분명히 기회는 평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기회가 제공된 이후, 개인의 학습 환경, 사회적 배경, 가정환경 등 다양한 요소들이 맞물려 결과적으로는 불평등한 사회적 성취를 초래합니다. 교육의 기회가 평등하게 제공되더라도, 사회적 구조와 개인의 조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교육의 기회가 진정으로 평등하게 실현될 수 있도록, 우리는 사회적 자원과 구조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데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입니다.2025.04.30
-
주제탐구보고서대학 졸업장이 나를 증명할 수 있을까?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고등학생들의 중요한 목표일 것입니다. 저또한 고등학생 때 대학 진학이 목표였습니다. 대학 졸업장은 성공의 증명서’로 간주되었고, 많은 이들은 대학에 진학하면 더 나은 직장과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집니다. 하지만 대학 졸업장이 과연 나를 증명할 수 있을까요? <대학 졸업장이 나를 증명할 수 있을까?> – 학력 인플레이션과 사회적 기대 간 불일치 학력 인플레이션이란?학력 인플레이션은 대학 졸업자가 많아짐에 따라 학력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뜻합니다. 예전에는 대학 졸업장이 희소성과 상징성 덕분에 중요한 사회적 지위를 부여받았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거의 모든 직장에서 최소한 대학 졸업을 요구하고, 대학을 졸업한 인구가 급증하면서 졸업장 그 자체만으로는 경쟁력을 제공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대한민국에서는 대학 진학률이 매우 높아졌고, 많은 이들이 대학을 졸업한 상태에서 취업 시장에 나섭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여전히 취업을 위해 노력하고, 과거와 같은 ‘대학 졸업장’의 위상은 이제 명확히 줄어들었습니다. 대학 졸업장의 한계대학 졸업장은 더 이상 ‘나’를 증명하는 유일한 기준이 아닙니다. 대학 졸업 후 사회에 나가서 실제로 경험을 쌓고, 능력을 증명해야만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대학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이 직장에서 바로 활용되었지만, 이제는 대학에서 배운 것보다도 실무 경험이나 개인의 창의성, 문제 해결 능력 등이 더 중요한 자질로 평가됩니다. 따라서 대학 졸업장 그 자체가 개인의 능력이나 자질을 증명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인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또한, 대학 졸업장은 학문적 성취뿐만 아니라 학비를 대는 가족의 경제적 여유, 특정한 환경을 기반으로 한 개인의 기회도 반영되는 요소입니다. 누구에게나 같은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현실에서, 대학 졸업장이 반드시 ‘능력’의 증거로 작용할 수는 없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더욱 흐려지고 있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어려운 가정형편 속에서도 학비를 대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때로는 과외나 아르바이트를 하며 학위를 취득하지만, 이들 또한 동일한 학위와 경험을 가지고 있더라도 사회에서 겪는 차별은 존재합니다. 사회적 기대와 현실의 불일치대학 졸업장이 사회에서 가지는 상징적 의미는 점점 약해지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회적 기대는 그 졸업장에 쏠리고 있습니다. 부모님, 교사, 친구들, 그리고 심지어 본인까지 대학 졸업장을 ‘성공’의 척도로 여기곤 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학 졸업 후에는 취업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하며, 많은 졸업생들이 원하는 직장에 취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에서는 대기업 취업을 목표로 한 많은 졸업생들이 적지 않은 시간을 취업 준비에 쏟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개인의 실력보다는 학벌이나 자격증, 인맥 등 다양한 외적인 요소들이 더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이와 같은 사회적 기대와 현실의 불일치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학생들에게 큰 부담이 됩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하는 것만으로 사회적 성공을 보장받을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실제로는 졸업 후에도 끝없는 경쟁과 불확실성에 맞서야 한다는 현실은 학생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줍니다. 변화하는 직업 시장과 새로운 기준오늘날 직업 시장은 과거와 많이 달라졌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대학 졸업장이 아닌, 특정한 능력이나 경험이 중요한 시대입니다. 기술 발전과 산업 변화에 따라, 사람들은 점점 더 ‘어떤 학교를 나왔는가?’보다는 ‘어떤 경험을 했는가?’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를 중시하게 되었습니다. 이른바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불리는 세대는 이제 다양한 경험과 기술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경로를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얻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IT 분야에서는 대학을 졸업하지 않았더라도 뛰어난 실력을 가진 인재들이 다양한 기업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더 이상 대학 졸업장만으로는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합니다.그렇다면 대학 졸업장은 이제 불필요한 것일까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대학 졸업장은 여전히 학문적 성취의 일환으로, 특정 분야에서 필요한 기초 지식을 쌓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그것이 단순히 사회적 성공의 보장서로 기능할 수 없다는 점에서, 우리는 학벌 중심 사회에서 벗어나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대학 졸업장이 이제 나를 증명하는 유일한 기준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학력 인플레이션과 함께 대학 졸업장의 상징적 가치가 감소했으며, 사회에서는 ‘대학 졸업장’을 넘어서는 실질적인 능력과 경험을 더 중요시하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는 대학 졸업장을 넘어서, 끊임없는 자기 개발과 경험을 통해 진정한 경쟁력을 갖춰야 합니다. 대학 졸업장이 나를 증명할 수 없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그것을 시작으로 더 많은 가능성을 열어가는 과정이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2025.04.30
-
주제탐구보고서교육은 사회이동의 사다리인가, 벽인가?고등학교 시절, 매일처럼 ‘내신’, ‘수능’, ‘대학 진학’이라는 단어들에 쫓겨 다녔습니다. 하루하루가 시험 준비와 과제 제출로 가득 차 있었고, 내가 이 모든 과정을 통해 ‘좋은 대학’에 진학할 수 있을까, 아니면 불합격으로 끝날까 하는 두려움에 떨기도 했습니다. 지금 돌아보면, 그때의 나는 단순히 성적을 올리기 위한 경쟁 속에서 살아가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교육을 단순히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한 도구로 여깁니다. 교육이 개인의 미래를 바꾸는 중요한 사다리라고 믿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교육이 과연 정말 사회적 계층 상승을 위한 사다리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결국 더 높은 벽을 쌓아놓는 역할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오늘은 ‘교육’이 과연 사회이동의 사다리 역할을 하는지, 아니면 오히려 계층을 고착화하는 벽이 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려 합니다. <교육은 사회이동의 사다리인가, 벽인가?> 1. 교육과 사회이동의 사다리우리는 어린 시절부터 ‘교육은 인생을 바꾼다’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부모님은 자녀가 좋은 성적을 받고 좋은 학교에 진학하는 것에 많은 가치를 두었고, 그 덕분에 우리 사회에서 교육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와 밀접하게 연결되었습니다. 대학에 진학하면 더 좋은 직장에 취직할 수 있다는 믿음이 확고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입학한 후 그 학위와 네트워크를 통해 좋은 직장에 취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학력자는 대체로 고소득 직업에 종사하게 되고, 사회적으로도 높은 위치에 올라가게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실제로, 많은 연구에서 교육이 사회적 이동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고 밝혀졌습니다. 대학 교육을 받으면 취업 시장에서 더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고, 이는 곧 경제적 안정과 사회적 지위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특히, 고학력자는 전문직이나 경영직과 같은 고소득 직업을 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처럼 교육은 사회적 계층 상승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여겨집니다. 교육을 통해 우리는 출신 배경에 상관없이 더 나은 삶을 추구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교육, 그 이면의 벽그러나 교육이 정말 사회이동의 사다리가 되어주는지, 아니면 그저 계층을 고착화하는 벽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다른 시각도 존재합니다. 현실적으로, 교육을 통해 계층 상승을 이루는 데 있어서는 많은 한계가 존재합니다. 첫째, 교육에 대한 접근성 자체가 평등하지 않습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에서는 자녀가 사교육을 받기 어렵고, 그로 인해 성적 향상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좋은 교육을 받기 위한 자원은 상위 계층에 집중되어 있고, 이는 실질적으로 계층 간 격차를 더욱 벌어지게 만듭니다.예를 들어, 고소득 가정에서는 자녀에게 고액의 학원비를 지불하거나, 다양한 교육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 저소득 가정에서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공교육 외에 별다른 교육적 지원을 받기 어렵습니다. 결국, 이런 환경에서 성장한 학생은 좋은 성적을 얻기 어려워지고, 상위 계층으로 올라가는 데 있어 그만큼 많은 장벽을 느끼게 됩니다. 결국, 교육은 특정 계층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 되고, 그 결과로 교육을 통해 사회적 상승을 이루는 데 한계가 생깁니다. 3. 계층 상승의 제한된 기회또한, 한국 사회에서 ‘학벌’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는 교육이 진정한 사회이동의 사다리가 되기 어렵게 만듭니다. 좋은 대학에 가는 것만으로 취업과 성공을 보장받는다고 믿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대학의 학위는 단순한 교육의 결과를 넘어 사회적 지위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대학을 졸업한 후에도 실질적인 취업 시장에서는 학벌보다 개인의 역량이나 경험이 중요해지기도 합니다. 즉, ‘대학 졸업’이라는 일종의 최소 조건을 갖추었더라도, 그 이후에 직장 내에서 얼마나 능력을 발휘하느냐가 중요해지는 것입니다.따라서 교육을 통한 사회 이동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기 전에, 그 교육이 실제로 개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특정 계층을 위한 도구로 기능하는지를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많은 경우, 교육을 통해서는 계층 상승이 불가능하거나, 그 기회가 극히 제한적일 수 있다는 현실을 마주하게 됩니다. 4. 교육 불평등과 계층의 고착화결국, 교육이 사회이동의 사다리가 아니라 벽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육을 받는 과정에서부터 개인마다 주어지는 자원과 기회가 다르고, 그 차이는 성적, 대학 진학, 직업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높은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은 교육을 통해 사회적 지위를 더 강화할 수 있지만, 저소득층이나 낮은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은 교육을 통해서는 그 지위를 벗어나는 것이 매우 어려운 현실입니다.이렇듯 교육은 겉으로는 모든 사람에게 평등한 기회를 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원과 기회가 집중된 상위 계층에 유리한 구조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교육이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기회를 제공하고, 그로 인해 사회적 이동성을 보장하는 사다리가 되지 않는 현실을 직시해야 합니다. 결국, 교육이 사회이동의 사다리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에게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교육이 진정한 의미에서 사회이동의 사다리가 되려면, 각 계층이 가지고 있는 자원과 기회의 차이를 줄여 나가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고등학생 여러분도 이 글을 통해, 교육이 단순히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우리의 사회적 위치와 밀접하게 연결된 중요한 문제라는 점을 생각해 보았기를 바랍니다.2025.04.30
-
주제탐구보고서교육열은 성적을 올릴까, 경쟁만 키울까?교육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까? 한국은 ‘교육열’로 유명한 나라입니다. 자녀의 성공적인 대학 진학과 사회적 지위 상승을 위한 부모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수십 년간 한국 교육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러한 교육열은 학생들이 겪는 수많은 학원과 과외, 입시 준비에 대한 과도한 부담을 초래하면서도, 그에 상응하는 성적 상승을 가져오는 등의 긍정적인 결과도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열이 가져오는 과도한 경쟁과 사회적 불평등을 고려할 때, 그 효과는 단순히 긍정적이라고만 평가할 수 없는 면도 존재합니다. 이 글에서는 한국의 교육열이 성적 향상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와, 그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합니다. <교육열은 성적을 올릴까, 경쟁만 키울까?> – 한국식 교육열의 긍정·부정적 효과 비교 1. 한국 교육열의 긍정적 효과한국에서 교육열의 가장 큰 긍정적인 효과 중 하나는 바로 높은 성적과 학력 수준입니다. 한국은 국제 학업 성취도 평가인 PISA(국제학업성취도평가)에서 꾸준히 상위권을 기록하며, 세계적으로도 학문적 성취도가 높은 나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 사회가 교육에 많은 투자를 하고, 부모와 학생들이 학문적인 성취를 목표로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증거입니다.한국의 교육열은 또한 학습 동기 부여와 자기 주도 학습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어린 시절부터 학원이나 과외를 통해 다양한 학습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결국 그들이 스스로 공부하는 능력도 키우는 계기가 됩니다. 물론 이러한 학습 환경이 과도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강한 동기 부여는 성적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대학 진학이 중요한 사회적 목표로 자리잡은 한국에서 학생들은 목표 달성을 위해 강한 의지를 가지고 학습에 임하게 됩니다.또한, 한국은 강력한 교육 시스템과 인프라를 갖추고 있습니다. 많은 학원, 인강, 전문적인 교재들이 존재하며, 이는 학생들에게 학습의 기회를 풍부하게 제공합니다. 이러한 교육 환경은 성적 향상뿐 아니라, 학생들의 자기 개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처럼 교육열은 성적 향상과 함께 학생들에게 다양한 학습 자원을 제공하며,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기반이 됩니다. 2. 한국 교육열의 부정적 효과하지만 교육열이 항상 긍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오는 것은 아닙니다. 첫째로, 과도한 경쟁과 스트레스가 학생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한국의 교육은 대체로 경쟁 중심의 체계입니다. 수능이나 내신 등의 시험은 학생들 간의 성적 차이를 명확하게 드러내고, 이는 필연적으로 학생들 간의 경쟁을 심화시킵니다. 경쟁에서 밀린 학생들은 자신감을 잃고,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심리적 부담은 학습의 질을 떨어뜨리고, 심각한 경우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 등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둘째, 부유한 가정의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 간의 교육적 격차가 심화되는 문제도 있습니다. 교육열이 높아질수록,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경제적 자원의 차이가 더욱 두드러집니다. 고소득층 가정의 학생들은 사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들은 경제적 한계로 인해 이러한 자원에 접근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교육 기회의 불균등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학력 격차가 심화됩니다. 한국의 교육열이 경제적 격차를 더욱 부각시키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은 큰 문제입니다.셋째, 과도한 학습 부담은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에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한국의 학생들은 평균적으로 하루에 10시간 이상의 시간을 학습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결과, 학생들은 학습 이외의 활동을 할 시간이 부족해지며, 취미나 사회 경험을 쌓는 데 소홀해지기 쉽습니다. 또한, 지나치게 학업에 집중하게 되면 창의력이나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결국 이러한 학생들은 성적이 우수하더라도 전인적인 성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3. 교육열과 사회적 불평등한국의 교육열은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경향을 보입니다. 교육은 그 자체로 사회 계층 이동의 사다리 역할을 하지만, 그 과정에서 경제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생기면 사회적 이동성이 제한됩니다. 한국에서는 대학교 진학률이 매우 높은 편이지만, 대학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사회적 지위가 달라집니다. 결국 학벌이 중요한 한국 사회에서, 사교육을 통한 대학 진학이 부유한 가정의 특권이 되고,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가정의 자녀들은 상대적으로 기회가 적어지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게다가, 지나치게 경쟁적인 교육 환경은 학생들 간의 사회적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경쟁이 지나치게 강조되면, 학생들 간의 협력보다는 경쟁을 통한 개인의 성취가 우선시되기 때문에, 사회적 유대감이나 공동체 의식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성인이 되어 사회에 나갔을 때 협력적인 관계를 맺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한국의 교육열은 분명 성적 향상에 기여한 측면이 많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꿈을 이루고, 사회적 성취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경쟁, 정신적 스트레스, 그리고 사회적 불평등 등은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따라서 교육열의 긍정적 효과를 유지하면서, 부정적인 효과를 최소화하려면 교육 기회의 형평성을 제고하고, 학생들의 정신적 건강을 배려하는 교육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경쟁을 지나치게 강조하기보다는 협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한국 교육의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줄여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2025.04.30
-
주제탐구보고서수능은 평등한 시험일까?고등학교 시절, 저 역시 매일같이 수행평가와 내신, 수능 준비에 치이며 공부가 인생의 전부처럼 느껴지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대학에 진학한 뒤 사회학을 공부하고, 리로스쿨 멘토 활동을 하며 많은 후배들과 교육에 대해 이야기 나누다 보니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교육 시스템은 정말 모두에게 공정한 것일까? 그중에서도 특히 수능은 ‘누구에게나 같은 시험지, 같은 시간’이라는 이유로 가장 평등한 시험으로 여겨지곤 합니다. 하지만 과연 정말 그럴까요? 같은 시험지를 받기까지, 그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은 모두에게 같았을까요? 이 글은 그런 질문에서 출발합니다. 우리는 너무 익숙해서 오히려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던 수능이라는 제도를 다시 살펴보려고 합니다. 어쩌면 당연하게 여겨온 ‘평등한 시험’이라는 말 속에는, 우리가 간과해온 구조적 불평등이 자리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수능은 평등한 시험일까? 매년 11월이 되면 전국의 고등학생들이 '운명을 건 하루'를 맞는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즉 수능은 고등 교육의 관문이자 학생들의 미래를 가르는 중요한 시험으로 여겨진다. 겉으로 보기에는 동일한 시험지, 동일한 시간,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정한 시험', '계층 간 이동의 사다리'로 인식되기 쉽다. 그러나 과연 수능은 진정한 의미에서 평등한 시험일까? 이 글에서는 사교육 의존도와 수능 결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수능이 실제로는 어떤 구조적 불평등을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수능을 평등하다고 믿게 만드는 요인을 짚어보자. 수능은 전국의 모든 수험생이 동일한 문제를 풀고 상대평가로 점수를 부여받는 시험이다. 이는 누군가에게 특별히 유리하거나 불리하지 않아 보이며, 오로지 개인의 노력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공정한 구조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형식적 평등'은 현실에서의 '실질적 평등'을 담보하지 못한다. 동일한 문제를 푸는 조건은 같을지 몰라도, 그 문제를 풀기까지의 과정은 결코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통계청과 한국교육개발원의 자료에 따르면, 상위권 대학 합격자 중 다수가 고소득층 가정 출신이며, 강남 3구 등 교육 인프라가 밀집된 지역에서 온 경우가 많다. 특히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들의 신입생 중 상당수는 과거부터 ‘강남 8학군’이나 특목고·자사고 출신이었다. 이들은 대체로 어릴 때부터 체계적인 사교육을 받아왔으며, 수능 전 과목을 대비하는 고가의 인강, 학원, 과외 등을 일상처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었다. 반면,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들은 학교 수업 외에 별다른 학습 지원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사교육을 받더라도 제한된 시간과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 실제로 한국교육개발원의 2023년 조사에 따르면, 월평균 가구소득이 700만 원 이상인 가정의 자녀는 400만 원 미만 가정 자녀보다 수능 평균 등급이 더 높았다. 특히 국어·수학·영어 등 주요 영역에서의 격차는 뚜렷했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노력이나 학습 태도의 문제가 아니라, 경제적 자원이 성적 향상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증거이다. 예컨대 사설 모의고사를 통한 실전 감각 훈련, 인강으로 보완하는 부족한 개념 학습, 전문 컨설턴트의 입시 전략 조언 등은 단순히 ‘공부량’ 이상의 차이를 만든다. 이처럼 사교육은 수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학생 간의 ‘출발선’을 달리 만드는 요인이다. 수능이라는 시험 자체가 평등하다고 주장할 수 있으려면, 그 시험을 준비할 수 있는 기회와 자원 역시 평등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 사회는 여전히 교육 자원의 지역·계층 간 격차가 크고, 이는 고스란히 수능 성적과 대학 진학 결과에 반영된다. 또한, 수능이 특정 방식의 사고력만을 측정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도 문제다. 논리적 사고력과 빠른 정보처리 능력, 문제풀이 훈련을 강조하는 수능 구조는 일정한 패턴을 반복 연습함으로써 고득점을 노릴 수 있게 한다. 이는 사교육을 통해 충분히 훈련된 학생에게는 유리하지만, 다양한 방식의 학습을 경험하지 못한 학생에게는 상대적으로 불리하다. 결국 수능은 겉보기에는 평등하지만, 실제로는 계층 간 격차를 확대 재생산하는 '불평등의 시험'이 되기도 한다. 물론, 수능이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평가 도구라는 점을 부정할 수는 없다. 면접이나 학생부 종합전형처럼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되는 전형에 비해, 수능은 비교적 명확한 기준을 제공하며 일부 비사교육층 학생들이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열어주는 통로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조차도 ‘사교육을 얼마나 잘 활용했는가’에 따라 승패가 갈리는 현실 속에서, 수능의 공정성은 의심받을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수능은 형식적으로는 평등한 시험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평등하지 않다. 시험지를 받는 순간은 동일하겠지만, 그 시험지를 받아들기까지의 ‘경로’는 학생마다 크게 다르다. 교육은 더 이상 단순히 노력만으로 성과를 내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구조적 조건과 자원 배분의 문제이기도 하다. 수능의 평등을 논하려면, 시험의 구조뿐 아니라 그 시험을 준비하는 사회적 맥락까지 함께 들여다봐야 할 것이다. →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던져볼 수 있습니다. 첫째, 사교육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수능을 아예 폐지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문제입니다.둘째, 그렇다고 모든 전형에서 수능을 배제한다면, 오히려 더 불투명하고 불공정한 전형이 확대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셋째, 가정환경의 차이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면, 어떤 방식으로 교육 기회의 형평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문제입니다. 또한 반박의 여지도 분명 존재합니다. 일부에서는 "공교육 내에서도 충분히 수능 준비가 가능하다"고 주장하거나, "지금도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 좋은 성과를 내는 학생들이 존재한다"는 사례를 제시합니다. 실제로 수능은 어느 정도 ‘노력의 결과’를 반영해주기 때문에, 최소한의 기회의 공정성은 지켜지고 있다는 시각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려면, '그 노력의 환경'이 과연 공정했는지에 대한 질문이 먼저 전제되어야 합니다. 과연 모두가 똑같이 집중할 수 있는 공간, 학습을 도와줄 사람, 시행착오를 줄여줄 시스템을 가졌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됩니다. 노력조차 ‘기회의 산물’이라면, 그 노력의 기회부터가 평등해야 하지 않을까요? 이처럼 수능의 공정성은 단순히 시험 그 자체만으로 판단할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는 시험의 형식뿐 아니라, 그 시험을 둘러싼 구조적 환경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해야 하며, 단순한 제도 개편을 넘어 사회 전체의 교육 불평등 구조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합니다.2025.04.30
-
기타수시/정시 말고도 대학 가는 길, 생각보다 많습니다고등학생 시절, 우리는 마치 ‘수시’와 ‘정시’ 두 갈래길만 존재하는 듯한 분위기 속에서 살아갑니다. 주변 친구들 대부분이 내신 관리와 수능 공부에 몰두하고 있고, 학교의 진학지도 역시 이 두 가지 루트를 기준으로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막상 대학생이 되고 나서 주변을 둘러보면, 전혀 다른 루트로 대학에 진학했거나 진로를 설계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가 고등학교 시절에는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그러나 분명히 존재하는 다양한 선택지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글을 읽는 고등학생 여러분에게 ‘다른 길도 있다는 것’만큼은 꼭 알려주고 싶습니다. <수시·정시만이 전부는 아니다> 1. 해외 대학 진학 국내 입시에 얽매이지 않고 해외 대학을 목표로 준비하는 학생들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특히 영어 실력이 뛰어나거나, 해외 경험이 있는 학생들 중에는 일찌감치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의 대학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외 대학은 SAT, ACT, IELTS, TOEFL 같은 공인 시험과 함께 포트폴리오, 에세이, 추천서 등을 요구하기 때문에 국내 내신이나 수능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의 준비가 필요합니다. 특히 미국의 경우, ‘홀리스틱 평가’를 통해 학업 외 활동, 개인의 열정, 성장 배경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국내 입시보다 오히려 자기다움을 강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물론 경제적인 부담이 크고 정보 접근성이 낮다는 단점도 존재하지만, 최근에는 장학금 제도나 유학 컨설팅 등을 활용하여 부담을 줄이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2. 갭이어(Gap Year) – 쉬어가는 것도 전략 고등학교 졸업 후 바로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일정 기간 자신만의 시간을 가지며 진로를 탐색하는 ‘갭이어’도 하나의 선택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생소하게 느껴지지만,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꽤 흔한 문화입니다. 실제로 몇몇 대학에서는 오히려 갭이어를 적극 권장하기도 합니다. 이 기간 동안 여행, 봉사, 인턴십, 아르바이트, 독서, 프로젝트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신의 흥미를 탐색하거나 사회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갭이어를 거쳐 다시 수능을 준비하는 경우도 있고, 외부 활동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쌓아 예체능계열, 예술대학 등으로 진학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혹은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에서 경험을 쌓은 뒤 전문대학이나 특성화 교육기관에 입학하기도 합니다. 물론 ‘쉬는 시간’이 아니라 ‘성장의 시간’으로 잘 활용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합니다. 3. 편입 – 이미 대학에 다니고 있어도, 다른 문은 열려 있다 고등학생 때 원하는 대학에 가지 못했다면? 많은 학생들이 좌절하고 포기하지만, 사실 대학에 진학한 이후에도 ‘편입’이라는 제도가 존재합니다. 편입은 말 그대로 다른 대학으로 옮겨가는 제도입니다. 일반 편입과 학사 편입으로 나뉘며, 일정 학점을 이수한 뒤 시험을 치러 다른 대학 3학년으로 입학할 수 있습니다. 편입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보통 전공과 영어 시험을 따로 준비하며, 최근에는 편입학 전문 학원이나 커뮤니티도 활성화되어 있어 자료 접근이 쉬워졌습니다. 편입은 특히 1학년 때 자신의 대학이나 전공이 적성에 맞지 않다는 것을 깨달은 학생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준비 기간이 길고 합격률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충분한 계획과 꾸준한 준비가 요구됩니다. 4. 사이버대학과 방송통신대 ‘대학=오프라인 캠퍼스’라는 고정관념을 깨는 사례도 있습니다. 사이버대학교와 방송통신대학교는 인터넷 강의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고등교육 기관으로, 학사 학위를 정식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직장인이나 육아 중인 부모,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이들에게 매우 유용한 선택지입니다. 고등학생 중에는 수능 대신 이곳을 선택해 일찍 사회 경험을 하거나, 자신의 커리어를 위한 실용적인 학문을 배우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컴퓨터, 디자인, 상담심리, 실용음악, 복지계열 등 실무 중심의 학과들이 많아 대학 졸업 후 빠르게 취업을 준비하는 데에도 효과적입니다. 5. 그 밖의 루트들 – 검정고시, 대안대학, 국내 외국인전형 고등학교 졸업장이 없는 경우 검정고시를 통해 대학 진학을 준비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대안대학’이라고 불리는 실험적 교육기관들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파동학교, 느티나무배움터 등은 대학 입학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진정한 배움과 삶의 방향성을 탐구하는 공동체로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다문화 가정이나 외국에서 귀국한 학생들은 외국인 특별전형을 통해 대학에 진학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길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입시를 준비할 때는 마치 모든 게 ‘수시냐 정시냐’로만 나뉘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사실 우리는 훨씬 더 다양한 선택지 앞에 서 있습니다. 물론 그 선택지들은 때로는 낯설고 불확실해 보일 수 있지만, 그렇기에 더 큰 자기 주도성과 용기를 요구합니다.고등학생 여러분, 지금 보고 있는 길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만은 기억해 주세요. 어떤 길을 선택하든, 중요한 것은 그 길을 나만의 방향으로 바꿀 수 있는 ‘의지’와 ‘태도’입니다. 그리고 그 의지를 가진 여러분이라면, 어떤 길을 가더라도 분명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2025.04.30
-
공부 방법자기주도학습 루틴 만드는 방법자기주도학습 루틴 만드는 방법자기주도학습이란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며 피드백을 통해 발전해 나가는 학습 방식입니다.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 꾸준한 학습 습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효율적인 학습 루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기주도학습 루틴을 만드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1. 목표 설정: 방향을 정하라자기주도학습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목표가 없으면 공부 방향이 정해지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장기 목표 설정하기대학 입시, 자격증 취득, 성적 향상 등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합니다.예) "수능 국어 1등급 받기", "내신 평균 1.5 유지하기"✔ 단기 목표 세우기장기 목표를 이루기 위해 매달, 매주, 매일 할 일을 구체적으로 정합니다.예) "이번 주에 확률과 통계 개념 완벽히 이해하기", "매일 영어 단어 30개 암기하기"✔ SMART 원칙 활용목표는 구체적(Specific), 측정 가능(Measurable), 달성 가능(Achievable), 현실적(Realistic), 기한 설정(Time-bound)되어야 합니다.예) "한 달 안에 모의고사 수학 5점 올리기"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기한이 정해짐) 2. 계획 세우기: 체계적인 학습 스케줄 만들기목표를 설정한 후에는 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학습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 일일 학습 루틴 만들기매일 규칙적인 시간에 공부하는 습관을 들입니다.예) "오전 7시단어암기, 오후4시 수학 문제 풀이"✔ 우선순위 정하기중요하고 어려운 과목을 먼저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예) "수학 → 국어 → 영어 → 탐구" 순으로 공부 시간 배분✔ 학습 시간 관리뽀모도로 기법: 25분 집중 공부 + 5분 휴식을 반복하여 집중력을 높입니다.50:10 기법: 50분 공부 후 10분 휴식하여 학습 효율을 높입니다.예) "50분 수학 공부 후 10분 휴식, 50분 국어 공부 후 10분 휴식"✔ 주간 & 월간 계획 세우기주별로 복습 일정을 정하고, 매달 목표 점검을 합니다.예) "매주 일요일 이번 주 공부한 내용 복습 & 다음 주 계획 세우기" 3. 공부 습관 만들기: 지속 가능한 루틴 구축아무리 좋은 계획을 세워도 지속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습니다. 습관화할 수 있도록 실천 방법을 정리해야 합니다. ✔ 규칙적인 생활 패턴 유지일정한 시간에 공부하고, 수면과 식사 시간을 규칙적으로 유지합니다.예) "매일 밤 11시 취침, 아침 6시 기상"✔ 작은 성공 경험 쌓기처음부터 무리한 목표를 세우기보다, 작은 목표부터 성공적으로 이루면서 동기부여를 합니다.예) "매일 10문제 풀기 → 20문제 풀기 → 30문제 풀기"로 점진적 증가✔ 학습 환경 정리집중할 수 있도록 책상 정리를 하고, 스마트폰은 멀리 둡니다.예) "공부 시작 전 스마트폰 비행기 모드 설정"✔ 자신만의 공부 스타일 찾기필기 정리형: 필기하면서 정리해야 잘 이해되는 경우문제 풀이형: 문제를 많이 풀어야 개념이 잡히는 경우소리 내어 읽기형: 소리 내어 읽으며 학습할 때 효과적인 경우자신의 스타일에 맞는 학습법을 찾아 적용합니다. 4. 실천 & 점검: 꾸준함이 핵심루틴을 만들었다면 꾸준히 실천하면서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학습 일지 작성하기하루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면서 자신의 학습 패턴을 분석합니다.예) "오늘 공부한 내용: 확률과 통계 3단원 문제 풀이 (80% 이해)"✔ 주간 & 월간 피드백매주, 매달 공부한 내용을 점검하고 보완할 점을 찾습니다.예) "지난주에 영어 단어 암기를 소홀히 했으니 이번 주에는 더 집중하기"✔ 보상 시스템 활용하기공부 목표를 달성하면 작은 보상을 주어 동기부여를 합니다.예) "일주일 동안 계획 지키면 좋아하는 간식 먹기"✔ 멘탈 관리 & 스트레스 조절학습 과정에서 스트레스가 쌓일 수 있으므로, 운동, 명상, 취미 활동 등을 통해 조절합니다.예) "하루 30분 산책하기, 좋아하는 음악 듣기"5. 자기주도학습 루틴 예시✔ 아침 루틴 (6:30~8:00)기상 & 스트레칭어제 공부한 내용 복습영어 단어 & 독해 학습✔ 학교 시간 (8:30~15:30)수업 시간 100% 집중하기수업 내용 필기 & 정리✔ 방과 후 루틴 (16:00~22:00)16:00~18:00: 수학 문제 풀이18:00~19:00: 저녁 식사 & 휴식19:00~21:00: 국어 & 탐구 과목 공부21:00~22:00: 오늘 공부한 내용 정리 & 내일 계획 세우기✔ 취침 전 루틴 (22:00~23:00)가벼운 독서내일 학습 목표 점검23:00 취침 자기주도학습 루틴을 만드는 것은 단순한 계획이 아니라 꾸준히 실천할 수 있는 습관을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목표를 설정하고,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고, 학습 습관을 만들어 나가면서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성공 경험을 쌓아가면서 자기주도학습을 실천하면, 장기적으로 더 나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2025.03.31
-
공부 방법수업 시간 100% 활용하는 법수업 시간 100% 활용하는 법고등학교에서 공부 효율을 극대화하려면 수업 시간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는지가 중요합니다. 학원이나 자습 시간보다도 수업을 제대로 듣는 것이 성적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많은 학생이 학원이나 인강에 의존하지만, 실제로 수업 시간만 제대로 활용해도 충분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업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이를 실천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1. 수업 전 준비 – 예습으로 기본 개념 익히기수업을 듣기 전에 간단한 예습을 해두면,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 속도가 훨씬 빨라집니다. ✔ 다음 시간에 배울 내용 미리 확인하기교과서 목차와 개념을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수업 내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수학이나 과학 같은 과목은 공식과 개념을 미리 익혀두면 문제 풀이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질문할 내용 정리하기공부하다가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미리 체크해 두면, 수업 중에 자연스럽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모르는 부분을 그냥 넘어가기보다는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필요한 준비물 챙기기수업 중 집중력을 유지하려면 교과서, 필기구, 노트 등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불필요한 물건을 치워 두어 수업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도 필요합니다. 2. 수업 중 집중 – 적극적인 태도로 듣기수업 시간에 얼마나 집중하느냐에 따라 학습 효율이 달라집니다. ✔ 핵심 내용 필기하기판서 내용을 그대로 베끼는 것이 아니라, 선생님의 설명을 이해하면서 중요한 내용을 정리해야 합니다.수업을 들으면서 ‘이 내용이 왜 중요한가?’를 생각하며 필기하면 복습할 때 도움이 됩니다.자신만의 기호나 색상을 활용하여 필기하면 가독성이 높아지고 기억에도 오래 남습니다.✔ 수업 중 바로 이해하려고 노력하기‘집에 가서 다시 봐야지’라는 생각은 금물입니다. 수업 중 이해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 즉시 질문하거나, 체크해 두고 쉬는 시간에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수업 중 모르는 부분을 적어 두고, 친구나 선생님과 토론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예상 문제 만들어 보기수업을 들으면서 ‘이 내용이 시험에 어떻게 나올까?’를 고민하는 습관을 들이면 문제를 푸는 능력이 향상됩니다.시험 유형을 미리 예상하면 공부할 때 중요한 부분을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집중력 높이는 자세 유지바른 자세를 유지하면 졸음도 덜 오고, 집중력도 올라갑니다.필기를 하거나 손을 움직이며 듣는 것이 집중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수업이 지루하게 느껴질 때는 ‘이 개념을 어디에 쓸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듣는 것이 좋습니다.✔ 적극적인 태도로 참여하기선생님의 질문에 적극적으로 대답하면 수업에 몰입할 수 있습니다.친구들과 의견을 교환하면서 배우면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수업 후 복습 – 기억을 오래 남기기배운 내용을 복습하는 것은 수업 내용을 오래 기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배운 내용 5~10분 안에 정리하기짧은 시간이라도 필기한 내용을 다시 보면 기억에 오래 남습니다.간단한 마인드맵을 그리거나, 친구에게 설명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수업 시간에 표시한 부분 복습하기‘여기 중요하다’고 체크한 부분을 중심으로 복습하면 학습 효과가 큽니다.교과서와 필기를 비교하며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면 더욱 좋습니다.✔ 오답 정리 노트 만들기문제를 풀다가 틀린 개념을 정리해 두면 시험 직전에 유용합니다.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오답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습 목표 점검하기하루 동안 배운 내용을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스스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 여부를 확인하면 공부에 대한 동기 부여가 됩니다. 수업 시간은 가장 효율적인 공부 시간입니다. 예습으로 기본 개념을 잡고, 수업 중에는 적극적으로 듣고, 복습으로 기억을 강화하면 학원보다 더 효과적으로 공부할 수 있습니다. 학습의 기본은 학교 수업을 중심으로 공부하는 것이라는 점을 명심하고, 주어진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습관을 길러야 합니다. 매일 꾸준히 실천하면 성적 향상뿐만 아니라, 자기 주도 학습 능력도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2025.03.31
-
공부 방법내신 vs. 모의고사,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내신 vs. 모의고사,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고등학생이라면 내신과 모의고사 두 가지를 모두 신경 써야 한다. 하지만 이 두 가지는 출제 방식도 다르고 공부 방법도 차이가 있어 같은 방식으로 공부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렵다. 그렇다면 내신과 모의고사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각각 어떤 전략으로 접근해야 할까? 1. 내신과 모의고사의 차이점 1) 내신: 교과서와 학교 시험 중심내신 시험은 각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출제하는 시험으로,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된다. 특히 교과서와 학교별 부교재에서 대부분의 문제가 나오며, 선생님의 수업 내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서술형 문제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 암기뿐만 아니라 논리적인 서술 능력도 요구된다. 2) 모의고사: 수능과 유사한 출제 방식모의고사는 평가원과 교육청에서 출제하며, 전국 단위로 동일한 시험이 시행된다. 내신과 달리 문제은행식이 아니라 새로운 문제들이 출제되며,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많다. 단순 암기가 아니라 개념을 깊이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내신 공부법교과서와 부교재 완벽히 학습하기내신 시험은 교과서와 학교에서 사용하는 부교재에서 대부분 출제되므로, 이를 철저히 공부해야 한다. 특히 선생님이 강조한 부분은 반드시 숙지해야 한다.학교별 기출문제 분석같은 학교에서 출제된 기출문제는 시험의 난이도와 출제 경향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반복해서 출제되는 유형이 있으므로 이를 정리하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서술형 대비 연습내신에서는 서술형 문제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개념을 단순히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서술해 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답안을 작성할 때는 논리적인 흐름을 고려하여 서술해야 한다.수업 시간 집중하기내신 시험은 학교 선생님의 수업을 기반으로 출제되므로, 수업 시간에 나온 개념과 설명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필기를 정리하고, 수업 내용을 복습하는 습관을 들이자.암기할 부분과 이해할 부분 구분하기단순 암기로 해결할 수 있는 개념(예: 역사, 개념 정의)과 이해해야 하는 개념(예: 수학 문제 풀이 과정, 과학 원리)을 구분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해야 한다.3. 모의고사 공부법개념의 깊은 이해가 최우선모의고사는 단순 암기보다 개념을 얼마나 깊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따라서 개념서를 꼼꼼히 읽고, 원리를 파악하는 학습이 필요하다.EBS 연계 교재 적극 활용수능과 모의고사는 EBS 교재와 일정 부분 연계된다. 연계된 문제를 학습하며 변형된 문제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하자.오답 노트를 활용한 복습모의고사는 다양한 유형의 문제가 출제되므로, 틀린 문제를 분석하고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답을 맞히는 것이 아니라, 왜 틀렸는지를 파악해야 한다.시간을 재고 실전처럼 연습하기모의고사는 시간 관리가 중요하다. 실제 시험 시간에 맞춰 문제를 풀어보며 시험 감각을 익히는 것이 필요하다.다양한 난이도의 문제 풀어보기기출 문제뿐만 아니라 평가원, 교육청 모의고사 등 다양한 난이도의 문제를 접하며 사고력을 키워야 한다.4. 내신과 모의고사 공부, 어떻게 균형을 잡을까?학기 중에는 내신 위주로, 방학에는 모의고사 위주로학기 중에는 내신 시험이 중요하므로 내신 대비에 집중하고, 방학 동안은 모의고사 대비 공부를 강화하는 것이 효율적이다.내신 공부 중에도 개념 중심 학습하기내신 공부를 할 때도 단순 암기보다는 개념을 이해하는 학습을 병행하면 모의고사에도 도움이 된다.주말마다 모의고사 문제 풀기학기 중에도 주말을 활용해 모의고사 문제를 풀고 시험 감각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시험이 끝난 후 모의고사 집중 학습내신 시험이 끝난 후에는 모의고사 문제를 집중적으로 풀며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 내신과 모의고사는 출제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공부법도 차이가 있다. 내신은 학교 수업과 교재 중심으로 학습하고, 모의고사는 개념 이해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학기 중에는 내신 위주로, 방학과 시험 후에는 모의고사를 대비하는 전략을 세우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꾸준한 학습 습관과 자신에게 맞는 공부법을 찾는 것이다.2025.03.31
-
학생부 관리[진짜 창업한 선배가 알려드림] 고등학교에서 창업 관련 활동 하는 법 2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저번 스토리노트에 사업계획서 쓰는 방법, 창업을 세특에 녹이는 방법에 대해 썼는데요.이번에는 창업을 직접 하지 않고도 창업에 관심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보여줄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진짜 창업한 선배가 알려드림] 고등학교에서 창업 관련 활동 하는 법 2 고등학생으로서 창업을 직접 해보지 않았다면, 창업을 시작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창업과 관련된 활동을 통해 충분히 경험을 쌓고 창업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습니다. 창업은 아이디어 발상, 문제 해결, 실행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고등학교 시절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창업을 준비하고 창업 관련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창업을 직접 해보지 못한 학생들이 창업 활동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1. 주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탐색창업 아이템은 대개 사람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 시작합니다. 그렇다면 고등학생으로서 주변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해보세요. 예를 들어, 학교 내에서 학생들이 자주 겪는 불편한 점이나 지역 사회에서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찾아 그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상해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그 아이디어가 실제로 시장에서 어떻게 실현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고민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탐색은 창업 아이디어의 가능성을 실험하고, 창업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더 많이 배우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2. 창업 동아리 활동창업 관련 활동을 더 체계적으로 경험하고 싶다면 창업 동아리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학교 내 창업 동아리에서는 다양한 창업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팀원들과 함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등 창업의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창업 동아리에서는 아이디어를 실제로 실현하려는 노력을 하기도 하며, 창업 대회에 참가하거나 창업 관련 멘토링을 받는 등 다양한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창업을 직접 해보지 않았더라도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3. 창업 관련 경진대회나 대회 참여학교에서 열리는 창업 관련 경진대회나 아이디어 공모전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런 대회에 참여하면서 자신의 창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전문가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또한, 대회에 참가하는 과정에서 팀워크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으며, 창업에 필요한 기본적인 요소들을 실제로 경험해볼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이 창업을 직접 경험하지 못했다고 해서 창업에 대한 배움을 멈출 필요는 없습니다. 창업 아이디어 기획, 창업 계획서 작성, 뉴스와 다큐멘터리 분석, 창업 서적 읽기, 비즈니스 모델 탐색 등의 방법을 통해 창업에 대한 기초를 다지고, 창업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창업 동아리 활동이나 경진대회 참가를 통해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창업은 아이디어를 실제로 실행에 옮기는 과정이며, 그 과정에서 배우는 점들이 많습니다. 직접 창업을 해보지 않더라도, 다양한 활동을 통해 창업에 대한 이해와 경험을 넓혀갈 수 있습니다.2025.03.31
-
학생부 관리[진짜 창업한 선배가 알려드림] 고등학교에서 창업 관련 활동 하는 법 1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저번 스토리노트에 사업계획서 쓰는 방법, 창업을 세특에 녹이는 방법에 대해 썼는데요.이번에는 창업을 직접 하지 않고도 창업에 관심있다는 사실을 어떻게 보여줄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진짜 창업한 선배가 알려드림] 고등학교에서 창업 관련 활동 하는 법 1 고등학생으로서 창업을 직접 해보지 않았다면, 창업을 시작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하지만 창업과 관련된 활동을 통해 충분히 경험을 쌓고 창업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습니다. 창업은 아이디어 발상, 문제 해결, 실행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과정이기 때문에, 고등학교 시절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창업을 준비하고 창업 관련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창업을 직접 해보지 못한 학생들이 창업 활동을 어떻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1. 창업 아이디어 기획과 창업 계획서 작성창업 아이디어를 기획하는 것은 창업의 첫걸음입니다. 고등학생으로서 직접 창업을 하지 않더라도, 가상의 창업 계획서 작성을 통해 창업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겪은 일상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템이나 서비스를 구상해보세요. 이를 바탕으로 시장 분석, 대상 고객 선정, 비즈니스 모델 등을 구체화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렇게 기획한 창업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해본다면 창업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실제 창업을 했을 때 필요한 사고방식과 계획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2. 뉴스와 다큐멘터리 분석창업을 하는 데 있어 최신 트렌드나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고등학생으로서 직접 창업을 할 수 없다면, 뉴스나 다큐멘터리를 통해 창업과 관련된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 기업의 성장 과정이나 성공과 실패의 사례를 분석해보는 것입니다. 이렇게 창업과 관련된 정보나 자료를 분석하면서 자신만의 창업에 대한 의견을 정리해보세요. 이를 통해 창업이 단순히 돈을 버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창업에 대한 더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창업 관련 서적 읽기창업에 대한 경험이 부족하다면, 창업에 관한 서적을 읽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창업에 대한 책들은 성공적인 창업자들의 경험을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창업의 기초부터 고급까지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의 성공과 실패 사례”나 "창업자의 마인드셋"과 같은 책을 읽고, 그 안에서 느낀 점을 정리해보세요. 책을 읽으면서 창업에 대해 배우고, 그 내용이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보는 것이 창업에 대한 이해를 돕는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창업 관련 서적을 읽고 나면 아이디어 발상이나 리스크 관리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고민할 수 있습니다. 경영학과 희망학생들에게만 이 활동들을 추천하는 건 아닙니다.새로운 탐구 활동으로 생기부를 채우고 싶은 학생, 자신의 탐구주제를 심화확장하고 싶은 학생 등 모두에게 추천합니다! 창업과 관련있는 학과에는 경영학과만 존재하지 않다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또한 창업관련 활동으로 시간을 쓰지 말고, 최대한 공부에 시간을 투자했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2편으로 더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2025.03.31
-
학생부 관리학과 별 동아리 추천 (예술/체육계열)예술체육계열은 창의력과 신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로, 자신이 원하는 전공을 깊이 있게 공부하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습과 공연을 통해 실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술체육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각 학과별로 추천할 만한 동아리를 소개합니다. 각 동아리 활동은 전공에 맞는 기술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1. 음악학과추천 동아리: 합창 동아리, 밴드 동아리, 오케스트라 동아리 음악학과를 희망하는 학생에게 합창 동아리는 유용한 동아리입니다. 합창 동아리에서는 다양한 곡을 합창하며, 발음, 호흡, 음성 훈련 등 음악적 기초를 탄탄히 다질 수 있습니다. 밴드 동아리는 밴드 구성과 공연을 통해 악기 연주 능력과 팀워크를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오케스트라 동아리는 고전 음악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의 곡을 연주하며 음악적 표현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각각의 동아리는 음악 이론뿐만 아니라 공연 경험을 통해 실력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2. 미술학과추천 동아리: 회화 동아리, 조소 동아리, 디자인 동아리 미술학과를 희망하는 학생은 회화 동아리에서 다양한 미술 기법을 배우고, 직접 그림을 그려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드로잉, 수채화, 유화 등 여러 미술 기법을 실습하며 자신만의 스타일을 찾을 수 있습니다. 조소 동아리는 입체적인 예술을 배우는 동아리로, 조각과 조소 작업을 통해 미술의 또 다른 측면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자인 동아리는 그래픽 디자인, 웹 디자인 등을 배우며 디지털 미술과 디자인에 대한 기초를 쌓을 수 있습니다. 미술학과를 목표로 한다면, 각 분야에 맞는 실습과 작품 제작 경험을 쌓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3. 연극영화학과추천 동아리: 연극 동아리, 영화 제작 동아리, 방송 동아리 연극영화학과를 지망하는 학생은 연극 동아리에 참여하여 무대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연기, 무대 디자인, 조명 등 다양한 분야를 배우고, 실제 연극 공연을 통해 무대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영화 제작 동아리는 영화 기획부터 촬영, 편집까지 영화 제작의 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동아리입니다. 영화 촬영과 편집을 배우며 영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돕고, 실질적인 영화 제작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방송 동아리는 방송 제작에 필요한 기술과 이론을 배우고, 방송 콘텐츠를 제작해보는 활동을 통해 방송 분야에 대한 실습을 할 수 있습니다.4. 무용학과추천 동아리: 현대무용 동아리, 발레 동아리, 한국무용 동아리 무용학과를 희망하는 학생은 현대무용 동아리에서 현대무용의 다양한 기법을 배우고, 창작 활동을 통해 창의적인 표현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발레 동아리는 발레의 기본 동작과 기술을 배우며, 체형 교정과 유연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발레는 기술적인 면이 중요하므로 꾸준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한국무용 동아리는 전통적인 한국 무용을 배우는 동아리로, 한국의 전통적인 춤과 음악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무대에서 표현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무용 동아리 활동을 통해 춤에 대한 기초부터 심화까지 실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5. 체육학과추천 동아리: 배구 동아리, 농구 동아리, 축구 동아리, 태권도 동아리 체육학과를 지망하는 학생에게는 배구 동아리나 농구 동아리, 축구 동아리와 같은 팀 스포츠 동아리가 유익합니다. 이 동아리들은 기본적인 스포츠 기술뿐만 아니라 팀워크와 전략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습니다. 팀 스포츠에서는 협력과 소통이 중요하며, 이 경험은 체육학과의 심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태권도 동아리는 한국의 전통 무술인 태권도를 배우며, 신체 능력과 집중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태권도는 체력과 정신을 모두 단련할 수 있는 좋은 운동입니다.6. 패션디자인학과추천 동아리: 패션 디자인 동아리, 스타일링 동아리, 패션 마케팅 동아리 패션디자인학과를 희망하는 학생은 패션 디자인 동아리에서 의상 디자인과 패턴 제작 등을 배우며 창의적인 디자인 감각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스타일링 동아리는 패션 아이템을 스타일링하는 법을 배우며 패션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습니다. 패션 마케팅 동아리는 패션 브랜드나 제품을 마케팅하고 홍보하는 활동을 통해 패션 산업의 경영적 측면도 배울 수 있습니다.7. 디지털미디어학과추천 동아리: 영상 편집 동아리, 디지털 아트 동아리, 웹디자인 동아리 디지털미디어학과를 목표로 하는 학생은 영상 편집 동아리에서 촬영, 편집 기술을 배우고, 디지털 아트 동아리에서 컴퓨터 그래픽과 애니메이션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웹디자인 동아리는 웹 사이트 제작과 관련된 기술을 배우고 실습하는 활동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돕습니다.예술체육계열 학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전공에 맞는 동아리에 참여함으로써 실제 경험을 쌓고, 전공 분야에 대한 관심과 실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신의 전공에 대한 깊은 이해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학문적뿐만 아니라 실습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각 전공에 맞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예술체육 분야에서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2025.03.31
-
학생부 관리학과 별 동아리 추천 (의학계열)의학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이론뿐만 아니라 실제 경험을 통해 지식을 쌓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의학 분야별로 관련 동아리 활동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실습과 협업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의학계열 학과별로 추천하는 동아리입니다. 1. 의예과(의학)추천 동아리: 의학 동아리, 의료 봉사 동아리 의학 동아리는 의예과를 희망하는 학생에게 필수적인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의료 관련 지식과 최신 의학 정보를 공유하고, 다양한 의료 행사나 세미나에 참여하며 의학적 관심을 넓힐 수 있습니다. 의료 봉사 동아리는 의료 혜택이 부족한 지역을 대상으로 봉사활동을 하며 실제 환자와 접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 서비스 제공의 중요성과 환자와의 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2. 간호학과추천 동아리: 간호 봉사 동아리, 응급처치 동아리 간호 봉사 동아리는 간호학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유익한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의료 봉사를 통해 실제 환자들을 돌보며 간호 기술을 실습할 수 있습니다. 응급처치 동아리는 기본적인 응급처치 기술을 배우고 실제 상황에서 이를 적용하는 훈련을 합니다. 응급처치 능력은 간호학과의 중요한 부분으로, 이 동아리 활동을 통해 실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3. 치의학과추천 동아리: 치과 봉사 동아리, 치의학 연구 동아리 치과 봉사 동아리는 치의학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참여하면 좋은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치아 건강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치료 방법을 배우고, 봉사 활동을 통해 저소득층 및 지역사회에 치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치의학 연구 동아리는 치의학 관련 연구 활동을 진행하며 최신 기술과 치료법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연구를 통해 치의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4. 약학과추천 동아리: 약학 연구 동아리, 건강 관리 동아리 약학 연구 동아리는 약학과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약물의 작용 기전, 신약 개발 등의 연구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건강 관리 동아리는 약물과 건강 관리에 관한 지식을 넓히고, 생활 속에서 약물이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해 배울 수 있는 활동을 합니다. 약학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경험을 통해 약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5. 생명과학과추천 동아리: 생명과학 실험 동아리, 바이오 연구 동아리 생명과학 실험 동아리는 생명과학을 전공하고 싶은 학생에게 필수적인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다양한 실험을 통해 생명과학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바이오 연구 동아리는 생명과학의 중요한 분야인 바이오 기술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며, 최신 연구 동향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실험을 통한 연구 경험은 생명과학 전공에 필요한 기초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줍니다.6. 물리치료학과추천 동아리: 재활 치료 동아리, 물리치료 연구 동아리 재활 치료 동아리는 물리치료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실제 환자들을 대상으로 재활 치료 방법을 배우고, 물리치료 이론을 실습을 통해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 연구 동아리는 물리치료와 관련된 최신 연구 결과를 공부하고, 연구 활동을 통해 치료 기법과 기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7. 응급구조학과추천 동아리: 응급 구조 동아리, 재난 구조 동아리 응급 구조 동아리는 응급구조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매우 유익한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응급 상황에서 필요한 구조 활동과 응급처치 기술을 배울 수 있습니다. 재난 구조 동아리는 재난 발생 시 구조와 구호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하며, 실제 재난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며 구조 활동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8. 공공보건학과추천 동아리: 공공보건 연구 동아리, 보건 교육 동아리 공공보건 연구 동아리는 공공보건학을 전공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유용한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보건 정책, 질병 예방, 건강 증진 프로그램 등에 대해 연구하고,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활동을 통해 보건학적 접근을 배울 수 있습니다. 보건 교육 동아리는 건강 교육과 관련된 활동을 진행하며, 지역 사회의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캠페인과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의학계열 학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동아리 활동은 매우 중요한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각 전공에 맞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실제 지식을 쌓고, 다양한 실습과 경험을 통해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관심 있는 분야에 맞는 동아리에 참여하여 의학 분야에 대한 열정을 더욱 키워보세요.2025.03.31
-
학생부 관리학과 별 동아리 추천 (공학계열)공학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이론뿐만 아니라 실습을 통해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공학 분야마다 특화된 동아리 활동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전공에 대한 관심을 더욱 깊이 있게 쌓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공학계열 학과별로 추천하는 동아리입니다. 1. 기계공학과추천 동아리: 로봇 동아리, 기계설계 동아리 기계공학을 희망하는 학생은 로봇 동아리에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로봇을 설계하고 제작하며, 기계공학적 원리와 제어 시스템을 실습할 수 있습니다. 실제 로봇을 만들고 프로그램을 짜는 과정에서 기계공학의 핵심 개념인 기계 설계, 동력 전달 시스템 등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기계설계 동아리는 CAD(컴퓨터 지원 설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기계 부품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로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기계공학적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2. 전기전자공학과추천 동아리: 전자 회로 동아리, 로봇 동아리 전자 회로 동아리는 전기전자공학을 공부하는 학생에게 매우 유익합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를 설계하고 실험하는 활동을 통해 전기전자공학의 기초를 다질 수 있습니다. 전자부품을 이용해 실제 회로를 제작하며,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로봇 동아리는 전기전자공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로봇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전자 회로와 센서, 모터 등의 부품을 다루며, 전기전자공학 지식이 실용적으로 적용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3. 컴퓨터공학과추천 동아리: 프로그래밍 동아리, 게임 개발 동아리 프로그래밍 동아리는 컴퓨터공학을 희망하는 학생에게 필수적인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고, 프로젝트를 통해 실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 문제 해결이나 앱 개발, 웹 개발 등의 실습을 통해 컴퓨터공학의 핵심 기술을 익히게 됩니다. 게임 개발 동아리는 게임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을 배우는 곳으로, 게임 제작에 필요한 프로그래밍, 그래픽, 인공지능 등 여러 분야의 지식을 통합적으로 배울 수 있습니다.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매우 적합한 동아리입니다.4. 화학공학과추천 동아리: 화학 실험 동아리, 환경 공학 동아리 화학 실험 동아리는 화학공학을 희망하는 학생에게 매우 유익한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화학 반응, 물질의 성질 등을 직접 실험하며 학습할 수 있습니다. 실험을 통해 화학적 개념을 깊이 이해하고,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 공학 동아리는 환경 문제를 화학적, 공학적 관점에서 해결하는 동아리로, 화학공학의 중요한 응용 분야인 환경 공학을 다룹니다. 화학 공정과 환경 보호 기술에 대해 배우며, 화학공학적 지식을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5. 토목공학과추천 동아리: 건축 설계 동아리, 구조물 실험 동아리 건축 설계 동아리는 토목공학의 기초가 되는 건축 설계와 관련된 활동을 합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건축 설계 이론을 배우고, CAD 프로그램을 활용해 건축물을 설계하며, 실제 건축물의 구조적 요소를 고려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구조물 실험 동아리는 구조물의 강도, 안정성 등을 실험하는 동아리입니다. 실험을 통해 이론적으로 배운 구조학적 지식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며, 토목공학의 핵심인 구조물 설계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6. 항공우주공학과추천 동아리: 드론 동아리, 우주 탐사 동아리 드론 동아리는 항공우주공학을 희망하는 학생에게 매우 유익합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드론의 설계, 제작, 비행 등을 배우며, 항공역학과 관련된 기초 지식을 실습할 수 있습니다. 드론 기술은 항공우주공학의 중요한 응용 분야로, 이 동아리에서 실습을 통해 이론을 실제로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우주 탐사 동아리는 우주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아리로, 우주 탐사, 로켓 발사, 우주 기술 등에 대해 배우며 항공우주공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울 수 있습니다.7. 시스템공학과추천 동아리: 시스템 설계 동아리, 소프트웨어 개발 동아리 시스템 설계 동아리는 시스템공학을 희망하는 학생에게 적합한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복잡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활동을 합니다.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분석하고,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시스템공학의 핵심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 동아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체 프로세스를 배우고, 이를 통해 시스템 공학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공학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각 분야에 맞는 동아리에서 실습을 통해 전공 지식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 동아리 활동들은 이론적 지식을 실제로 적용하며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원하는 분야에 맞는 동아리에 참여하여 학문적 열정을 키워보세요.2025.03.31
-
학생부 관리학과 별 동아리 추천 (자연계열)자연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과학적 사고와 실험적 경험을 통해 지식을 넓히고, 실습을 통해 이론을 실제에 적용할 수 있는 동아리 활동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연계열에는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등 다양한 분야가 있으며, 각 학문에 맞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실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각 분야별로 추천하는 동아리를 소개하겠습니다. 1. 물리학과추천 동아리: 물리학 동아리, 로봇 동아리 물리학과를 희망하는 학생에게는 물리학 동아리가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물리학 이론을 실험으로 실습하며, 물리적 원리를 실제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실험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물리적 개념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로봇 동아리는 물리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로봇을 제작하고 프로그래밍하는 활동을 합니다. 기계적 원리와 전자공학적인 지식도 습득할 수 있으며, 물리학과 연결된 실용적인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2. 화학과추천 동아리: 화학 실험 동아리, 환경 동아리 화학과를 희망하는 학생은 화학 실험 동아리에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다양한 화학 실험을 통해 화학 반응, 물질의 성질 등을 직접 관찰하고 경험할 수 있습니다. 실험을 통해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실험 안전 수칙을 배우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경험이 됩니다. 또한, 환경 동아리는 화학적 관점에서 환경 문제를 다루는 동아리입니다. 화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환경 오염 문제나 재활용, 에너지 문제 등을 연구하며, 화학과 사회적 문제를 연결짓는 통찰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3. 생명과학과추천 동아리: 생명과학 동아리, 생태 동아리 생명과학과를 희망하는 학생은 생명과학 동아리에 참여하여 다양한 생명체의 생리학적 특성과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실험을 통해 생명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를 할 수 있으며, DNA 분석이나 세포 연구와 같은 실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태 동아리는 자연 생태계를 연구하고 보호하는 활동을 합니다. 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생물들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는 방법을 배우는 활동은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이해를 더욱 확장시켜 줍니다.4. 지구과학과추천 동아리: 지구과학 동아리, 천문 동아리 지구과학 동아리는 지구의 구성 요소와 지질학적 변화를 탐구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화산, 지진, 대기 현상 등 다양한 지구과학적 주제에 대해 실험과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 지구의 자연 현상에 대해 실질적으로 배우며, 실험적 방법을 통해 자연 현상에 대한 분석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천문 동아리는 우주와 별, 행성 등을 연구하는 동아리로, 천문학적인 개념과 관련된 활동을 통해 우주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별 관측이나 우주 이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구과학과 연관된 천문학적 지식도 넓힐 수 있습니다.5. 수학과추천 동아리: 수학 동아리, 문제 해결 동아리 수학 동아리는 수학적 사고를 발전시키고, 수학 문제를 풀어보는 활동을 통해 수학적 논리와 사고 방식을 기를 수 있는 좋은 동아리입니다. 수학적 이론을 깊이 있게 배우고, 실생활 문제에 수학적 접근을 적용해 보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동아리는 다양한 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둔 동아리입니다. 수학적 접근 방법을 배우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수학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6. 생명공학과추천 동아리: 생명공학 동아리, 바이오 실험 동아리 생명공학 동아리는 생명과학과 공학을 결합한 분야로, 생명과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활동을 합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유전자 분석, 유전자 변형, 바이오 기술 등을 연구하고, 생명공학 관련 최신 기술을 배우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바이오 실험 동아리는 실제 생명과학과 관련된 실험을 통해 바이오 기술에 대해 배우고,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는 활동을 합니다. 이 동아리에서 진행하는 실험을 통해 생명공학에 대한 실습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7. 환경과학과추천 동아리: 환경 과학 동아리, 녹색 캠페인 동아리 환경 과학 동아리는 환경 오염, 기후 변화, 재활용 등 환경 관련 문제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접근 방법을 배우고, 환경 보호 활동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녹색 캠페인 동아리는 환경 보호를 위한 캠페인 활동을 주도하는 동아리입니다. 실생활에서 환경을 보호하는 방법을 실천하며 환경과학적 지식을 사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자연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각 학문 분야에 맞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이론뿐만 아니라 실험과 경험을 통해 실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동아리 활동은 학문적 지식을 넓히고, 실습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중요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신이 희망하는 전공에 대한 열정과 관심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2025.03.31
-
학생부 관리학과 별 추천 동아리 (사회과학계열)사회과학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각 학과에서 요구하는 분석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동아리 활동이 매우 중요합니다. 사회과학 분야는 인간 사회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을 탐구하고 사회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깊게 다루는 학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사회과학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학과별 추천 동아리와 그 이유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1. 사회학과추천 동아리: 사회학 동아리, 독서 토론 동아리 사회학과는 사회 구조와 사회적 관계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이 학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사회적 현상에 대한 깊은 이해와 비판적 사고를 키울 수 있는 동아리 활동이 필요합니다. 사회학 동아리는 사회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 논의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현실의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분석하고, 실질적인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또한, 독서 토론 동아리에서 책을 읽고, 사회적, 경제적 문제에 대해 심도 있는 토론을 나누며 사회적 사고를 넓힐 수 있습니다. 다양한 관점에서 사회적 이슈를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은 사회학과 공부에 큰 도움이 됩니다.2. 정치외교학과추천 동아리: 모의유엔(MUN), 정치 토론 동아리 정치외교학과는 정치, 경제, 국제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국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모의유엔(MUN) 동아리는 실제 유엔 회의처럼 각국의 대표가 되어 국제 문제를 다루는 시뮬레이션 활동을 합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국제적 이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나라의 정책을 분석하며, 협상과 외교적 해결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정치 토론 동아리에서는 정치적 이념과 이슈에 대해 토론하고, 논리적으로 주장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정치학과 외교학에 필요한 토론과 논리적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동아리입니다.3. 경제학과추천 동아리: 경제 동아리, 주식 투자 동아리 경제학과는 경제 이론을 바탕으로 경제적 현상과 정책을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경제 동아리에서는 경제 관련 이슈를 분석하고, 경제학의 주요 이론을 실제 문제에 적용하는 활동을 합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경제학적 사고를 기르고, 경제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 동아리는 주식 시장을 연구하고 실제로 투자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경제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실시간 경제 현상을 파악하고, 경제 정책이나 기업 분석을 통한 실습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4. 심리학과추천 동아리: 심리학 동아리, 봉사 동아리 심리학과는 인간의 행동, 감정, 정신적 과정 등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심리학 동아리는 다양한 심리학적 이론과 실험을 통해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고, 사람들의 심리적 변화를 이해하는 활동을 합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심리학적 지식을 실생활에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고, 심리학적 분석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봉사 동아리에서는 사람들과 직접적으로 소통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사람들의 심리적 상태를 이해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봉사 활동을 통해 심리학적 사고와 공감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5. 법학과추천 동아리: 법률 동아리, 모의재판 동아리 법학과는 법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하며 사회의 법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법률 동아리에서는 법학에 대한 기초 지식을 다지고, 법과 관련된 이슈에 대해 논의하는 활동을 합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실제 법적 사례를 분석하며 법적인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모의재판 동아리는 가상의 재판을 통해 법적 논리를 전개하고, 법정에서 변호사와 판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뮬레이션을 합니다. 모의재판을 통해 실제 법정에서 요구되는 논리적 사고와 말하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이 동아리는 법학과에서 요구하는 논리적인 분석과 구술 능력을 훈련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6. 인류학과추천 동아리: 문화 탐방 동아리, 인류학 동아리 인류학과는 인간 사회와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문화 탐방 동아리는 다양한 문화를 탐구하고 현장을 방문하여 문화적 차이를 경험하는 활동을 합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인간 사회의 다양성과 문화적 특성을 실질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인류학적 관점에서 사회를 바라보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인류학 동아리는 인류학적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하여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를 넓힐 수 있습니다.7. 사회복지학과추천 동아리: 사회봉사 동아리, 복지 동아리 사회복지학과는 사회적 약자를 돕고 복지 정책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사회봉사 동아리는 어려운 환경에 처한 사람들을 돕는 활동을 통해 사회복지학과의 취지에 맞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이 동아리에서는 사회복지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복지 동아리에서는 복지 정책과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활동을 통해 사회복지학과에서 다루는 중요한 주제들을 실제로 경험할 수 있습니다. 각 사회과학계열 학과는 특정한 분석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요구하며, 이를 키울 수 있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학문적 능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자신이 희망하는 학과의 특성과 잘 맞는 동아리에 참여함으로써, 해당 분야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실제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동아리 활동은 단순히 학문적 지식을 넘어서 실생활에서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2025.03.31
-
학생부 관리학과 별 동아리 추천 (인문계열)인문계열 학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참여하기 좋은 동아리들은 그들의 학문적 관심과 능력을 자연스럽게 발전시킬 수 있는 활동들이며, 각 동아리는 특정 학과와 밀접한 연관을 가집니다. 아래에서는 각 동아리가 어떤 학과와 잘 맞는지, 그리고 그 이유를 덧붙여 설명하겠습니다. 1. 문학 동아리추천 학과: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학과, 외국어학과 문학 동아리는 문학 작품을 읽고 분석하며 창작 활동을 하는 동아리입니다. 이 동아리는 특히 국어국문학과나 문예창작학과와 잘 맞습니다. 국어국문학과는 문학적 분석 능력과 창작 능력을 중요시하는 학과로, 문학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작품 분석 능력과 글쓰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외국어학과에서 문학 작품을 외국어로 분석하고 감상하는 데에도 문학 동아리 경험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2. 독서 토론 동아리추천 학과: 철학과, 사회학과, 법학과 독서 토론 동아리는 책을 읽고 그 내용을 토론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이 동아리는 철학과, 사회학과, 법학과에 매우 적합합니다. 철학과에서는 철학적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는 능력이 중요하며, 독서 토론을 통해 다양한 철학적 주제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할 수 있습니다. 사회학과와 법학과에서도 독서 토론은 중요한 사고 훈련 방법으로,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며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3. 역사 동아리추천 학과: 역사학과, 고고미술사학과, 정치외교학과 역사 동아리는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에 대해 연구하고 발표하는 동아리입니다. 역사학과는 물론, 고고미술사학과나 정치외교학과에도 매우 잘 맞습니다. 역사학과에서는 역사적 사고와 자료 분석 능력을 키워야 하므로, 역사 동아리에서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역사적 사건을 연구하는 경험이 크게 도움이 됩니다. 정치외교학과에서도 과거의 역사적 사건이 현재의 정치적 상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 데 유용한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4. 철학 동아리추천 학과: 철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철학 동아리는 철학적 주제를 공부하고 토론하는 동아리입니다. 철학과에서는 철학적 사고와 논리적 분석 능력을 중요시하므로, 철학 동아리에서 다루는 깊은 질문과 논의가 직접적으로 학과와 연결됩니다. 또한, 심리학과나 사회학과에서도 인간의 사고, 행동, 사회적 관계에 대해 탐구하는 데 철학적 토대가 필요하므로, 철학 동아리 활동이 이들 학과에도 매우 유익합니다.5. 사회학 동아리추천 학과: 사회학과, 정치외교학과, 인류학과 사회학 동아리는 사회 현상과 문제를 분석하는 동아리입니다. 사회학과에서는 사회 구조, 계층, 문화 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사회학 동아리에서 사회적 이슈에 대해 토론하고 연구하는 경험은 사회학과의 학문적 요구에 부합합니다. 정치외교학과나 인류학과에서도 사회적 문제와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연구하는 데 사회학적 사고가 필요하므로, 사회학 동아리는 이러한 학과와도 잘 맞습니다.6. 연극 동아리추천 학과: 연극영화학과, 문학과, 미디어학과 연극 동아리는 연극을 통해 다양한 사회적, 철학적, 문학적 주제를 탐구하는 동아리입니다. 연극영화학과는 연극과 영화의 이론 및 실습을 배우는 학과로, 연극 동아리 활동을 통해 연기력과 대본 분석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문학과에서는 연극을 문학적 시각에서 분석하는 능력을 요구하므로, 연극 동아리 활동이 문학과의 학문적 목표와 잘 맞습니다. 또한, 미디어학과에서도 연극과 미디어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어 연극 동아리가 유익합니다.7. 글쓰기 동아리추천 학과: 문예창작학과, 국어국문학과, 외국어학과 글쓰기 동아리는 창작 활동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키우는 동아리입니다. 문예창작학과와 국어국문학과는 글쓰기 능력과 문학적 창작 능력을 중요시하는 학과이므로, 글쓰기 동아리에서 얻는 창작 경험이 학문적 요구에 부합합니다. 외국어학과에서는 외국어로 글을 쓰는 능력도 필요하므로, 외국어로 창작 활동을 하는 글쓰기 동아리도 매우 유익할 수 있습니다.8. 영화 감상 동아리추천 학과: 영화학과, 미디어학과, 문화학과 영화 감상 동아리는 영화 속에서 사회적, 문화적, 철학적 주제를 탐구하는 동아리입니다. 영화학과에서는 영화 제작의 이론과 실습을 배우므로, 영화 감상 동아리에서 영화의 이론적 분석을 경험하는 것이 유익합니다. 미디어학과나 문화학과에서도 영화와 미디어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영화 감상 동아리 활동이 도움이 됩니다. 위에서 소개한 동아리들은 각각의 인문계열 학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동아리 활동은 단순히 취미나 여가를 넘어서, 해당 학문을 심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이 됩니다. 자신이 희망하는 학과와 관련된 동아리에 참여함으로써, 학문적 관심을 확장하고 깊이 있는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또한, 동아리 활동은 단순히 이론적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경험을 통해 보다 실용적인 학문적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2025.03.31
-
학생부 관리흔한 주제로 특별하게 탐구하는 방법흔한 주제라도 특별하게 탐구하는 방법어떤 주제를 다루든, 그 주제의 접근 방식과 탐구 방법에 따라 결과물의 차이가 크게 날 수 있습니다. 흔한 주제라도 특별하게 탐구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생각보다 중요한 일입니다. 그런 접근은 단순히 남들이 다루는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그 주제에 대한 이해를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흔한 주제를 특별하게 탐구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일까요? 1.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 던지기흔한 주제를 다룰 때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그 주제에 대해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는 것입니다. 흔한 주제일수록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기본적인 정보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 새로운 시각을 더하려면 질문을 다르게 해야 합니다.예를 들어, "기후 변화"라는 주제를 다룬다면, 단순히 "기후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라는 질문보다는 "기후 변화가 특정 지역에 미치는 사회적, 경제적 영향은 무엇인가?"와 같이 좀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질문을 바꿔보면, 흔한 주제도 특별하게 다룰 수 있는 창의적인 방향을 찾을 수 있습니다.2.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기흔한 주제를 특별하게 탐구하는 또 다른 방법은 그 주제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학교 교육의 효과"라는 주제를 다룬다면, 교사나 학생의 관점뿐만 아니라 학부모, 심리학자, 사회학자 등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바라볼 수 있습니다. 각기 다른 분야의 시각을 결합함으로써, 주제에 대한 다층적인 이해가 가능해지고, 그 결과물은 보다 심도 있고 특별한 내용이 될 수 있습니다.다양한 자료와 연구를 참고하면서, 다른 사람들은 어떤 시각을 가지고 이 주제를 바라보는지 탐구해보세요. 단지 주제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입장에서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을 찾아가며 탐구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3. 독특한 사례나 실험을 통해 접근하기흔한 주제를 다루다 보면 기존의 이론이나 사례에만 의존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은 종종 뻔한 결론에 도달하게 만듭니다. 따라서 흥미로운 사례나 실험을 통해 주제를 새롭게 탐구하는 방법도 효과적입니다.예를 들어, "음악의 영향"에 대해 탐구한다면, 단순히 기존의 연구나 이론에 의존하기보다는 특정 지역에서 진행된 실험을 찾아보거나, 실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음악의 영향을 실험해보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음악을 들으면서 공부를 하는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성적 차이를 비교하는 실험을 통해 더 구체적인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독특한 사례나 실험을 통해 주제를 탐구하면, 흔한 주제라도 특별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4. 현재의 문제와 연결짓기흔한 주제를 특별하게 만드는 방법 중 하나는 그 주제를 현재의 문제나 사회적 이슈와 연결짓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의 영향"이라는 주제를 다룬다면, 단순히 "소셜 미디어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이라는 일반적인 논의에서 끝내지 말고, 현재의 사회적 문제와 연결시키는 방법을 생각해봅니다. 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가 정치적 polarization을 강화하는 방식"이나 "소셜 미디어가 청소년 정신 건강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과 같이 구체적인 문제와 연결하면 주제가 더욱 특별해질 수 있습니다.이렇게 현재의 문제나 최신 이슈와 연결시키면, 주제에 대한 탐구가 단순한 이론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5. 주제에 대한 반론 제시하기흔한 주제를 특별하게 탐구하는 또 다른 방법은 기존의 의견이나 주제에 대한 반론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기존에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겨왔던 사실이나 이론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방식입니다.예를 들어, "기술 발전이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만든다"는 주장에 대해, "기술 발전이 인간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논하는 식으로, 반대의 시각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주제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그 주제에 대한 다른 관점이나 부정적인 면을 탐구하는 것만으로도 그 주제는 특별해지고, 더 깊이 있는 탐구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측하고 그에 대한 준비를 탐구하는 방법은 주제를 특별하게 만드는 효과적인 방식입니다. 흔한 주제를 특별하게 탐구하는 것은 창의적이고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가능합니다. 단순히 주제를 다루는 데 그치지 않고,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지고,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며, 독특한 사례나 실험을 통해 구체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회적 이슈나 반론을 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주제를 풍부하게 탐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통해 흔한 주제도 새로운 관점에서 특별하게 풀어낼 수 있습니다.2025.03.31
-
기타중학생을 위한 고등학교 선택 가이드중학생을 위한 고등학교 선택 가이드고등학교는 중학생에게 있어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고등학교 선택은 단순히 학교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진로와 꿈을 준비하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많은 중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선택할 때 어떤 기준을 두어야 할지, 무엇을 고려해야 할지 막막해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중학생이 고등학교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자신의 진로와 목표에 맞는 학교 선택하기고등학교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자신의 진로와 목표를 고려하는 것입니다. 고등학교에는 일반고, 특성화고, 자율고 등 다양한 유형이 있기 때문에, 자신이 진학하고 싶은 분야나 관심 있는 분야에 맞는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일반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선택하는 일반고는 다양한 학문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문과와 이과로 나누어져 있으며,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학교입니다. 전공 분야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배울 수 있어, 진로를 정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유용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특성화고: 특성화고는 특정 분야에 특화된 교육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상업고등학교, 정보고등학교, 외국어고등학교, 예술고등학교 등이 있습니다. 특정 분야에서 깊이 있는 지식을 배우고 싶다면 특성화고를 고려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자율고: 자율고는 일반고와 비슷하지만, 보다 자율적인 교육과정이 특징입니다. 학생들에게 선택권이 많아 학습의 자율성이 중요시됩니다. 자율고는 학생이 자신의 관심과 진로에 맞는 과목을 선택해 공부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습니다.자신의 꿈과 진로가 어느 방향으로 향할지 모르겠다면, 일반고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어느 정도 방향성이 정해져 있거나, 특정 분야에 관심이 많다면 특성화고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2. 학교의 교육 환경과 문화고등학교를 선택할 때는 학교의 교육 환경과 문화를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각 학교마다 분위기와 교육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에게 맞는 환경에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학습 분위기: 학교의 학습 분위기는 매우 중요합니다. 고등학교는 공부하는 데 있어 높은 집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변 친구들과의 학습 태도나 선생님들의 교육 방식이 자신의 성향과 맞는지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성실하고 공부에 집중하는 분위기의 학교가 좋다면, 그와 비슷한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학생 자율성: 자율적인 학교 문화는 학생이 스스로 학습을 이끌어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자신이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자율적인 공부를 하고 싶은 학생이라면 자율고나 일반고를 선택할 때 이런 부분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반면, 좀 더 체계적인 관리와 교육을 선호한다면, 규율이 철저한 학교나 특성화고가 더 맞을 수 있습니다.학교 시설: 학교의 시설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도서관, 체육관, 실험실 등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들이 잘 갖추어져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실험이나 실습이 필요한 과학, 예술, 체육 등 분야에서는 시설이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3. 학교의 진로 지도와 지원 시스템고등학교 생활에서 진로를 준비하는 데 있어 학교의 진로 지도와 지원 시스템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많은 학교들이 다양한 진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대학 진학을 위한 진학 상담을 합니다.진로 체험 프로그램: 일부 학교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 체험과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분야를 경험하고, 자신이 진로로 삼고 싶은 분야를 보다 확실하게 정할 수 있습니다.진학 지도: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들에게 진학 지도는 매우 중요합니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대학 정보나 진학 상담이 얼마나 체계적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학교에서는 대학 교수와의 진로 상담이나, 대학 박람회 등을 개최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진로 정보를 제공합니다.취업 지원: 특성화고나 직업학교에서는 취업 지원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기업과의 협력 관계를 통해 인턴십 프로그램이나 취업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도 많습니다. 이런 부분을 고려해 자신에게 맞는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4. 학교의 위치와 통학 문제학교의 위치와 통학 시간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루에 학교에 가고 오는 시간은 상당히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통학 시간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학교까지의 거리: 너무 먼 학교에 다니면 통학에 많은 시간이 소모됩니다. 통학 시간이 길어질수록 공부할 시간이나 여유 시간이 부족해질 수 있으므로, 통학 거리가 적당한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교통 편리성: 통학이 편리한 학교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대중교통이 잘 연결되어 있거나, 안전한 통학로가 확보된 학교라면 편리하게 다닐 수 있을 것입니다.5. 학교의 평판과 졸업생의 진로학교의 평판도 고등학교를 선택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졸업생들이 어떤 대학에 진학했는지, 어떤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졸업생 진로: 학교의 졸업생들이 주로 어떤 분야에서 활동하는지 파악하면, 학교의 교육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졸업생들의 성공적인 사례를 통해 자신이 그 학교에서 공부했을 때 어떤 이점을 얻을 수 있을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선택은 중학생에게 있어 중요한 결정입니다. 자신이 원하는 진로와 목표를 분명히 하고, 학교의 교육 환경, 진로 지도, 통학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뒤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등학교에서의 경험은 대학뿐만 아니라 인생의 다른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고등학교 선택이 여러분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도록, 여러 요소들을 잘 고려해보세요.2025.03.31
-
학생부 관리어떤 동아리를 선택해야 할까?고등학교 생활에서 동아리 활동은 단순히 학교 생활의 일환이 아니라, 개인의 성장과 진로 탐색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많은 학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전공과 관련된 동아리를 선택하려 하지만, 사실 동아리 활동에서 중요한 점은 ‘무엇을 했는지’입니다. 전공과 관련된 동아리가 중요할 수 있지만, 그 동아리에서 어떤 활동을 했는지, 또 그 활동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가 진로 선택에 있어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글에서는 동아리 선택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과, 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경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전공과 관련된 동아리의 중요성우선, 진로와 관련된 동아리 활동은 학생들에게 큰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이라면 컴퓨터 관련 동아리나 프로그래밍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동아리에서는 실제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고, 팀 프로젝트를 통해 협업 능력을 기르며, 나아가 실무와 가까운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전공에 대한 흥미를 더 키울 수 있고, 그 전공에 대한 심화 학습을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공 선택에 있어 자신감을 얻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마찬가지로, 의학, 생명과학, 사회과학 등 여러 전공에 맞는 동아리들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관련 지식을 쌓거나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학 동아리에서는 실험을 통해 과학적 사고를 기를 수 있고, 경제학을 지망하는 학생은 경제 토론 동아리에서 실전처럼 논리적 사고와 발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활동들은 전공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학습의 동기를 부여해 주고, 미래에 관련 분야로 진로를 설정할 때 많은 도움을 줍니다. 2.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한 동아리 선택전공과 관련된 동아리 외에도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동아리를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동아리 활동은 전공이나 진로와 상관없이 자신의 관심사나 취미를 키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음악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밴드 동아리나 합창단에 참여하면서 예술적인 감각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스포츠를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축구, 농구, 배드민턴 동아리에서 체력을 기르고 팀워크를 배울 수 있습니다.이러한 활동은 진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 있지만, 다양한 사람들과의 협업을 통해 사회성을 기를 수 있고,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활동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는지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또한, 취미 활동을 통해 얻은 경험은 다른 분야로의 진로를 설정할 때도 중요한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팀워크나 리더십 경험은 어떤 전공을 선택하든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3. 리더십과 협업 능력 배양 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가치는 바로 리더십과 협업 능력입니다. 동아리에서의 활동은 일반적으로 팀 단위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이나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회나 동아리의 회장을 맡거나, 중요한 역할을 맡으면 조직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리더십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팀원들과 함께 활동을 하면서 상대방을 배려하고 조율하는 능력도 자연스럽게 기를 수 있습니다.이런 능력들은 대학 생활뿐만 아니라 사회 생활에서도 매우 중요한 자산이 됩니다. 졸업 후에 취업을 하거나 사회에 나갔을 때, 사람들과 잘 협업하고 의견을 조율하는 능력은 어떤 직업에서든 중요한 역량으로 인정받습니다. 그래서 동아리 활동은 단순한 취미 생활을 넘어, 인생에서 중요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4.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력 증진많은 동아리 활동이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디자인 동아리나 과학 동아리에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이를 실제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를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문제 상황에 직면하면서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도 함께 기를 수 있습니다.이러한 능력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공학, 디자인, 마케팅, 심리학 등 다양한 전공이나 직업에서 창의적인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하게 평가되기 때문에, 동아리 활동을 통해 이를 체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경험입니다. 5. 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는 ‘경험’동아리 선택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전공과 관련된 활동을 하는 것도 좋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무엇을 했는지입니다. 즉, 동아리에서 어떤 역할을 맡았고, 어떤 경험을 했으며, 그 경험을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가 가장 큰 가치를 지닙니다. 전공과 관련된 동아리에서 활동한다고 해서 반드시 자신의 진로에 직결되는 경험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전공과 전혀 상관없는 활동을 통해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성장할 수도 있습니다.예를 들어, 학술 동아리에서 논문을 작성하고 발표하는 경험은 연구 능력과 발표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체육 동아리에서 협력하고 팀워크를 발휘하는 경험은 사회 생활에서 중요한 능력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동아리에서 얻은 경험들은 나중에 대입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은 경험은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어떤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증거가 됩니다. 동아리 활동은 고등학교 생활에서 중요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전공 관련 동아리에서 진로와 관련된 경험을 쌓을 수 있지만, 그보다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은 경험과 배운 점이 더 중요합니다. 리더십, 협업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은 전공을 떠나 모두에게 중요한 자산이 됩니다. 그러므로 동아리를 선택할 때 전공과의 연관성도 고려하되, 그 활동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을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신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동아리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2025.03.31
-
학생부 관리[진짜 창업한 선배가 알려드림] 사업계획서를 세특에 녹이는 방법창업에 관심이 있나요? 남들과 다른 참신한 세특 주제를 찾고 있나요?? 경영, 사회학 등에 관심이 있나요??? 직접 창업을 경험한 선배로서, 이러한 고민을 가진 학생들에게 현실적인 조언을 드리고자 합니다. 창업은 단순히 ‘사업을 한다’는 개념이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여러분의 생기부를 차별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글을 통해 창업 경험이 없더라도 창업에 대한 관심, 사고력, 전문성을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지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고등학생 입장에서 사업계획서 쓰는 방법 & 사업계획서를 세특에 녹이는 방법> 이 글은 창업에 관심이 있지만 고등학생이라 직접 창업을 하기 어려운 학생들을 위한 글입니다. 사업계획서는 창업 아이디어를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문서입니다.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해야 합니다. 1. 사업 개요사업명: 브랜드명이나 서비스명사업 목적: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는지 명확히 정의핵심 아이디어: 차별성과 혁신성 강조 예시"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저렴한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EduShare’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함." 2. 시장 조사 및 분석산업 동향: 현재 시장 트렌드, 성장 가능성경쟁 분석: 주요 경쟁 업체 비교, 차별화 요소타겟 고객: 연령대, 소비 성향, 주요 요구사항 예시"국내 온라인 교육 시장은 매년 10% 이상 성장 중이며, 특히 저소득층 대상의 학습 지원 플랫폼은 부족한 상황이다. 기존 업체와 비교해 무료 또는 저렴한 콘텐츠 제공을 차별점으로 삼는다." 3. 제품/서비스 설명제품/서비스 개요: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기능 및 특징: 경쟁사 대비 장점 강조기술적 요소: 앱 개발, AI 활용 등 기술적 강점 예시"EduShare는 AI를 활용한 맞춤형 학습 추천 기능을 제공하며, 기존 강의 서비스보다 저렴한 가격에 고품질 콘텐츠를 제공한다." 4. 비즈니스 모델 (BM, Business Model)수익 구조: 돈을 버는 방식 (광고, 구독료 등)운영 방식: 서비스 제공 방식 (웹사이트, 앱 등)협력 및 제휴: 협력할 기업, 기관 등 예시"광고 기반 무료 서비스 + 프리미엄 구독 모델을 적용하여 지속적인 운영 가능성을 확보함." 5. 마케팅 및 홍보 전략고객 확보 전략: SNS, 바이럴 마케팅 등광고 및 홍보 계획: 유튜브, 블로그 활용 방법가격 전략: 타겟층에 맞는 적절한 가격 책정 예시"SNS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초기 홍보와 유튜브 광고를 통해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6. 재무 계획초기 자본: 창업에 필요한 자금 규모수익 예측: 예상 매출 및 이익 계산운영 비용: 서버 유지비, 직원 급여 등 예시"초기 투자금 1,000만 원, 1년 내 손익분기점 도달 목표." 7. 기대 효과 및 성장 가능성사회적 기여: 문제 해결 효과장기적 비전: 3~5년 후 목표 예시"EduShare는 저소득층 교육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하며, 향후 AI 기반 맞춤형 학습 시스템으로 확장 가능성이 크다." <사업계획서를 세특에 녹이는 방법> 사업계획서를 작성했다고 해서 단순히 "사업계획서를 작성함"이라고 쓰면 안 됩니다. 학문적인 분석과 창의적인 사고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과목별 세특 활용법[사회 교과: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시장 분석 과정을 세특에 녹일 수 있음.경제적 요인, 법적 규제 등을 조사한 과정 강조. 예시"비즈니스 모델을 기획하며 국내 교육 시장의 불평등 문제를 분석하고, 공유경제 개념을 활용한 대안적 서비스 모델을 설계함." [국어: 화법과 작문]사업계획서 작성 경험을 논리적 글쓰기 역량으로 연결.발표 및 설득 과정, 피드백 반영 과정 언급. 예시"창업 아이디어 피칭 과정에서 설득력 있는 논리 전개 방식을 연구하고, 효과적인 발표 기법을 적용하여 모의 투자 유치 발표를 진행함." [수학: 확률과 통계]시장 조사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익 모델을 예측한 경험 활용. 예시"창업 모델의 시장성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하고, 수익 예측을 위해 확률과 통계를 적용함." [정보: 프로그래밍, 데이터 분석]앱 개발, 데이터 분석 기술을 적용한 과정 강조. 예시"Python을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서비스 최적화를 진행함." 2. 사업계획서를 활용한 세특 키워드 ✅ 창업 과정: 문제 해결형 창업, 비즈니스 모델(BM), 고객 분석✅ 시장 조사: 통계 분석, 경제적 타당성, 트렌드 분석✅ 창업 기획 역량: 아이디어 개발, 논리적 사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실무 경험: 피칭 발표, 투자 유치 모의 활동 3. 창업 프로젝트 경험 없이 세특 작성하는 법 ✅ 가상의 창업 아이디어 구상✅ 창업 관련 서적, 논문 분석 후 적용✅ 창업 다큐멘터리 시청 후 비평 작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사례 분석 예시"국내외 사회적 기업의 운영 방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 제품을 활용한 가상의 비즈니스 모델을 기획함.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함." 창업을 직접 하지 않더라도 창업적 사고력을 드러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업계획서 작성 경험을 통해 문제 해결력, 논리적 분석 능력, 데이터 활용 역량을 강조하면 차별화된 세특을 만들 수 있습니다! 사업계획서를 통해 남들과 다른 주제로 생기부를 채워 나가보세요! 리로스쿨ㅣ교육 포털 https://riroschool.kr/mentor/notedetail/35062025.03.27
-
학생부 관리[진짜 창업한 선배가 알려드림] 창업을 세특에 쉽게 활용하는 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창업에 대해 한 번쯤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학교에서 배우는 경제·경영 지식이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 궁금하거나, 막연히 ‘나만의 브랜드를 만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 학생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직접 창업을 해본 경험이 있는 선배로서, 이런 고민을 했던 학생들에게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려고 합니다. 창업은 단순히 “사업을 한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이 과정은 여러분의 생기부를 차별화할 최고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창업준비과정은 어떤지, 창업활동을 한 후 그 경험을 어떻게 녹일지, 창업을 해보지 않아서 어떤 방식으로 창업적 사고력을 보여줄지 고민이 된다면, 이 글을 읽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창업 활동을 세특에 녹이는 방법부터, 창업 관련 학과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어떻게 차별화된 생기부를 만들 수 있는지까지, 차근차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진짜 창업한 선배가 알려드림] 창업을 세특에 쉽게 활용하는 법 (1) 창업을 하려면 먼저 어떤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싶은지 깊이 생각해야 합니다. 단순히 "돈을 벌고 싶다"가 아니라, 사람들이 겪고 있는 불편함이나 사회적으로 꼭 해결해야 할 문제를 찾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 환경을 보호하는 상품 개발, 학생들이 더 쉽게 공부할 수 있는 앱 개발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창업 준비 과정자료 조사하기 (FACKBOOK - 언론자료 & 논문 & 다큐 분석)해결하고 싶은 문제가 정말 중요한 문제인지 확인해야 합니다.신문기사, 논문, 다큐멘터리 같은 자료를 찾아서 그 문제에 대한 사실과 통계를 분석해야 합니다. 문제 해결 대상(고객) 분석하기 (PBL 대상자 상황 분석)창업을 하면 누가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예를 들어, 환경 보호 관련 사업을 한다면, 쓰레기를 많이 배출하는 사람들이 대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대상자가 가진 자원(Asset) 분석하기‘Asset(자산)’이란, 사람들이 가진 돈, 기술, 네트워크, 자연자원, 건강 등을 의미합니다.창업 아이디어를 실현하려면 대상자가 어떤 자원을 갖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Livelihood Asset(생계 자산) 발전시키기Livelihood(생계)란 사람들이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의미합니다.생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려면 5가지 자산을 고려해야 합니다.자산 종류설명Financial (금융 자산)돈, 대출, 투자 같은 경제적 자원Social (사회적 자산)친구, 가족, 커뮤니티 같은 네트워크Natural (자연 자산)땅, 물, 공기 같은 자연환경Physical (물리적 자산)도구, 기계, 건물 같은 실물 자산Human (인적 자산)기술, 교육, 경험 같은 개인 능력이 자산 중 어떤 부분을 강화하면 창업 아이디어가 더 효과적으로 실행될지 고민해야 합니다.예를 들어, 농부들이 자연 자산(땅과 물)은 있지만 금융 자산(돈)이 부족하다면,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저렴한 농기계나 대출 지원일 수도 있습니다. 비즈니스 모델(BM), 수익구조, 기대효과, 차별성 정리하기BM(비즈니스 모델): 어떻게 돈을 벌 것인지 계획하는 과정입니다.수익구조: 사람들이 내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구매하고, 이를 통해 어떻게 수익을 창출할 것인지 고민해야 합니다.기대효과: 이 사업이 성공하면 사회적으로 어떤 긍정적인 변화가 생길지 예측해야 합니다.차별성: 다른 회사와 비교했을 때 내 사업이 어떤 점에서 특별한지 분석해야 합니다. 이 과정이 중요한 이유무작정 창업을 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문제를 정확히 분석하고, 해결 방법을 찾고, 필요한 자원을 확인해야 돈과 시간을 절약하면서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창업은 단순히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과정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어 뜻 설명Asset(자산): 사람들이 가진 돈, 기술, 네트워크, 자연자원 등 창업에 활용할 수 있는 요소Livelihood(생계): 사람들이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환경과 조건BM(비즈니스 모델): 어떻게 돈을 벌 것인지 정하는 방법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 해결 중심 학습, 실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는 과정 창업과 관련된 내용을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세특)에 활용하려면, 단순한 개념 정리보다는 실제 프로젝트 경험, 분석 과정, 적용한 개념, 본인의 생각과 깨달음 등을 중심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1. 과목별 활용 방법[사회 교과] 경제, 정치와 법,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 등창업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회적 문제 분석을 중점적으로 작성경제 과목에서는 비즈니스 모델(BM)과 수익구조 분석을 강조정치와 법에서는 기업 윤리, 법률적 고려 사항을 다룰 수 있음 예시:창업을 위한 문제 해결 과정을 탐구하며 기업이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수행하는 방식에 대해 조사함. Livelihood Asset(생계 자산) 개념을 활용하여 환경 보호를 위한 창업 모델을 구상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을 깨달음. [국어]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창업 아이디어를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발표하는 과정설득력 있는 비즈니스 제안서, 광고 문구 등을 작성하며 설득 전략 분석예시:창업 아이디어 발표 활동에서 고객 대상(PBL 분석)과 차별성(USP, Unique Selling Proposition)을 강조하는 전략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피칭을 진행함. 청중의 반응을 분석하며 논리적 설득 구조의 중요성을 체험함. [수학] 확률과 통계, 경제수학창업 아이디어의 시장 조사에서 확률과 통계를 적용고객 분석,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과정 활용예시:창업 아이디어의 시장성을 검토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활용함. 설문조사를 통해 고객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고, 수익구조(BM)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확률 분포와 평균 기대값 개념을 적용함.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중요성을 경험함. [정보] 컴퓨터 과학, 데이터 분석, 프로그래밍창업 관련 앱 개발, 웹사이트 제작 과정고객 행동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예시:창업 프로젝트에서 고객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개발하며 Python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함. 고객의 선호도를 반영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비즈니스 운영의 가능성을 탐색함. 2. 세특에 활용할 수 있는 핵심 키워드 창업 과정: 문제 해결형 창업, 비즈니스 모델(BM), PBL(Problem-Based Learning), 고객 분석, 자원(Asset) 분석사회적 영향: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공익 창업(Social Enterprise)데이터 활용: 시장 조사, 통계 분석, 고객 데이터, 확률 및 경제 모델 적용창업 기획 역량: 아이디어 개발, 논리적 사고, 의사결정 과정, 설득력 있는 피칭 3. 창업 프로젝트 경험이 없다면? ✅ 창업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가상의 창업 계획서 작성✅ 뉴스, 다큐멘터리 분석 후 창업과 관련된 의견 정리✅ 창업 관련 서적을 읽고 느낀 점 정리✅ 주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탐색 예를 들어, 단순히 “창업에 관심이 있음”이라고 쓰는 것이 아니라,"음식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통기한이 임박한 제품을 할인 판매하는 플랫폼’을 기획함. 고객 분석 과정에서 경제적 가격 민감도가 높은 소비자층이 주요 타깃임을 발견함."이처럼 구체적인 경험과 분석 과정을 녹여야 합니다!2025.03.25
-
대학생활졸업 후 취업 vs 대학원 – 미리 준비하면 좋은 커리어 계획졸업 후 취업 vs 대학원 – 미리 준비하면 좋은 커리어 계획 대학 졸업 후 취업과 대학원 진학 중 어떤 선택을 할지는 중요한 인생의 전환점입니다. 이 선택은 미래의 커리어와 라이프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졸업 후 어떤 경로를 택할지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각 선택의 장단점과 목표에 맞는 준비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취업과 대학원 진학에 대한 선택을 돕기 위한 커리어 계획을 제시하겠습니다. 1. 취업을 선택한 경우 1.1 취업 준비의 핵심 요소자기 분석: 졸업 후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 먼저 자신의 강점, 관심사, 그리고 가치관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어떤 직업이 적합할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산업 연구: 원하는 분야의 산업 동향과 핫한 직무를 파악하고, 해당 분야에서 어떤 역량을 키워야 할지 고민해야 합니다.경력 개발: 인턴십, 아르바이트, 프로젝트 경험 등은 취업 준비에 큰 도움이 됩니다. 졸업 전 다양한 경험을 쌓아두면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네트워킹: 취업 활동에서 인맥은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 분야의 전문가와의 연결을 강화하거나, 동문회, 취업 박람회 등에서 인맥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이력서와 자기소개서 준비: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는 자신의 경험을 잘 표현할 수 있어야 하므로, 여러 번 작성하고 피드백을 받아 수정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1.2 취업을 준비할 때의 고려 사항업무 환경: 회사의 문화와 업무 강도는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영향을 미칩니다. 취업 후의 업무 환경에 대한 충분한 조사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직장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직무 선택: 직무에 따라 필요한 기술 스택이나 자격증 등이 다르므로, 이를 미리 준비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IT 분야에서는 프로그래밍 언어나 데이터 분석 등의 기술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급여와 복지: 취업 후 얻을 수 있는 급여와 복지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자신이 원하는 수준의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고려해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1.3 취업 후 커리어 발전초기 경력 관리: 첫 직장에서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직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리더십이나 팀워크를 배우고, 자기계발을 계속해 나가야 합니다.자기계발: 취업 후에도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전문성을 높여야 합니다. 전문 자격증이나 업계 동향에 대한 학습을 계속하며 경쟁력을 유지하세요. 2. 대학원 진학을 선택한 경우 2.1 대학원 진학 준비의 핵심 요소목표 설정: 대학원 진학을 결심하기 전에 왜 대학원에 가고 싶은지, 어떤 연구나 전문 지식을 쌓고 싶은지 명확히 해야 합니다. 대학원 진학은 더 깊이 있는 전문 지식과 연구를 요구합니다.학문적 관심사: 대학원에서는 학문적인 깊이가 필요하므로, 자신의 학문적 관심사를 명확히 하고 이를 심화할 수 있는 지도 교수나 연구 주제를 선택해야 합니다.학비와 연구비: 대학원에서는 학비와 연구비가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됩니다. 학비 지원이나 연구비가 충분히 지원되는지, 장학금이나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미리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학위 취득 후 진로: 대학원에서 석사나 박사를 취득한 후의 진로를 고려해야 합니다. 일부 전공은 학위를 통해 연구직이나 고위 직책에 진입할 수 있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실무 경험이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2.2 대학원 진학을 선택할 때의 고려 사항연구 환경: 대학원은 연구 중심의 환경이므로, 연구실의 분위기와 지도 교수의 지도 스타일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연구 분야를 잘 지원하는 교수와 함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진로 기회: 대학원 졸업 후에는 연구직, 학계에서 교수직을 목표로 할 수도 있고, 산업계에서 기술 전문가로서 활동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직업 분야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를 미리 고려해보세요.심리적 부담: 대학원은 학업과 연구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요구합니다.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정신적 준비와 열정이 필요합니다. 2.3 대학원 졸업 후 커리어 발전연구 및 개발 직무: 대학원에서 연구를 진행한 후, 연구소나 기업 연구팀에서 연구개발(R&D) 직무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학계: 박사 과정까지 진행한 후에는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교수나 연구원 직무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학문적 커리어를 이어갈 계획이 있다면 대학원에서의 경험이 필수적입니다.산업계 기술 직무: 대학원에서 배운 고급 기술이나 전문 지식을 기반으로 기업에서 기술 전문가나 컨설턴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3. 취업 vs 대학원: 나에게 맞는 커리어 계획 3.1 자신의 목표와 성향에 맞는 선택취업을 선택할 경우: 실용적이고 빨리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싶은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빠르게 사회적 경험을 쌓고 싶고, 경제적 자립을 중요시하는 경우 취업이 좋은 선택입니다.대학원 진학을 선택할 경우: 학문적 탐구와 전문성을 키우고 싶은 사람에게 적합합니다. 연구, 고급 지식 습득, 또는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를 원하는 경우 대학원 진학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3.2 혼합 경로취업 후 대학원 진학: 일부는 먼저 취업을 한 후, 실무 경험을 쌓은 뒤 대학원에 진학해 전문성을 더욱 심화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하면 산업계의 필요와 학문적 지식을 결합할 수 있습니다.대학원 후 취업: 대학원에서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한 후, 전문 연구직이나 고급 기술 직무에 진입하는 것도 하나의 경로입니다. 취업과 대학원 진학은 각기 다른 커리어 목표를 위한 선택입니다. 자신의 성향과 목표를 명확히 하고, 각 선택에 맞는 준비를 충분히 하면, 졸업 후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미리 커리어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맞는 계획을 세워 나가면 더 뚜렷한 방향으로 커리어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2025.02.28
-
대학생활대학생 필수 아이템 추천 – 대학생이 사두면 좋은 물건들대학생 필수 아이템 추천 – 대학생이 사두면 좋은 물건들 대학생이 되어 다양한 과제와 활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는 필수 아이템 준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학업, 생활, 그리고 여유 시간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건들을 추천드립니다. 이 아이템들은 대학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효율성과 편안함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1. 학업 관련 아이템 1.1 노트북추천 이유: 대학 생활에서는 온라인 강의와 과제 작성, 자료 조사 등 다양한 작업을 노트북에서 할 수 있습니다.추천 모델: Apple MacBook Air, Dell XPS 13, Lenovo ThinkPad 등의 경량화된 모델은 휴대성도 좋고, 성능도 뛰어나며 대학 생활에 적합합니다. 1.2 디지털 펜/스마트 노트추천 이유: 손으로 쓴 노트를 디지털화하여 복습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이패드와 함께 사용하면 애플 펜슬을 이용해 효율적인 디지털 필기가 가능합니다. 2. 생활 관련 아이템 2.1 멀티탭추천 이유: 대학생들은 여러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멀티탭은 반드시 필요한 아이템입니다. 전자기기 충전, 컴퓨터, 램프 등 다양한 기기를 한 번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추천 모델: 스마트 멀티탭은 USB 포트가 포함된 제품으로, 충전 기기와 전자기기를 동시에 사용하기 좋습니다. 2.2 텀블러추천 이유: 커피, 차 등 음료를 자주 마시는 대학생들에게 텀블러는 필수입니다. 텀블러는 음료의 온도를 오래 유지시켜 주며, 환경을 생각한 실용적인 아이템입니다.추천 모델: 스타벅스 텀블러, 스테인리스 텀블러는 디자인도 다양하고 보온/보냉 기능이 뛰어납니다. 2.3 기숙사/자취 공간 청소용품추천 이유: 기숙사나 자취방에서 생활할 때 청소용품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바쁜 일정을 고려하여 소형 청소기나 미니 빗자루 등을 준비해두면 좋습니다.추천 모델: 로보틱 청소기는 자동으로 청소가 가능하고, 핸디형 청소기는 좁은 공간에서 유용합니다. 3. 건강 및 운동 관련 아이템 3.1 스마트 워치추천 이유: 스마트 워치는 운동량, 수면을 추적할 수 있어 건강 관리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알림을 통해 중요한 메시지나 전화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추천 모델: Apple Watch, Samsung Galaxy Watch는 운동과 건강 관리에 유용하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3.2 휴대용 마사지기추천 이유: 공부나 운동 후에 피로가 쌓이기 쉽기 때문에, 휴대용 마사지기로 근육 이완과 스트레스 해소를 도울 수 있습니다.추천 모델: 휴대용 진동 마사지기나 소형 손 마사지기는 가볍고 이동하기 편리합니다. 3.3 운동화추천 이유: 건강을 챙기고, 운동할 때 좋은 운동화는 매우 중요합니다. 캠퍼스 내에서도 걷기와 자전거 등 이동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추천 모델: Nike, Adidas 운동화는 편안함과 디자인이 뛰어나며, 캠퍼스 생활에 유용합니다. 4. 여가 및 취미 관련 아이템 4.1 블루투스 이어폰추천 이유: 수업을 듣거나, 음악을 들을 때 블루투스 이어폰은 필수 아이템입니다. 특히 무선 이어폰은 편리성이 뛰어나며, 이동 중에도 유용합니다.추천 모델: Apple AirPods, Sony WF-1000XM4는 뛰어난 음질과 노이즈 캔슬링 기능으로 유명합니다. 4.2 책 읽기 도구추천 이유: 공부 외에도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한 대학생활에서 전자책 리더기나 책갈피는 유용합니다.추천 모델: Amazon Kindle는 여러 책을 저장할 수 있고, 휴대성이 좋아 편리합니다. 또한, 책갈피는 종이책을 읽을 때 필요한 아이템입니다. 4.3 카메라추천 이유: 대학생 시절의 소중한 추억을 남길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 카메라는 여가 시간에 취미 활동으로 촬영을 즐기기에 좋습니다.추천 모델: Canon EOS M50 또는 Sony Alpha 시리즈는 입문자에게도 적합한 가성비 좋은 카메라입니다. 5. 학생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줄 아이템 5.1 학생증 케이스추천 이유: 학생증과 교통카드 등을 정리할 수 있는 케이스는 편리합니다. 특히, 캠퍼스 내에서 자주 사용해야 하므로 카드와 현금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를 준비하세요. 5.2 휴대용 충전기 (Power Bank)추천 이유: 긴 강의 시간이나 외출 시에 스마트폰 배터리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휴대용 충전기는 필수 아이템입니다. 20000mAh 정도의 용량을 가진 제품이 좋습니다. 5.3 학생 할인가전 및 앱추천 이유: 대학생은 할인 혜택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 온라인 쇼핑이나 서비스 앱에서 제공하는 학생 전용 할인 혜택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소비가 가능합니다. 대학생이 되어 다양한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아이템들을 준비하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학업과 생활, 건강 관리를 돕는 필수 아이템들을 갖추면 더욱 효율적이고 즐거운 대학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추천 아이템을 참고하여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물건들을 선택해보세요!2025.02.28
-
대학생활운동 & 건강 관리 – 대학생이 쉽게 할 수 있는 자기 관리 루틴운동 & 건강 관리 – 대학생이 쉽게 할 수 있는 자기 관리 루틴 대학생 시절은 학업, 사회 활동, 인간 관계 등 다양한 일이 겹치는 바쁜 시기입니다. 그만큼 자기 관리와 건강 관리도 중요한데, 운동과 건강 관리 루틴을 잘 세워두면 신체적, 정신적 효율성도 높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대학생들이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운동과 건강 관리 루틴을 소개해드릴게요!! 1. 운동 루틴 1.1 짧고 간단한 홈트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대학생들은 시간과 장소가 제한적일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홈트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짧고 강렬한 운동은 시간을 절약하면서도 체력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운동 종류:플랭크 (Plank): 30초~1분 동안 버티기, 코어 강화푸시업 (Push-up): 10~15회, 상체 근력 강화스쿼트 (Squat): 15~20회, 하체 근력 강화버피 (Burpees): 10~15회, 전신 운동으로 유산소 및 근력 강화마운틴 클라이머 (Mountain Climber): 30초~1분, 체지방 연소주 3~4회 정도, 각 운동을 30분~1시간 정도 진행하면 충분합니다. 운동 시간과 빈도를 점차 늘려가며 점진적으로 운동 강도를 조절하세요.1.2 조깅 또는 걷기운동 강도: 30분~1시간 걷기 또는 가벼운 조깅효과: 유산소 운동으로 심폐 기능을 향상시키고, 체지방 감소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자주 하기 좋은 시간: 아침에 일어나서 또는 하루 마무리 전. 학기 중에 바쁠 때는 주말에 시간을 내서 나가보세요.1.3 요가 또는 스트레칭운동 강도: 낮음, 20~30분효과: 몸의 유연성을 높이고, 스트레스 완화와 자세 교정에 좋습니다.추천 루틴: 아침 또는 자기 전에 호흡을 의식하며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하루를 시작하거나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앱 추천: Daily Yoga 또는 Yoga for Beginners와 같은 앱을 활용해 요가 자세를 따라 할 수 있습니다. 2. 건강 관리 루틴2.1 영양 관리바쁜 대학 생활 속에서 불규칙한 식사와 간편한 음료가 많은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균형 잡힌 식사를 시도해보세요.아침: 단백질 + 채소 중심으로 간단한 스크램블 에그, 오트밀, 과일 등을 섭취합니다.점심: 탄수화물, 단백질, 채소를 고루 섭취하는 한 끼 (예: 닭가슴살 샐러드, 잡곡밥, 된장국 등).저녁: 가벼운 식사로 과일, 견과류, 요거트 등을 섭취하고, 너무 많이 먹지 않도록 주의합니다.간식: 과일이나 견과류로 건강한 간식을 섭취하고, 과자나 기름진 음식은 피합니다.2.2 수분 섭취물은 신체의 대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하루에 1.5~2리터 정도의 물을 꾸준히 마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공부나 운동 중에 수분 보충을 잘 해야 집중력과 체력이 유지됩니다.2.3 수면 관리목표 수면 시간: 하루 7~8시간은 충분히 자야 합니다. 수면 부족은 학습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고,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수면 루틴: 매일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전자기기 사용을 줄여 잠들기 전에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2.4 정신 건강 관리대학생활에서의 스트레스는 자연스러운 부분이지만, 이를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명상: 짧은 시간이라도 명상을 통해 마음을 다스리면 스트레스가 완화됩니다. Headspace나 Calm 같은 앱을 사용해보세요.자기 전 책 읽기: 잠들기 전, 편안한 책을 읽으며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친구와의 대화: 어려운 일이 있으면 혼자 고민하지 말고, 가까운 친구와 대화하며 감정을 풀어보세요. 3. 효율적인 운동 & 건강 관리 방법 3.1 30분 운동 습관 만들기운동 시간을 30분으로 설정하고, 주 3~4회 실천하는 것으로 자신감을 얻고 꾸준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운동 후에는 가벼운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 이완과 피로 회복을 도와주세요.3.2 하루에 한 번은 몸을 움직이기바쁘고 지친 하루 속에서도 한 번의 운동 루틴을 만들어 놓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운동은 강도가 높지 않더라도 꾸준히 하면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3.3 간단한 규칙 세우기운동은 ‘오늘은 운동을 해야지’가 아니라 ‘매일 아침 8시에는 10분 스트레칭’을 하는 등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해 실천하면 더 쉽게 습관화할 수 있습니다. 대학생은 바쁜 일정 속에서 운동과 건강 관리 루틴을 잘 맞춰야 합니다. 짧고 간단한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고, 식사, 수면, 수분 등을 건강하게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운동과 건강 관리는 자기 효율성과 정신적 안정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꾸준히 실천하며 자기 관리를 해보세요!2025.02.28
-
대학생활대학생을 위한 앱 & 사이트 추천 –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도구들대학생을 위한 앱 & 사이트 추천 –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도구들 대학생들은 바쁜 학업과 다양한 활동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여러 앱과 웹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학습 관리, 시간 관리, 정보 검색 등 여러 분야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앱과 사이트를 추천드립니다. 각 앱과 사이트는 공부 효율을 높이고, 일정 관리를 돕는 데 유용합니다. 1. 학습 관리 및 계획 도구1.1 Notion특징: Notion은 노트, 할 일 목록, 프로젝트 관리, 일정 등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합니다. 개인적인 스터디 플래너를 만들거나, 과제 관리를 할 때 유용합니다.장점: 템플릿을 활용하여 과제나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협업 기능도 있어 팀 프로젝트나 스터디 그룹에 유용합니다.추천 이유: 자유롭게 조직할 수 있고, 학업과 생활을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1.2 Google Calendar특징: Google Calendar는 일정 관리 앱으로, 수업 시간표, 과제 마감일, 시험 일정 등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장점: 다양한 일정과 알림을 설정할 수 있고, 다른 사람과 일정 공유가 가능하여 팀 프로젝트나 스터디 모임에도 유용합니다.추천 이유: 시간 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어, 바쁜 대학 생활에서 중요한 일정들을 놓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2. 효율적인 공부 도구 2.1 Anki특징: Anki는 스페이스드 리허설(간격 반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플래시카드를 통한 학습을 돕는 앱입니다. 특히 암기 과목에 유용합니다.장점: 암기 내용을 반복적으로 학습해 장기 기억에 도움이 되며, 효율적인 복습을 할 수 있습니다.추천 이유: 의학, 공학, 외국어 등 암기 위주의 학습에 매우 유용하고, 모바일과 PC에서 동기화되어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습니다.2.2 Forest특징: 집중력 향상 앱으로, 공부 중에 나무를 심고 자라는 방식으로 시간을 추적합니다. 집중 시간 동안 나무가 자라며, 방해가 될 때마다 나무가 죽어버리기 때문에 게임처럼 재미있게 집중할 수 있습니다.장점: 시간 관리와 집중력 유지에 효과적이고, 나무가 자라는 것을 보며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추천 이유: 시간을 잘 관리하고 집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앱으로, Pomodoro 기법을 응용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과제 작성 및 리서치 도구 3.1 Google Scholar특징: Google Scholar는 학술 논문과 연구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구글의 학술 검색 엔진입니다.장점: 다양한 분야의 논문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연구 자료나 참고 문헌을 찾는 데 유용합니다.추천 이유: 과제나 레포트 작성 시 필요한 신뢰성 있는 자료를 찾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3.2 Grammarly특징: 영어 글쓰기 도우미 앱으로, 문법과 스타일을 자동으로 검사해주는 도구입니다.장점: 영어 에세이나 리포트 작성 시 문법적 오류를 줄여주고, 문장의 흐름을 매끄럽게 만듭니다. 영어 공부에도 유용합니다.추천 이유: 영어 과제나 리포트를 쓸 때, 문법 검사와 스타일 체크를 도와줘서 더 나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4. 집중력 및 휴식 관리 도구 4.1 Pomodone특징: Pomodone은 Pomodoro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타이머 앱입니다. 25분 간 집중하고 5분 휴식하는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장점: 시간 관리에 최적화된 앱으로, 효율적인 짧은 시간 집중과 휴식을 반복하며 학습할 수 있습니다.추천 이유: 집중력을 유지하며 과제를 하거나 공부할 때, 효율적으로 시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4.2 Calm특징: Calm은 명상과 휴식을 위한 앱으로, 스트레스 완화와 집중력 향상을 돕습니다. 자연의 소리나 명상 가이드를 제공하여 정신적 리프레시를 돕습니다.장점: 스트레스 해소와 마음의 안정을 도와주어, 학업에 대한 부담을 덜어줍니다.추천 이유: 집중이 필요할 때 정신적인 안정을 찾고 싶은 경우에 유용하며, 학습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5. 영어 공부 및 언어 학습 도구 5.1 Duolingo특징: Duolingo는 다양한 언어를 게임처럼 배우는 앱입니다. 기초부터 고급까지 레벨에 맞는 학습이 가능합니다.장점: 다양한 언어를 무료로 배울 수 있으며, 짧은 시간 안에 어휘와 문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추천 이유: 외국어를 공부해야 하는 대학생들에게 효율적이고 재미있는 학습을 제공합니다.5.2 Memrise특징: Memrise는 단어 암기와 언어 학습을 지원하는 앱입니다. 네이티브 발음을 포함한 학습 방법으로 실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을 배울 수 있습니다.장점: 언어 어휘력을 확장하고, 실제 상황에 유용한 표현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추천 이유: 어휘력과 실용적인 표현을 배우기에 유용하며, 짧은 시간에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 6. 참고 자료 및 온라인 강의 6.1 Coursera특징: Coursera는 전 세계의 유명 대학과 협력하여 제공하는 온라인 강의 플랫폼입니다.장점: 전공 관련 강의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전문 강의를 들을 수 있으며, 수료증도 받을 수 있습니다.추천 이유: 심화 학습을 원하거나, 전공 외에 다양한 기술을 배우고 싶다면 Coursera를 추천합니다.6.2 Khan Academy특징: Khan Academy는 무료로 제공되는 학습 자료와 동영상 강의를 통해 다양한 과목을 공부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장점: 기초부터 심화까지 폭넓은 과목을 다루며,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추천 이유: 수학, 과학, 역사 등 다양한 과목에 대한 기초 학습이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대학생들이 공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앱과 사이트들이 존재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도구를 선택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간 관리와 정신적 안정을 돕는 데 활용해보세요!2025.02.28
-
대학생활기숙사 vs 자취 vs 통학 – 각 생활의 장단점과 선택 팁기숙사 vs 자취 vs 통학 – 각 생활의 장단점과 선택 팁 대학 생활을 시작하며 가장 중요한 선택 중 하나는 어디서 살 것인가입니다. 기숙사, 자취, 통학 각각의 생활은 특성과 장단점이 뚜렷하기 때문에, 어떤 환경이 자신에게 더 맞을지 고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각 생활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그에 맞는 선택 팁을 제시해드릴게요! 1. 기숙사 생활기숙사는 대학 내에서 제공하는 숙소로,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신입생들에게 우선적으로 배정해줍니다. 친구들과 함께 공동 생활을 하는 형태로, 여러모로 편리한 점이 많지만, 개인적인 부분에서 불편한 점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장점비용 절감: 기숙사는 자취보다는 월세가 저렴하며, 일부 대학은 식사 제공(식권)을 해주기도 해서 추가적인 비용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편리한 위치: 캠퍼스 내 위치하거나 근처에 있어, 등하교가 매우 편리합니다. 학교와 가까워 학업에 집중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사회적 네트워킹: 기숙사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친구들을 많이 사귈 수 있어요. 공동 생활을 하면서 사회적 관계를 쌓고, 친밀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학교 행사 참여 용이: 학교 행사나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기에 용이합니다.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어요.단점개인적인 공간 부족: 기숙사는 대부분 개인 공간이 좁고, 공용 공간을 함께 사용해야 하므로 프라이버시가 부족합니다. 다른 사람과 함께 살다 보면 서로 배려해야 할 점이 많습니다.제약과 규제: 기숙사에서는 식사 시간, 외출 시간 등 여러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규칙에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어요.소음 문제: 다른 사람들과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부에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어요. 선택 팁만약 편리한 학습 환경과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을 중요시한다면 기숙사 생활이 좋습니다.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거나 독립적인 생활을 원한다면 기숙사는 다소 불편할 수 있습니다. 2. 자취 생활자취는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자유롭게 생활하는 방식으로, 기숙사나 통학보다는 더 많은 자율성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생활비와 관리가 더 복잡할 수 있습니다. 장점자율성: 자취는 자신의 생활 패턴에 맞게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어 자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식사 시간이나 외출 시간에 제약이 없고, 자신만의 공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프라이버시: 완전한 개인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프라이버시가 보장됩니다. 친구들을 초대하거나 혼자 있는 시간을 자유롭게 보낼 수 있습니다.위치 선택: 원하는 동네나 위치에서 생활할 수 있으므로, 학교와의 거리와 주변 환경을 고려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단점비용 부담: 자취는 기숙사보다 상대적으로 월세나 관리비가 비쌉니다. 또한 식비나 기타 생활비도 추가로 발생하므로, 경제적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혼자서 모든 것을 처리: 자취는 집안일, 세금, 수도 요금 등 혼자서 모든 일을 처리해야 하므로 부담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집을 청소하거나 수리하는 등 관리가 필요합니다.외로움: 혼자 생활하는 만큼 외로움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혼자 지내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사회적 관계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선택 팁자율적인 생활과 프라이버시를 중요시하고, 경제적 부담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 자취가 적합합니다.혼자 지내는 것에 대해 부담이 느껴지거나 소셜 활동을 많이 하고 싶다면 자취보다는 기숙사나 통학을 고려해보세요. 3. 통학 생활통학은 집에서 학교까지 매일 출퇴근하는 형태입니다. 부모님과 함께 살거나 외부에서 집을 얻어 생활하는 경우입니다. 장점비용 절감: 통학은 기숙사나 자취에 비해 비용 부담이 가장 적습니다. 집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식비나 주거비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안정된 환경: 집에서 살면 익숙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어서 정서적인 안정감이 있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지내며 감정적으로 더 안정될 수 있어요.자유로운 생활: 통학은 기숙사처럼 규제나 제약이 없고, 자취처럼 혼자서 모든 것을 처리할 필요도 없습니다. 자유롭고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습니다.단점시간과 피로: 학교와 집이 멀다면 통학에 드는 시간과 피로가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출퇴근 시간이 길어지면 학업에 집중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학교와의 거리: 학교와 집이 멀면 등하교 시간이 많이 소모되어, 학습이나 여가 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사회적 기회 부족: 통학을 하면 학교에서 친구들과의 네트워킹 기회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기숙사나 자취처럼 학교와 가까운 곳에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선택 팁비용 절감과 가정 환경의 안정을 원한다면 통학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하지만 시간적 여유와 사회적 활동을 중요시한다면 통학보다는 기숙사나 자취가 더 나을 수 있습니다. 결론기숙사, 자취, 통학 각각의 생활 방식은 장단점이 뚜렷합니다. 편리한 위치와 사회적 관계를 중시한다면 기숙사, 자율성과 프라이버시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자취, 경제적 안정과 부모님과의 생활을 우선시한다면 통학이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자신이 어떤 생활을 하고 싶은지, 어떤 점에 더 중점을 두고 선택할지를 고민해보세요. 결국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환경을 선택하여 효율적으로 학업을 이어가는 것입니다.2025.02.28
-
대학생활대학 도서관 & 자료실 활용법 – 과제 & 공부에 도움 되는 필수 장소대학 도서관 & 자료실 활용법 – 과제 & 공부에 도움 되는 필수 장소 대학 도서관과 자료실은 학문적 성장을 위한 중요한 공간이죠. 과제와 공부를 위해 이곳을 잘 활용하는 방법을 알면, 학업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도서관과 자료실은 단순히 책을 빌리는 곳을 넘어, 공부와 연구의 중심지로 활용될 수 있어요. 이 공간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대학 도서관의 활용법대학 도서관은 공부와 과제를 하는 데 매우 유용한 공간입니다. 책을 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료와 학술적인 환경이 갖춰져 있어 학문적 작업을 하는 데 필요한 여러 자원을 제공합니다.자료 검색 및 대출: 도서관의 첫 번째 활용 방법은 자료를 찾고 대출하는 것입니다. 대학교마다 전자 도서관 시스템이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책이나 논문을 검색하고 대출할 수 있습니다. 학술적인 과제나 레포트를 준비할 때는 전문적인 학술서적이나 논문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도서관의 검색 시스템을 잘 활용해 필요한 자료를 찾아보세요.학술 자료 검색: 도서관에서는 다양한 학술 자료들, 예를 들어 저널, 학위논문, 연구 보고서 등을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전공에 관련된 최신 연구 결과나 논문을 통해 과제나 리포트를 보다 심도 있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도서관 내에 전자 자료실이나 논문 검색 시스템이 제공되는 경우도 많으니,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세요.조용한 학습 공간: 도서관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입니다. 대개 대학 도서관은 특정 구역에 독서실을 마련해 놓고, 그곳에서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혼자 공부할 때나 과제를 할 때, 이런 공간을 이용하면 방해받지 않고 집중할 수 있어요. 2. 대학 자료실 활용법자료실은 도서관보다 한 단계 더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자료를 다루는 공간입니다. 과제나 연구를 할 때, 자료실의 활용이 중요합니다.학술 자료와 참고 문헌 활용: 자료실은 대체로 논문, 연구 보고서, 통계 자료 등 깊이 있는 학술 자료가 가득한 공간입니다. 과제를 할 때는 그 분야에 대한 기존 연구나 이론을 참고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료실에서 제공하는 각종 학술지나 연구보고서들을 참고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교수님이 추천한 자료 찾기: 교수님들이 수업 중에 추천해주신 자료나 참고 도서가 있을 때, 자료실에서 이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희귀한 책이나 논문은 도서관에서 바로 찾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자료실에서 찾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고급 자료 활용: 자료실은 종종 특별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험 데이터, 통계 자료, 정부 발행 자료와 같은 전문적인 자료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자료들은 고급 과제나 연구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료실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해 심화된 학습을 해보세요. 3. 도서관과 자료실의 집중 공간 활용하기도서관과 자료실은 학습에 최적화된 공간입니다. 이곳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먼저 환경을 잘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장소를 선택해야 합니다.개별 학습 공간 활용: 도서관 내에는 개별 학습 공간이 구비되어 있어 혼자 공부하는 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조용한 분위기에서 집중할 수 있고, 필요할 경우 인터넷을 통해 추가적인 자료를 찾아보기도 용이합니다.스터디 룸 예약하기: 많은 대학 도서관은 스터디 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혼자 공부하거나 소규모 그룹 스터디를 할 때, 이런 룸을 예약해서 공부하면 보다 집중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과제가 그룹 작업인 경우, 스터디 룸에서 서로 의견을 나누고 협력하면서 과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디지털 자료실 활용하기: 전자책, 전자저널, 데이터베이스 등 디지털 자료들이 도서관에서 많이 제공됩니다. e-Book이나 디지털 학술지에 접근할 수 있으면, 빠르고 쉽게 자료를 찾을 수 있습니다. 4. 도서관 & 자료실에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팁도서관과 자료실에서 시간을 효율적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목표 설정: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무엇을 할 것인지 미리 정해두세요. 과제나 연구가 있는 경우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시간을 정해두면 효율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휴식도 필요: 집중해서 공부하다 보면 지칠 수 있어요. 일정 시간을 공부한 후 짧은 휴식을 취하면서 리프레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과제를 마무리하거나 공부를 마친 후에는 자신에게 작은 보상을 주며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어요.도서관 운영 시간 체크: 도서관은 일정 시간 동안만 개방되므로, 운영 시간을 미리 체크해 두세요. 특히 시험 기간이나 과제 마감일에는 이용 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시간에 맞춰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5. 도서관 내 행사나 프로그램 활용하기도서관에서는 때때로 특강, 워크숍, 연구 모임 등이 열리기도 합니다. 이런 프로그램에 참여하면, 공부에 필요한 기술이나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유익합니다. 또한, 교수님들이나 동료들과의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대학 도서관과 자료실은 학문적 자원과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곳을 잘 활용하면 과제나 공부가 한층 더 효과적이고 깊이 있게 진행될 수 있어요.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자신에게 맞는 공간에서 공부하며, 학문적인 성취를 이룰 수 있습니다. 이 두 곳은 대학 생활에서 중요한 학습의 중심이 될 수 있으니, 잘 활용해보세요!2025.02.28
-
대학생활MT & 대학 축제 100% 즐기는 법MT & 대학 축제 100% 즐기는 법 – 대학 생활의 꽃을 만끽하는 방법 대학에 입학하면 첫 학기 동안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기도 하고, 많은 고민과 스트레스가 생길 수 있지만, 그 안에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들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대학 생활에서 MT(새내기MT)와 대학 축제는 정말 특별한 경험이죠! MT와 대학 축제는 단순히 즐기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서로 다른 학년과 다양한 전공의 사람들과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시간을 통해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고, 다양한 추억을 쌓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MT에서 마음껏 놀기 MT는 대학 생활의 초입에서 친구들을 만들고,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다 함께 여행을 가는 것처럼, 학교와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지는 MT는 팀워크를 키우고 친목을 다지기 위해 만들어진 행사입니다. 여기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가 중요해요. 동아리나 친구들과 팀을 구성하기: MT에서는 다양한 활동을 팀 단위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아리 활동이나 학과 친구들과 미리 팀을 구성하여 게임이나 미션을 수행하면 친밀감을 더 쉽게 쌓을 수 있어요. MT의 재미는 다 함께 어울려 하는 활동에서 배가 되니까요.게임과 활동에 적극 참여하기: MT에서 열리는 게임이나 활동들은 모두 사람들이 친해질 수 있도록 마련된 이벤트입니다. 게임에서 이기기 위해 전략을 짜거나, 팀워크를 발휘하는 경험을 통해 서로를 더욱 잘 알게 됩니다. 처음에는 어색할 수 있지만, 다 함께 어울려 하다 보면 금세 즐거워지고 자연스럽게 친해지게 돼요.음악과 춤으로 분위기 즐기기: MT의 밤에는 종종 음악 파티나 춤이 진행되기도 합니다. 좋아하는 노래가 나오면 그 순간을 함께 즐겨보세요. 춤을 추거나 노래를 부르면서 친구들과 함께 에너지를 나누는 경험은 정말 특별하고, 나중에 돌아보았을 때 좋은 추억으로 남게 될 것입니다. 2. 대학 축제에서 최대한 즐기기대학 축제는 학교의 다양한 문화와 분위기를 한껏 느낄 수 있는 기회입니다. 교수님, 선배, 후배들이 모두 모여 함께 웃고 즐기며 에너지를 나누는 이 특별한 날들을 어떻게 즐길 수 있을까요?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대학 축제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됩니다. 공연, 푸드트럭, 게임, 전시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으니, 시간 나는 대로 여러 가지를 체험해 보세요. 아마 생각지 못한 재미를 찾을 수 있을 거예요. 특히 축제 기간에는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나 콘서트가 열리기도 해서 좋아하는 아티스트나 동아리의 공연을 보는 것도 큰 즐거움입니다.친구들과 함께 즐기기: 대학 축제는 혼자보다는 친구들과 함께 가는 것이 훨씬 더 재미있습니다. 친구들과 함께 축제에 참여해, 맛있는 음식을 나누어 먹고, 함께 공연을 즐기고, 게임에 참여하는 동안 웃고 떠들며 특별한 순간들을 만드세요. 이런 순간들이 기억에 오래 남을 거예요. 혼자 가기보다 친구들이랑 함께 가면 훨씬 더 활기차고 즐겁게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축제의 분위기를 즐기기: 축제는 언제나 밝고 에너지 넘치는 분위기가 특징입니다. 사람들의 웃음소리와 음악 소리가 가득한 곳에서, 그저 떠들고 즐기며 자유롭게 시간을 보내는 것만으로도 큰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축제 기간 동안은 일상적인 고민을 잠시 내려놓고 마음껏 즐겨보세요. 3. 즐기면서 기억에 남는 순간 만들기MT나 대학 축제에서의 순간은 모두 중요한 추억이 될 수 있습니다. 그 순간을 어떻게 기억할지, 그 기억을 어떻게 남길지 고민해보세요. 사진과 영상으로 추억 남기기: 행사 중에는 서로의 모습을 사진이나 영상으로 남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MT에서, 축제에서 그 순간의 즐거운 분위기를 담아두면 나중에 돌아보았을 때 정말 소중한 기억이 됩니다. 친구들과 함께 찍은 사진은 나중에 웃음과 감동을 주는 훌륭한 추억이 될 거예요.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 대학은 다양한 사람들이 모인 곳입니다. MT와 축제는 그 사람들과 자연스럽게 친해질 수 있는 기회죠. 새로운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다양한 인맥을 쌓을 수 있고, 그 인맥이 나중에 많은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학기 중에 만나면 더욱 친근하게 대할 수 있겠죠? 4. 에너지 관리하기MT와 대학 축제는 정신없이 놀다 보면 체력이 금방 소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에너지 관리를 잘하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적당히 쉬기: 너무 무리해서 놀면 체력이 떨어지거나 피로해질 수 있어요. MT나 축제 중간중간 잠깐씩 휴식을 취하면서 에너지를 보충하세요. 그래야 더 오래 즐길 수 있습니다.건강 관리: 과음이나 과로로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건강입니다. 축제나 MT의 분위기에서 과하게 마시거나 무리하게 놀지 말고, 적당한 선에서 즐기세요. 그래야 나중에 돌아오는 피로가 적고, 더 오랫동안 즐길 수 있습니다. 대학에서의 MT와 축제는 자기 자신을 리프레시하고, 새로운 사람들과 소통하는 기회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두 행사들은 대학 생활을 더욱 풍성하고 의미 있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부분이죠. 이 기회들을 통해 많은 추억을 쌓고, 친구들을 만나고, 대학 생활을 최대한 즐기세요!2025.02.28
-
대학생활대학생 알바 추천 & 병행하는 법대학생 알바 추천 & 병행하는 법 – 시간 관리와 효율적인 알바 선택대학교에 입학하면 생활비나 용돈을 벌기 위해 알바(아르바이트) 를 고민하는 사람이 많아요. 하지만 학업과 병행하면서 할 수 있는 알바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번 글에서는 대학생이 하기 좋은 알바 추천, 시간 관리 방법, 학업과 알바를 병행하는 팁을 정리해 드릴게요! 1. 대학생이 많이 하는 알바 추천 ???? 1) 학업과 병행하기 쉬운 알바✅ 과외 & 학원 보조 – 시급이 높고 공부에도 도움 됨✅ 스터디 카페, 독서실 알바 – 비교적 조용하고 틈틈이 공부 가능✅ 편의점 야간 근무 – 바쁜 시간대만 지나면 할 일 적음✅ PC방, 노래방 카운터 – 손님 없는 시간에 쉬는 시간 많음???? TIP: 학업과 병행하려면 비교적 여유 있는 업무를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 2) 서비스직 알바 (활발한 성격 추천)✅ 카페 알바 – 바리스타 경험, 커피에 관심 있으면 추천✅ 음식점 서빙 – 시급은 낮지만 팁 받을 가능성 있음✅ 베이커리 & 디저트 카페 – 손님이 적을 때 쉬는 시간 있음✅ 백화점 & 마트 판촉 알바 – 단기 알바로 적합, 말하는 거 좋아하면 추천???? TIP: 사람을 많이 만나는 걸 좋아하는 성격이라면 서비스직 알바가 좋아요. 하지만 체력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서 학업과 병행 시 주의해야 해요! ???? 3) 재택 & 온라인 알바 (유연한 스케줄 추천)✅ 블로그 & SNS 홍보 알바 – 글 쓰는 걸 좋아하면 추천✅ 온라인 서포터즈 – 특정 브랜드 홍보, 재택 가능✅ 디자인 & 영상 편집 – 포토샵, 프리미어 등 가능하면 시급 높음✅ 번역 & 교정 알바 – 외국어 능력 있으면 추천???? TIP: 재택 알바는 시간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꾸준한 일이 없을 수도 있어요! 2. 학업과 알바, 시간 관리하는 법 ⏳ 1) 주 몇 회, 몇 시간 하는 게 좋을까????? 권장 시간: (최대 20시간 이하) ❌ 비추천매일 알바 → 학업에 지장 생김시험 기간에도 알바 → 성적 관리 어려움 ✅ 추천주말 & 공강 시간을 활용야간 알바는 최소한으로 (수업 집중력 저하 가능)시험 1~2주 전엔 스케줄 조정 ???? 2) 시간 관리 꿀팁 ???? 1) 시간표 먼저 짜기 – 공강 시간 & 여유 시간 확인???? 2) 학업 우선 순위 정하기 – 시험 & 과제 마감 일정 체크⏰ 3) 알바 시간 정하기 – 수업 & 과제 스케줄 고려해서 배치 ???? TIP: 알바 때문에 학점이 떨어지면 장학금도 놓칠 수 있으니 주의! 3. 알바 선택 시 주의할 점 ❌ 이런 알바는 피하는 게 좋아요! ???? 무급 인턴 & 착취형 알바 – "경험 쌓으라"며 돈 안 주는 곳 조심???? 근무 강도 대비 시급 낮은 곳 – 주휴수당 미지급, 최저임금 미달 확인???? 계약 없이 구두 약속만 하는 곳 – 근로계약서 필수! ???? TIP: 알바 구할 때 ‘급여, 근무 조건, 계약 여부’ 꼭 확인하세요! ???? 마무리: 내 생활 패턴에 맞는 알바를 찾자!알바를 하면서 경제적 자립을 할 수도 있지만, 무리해서 학업을 포기하는 상황이 되면 안 돼요! 자신의 성향과 시간표에 맞는 알바를 선택해서 학업과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대학생활도 즐기면서, 똑똑하게 알바하는 법을 찾아보세요! ????????2025.02.28
-
대학생활대학 과제 & 팀플 생존법대학 과제 & 팀플 생존법 – 효율적인 시간 관리와 협업 스킬 대학교에 가면 과제와 팀 프로젝트(팀플)가 쏟아져요. 특히 팀플은 사람들과의 협업이 중요한데, 잘못하면 혼자 다 떠맡는 경우도 생길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과제와 팀플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시간 관리 꿀팁, 협업 스킬까지 정리해 드릴게요! 1. 대학 과제, 혼자서 잘하는 법 ✅ 과제 유형별 공략법 ???? 리포트 & 논문 과제주제 분석: 교수님이 강조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자료 조사목차 구성: 개요(서론) → 본론 → 결론 순서로 정리출처 관리: 논문, 기사 등 참고 자료를 미리 정리 (표절 주의!) ???? 프레젠테이션 과제슬라이드 간결하게: 텍스트는 최소화, 핵심 키워드 & 이미지 중심발표 스크립트 준비: 자연스럽게 말할 수 있도록 연습청중 고려: 교수님 & 동기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 ???? 과제할 때 꿀팁마감 3일 전 1차 초안 완성 → 마지막 날 급하게 하지 않기구글 스프레드시트 & 노션 활용 → 자료 정리와 일정 관리 편리교수님 피드백 적극 반영 → 성적 향상에 도움 2. 팀플에서 살아남는 법 ???? 팀플에서 피해야 할 유형???????? 잠수형: 처음만 참여하고 연락 안 되는 유형???? 무임승차형: 일은 안 하고 결과물만 가져가는 유형???? 꼰대형: 자기 주장만 고집하고 의견을 강요하는 유형???? 소극형: 의견이 있어도 말하지 않고 흐름만 따르는 유형 ???? TIP: 팀원 선정이 가능하다면, 평소 성실한 사람들과 팀을 짜는 게 좋아요. 3. 팀플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는 방법 ???? 역할 분배는 확실하게! 팀플에서 가장 중요한 건 역할을 명확히 나누는 거예요.✅ 리더(조장) → 전체 진행 관리 & 일정 조율✅ 자료 조사 담당 → 논문, 통계, 기사 검색✅ 문서 정리 담당 → 리포트 & PPT 작성✅ 발표 담당 → 프레젠테이션 준비 & 연습 ???? TIP: 역할을 정할 때는 각자의 강점을 살려서 배분하는 게 좋아요. (예: 발표를 잘하는 사람 → 발표 담당)⏳ 시간 관리 & 일정 조율⏰ 일정 관리: 팀원들과 협의 후 마감 기한을 미리 정하기???? 진행 체크: 매주 한 번씩 진행 상황 업데이트 (단톡방 활용)???? 마감일 2~3일 전 1차 완성 → 마감 당일 급하게 하지 않기 ???? TIP: 팀원들이 작업한 내용을 공유할 때는 구글 드라이브, 노션, 카카오톡 파일 공유 기능 활용! ???? 의사소통 잘하는 법???? 회의는 짧고 집중적으로 → 30~40분 내로 핵심만 논의???? 의견 충돌 시 해결법 → 중립적인 의견 조정자 두기???? 칭찬 & 피드백 병행 → 팀원들의 동기부여 유지 ???? TIP: "이 부분 너무 좋은데, 조금만 보완하면 더 완벽할 것 같아!" 같은 긍정적인 피드백이 좋아요. 4. 팀플 최종 마무리 ✅ 최종 점검 리스트✔ 문서 오타 & 맞춤법 확인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활용)✔ 발표 리허설 최소 2번 진행✔ 역할 수행이 공평하게 되었는지 확인 ???? TIP: 발표 당일에는 교수님이 어떤 질문을 할지 예상하고 답변 준비하면 좋아요. ???? 마무리: 팀플도 전략이 필요하다!대학 과제와 팀플은 단순한 숙제가 아니라 협업과 책임감을 기르는 기회예요. 효율적으로 역할을 분배하고, 시간을 관리하면서, 팀원들과 원활한 소통을 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과제와 팀플을 잘 활용해서 성적도 챙기고, 좋은 인간관계도 만들 수 있는 대학 생활을 보내길 바랄게요! ????????2025.02.28
-
대학생활장학금 & 학자금 대출 활용법장학금 & 학자금 대출 활용법 – 대학생을 위한 똑똑한 재정 관리 가이드 대학교 등록금과 생활비 부담이 만만치 않죠? 하지만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을 잘 활용하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장학금 종류, 신청 방법, 학자금 대출 활용법을 정리해 드릴게요! 1. 장학금의 종류와 신청 방법???? 국가 장학금 – 소득에 따라 지원받기한국장학재단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장학금으로, 소득 분위에 따라 지원금이 다르게 지급돼요.✅ 신청 대상: 대한민국 국적의 대학생✅ 신청 방법: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소득 분위에 따른 지원 금액: 1분위(저소득층)일수록 높은 지원금 지급 ???? TIP1, 2학기 각각 신청 기간이 있으니 신청 기간(보통 11월12월, 5월6월)을 놓치지 않기!소득 분위는 부모님 소득과 재산을 기준으로 산정되니 참고하세요.국가 장학금을 받으려면 **성적 요건(C학점 이상)**을 충족해야 해요. ???? 교내 장학금 – 학교에서 주는 혜택각 대학마다 제공하는 장학금으로, 보통 성적 장학금, 근로 장학금, 특별 장학금 등이 있어요.✅ 신청 대상: 해당 학교 재학생✅ 신청 방법: 대학 홈페이지에서 확인 후 신청✅ 대표적인 교내 장학금 종류성적 장학금: 학점이 우수한 학생에게 지급근로 장학금: 학교 내 행정실, 도서관 등에서 일하며 장학금 지급특별 장학금: 특정 단체, 학과, 동문회 등에서 제공 ???? TIP매 학기 성적 장학금 기준을 확인하고 목표 학점을 설정해 두세요!근로 장학금은 경쟁률이 높으니 빨리 신청하는 게 좋아요.특별 장학금은 각 학과 및 학교 공지를 자주 확인하면 놓치지 않을 수 있어요. ???? 외부 장학금 – 기업 & 기관 지원 장학금기업, 재단, 협회 등에서 제공하는 장학금으로, 지원 조건이 다양해요.✅ 신청 대상: 모집 요건에 해당하는 대학생✅ 신청 방법: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에서 신청✅ 대표적인 외부 장학금삼성꿈장학재단 장학금: 저소득층 대상 장학금포스코청암재단 장학금: 공학 및 이공계 우수 인재 대상LG사이언스홀 장학금: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 학생 지원 ???? TIP학교 홈페이지 & 한국장학재단 사이트에서 외부 장학금 공고를 자주 확인하세요.성적 외에도 봉사, 연구, 전공 분야 활동이 평가 요소가 될 수 있어요.경쟁률이 높을 수 있으니 지원서 작성에 신경 써야 해요. 2. 학자금 대출 – 부담 없이 학업을 이어가는 법장학금만으로 학비와 생활비를 해결하기 어려울 경우, 학자금 대출을 고려할 수 있어요.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 ✅ 등록금 대출 – 학기당 등록금을 지원받고 졸업 후 상환✅ 생활비 대출 – 월 최대 75만 원 지원 (학기당 150만 원)???? 학자금 대출 종류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 (든든학자금)일정 소득(연 2,480만 원 이상)이 생긴 후 원리금 상환저소득층 학생에게 적합일반 상환 학자금 대출 (일반학자금)일정 기간(보통 10~15년) 내에 상환해야 함신용등급이 낮을 경우 대출이 어려울 수도 있음 ???? TIP학자금 대출도 신용 등급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무조건 빌리기보다 신중하게 결정하세요.대출 상환 계획을 미리 세워야 불필요한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일부 학교는 무이자 학자금 대출을 제공하니 확인해 보세요. 3.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 어떻게 활용할까????? 장학금 먼저, 부족하면 학자금 대출장학금을 최대한 활용하고 그래도 부족할 때 학자금 대출을 고려하세요.???? 성적 관리 필수!장학금은 대부분 성적 기준이 있어요. C학점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대출 상환 계획 세우기졸업 후 취업 시 대출 상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미리 계획을 세워야 해요.???? 학교 & 기관 공지 자주 확인장학금은 신청 기한이 짧은 경우가 많으니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마무리: 장학금과 대출을 똑똑하게 활용하자!대학교 등록금과 생활비가 부담될 수 있지만, 장학금과 학자금 대출을 잘 활용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 장학금은 적극적으로 찾고, 미리 준비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또한, 학자금 대출은 무작정 빌리기보다는 계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해요.경제적인 걱정 없이 학업과 대학 생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똑똑하게 활용해 보세요! ????2025.02.28
-
대학생활동아리 & 학생회, 들어갈까 말까?동아리 & 학생회, 들어갈까 말까?장점과 단점, 자기 스타일에 맞는 활동 추천대학교에 입학하면 다양한 학생 활동을 경험할 기회가 생겨요. 대표적인 것이 동아리와 학생회인데요. 하지만 막상 가입하려고 하면 고민이 많을 거예요. 이번 글에서는 동아리와 학생회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자신에게 맞는 활동을 고르는 방법을 정리해 드릴게요! 1. 동아리 vs 학생회, 뭐가 다를까????? 동아리관심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모인 집단이에요.예술, 체육, 학술, 취미 등 다양한 종류가 있어요.부담 없이 즐기면서 활동할 수 있어요.같은 관심사를 가진 친구를 사귀기 좋아요.일부 동아리는 학업이나 취업에 도움을 주는 경우도 있어요.???? 학생회학교 운영과 관련된 공식 조직이에요.학과 학생회, 중앙 학생회 등 여러 종류가 있어요.리더십과 조직 운영 경험을 쌓을 수 있어요.학교와 학생 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요.활동이 많아 책임감과 시간 관리 능력이 요구돼요. 2. 동아리 가입의 장점과 단점✅ 장점다양한 사람들과 친해질 기회가 많아요.취미나 관심사를 공유하면서 즐길 수 있어요.학업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돼요.일부 동아리는 대외 활동 기회도 제공해요.비교적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활동할 수 있어요.대학 생활의 추억을 쌓는 데 유리해요.❌ 단점활동에 따라 일정이 바빠질 수 있어요.회비나 경비가 부담될 수도 있어요.사람들과의 관계가 복잡해질 수도 있어요.규모가 큰 동아리는 친해지기 어려울 수도 있어요. 3. 학생회 활동의 장점과 단점✅ 장점리더십과 책임감을 키울 수 있어요.행사 기획 경험을 쌓을 수 있어요.대인관계와 네트워크를 넓히는 데 유리해요.학과 및 학교 생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요.조직 운영 경험이 취업이나 면접에서 도움이 될 수 있어요.학교 정책이나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단점일정이 빡빡해서 학업과 병행하기 어려울 수 있어요.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요.행사 준비로 인해 개인 시간이 부족할 수 있어요.책임감이 커서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어요.대외적으로 학교를 대표하는 입장이라 조심해야 할 부분이 많아요. 4. 나에게 맞는 활동은????? 사교적인 성격이라면?동아리나 학생회 모두 추천해요.사람들과 어울리는 걸 좋아하면 적극적으로 참여해 보세요.친목 동아리나 네트워크가 중요한 학생회 활동이 적합해요.???? 조용한 성격이라면?부담 없는 소규모 동아리를 선택하는 게 좋아요.온라인 중심 활동을 하는 동아리도 고려해 보세요.공식적인 자리보다는 자유로운 분위기의 활동이 어울릴 수 있어요.???? 리더십을 키우고 싶다면?학생회 활동을 추천해요.행사 기획과 운영을 경험할 수 있어요.학과 대표나 중앙 학생회 임원을 노려볼 수도 있어요.???? 취미를 즐기고 싶다면?취미 기반 동아리가 좋아요.부담 없이 활동하면서 스트레스 해소할 수 있어요.운동, 음악, 미술 등 다양한 동아리를 살펴보세요.???? 바쁜 학업과 병행하려면?활동이 자유로운 동아리가 좋아요.정기 모임이 많은 곳은 부담될 수 있어요.시험 기간에는 활동을 쉬어도 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대외 활동을 많이 하고 싶다면?대외 연계 활동이 많은 동아리나 학생회를 찾아보세요.교내뿐만 아니라 외부 기관과 협력하는 활동도 있어요.공모전, 봉사활동, 해외 교류 활동을 경험할 수도 있어요. ???? 마무리: 나에게 맞는 선택을 하자!동아리와 학생회는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있어요. 중요한 것은 자신의 성향과 생활 패턴에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에요. 꼭 가입해야 한다는 부담을 가지기보다는, 자신에게 도움이 될 활동을 선택해 보세요! ????동아리와 학생회 활동을 적절히 활용하면 대학 생활이 더욱 풍성해질 거예요. 어떤 선택을 하든 후회 없는 대학 생활을 보내길 바라요! ????2025.02.28
-
대학생활대학생활에서 피해야 할 인간관계 유형대학생활에서 피해야 할 인간관계 유형-피해야 할 사람들, 인간관계 실수 줄이는 법 대학교에 입학하면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게 돼요. 하지만 모든 관계가 긍정적인 것은 아니에요. 잘못된 인간관계를 맺으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고, 학업이나 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대학생활에서 피해야 할 인간관계 유형과 실수를 줄이는 법을 알려드릴게요! 1. 피해야 할 인간관계 유형대학생활을 하면서 이런 유형의 사람들과 거리를 두는 것이 좋아요.???? 이용하려는 사람도움을 받을 때만 연락하고 평소에는 관심이 없는 유형이에요.조별 과제에서 일을 미루거나, 시험 기간에만 연락하는 경우도 포함돼요.이런 사람들은 평소에는 무관심하다가 필요할 때만 접근하는 경우가 많아요. 조심하세요.???? 부정적인 에너지를 주는 사람항상 불평불만이 많고, 부정적인 이야기를 반복하는 사람과 함께 있으면 기운이 빠질 수 있어요.고민 상담을 가장한 감정 쓰레기통 역할을 강요하는 경우도 조심하세요.이런 유형과 너무 가까이 지내다 보면 본인도 모르게 부정적인 생각에 빠질 수 있어요.???? 과하게 간섭하는 사람사생활을 지나치게 침해하거나, 개인의 선택에 간섭하는 유형이에요.친구라고 하면서 본인의 의견을 강요하는 경우가 많아요.처음에는 관심이 많은 것처럼 보여도 결국 부담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경쟁심이 지나친 사람친구라기보다는 라이벌 의식이 강하고, 비교하면서 스트레스를 주는 유형이에요.건강한 자극이 아니라 압박감을 준다면 관계를 재고해 보는 것이 좋아요.함께 성장하는 관계라면 좋지만, 끊임없이 경쟁 구도로 몰아간다면 멀리하는 것이 좋아요.???? 무리하게 친밀감을 요구하는 사람처음부터 깊은 관계를 강요하고, 감정적인 부담을 주는 경우예요.서로에게 맞는 속도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해요.특히 지나치게 개인적인 이야기를 강요하거나 감정적 의존이 심한 경우 주의하세요.???? 유독 부정적인 소문을 퍼뜨리는 사람남의 뒷담화를 즐기거나 근거 없는 소문을 퍼뜨리는 유형이에요.이런 사람과 어울리면 나도 같은 이미지로 보일 수 있어요.타인의 이야기를 쉽게 하는 사람은 언젠가 내 이야기 또한 할 가능성이 높아요.???? 책임을 회피하는 사람약속을 자주 어기거나 조별 과제에서 일을 떠넘기는 유형이에요.이런 유형과 관계를 맺으면 불필요한 스트레스가 커질 수 있어요.한두 번 실수하는 건 괜찮지만, 반복된다면 거리를 두는 것이 좋아요. 2. 인간관계 실수 줄이는 법잘못된 인간관계로 인해 상처받지 않기 위해 몇 가지 원칙을 지켜보세요.???? 자신의 경계를 명확히 하기처음부터 "이건 싫다", "이건 불편하다"라는 경계를 정해 두세요.불편한 부탁을 계속 들어주다 보면 이용당할 가능성이 높아져요."좋은 사람"이 되려고 무리하지 말고, 본인의 감정을 우선하세요.???? 적절한 거리 유지하기모든 사람과 깊게 친해질 필요는 없어요.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너무 친밀해지면 감정적으로 소모될 수 있으니 조절이 필요해요.친구 관계에도 개인의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노(NO)라고 말하는 연습하기거절하는 것이 미안해서 불편한 상황을 참다 보면 더 큰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어요.단호하게 "이건 힘들 것 같아"라고 말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작은 것부터 거절하는 연습을 하면 더 편하게 관계를 조절할 수 있어요.???? 자신을 위한 시간 확보하기인간관계에 너무 에너지를 쏟다 보면 정작 자신의 생활이 피곤해질 수 있어요.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면서 스스로를 돌보는 것도 중요해요.나 자신을 위한 시간을 충분히 갖는 것이 건강한 관계 유지의 기본이에요.???? 필요한 인간관계만 유지하기모든 사람에게 좋은 사람이 되려고 하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어요.나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관계에 집중하세요.친구의 숫자보다 질적인 관계가 더 중요하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소문과 험담에 휘둘리지 않기누군가를 쉽게 판단하거나 험담하는 대화에 휘말리지 마세요.불필요한 오해를 만들지 않도록 신중하게 행동하는 것이 좋아요.???? 학업과 생활의 균형 맞추기인간관계에만 집중하다 보면 정작 중요한 학업과 생활이 흔들릴 수 있어요.사람들과 어울리는 시간과 개인적인 시간을 잘 조절하세요. ???? 마무리: 건강한 인간관계 만들기대학생활에서 인간관계는 중요하지만, 잘못된 관계는 피하는 것이 좋아요.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도 나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해요. 무조건 사람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지키면서 건강한 관계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핵심이에요!???? 여러분도 대학생활에서 좋은 인연을 만나길 바라요! ????2025.02.28
-
대학생활대학교 친구 만드는 법 (MBTI 극III 유형별 가이드)대학교 친구 만드는 법 (아싸 유형별 가이드)동기, 선배, 교수님과 자연스럽게 친해지는 법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대학교에 입학하면 새로운 환경과 사람들 속에서 적응해야 해요. 하지만 사람들과 쉽게 어울리기 어려운 성격이라면 어떻게 친구를 사귈 수 있을까요? 이번 가이드에서는 아싸 유형별로 자연스럽게 친구를 사귀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1. 동기들과 친해지기동기들과 친해지는 것은 학교 생활을 보다 편하게 만들어 줍니다. 하지만 적극적으로 다가가기 어렵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해 보세요.???? 조용하지만 자연스러운 존재감 드러내기강의실에서 자주 보는 얼굴에게 가볍게 인사하는 것부터 시작하세요."혹시 이 수업 교재 뭐 사야 하는지 알아?"처럼 부담 없는 질문을 던져보세요.???? 관심사가 맞는 소규모 모임 찾기대형 동아리보다는 소규모 독서 모임이나 관심사가 비슷한 그룹이 부담이 적어요."혼자 가기 애매한데 같이 가볼래?"처럼 자연스럽게 접근해 보세요.???? 온라인 커뮤니티 활용하기학과 단톡방이나 네이버 카페, 디스코드 등을 활용하면 직접 만나지 않아도 먼저 친밀감을 쌓을 수 있어요.수업 정보 공유를 빌미로 대화를 시작해 보세요. 2. 선배들과 친해지기선배들은 학교 생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요. 하지만 직접 다가가기 어렵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필요한 정보를 물어보는 것부터 시작하기"이 과제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같은 질문을 하면 자연스럽게 대화가 이어져요.선배들은 조언해 주는 걸 부담스럽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요.???? 선배들이 운영하는 SNS나 커뮤니티 참고하기직접 다가가기 어렵다면 선배들이 만든 블로그나 SNS 글을 참고해보세요.공감되는 글에 "정말 도움 됐어요!" 같은 댓글을 남기면 관계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어요.???? 같이하는 활동에서 조용히 친분 쌓기동아리 활동 중 도움을 주거나, 학과 행사에서 조용히 서포트하면 인상을 남길 수 있어요.말수는 적더라도 꾸준히 참여하는 것이 중요해요. 3. 교수님과 친해지기교수님과의 관계를 잘 쌓으면 학업적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대화하는 것이 어렵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이메일을 활용하기직접 면담이 부담스럽다면 이메일로 질문을 보내보세요."강의에서 다룬 개념이 흥미로웠어요. 혹시 추가 자료가 있을까요?" 같은 메시지가 좋아요.???? 수업 시간에 조용히 관심 보이기적극적으로 질문을 하지 않더라도 메모를 하거나 고개를 끄덕이며 경청하는 태도가 중요해요.교수님은 관심을 갖고 듣는 학생을 눈여겨보세요.???? 연구 보조나 과제 참여 고려하기교수님이 진행하는 연구나 프로젝트에 참여하면 자연스럽게 관계가 형성될 수 있어요."조용하지만 성실한 학생"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성실한 태도를 유지하세요. ???? 마무리: 나에게 맞는 방법 찾아보기굳이 인싸처럼 활발하게 움직이지 않아도 괜찮아요.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부담 없이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을 하나씩 시도해 보세요!???? 여러분도 대학교에서 좋은 인연을 만들길 바라요! ????2025.02.28
-
대학생활대학교 친구 만드는 법 (극EEE 추천)대학교 친구 만드는 법 (인싸 유형별 가이드)-동기, 선배, 교수님과 자연스럽게 친해지는 법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대학교에 입학하면 새로운 환경과 사람들 속에서 적응해야 해요. 친해지고 싶은데 어색하거나, 어떻게 다가가야 할지 고민될 수도 있죠. 그래서 오늘은 유형별로 자연스럽게 친구를 사귀는 방법을 알려줄게요! 1. 동기들과 친해지기함께 수업을 듣고, 조별 과제도 하는 동기들은 가장 가까운 친구가 될 가능성이 높아요. 첫 만남이 중요하니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해 보세요.???? 첫 만남에서는 가볍게 대화 걸기"혹시 이 수업 교재 뭐 사야 하는지 알아?"처럼 부담 없는 질문을 던져보세요.강의실에서 옆자리 친구에게 먼저 인사하는 것도 좋아요.???? 학교 행사나 OT 적극 참여하기새내기 OT, 개강 파티, 동아리 설명회 등에는 다양한 사람이 모여 있어요.가볍게 "안녕! 나 OO과 OO이야"라고 자기소개하면서 시작해 보세요.???? 스터디나 팀플에서 자연스럽게 친해지기스터디를 만들거나 참여하면 관심사가 비슷한 친구들과 가까워질 수 있어요.조별 과제에서는 먼저 의견을 내고 대화를 주도하면 분위기가 좋아져요. 2. 선배들과 친해지기선배들은 학교 생활과 전공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알고 있는 고마운 존재예요. 잘 친해지면 도움도 받을 수 있고, 유익한 조언도 들을 수 있어요.???? 선배들이 많은 동아리 가입하기동아리에서는 자연스럽게 친목을 다질 수 있어요.친해지고 싶은 선배에게 "이 동아리 어떤가요?"라고 가볍게 질문해 보세요.???? 학과 행사나 MT에서 친분 쌓기개강 총회, 학과 MT, 간담회 등에서는 선배들과 대화할 기회가 많아요."선배님, 이 수업 어려운데 어떻게 공부하셨어요?" 같은 질문을 하면 대화가 자연스럽게 이어져요.???? 선배들에게 조언 구하기학점 관리, 전공 수업 추천 등 현실적인 조언을 받을 수 있어요.진심이 담긴 질문을 하면 선배들도 반갑게 답해 줄 거예요. 3. 교수님과 친해지기교수님과 좋은 관계를 맺으면 학업적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무작정 다가가기 어려울 수도 있죠. 자연스럽게 친해지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수업 시간에 적극적인 태도 보이기질문하거나 발표를 하면 교수님도 얼굴을 기억해 주세요.고개 끄덕이며 경청하는 태도도 중요해요.???? 수업 후 이메일이나 면담 활용하기수업 내용을 더 알고 싶다면 이메일을 보내거나 면담을 신청해 보세요."교수님, 오늘 강의에서 설명해 주신 개념이 흥미로웠어요. 추가로 읽어볼 자료가 있을까요?" 같은 질문이 좋아요.???? 세미나나 연구 모임 참여하기교수님이 진행하는 연구나 세미나에 관심을 보이면 학문적으로도 성장할 기회가 많아져요."혹시 연구 보조로 도울 일이 있을까요?"라고 물어보면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어요. ???? 마무리: 나에게 맞는 방법 찾아보기친구를 사귀는 방법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어요. 위에서 소개한 방법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스타일을 찾아 시도해 보면 좋아요. 무엇보다 자연스럽고 진심 어린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 잊지 마세요!???? 여러분도 대학교에서 멋진 인연을 많이 만들길 바라요! ????2025.02.28
-
대학생활교환학생 & 어학연수 가는 방법교환학생 & 어학연수, 지금부터 준비하자 – 가는 방법, 필요한 점수, 준비 과정대학 생활에서 많은 학생들이 꿈꾸는 목표 중 하나는 교환학생과 어학연수입니다. 다양한 나라에서 학문적, 문화적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인 만큼, 준비 과정이 중요합니다. 특히 어학능력과 신청 절차 등은 성공적인 교환학생 프로그램과 어학연수를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교환학생과 어학연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각각의 준비 과정과 필요한 점수, 그리고 실제 경험을 통해 어떤 장점을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교환학생 프로그램 준비하기 – 해외 대학에서 공부하기교환학생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이 파트너 대학에서 일정 기간 동안 학점을 인정받으며 공부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교환학생을 통해 새로운 학문적 경험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와 사람들을 만나고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교환학생을 준비하려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지원 자격 확인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각 대학이 요구하는 지원 자격을 충족해야 합니다. 보통 학점과 어학 능력이 기본적인 자격으로 요구됩니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는 학점 평균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하며, 일부 학교는 2.5 이상의 평균 학점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학 능력도 중요한 요소로, 일반적으로 TOEFL이나 IELTS와 같은 공인 영어 시험 점수를 요구합니다. (2) 어학 점수 준비교환학생에 지원하려면 어학 능력을 입증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영어권 국가에서는 TOEFL이나 IELTS 점수를 요구하며, 비영어권 국가에서는 해당 국가의 공용어를 기준으로 하는 시험 성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각 학교와 프로그램마다 요구하는 점수가 다르므로, 지원하려는 학교의 교환학생 지원 기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TOEFL은 80점 이상, IELTS는 6.0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지원서 작성 및 제출교환학생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원서를 작성하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학업 계획서, 자기소개서, 추천서 등이 필요합니다. 학업 계획서에서는 교환학생으로서의 목표와 학업 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하며, 자기소개서에서는 자신의 경험과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통해 얻고자 하는 바를 서술합니다. 추천서는 교수님이나 지도교수님에게 요청하여 준비할 수 있습니다. (4) 선발 과정 및 인터뷰교환학생 프로그램에는 선발 과정이 있으며, 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인터뷰가 진행됩니다. 면접에서는 자신의 목표와 교환학생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경험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면접 준비를 철저히 하고, 자신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기타 준비 사항선발되면, 그 다음에는 비자를 준비해야 하고, 숙소와 항공권을 예약해야 합니다. 또한, 교환학생 프로그램에서는 보험 가입을 요구하기도 하며, 해외 건강 검진을 받는 경우도 있으니 이러한 부분도 사전에 확인하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어학연수 준비하기 – 언어 능력 향상시키기어학연수는 주로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외에서 언어를 배우는 프로그램입니다. 어학연수는 일반적으로 어학원에 등록하여 일정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언어를 배우며, 그 지역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어학연수를 준비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어학원 선택어학연수에 가장 중요한 것은 어학원 선택입니다. 어학원은 목적에 맞게 집중적인 어학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학습 목표와 원하는 연수 기간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IELTS나 TOEFL 준비를 위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인 회화나 비즈니스 영어를 배우기 위한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온라인 평가나 후기 등을 참고하여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어학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어학 점수 준비어학연수에 신청하려면 일정 수준의 어학 능력을 갖추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어학원에서는 초급부터 고급까지 다양한 수준의 수업을 제공하므로, 자신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서 시작할 수 있을지 파악한 후 준비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어학원에서는 입학 전 테스트를 통해 수업 수준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어학연수 전에 기초적인 언어 능력을 갖추는 것이 유리하며,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전반적인 능력을 고루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비자와 숙소 준비어학연수도 교환학생과 마찬가지로 비자와 숙소를 준비해야 합니다. 일부 국가에서는 학생 비자를 신청해야 하며, 어학원에서 제공하는 기숙사나 렌트 하우스 등 다양한 숙소 옵션을 확인하여 예약해야 합니다. 비자와 관련된 요구 사항이나 서류는 각 국가의 대사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어학원에서 숙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므로 미리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문화와 생활 준비어학연수는 단순히 언어를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현지 문화를 체험하고 그 지역에 적응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현지의 문화와 생활 환경에 대해 사전에 알아보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음식, 교통, 날씨 등은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현지 커뮤니티나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여 적극적으로 문화를 체험하고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습니다. 3. 교환학생 & 어학연수의 장점교환학생과 어학연수는 모두 큰 장점이 있습니다. 첫째, 언어 능력 향상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외국에서 학습하면서 현지 언어를 사용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언어 능력이 향상됩니다. 둘째, 문화적 경험을 통해 글로벌한 시각을 넓힐 수 있습니다.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며 다른 나라 사람들과의 관계를 쌓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셋째, 취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외국에서의 경험은 이력서에 강력한 포인트가 되며, 다국적 기업이나 국제적인 업무에 유리한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교환학생과 어학연수는 자기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귀중한 기회입니다. 준비 과정에서 필요한 점수와 절차를 철저히 준비하고, 계획적으로 준비한다면 자신의 역량을 한층 더 키울 수 있습니다. 꿈에 그리던 해외에서의 학문적 경험과 문화적 체험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는 기회를 가지세요.2025.01.31
-
대학생활대학생활과 커리어: 대외활동, 인턴, 자격증, 프로젝트 추천대학생활과 커리어: 스펙 쌓기 vs. 진짜 경험 쌓기 – 대외활동, 인턴, 자격증, 프로젝트 추천 대학생활을 하면서 가장 중요한 고민 중 하나는 스펙을 어떻게 쌓을지, 그리고 진짜 경험을 어떻게 얻을지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졸업 후 취업을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갖추기 위해 스펙 쌓기에 집중하지만, 점차 실제 경험을 통한 성장과 진로 탐색이 더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대외활동, 인턴십, 자격증, 프로젝트 경험 등은 스펙이 아니라 실질적인 경험을 통해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펙 쌓기와 진짜 경험을 어떻게 균형 있게 쌓아야 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유용한 활동들을 추천해보겠습니다. 1. 스펙 쌓기 – 취업 준비의 첫걸음스펙 쌓기는 취업을 목표로 하는 대학생들에게 중요한 부분입니다. 스펙은 주로 학점, 자격증, 외국어 능력, 봉사활동 등으로 구체화되며, 채용 시장에서 기본적인 경쟁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스펙을 쌓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깨닫게 됩니다. 그렇다고 스펙을 아예 무시하는 것은 비현실적입니다. 취업 시장에서의 첫 번째 걸림돌은 이력서이며, 좋은 이력서를 위해서는 최소한의 스펙이 필요합니다. (1) 학점 관리대학에서의 학점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학점이 높다는 것은 꾸준한 학습과 성실함을 증명하는 지표가 됩니다. 특히, 전공 과목에서 높은 성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공과 관련된 지식을 쌓는 데 유리합니다. 학점이 좋으면, 장학금이나 연구 기회 등도 생기기 때문에, 첫 학기부터 꾸준히 학점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자격증 취득자격증은 전문성을 입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정보처리기사, 컴퓨터 활용능력, TOEIC과 같은 자격증은 특정 분야에 대해 준비가 되어 있다는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 자격증은 전공과 관련된 것뿐만 아니라, 자기개발을 위해 다양한 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할 수도 있습니다. 자격증은 취업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이력서에 강력한 포인트가 됩니다. (3) 외국어 능력영어는 물론, 제2외국어도 점차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영어는 국제적인 기업이나 다국적 기업에서 필수적인 능력으로 요구됩니다. 토익이나 토플과 같은 공인 영어 시험 점수는 이력서에서 빠지지 않는 항목이 되었으며, 외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다양한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또한, 어학 연수나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인 언어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2. 진짜 경험 쌓기 – 스펙을 넘어선 성장그렇다면, 스펙 쌓기 외에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진짜 경험입니다. 진짜 경험이란 이론적 지식이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겪는 문제 해결 과정과 팀워크를 포함한 경험을 의미합니다. 이런 경험들은 자신만의 강점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취업뿐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성장을 위한 중요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1) 대외활동대외활동은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대학생들이 많이 참여하는 대외활동으로는 동아리, 봉사활동, 캠페인 참여, 학술 대회 등이 있습니다. 대외활동을 통해 리더십, 협업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을 기를 수 있습니다. 특히,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대외활동에 참여하면, 네트워킹을 통해 관련 산업의 사람들과 연결되고, 진로 선택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인턴십인턴십은 진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활동 중 하나입니다. 인턴십은 단기적으로 실제 업무를 수행하면서 현장의 흐름을 배우고, 직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현직자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멘토링을 받을 수 있으며, 실제 기업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직접적으로 경험해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업무 이해도가 높아지고, 졸업 후 직무 선택에 있어서 명확한 방향을 잡는 데 유리합니다. (3) 프로젝트프로젝트 경험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학문적이거나 실무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문제 해결 능력과 팀워크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개발 전공이라면 팀을 이루어 실제 서비스 개발을 하거나, 마케팅 전공이라면 실질적인 브랜드 마케팅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젝트는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큰 배움이 됩니다. 또한, 프로젝트를 이끌면서 리더십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3. 스펙과 경험의 균형 – 어떻게 선택할까?스펙과 경험은 서로 보완적입니다. 단순히 스펙을 쌓기만 하거나, 경험만 쌓는 것이 아니라 두 가지를 균형 있게 쌓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격증을 취득하고 높은 학점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대외활동과 인턴십을 통해 경험을 쌓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입니다. 스펙은 취업시장에서 기본적인 경쟁력을 제공하지만, 진짜 경험은 그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켜 주기 때문입니다. 먼저, 자신의 진로가 어떤 분야인지 파악한 후, 관련된 자격증이나 학문적 배경을 쌓고, 동시에 그 분야의 실제 경험을 인턴십이나 프로젝트를 통해 쌓는 것이 좋습니다. 대외활동은 자기 개발뿐만 아니라 네트워킹,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자신이 원하는 직무를 잘 이해하고, 관련된 경험을 지속적으로 쌓아가며, 자신만의 차별화된 강점을 만들어 나가세요. 대학생활은 스펙과 경험을 균형 있게 쌓아가는 시간이 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스펙만을 쌓는 것이 아니라, 실제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외활동, 인턴십, 자격증, 프로젝트 등 다양한 경험을 통해 스펙을 넘어서, 자신이 원하는 진로에 맞는 실질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졸업 후 자신만의 커리어를 설계하고 싶은 대학생이라면, 오늘부터 차근차근 경험을 쌓아가는 전략이 필요합니다!2025.01.31
-
대학생활교양과 전공, 뭐 들어야 할까? – 전공 수업 미리 대비하는 법교양과 전공, 뭐 들어야 할까? – 대학 첫 학기 교양과목 추천, 전공 수업 미리 대비하는 법 대학 생활을 시작하면서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바로 교양과 전공 과목 선택입니다. 첫 학기에는 다양한 과목들이 기다리고 있지만, 어떻게 수업을 선택하고, 어떤 과목을 들으면 좋을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교양과 전공 과목은 단순히 학점 취득을 위한 수단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진로와 관심사를 결정짓는 중요한 열쇠가 되기도 합니다. 그럼, 대학 첫 학기에서 교양과 전공 과목을 어떻게 잘 선택하고, 미리 준비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교양과목 선택 – 균형 잡힌 학문적 기초 쌓기교양과목은 전공과 관련 없이 폭넓은 학문적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과목들입니다. 교양 과목은 단순히 학점만을 위한 선택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고,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따라서, 교양과목을 선택할 때는 자신의 관심사와 향후 전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과목을 중심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인문학 및 사회과학 계열 과목대학 첫 학기에는 기본적으로 인문학과 사회과학 계열의 과목을 듣는 것이 좋습니다. 대학에 입학하면서 기본적인 문해력과 사회적 통찰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철학, 심리학, 사회학, 역사학 등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돕는 과목입니다. 이러한 과목들은 전공 수업에서 다루는 이론들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며, 전공과 연계될 수 있는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게 합니다. (2) 자연과학 및 수학 계열 과목이공계 전공을 하지 않더라도 수학, 물리학, 화학 등 기초 과학 과목을 듣는 것은 매우 유익합니다. 자연과학 과목은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기초통계학은 어떤 전공을 하든 기본적인 데이터 분석 능력을 키울 수 있게 해주고, 환경학과 같은 과목은 현대 사회의 주요 문제를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 수학적 사고는 결국 어떤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처음에는 기초적인 수학이나 과학 과목을 듣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3) 언어 및 커뮤니케이션 과목또한, 외국어를 배우거나, 커뮤니케이션 관련 과목을 선택하는 것도 좋습니다. 외국어는 글로벌 시대에 필수적인 능력이며, 영어 외에도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를 배우면 진로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글쓰기, 프레젠테이션 등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과목은 어떤 전공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대학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취업 준비 과정에서 중요한 차별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2. 전공 수업 미리 대비하는 법 – 효과적인 전공 학습 전략전공 수업은 대학 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전공 과목을 잘 준비하고, 그 내용을 충실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데, 대학 첫 학기부터 시작하여 차근차근 전공에 대한 실력을 쌓아야 합니다. 전공 수업을 미리 대비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1) 전공 교과목 미리 살펴보기전공 수업은 매 학기마다 기본적으로 수강해야 할 과목들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과목의 내용을 미리 파악해두면, 학기가 시작될 때 좀 더 빠르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전공 수업의 강의 계획서를 미리 확인하고, 과목의 주제나 다루는 내용을 미리 공부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특정 과목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선배나 교수님에게 미리 질문을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기초 개념과 선행 학습전공 과목은 일반적으로 심화된 내용이 많기 때문에, 기초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경제학을 전공하는 학생이라면, 미리 미시경제학이나 거시경제학의 기초 이론을 공부해두면, 나중에 심화 과목을 듣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전공에 관련된 기초서나 참고서를 미리 읽어보거나, 온라인 강의를 통해 선행 학습을 해두면 학습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3) 동아리나 스터디 그룹 활용전공 공부는 혼자서 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 때는 동아리나 스터디 그룹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공 관련 동아리 활동을 통해 전공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을 수 있고, 동아리나 스터디 그룹에서 얻은 정보나 지식을 서로 공유하며 학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공 관련 학술제나 세미나에 참석하는 것도 전공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는 데 유익할 수 있습니다. (4) 실용적인 기술과 경험 쌓기이론만 공부하기보다는 실무 경험을 쌓는 것도 중요한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는 학생이라면 프로그래밍 언어나 데이터베이스 관련 자격증을 미리 준비해두면 좋습니다. 또한, 인턴십이나 현장 학습을 통해 실용적인 기술을 익히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실습과 경험을 통해 이론을 잘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전공 수업에서 다룰 주제에 대해 미리 관련 경험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3. 교양과 전공, 어떻게 균형 잡을까?교양과 전공 과목을 선택할 때 중요한 점은 균형입니다. 교양 과목을 통해 다양한 지식을 쌓고, 전공 과목에서는 심화된 전문성을 키워야 합니다. 대학 첫 학기에는 너무 많은 전공 과목을 선택하기보다는, 적절한 교양 과목과 전공 과목을 균형 있게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교양 과목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익히고, 전공 과목을 통해 자신의 진로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할 수 있습니다.대학 첫 학기부터 교양과 전공을 어떻게 선택하고 준비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며, 전략적으로 학습해 나가면, 대학 생활이 더 풍요롭고 의미 있는 경험이 될 것입니다! 여러분의 대학생활을 응원할게요!!2025.01.31
-
기타학생 할인 총정리: 대학생이면 무조건 써야 하는 혜택들학생 할인 총정리: 대학생이면 무조건 써야 하는 혜택들 – 교통, 문화, 쇼핑 등 할인 정보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혜택을 최대한 누리고 싶을 것입니다. 학생 신분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다양한 할인과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회입니다. 교통, 문화, 쇼핑 등 여러 분야에서 제공되는 학생 할인은 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고, 좀 더 여유로운 대학 생활을 가능하게 만듭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학생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다양한 할인 혜택들을 총정리해보겠습니다!새내기라면 꼭 이용해보세요~!! 1. 교통 할인 – 통학비 부담 줄이기대학생에게 교통비는 매달 나가는 큰 비용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학생 신분을 활용하면 교통비를 상당히 아낄 수 있습니다. 특히,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대학생들에게는 교통비 절약이 필수적입니다.대학생 교통카드는 대부분의 도시에서 제공하는 할인 혜택 중 하나입니다.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시에서는 청소년/학생용 교통카드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교통비가 20~30% 할인됩니다. 이 카드에는 서울시 학생 할인 카드와 T-money 카드 등이 포함되며, 기차나 버스, 지하철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또한, KTX와 같은 고속철도에서도 학생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KTX는 일정 구간에서 학생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학생증을 제시하면 20% 이상의 할인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기차 여행이 많은 대학생이라면 이러한 혜택을 놓치지 말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더 나아가, 일부 지역철도나 시외버스에서도 학생 할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교통비를 절약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항상 학생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학생증을 준비하고, 교통수단 예약 시 학생 할인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 문화 할인 – 영화, 공연, 전시회 등대학생 시절에는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기고 싶지만, 그만큼 문화 활동에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그러나 학생 할인 혜택을 활용하면 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영화, 공연, 전시회 등에서 제공되는 학생 할인은 매우 유용합니다.영화 할인은 대학생들이 자주 이용하는 혜택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영화관에서는 학생 할인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1,000원~2,000원 정도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주중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영화관도 많고, 영화 예매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학생 할인 코드를 이용하면 더 많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영화 패키지나 회원 할인 프로그램에 가입하면 일정 수의 영화를 예매할 때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공연 및 뮤지컬 역시 대학생 할인 혜택이 많이 있습니다. 뮤지컬, 연극, 오페라, 발레 등 다양한 공연에서는 학생 할인 티켓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공연 기획사나 극장에서는 학생 할인을 최대 50%까지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학 연합 할인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공연을 할인된 가격에 즐길 수 있는 기회도 많으므로, 공연 예매 전에 반드시 학생 할인 혜택을 확인해보세요.전시회나 박물관에서도 많은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데, 대부분의 박물관과 미술관에서는 학생증을 제시하면 입장료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부 박물관은 대학생이라면 무료 입장 혜택을 주기도 하므로, 관심 있는 전시가 있을 때 미리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3. 쇼핑 할인 – 대학생 필수 할인 정보대학생이 되면 자취를 시작하거나, 다양한 개인 용품을 구매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쇼핑은 때때로 큰 비용을 수반하지만, 대학생 할인을 활용하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대학생들을 위한 할인 쿠폰과 학생 전용 할인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11번가, G마켓, 쿠팡과 같은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학생 인증을 하면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 할인은 의류, 전자제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제품군에서 적용되므로, 쇼핑을 계획할 때 반드시 학생 할인 프로그램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의류 브랜드도 대학생들에게 많은 할인을 제공합니다. 많은 패션 브랜드에서는 대학생 할인을 제공하며, 이 할인은 브랜드마다 다르지만 대개 10%에서 30%까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대학생 전용 온라인 쇼핑몰도 많은데, 여기서는 한정판 할인 행사나 특별 세일을 진행하여 학생들에게 유리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기타 브랜드와 상점들에서도 학생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스타벅스, 커피빈, 던킨도너츠와 같은 카페에서는 학생증을 제시하면 음료에 대한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대학생 커피 할인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저렴하게 커피를 즐길 수 있습니다. 4. 기타 할인 혜택 – 보험, IT 제품, 식사 할인학생 보험도 큰 혜택을 제공합니다. 여러 보험 회사에서는 대학생을 위한 보험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건강보험이나 자동차보험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할인 혜택을 적용해주며, 학생들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또한, IT 제품 구매 시에도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Apple, Microsoft, Dell 등 주요 IT 브랜드에서는 대학생들을 위한 할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노트북, 소프트웨어, 액세서리 구매 시 큰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pple 교육 할인가를 통해 학생은 최대 10% 이상의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식사 할인도 중요합니다. 특히, 대학 캠퍼스 내에서 제공되는 학생식당이나 캠퍼스 근처 음식점에서는 학생들에게 특별 할인이나 저렴한 가격에 식사를 제공합니다. 일부 음식점에서는 학생 전용 할인 카드를 제공하므로, 이를 잘 활용하면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대학생이라면 학생 할인 혜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통, 문화, 쇼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공되는 할인 혜택은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여줄 수 있습니다. 매달 나가는 비용을 절감하고, 좀 더 풍요로운 대학 생활을 보내기 위해서는 할인 혜택을 놓치지 말고 꼼꼼히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할인 혜택은 모두 학생증을 증명하는 것부터 시작하므로, 학생증을 항상 준비하고 필요한 곳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해두세요!2025.01.31
-
대학생활현실적인 자취 꿀팁- 자취방 구하는 법, 생활비 아끼는 법, 자취필수템자취생 필독! 현실적인 자취 꿀팁 – 자취방 구하는 법, 생활비 아끼는 법, 자취 필수템자취는 대학생이나 직장인들에게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자취생활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에게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자취방을 구하는 법부터 생활비 절약하는 법, 그리고 자취 필수템까지, 자취생활을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는 꿀팁을 소개합니다. 1. 자취방 구하는 법 – 위치와 조건을 신중히 고려하자자취생활을 시작하기 전에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는 자취방을 구하는 일입니다. 많은 자취생들이 처음에 자취방을 구할 때, 가격이나 위치만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자취방을 선택할 때는 그 외에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들이 많습니다.첫 번째로, 위치를 꼼꼼히 따져야 합니다. 대학생이라면 캠퍼스와의 거리가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통학시간이 길어지면 매일 시간이 낭비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한 학교 근처의 자취방을 구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그러나 과도하게 비싼 방을 선택할 필요는 없습니다. 가격대비 적당한 방을 구하기 위해서는 여러 매물들을 비교하고, 교통편이나 주변 시설도 체크해보세요.또한, 방의 상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화장실이나 주방 상태, 방의 크기와 창문의 방향 등을 살펴보고, 너무 오래된 건물은 피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자취생들이 살고 있는 원룸이나 오피스텔은 관리비가 별도로 붙는 경우가 많으므로, 관리비가 얼마나 추가될지도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생활비 아끼는 법 – 똑똑한 소비로 예산 절약하기자취를 시작하면서 가장 큰 부담 중 하나는 바로 생활비입니다. 집세, 식비, 교통비 등 매달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이 많기 때문에, 지출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생활비를 아끼는 법을 제대로 알면, 자취생활이 훨씬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식비 절약이 가장 큰 부분입니다. 자취생들이 흔히 겪는 문제는 외식을 자주 하거나 배달 음식을 자주 시켜 먹는 것입니다. 물론 가끔씩은 외식이나 배달 음식을 즐기는 것도 괜찮지만, 매일 하게 되면 비용이 엄청나게 나갑니다. 식비를 아끼기 위해서는 간단한 식사를 집에서 해먹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주일치 식단을 미리 계획하고, 대량으로 재료를 사서 나누어 조리하면 식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 끼 식사는 소박하게 준비하면서도 영양소를 고려하여 균형 잡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세요.교통비 절약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가능한 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입니다. 자주 이동이 필요할 경우에는 교통카드를 이용해 할인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누려보세요. 가까운 거리는 도보나 자전거를 이용하면 더욱 건강하고 경제적입니다. 특히, 자취방이 학교 근처라면 도보로 통학할 수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통비를 아낄 수 있습니다.또한, 전기세와 수도세를 아끼는 것도 중요한 절약 방법입니다. 불필요한 전자기기를 끄고, 절전형 제품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매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물을 아낄 수 있는 샤워기나 세면기를 사용하고, 세탁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보세요. 3. 자취 필수템 – 자취생활을 더 편리하고 효율적으로자취를 시작할 때 필요한 필수템들을 구비해두면 생활이 한결 편리해집니다. 자취방을 꾸미는 데 있어 꼭 필요한 것들이 있습니다.주방 용품은 자취생에게 필수 아이템입니다. 냄비, 팬, 칼, 도마와 같은 기본적인 조리 도구가 필요합니다. 그 외에도 전자레인지, 토스트기, 전기밥솥 등은 자취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기기입니다. 이러한 기기들을 하나씩 구입해 두면, 간편하게 식사를 준비할 수 있어 외식 대신 집에서 요리하는 습관을 들일 수 있습니다.청소 용품도 중요합니다. 자취방을 깨끗하게 유지하려면 청소기, 빗자루, 세제 등 청소 용품을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자취생들은 청소를 자주 할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물걸레 청소기와 같은 편리한 도구를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습니다.가전제품 중에서는 미니 냉장고가 중요한 필수템으로 꼽힙니다. 자취방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대형 냉장고보다는 미니 냉장고가 더 적합합니다. 또한, 공기청정기나 가습기도 생활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건조한 공기를 방지하기 위해 가습기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자취방을 구할 때 신중하게 고려하고, 생활비 절약을 위해 식비와 교통비를 아끼며, 자취 필수템들을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자취생활을 훨씬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자취는 자립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하지만, 그만큼 책임감이 필요한 과정입니다. 하지만 조금만 더 똑똑하게 계획하고 생활한다면, 자취생활은 더 이상 부담이 아닌 즐거운 경험이 될 것입니다!2025.01.31
-
대학생활대학생 재테크: 돈 안 쓰고 살아남기 -용돈 관리, 알바 추천, 장학금대학생 재테크: 돈 안 쓰고 살아남는 법 – 용돈 관리, 알바 추천, 장학금 정보대학생 시절은 재정적으로 가장 힘든 시기 중 하나입니다. 부모님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생활비를 마련하려면 현명한 재정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대학생이 돈을 아끼며 살아남기 위해서는 용돈 관리부터 알바 추천, 장학금 정보까지 여러 가지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가능한 자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용돈 관리 – 계획적인 소비가 핵심대학생 시절에 가장 중요한 재정 관리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용돈 관리입니다. 처음부터 정확한 예산을 세우고, 월별로 필요한 지출 항목을 분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교재비, 식비, 교통비, 여가비 등을 미리 계산하고 그에 맞는 지출 한도를 정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자신이 어느 부분에서 과소비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또한, 용돈을 현금으로 사용하는 대신 카드나 모바일 결제를 활용하면 지출 내역을 쉽게 추적할 수 있어, 매달 얼마나 쓰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카드사는 결제 내역을 월별로 정리하여 제공하므로, 소비 패턴을 시각적으로 분석하기 좋습니다. 2. 알바 추천 – 시간과 노력을 고려한 일자리 선택알바는 대학생에게 있어 중요한 수입원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한 알바보다는, 자신의 전공과 연관되거나,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알바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대학 근처의 카페나 레스토랑에서 일하는 것보다, 강의와 병행할 수 있는 온라인 알바나 튜터링 일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온라인 알바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아 유연하게 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번역, 글쓰기, 디자인 등의 업무를 맡을 수 있으며, 주어진 시간 내에 작업을 마치면 되기 때문에 학업과 병행하기 수월합니다. 또한, 전공과 관련된 분야에서 알바를 하게 되면, 취업 준비에도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공학을 전공하는 학생이 IT 관련 알바를 하거나, 문학을 전공하는 학생이 글쓰기나 출판 관련 일을 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3. 장학금 정보 – 적극적인 정보 수집과 지원장학금은 대학생들에게 있어 큰 재정적 지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장학금을 신청하는 과정을 소홀히 하거나,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장학금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장학금 정보는 적극적으로 수집하고, 자신에게 맞는 장학금 프로그램에 꾸준히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장학금 종류는 다양한데, 성적 장학금, 가계곤란 장학금, 전공별 장학금 등이 있습니다. 학교 내 장학금 외에도 정부나 민간 기관에서 지원하는 장학금도 많기 때문에, 이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대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포털사이트나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장학금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 자격과 조건을 꼼꼼히 살펴본 뒤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일부 장학금은 매년 일정 수의 인원만 선발하므로, 조기에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대학생 재테크의 핵심은 계획적인 소비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입니다. 용돈을 관리하고, 알바를 효율적으로 하며, 장학금에 지원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경제적 여유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재정 관리 방법들이 존재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꾸준함과 적극적인 자세입니다. 작은 부분에서부터 절약하고, 적극적으로 기회를 찾아 나선다면, 대학 생활 중에도 재정적으로 무리 없이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2025.01.31
-
대학생활대학생활과 고등학교의 차이, 이렇게 대비하자대학생활과 고등학교의 차이, 이렇게 대비하자 – 시간 관리, 공부법, 생활 패턴 변화 등 대학에 입학하면 새로운 환경과 생활 방식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고등학교와 대학은 수업 방식, 시간 관리, 공부법, 인간관계 등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미리 알고 준비하면 대학생활을 훨씬 더 수월하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학생활과 고등학교의 차이를 비교하며, 어떻게 대비하면 좋을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1. 시간 관리 – 자율성과 책임감이 핵심고등학교에서는 시간표가 정해져 있어 하루 일과가 비교적 규칙적으로 흘러갑니다. 반면, 대학에서는 수업을 직접 선택하고 시간표를 짤 수 있어 훨씬 자유롭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시간 관리를 스스로 해야 하며,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학업과 생활이 엉망이 될 수 있습니다. 대비 방법✔ 효율적인 시간표 구성: 아침 수업이 적합한지, 오후 수업이 더 나은지 본인의 생활 패턴에 맞춰 시간표를 짜세요. ✔ 플래너 활용: 과제 마감일, 시험 일정 등을 기록하고 미리 준비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자기 주도 학습 습관 만들기: 고등학교처럼 누가 챙겨주지 않으므로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 여유 시간 활용: 대학은 공강 시간이 많으므로 이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공부법 – 시험 준비 방식의 변화고등학교에서는 교과서 위주의 학습과 문제 풀이가 중심이었다면, 대학에서는 스스로 자료를 조사하고 깊이 있는 사고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시험 범위가 넓고 교수님의 스타일에 따라 평가 방식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대비 방법✔ 강의 필기 습관 들이기: 교수님이 제공하는 자료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으므로, 수업 내용을 꼼꼼히 필기하세요. ✔ 예습과 복습 습관화: 미리 강의 내용을 훑어보고, 수업 후에는 핵심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기출문제와 강의 평가 활용: 선배들이 남긴 시험 정보나 강의 평을 참고하면 효과적으로 시험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 스터디 그룹 활용: 혼자 공부하는 것보다 함께 토론하며 공부하면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3. 생활 패턴 변화 – 독립적인 생활이 시작된다고등학교에서는 부모님의 관리 아래 규칙적인 생활을 했다면, 대학에서는 스스로 생활 패턴을 조절해야 합니다. 기숙사 생활을 하거나 독립적인 생활을 시작하는 경우, 식사, 청소, 예산 관리까지 신경 써야 할 것이 많아집니다. 대비 방법✔ 규칙적인 생활 습관 유지: 수업이 늦게 끝난다고 밤늦게까지 놀다 보면 생활 패턴이 흐트러지기 쉽습니다. ✔ 자기 관리 능력 기르기: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을 통해 컨디션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예산 관리 연습: 용돈이나 생활비를 계획적으로 사용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습관을 들이세요. ✔ 집안일 익히기: 기숙사나 자취 생활을 하게 된다면, 빨래, 청소, 요리 등의 기본적인 생활 기술을 익혀두세요. 4. 인간관계 – 더 넓고 다양한 네트워크고등학교에서는 반 친구들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많았지만, 대학에서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교류할 기회가 많아집니다. 또한, 동아리, 학회, 대외활동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대비 방법✔ 새로운 환경에 열린 태도 유지: 다양한 사람들과 친해질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적극적으로 활동 참여: 동아리나 스터디 그룹에 참여하면 자연스럽게 친구를 사귈 수 있습니다. ✔ 의사소통 능력 키우기: 교수님과의 면담이나 팀 프로젝트에서 원활한 소통이 필요합니다. ✔ 너무 많은 모임에 휘둘리지 않기: 학업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인간관계를 균형 있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책임감 – 모든 것은 본인의 선택과 결과대학에서는 수업 선택, 성적 관리, 생활 방식 등 모든 것이 본인의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누가 대신해 주는 것이 아니므로, 책임감을 갖고 생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비 방법✔ 주도적인 태도 가지기: 수업 등록, 장학금 신청, 교환학생 기회 등 대학 생활에서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찾아야 합니다. ✔ 문제 해결 능력 키우기: 어려운 상황이 생기면 스스로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필요하면 교수님이나 상담 센터의 도움을 받으세요. ✔ 자신만의 목표 설정: 단순히 졸업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대학에서 이루고 싶은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세요. ✔ 자기 계발을 위한 노력: 학업 외에도 인턴십, 자격증 취득, 외국어 공부 등 자기 계발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세요. 대학생활을 잘 준비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고등학교와 대학은 많은 차이가 있지만, 미리 대비하고 준비한다면 새로운 환경에서도 충분히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시간 관리, 공부법, 생활 습관, 인간관계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스스로 성장하는 것입니다. 대학 생활은 스스로 만들어가는 과정이므로, 적극적으로 도전하고 경험을 쌓으며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길 바랍니다.2025.01.31
-
대학생활학점관리 101: A+ 받는 사람들의 비밀학점관리 101: A+ 받는 사람들의 비밀 – 교수님 스타일 파악, 시험 준비법, 과제 팁대학에서 A+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공부를 열심히 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학점 관리는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하며, 교수님의 스타일 파악, 효과적인 시험 준비법, 철저한 과제 관리 등이 핵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을 받는 사람들의 비밀을 알려드릴 테니, 자신의 학습 스타일에 맞춰 실천해 보세요! 1. 교수님 스타일 파악하기대학 수업은 교수님마다 진행 방식과 평가 기준이 다릅니다. 따라서, A+을 목표로 한다면 가장 먼저 교수님 스타일을 파악해야 합니다. 교수님 스타일을 파악하는 방법✔ 강의 계획서(실라부스) 확인: 과제, 출석, 시험의 비중이 어떻게 배분되는지 살펴보세요. ✔ 이전 수강생들의 후기를 참고: ‘에브리타임’과 같은 대학 커뮤니티에서 강의 평가를 찾아보세요. ✔ 첫 수업에서 교수님이 강조하는 점 메모: 교수님이 강조하는 부분이 시험 문제로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 출석 체크 방식 확인: 일부 교수님은 출석에 엄격하니, 출석 점수 비중이 높은 경우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과제 제출 기준 이해: 교수님에 따라 과제의 형식과 내용 요구 사항이 다르므로, 이를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시험 준비법 – A+을 위한 전략시험은 대학 성적의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시험 준비 전략이 필요합니다. A+을 위한 시험 준비법✔ 강의 필기 정리: 수업 내용을 정리하고, 중요한 개념을 따로 노트에 정리하세요. ✔ 기출문제 활용: 지난 학기 시험 문제를 구할 수 있다면 반드시 풀어보세요. 시험 스타일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스터디 그룹 활용: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며 서로 모르는 부분을 보완하세요. ✔ 시험 범위 분석: 교수님이 강조한 부분을 중심으로 공부하세요. 시험 전에 요약본을 만들어 정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모의 시험 보기: 시간을 정해두고 실제 시험처럼 문제를 풀어보며 연습하세요. ✔ 개념을 이해하고 응용: 단순 암기가 아닌, 개념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교수님이 응용 문제를 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3. 과제 관리 – 점수를 쉽게 얻는 방법과제는 시험만큼이나 중요한 요소입니다. 과제를 잘하면 성적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A+을 위한 과제 작성법✔ 마감일 체크: 마감일을 달력이나 플래너에 기록하고, 미리미리 준비하세요. ✔ 자료 조사 철저히: 신뢰할 수 있는 출처(학술지, 공식 웹사이트)를 활용하세요. ✔ 명확한 논리 전개: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하고, 논리적인 흐름을 유지하세요. ✔ 표절 주의: 출처를 정확히 표기하고, 표절 검사기를 활용하여 표절률을 낮추세요. ✔ 교수님이 원하는 형식 준수: APA, MLA 등 특정한 인용 방식이 요구될 수도 있으니 미리 확인하세요. ✔ 피드백 적극 활용: 제출 전에 선배나 친구에게 검토를 요청해 보세요. 4. 출석과 참여 – 성적에 미치는 영향출석과 수업 참여도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부 교수님은 출석을 점수에 반영하거나, 발표·토론 점수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A+을 위한 출석 및 참여 전략✔ 첫 수업부터 빠지지 않기: 첫인상이 중요합니다. 성실한 학생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세요. ✔ 적극적으로 질문하기: 수업 중 질문을 하면 교수님께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 토론 참여하기: 토론 수업에서는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출석 체크 방식 확인: QR코드 출석, 구두 출석, 서명 방식 등 교수님마다 다르니 확인하세요. ✔ 대체 과제 활용: 불가피하게 결석해야 한다면, 교수님께 미리 양해를 구하고 대체 과제를 요청하세요. 5. A+을 위한 시간 관리와 습관학점 관리는 단기간의 몰입이 아니라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시간 관리를 잘하면 학업과 개인 생활을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시간 관리 팁✔ 일정 관리 앱 활용: 마감일, 시험일을 캘린더에 기록하세요. ✔ 매일 일정한 시간에 공부하기: 습관을 들이면 공부하는 것이 더 쉬워집니다. ✔ ‘할 일 목록’ 작성: 매일 해야 할 일을 정리하고 체크하세요. ✔ 쉬는 시간도 중요: 과부하를 막기 위해 일정한 휴식 시간을 가지세요. 좋은 학습 습관✔ 매일 복습하기: 하루 10분이라도 수업 내용을 복습하세요. ✔ 예습 후 강의 듣기: 예습을 하면 수업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적극적인 태도 유지: 수업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 자연스럽게 학습 효과가 증가합니다. ✔ 목표 설정: 학기 초에 목표 학점을 설정하면 동기 부여가 됩니다. 꾸준한 노력과 전략이 A+의 비결A+을 받는 사람들은 단순히 머리가 좋은 것이 아니라, 효율적인 전략을 가지고 학업을 관리합니다. 교수님 스타일을 파악하고, 시험과 과제에 체계적으로 접근하며, 시간 관리를 철저히 한다면 누구나 좋은 학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처음부터 완벽하게 할 필요는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꾸준히 노력하는 태도입니다. 여러분도 전략적인 학점 관리를 통해 목표하는 성적을 얻길 바랍니다!2025.01.31
-
대학생활시간표 짜는 법: 꿀조합 vs. 망조합시간표 짜는 법: 꿀조합 vs. 망조합 – 듣기 좋은 강의 고르는 법과 시간표 전략대학에 들어가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큰 과제가 바로 ‘시간표 짜기’입니다. 고등학교와 달리 정해진 시간표가 없고, 원하는 강의를 직접 선택해야 하죠. 하지만 신입생 때는 어떻게 해야 좋은 시간표를 짤 수 있을지 감이 오지 않을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좋은 시간표(꿀조합)와 나쁜 시간표(망조합)의 차이를 설명하고, 듣기 좋은 강의를 고르는 방법과 시간표 짜는 전략을 알려드릴게요! 1. 꿀조합 vs. 망조합 시간표 비교시간표를 짤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수업의 배치와 조합입니다. 잘 짜면 한 학기를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지만, 무계획적으로 짜면 체력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 있어요. ✅ 꿀조합 시간표 (추천)✔ 적당한 공강 시간 포함 – 수업과 수업 사이에 1~2시간 정도 여유 시간이 있어야 체력적으로 덜 부담됩니다. ✔ 연강(연속 수업) 2~3개 이하 – 연강이 많으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피곤해질 수 있어요. ✔ 중간에 밥 먹을 시간 확보 – 점심시간을 고려해서 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자신의 생체 리듬에 맞게 배치 – 아침잠이 많은 사람은 오전 9시 수업을 피하고, 저녁형 인간이라면 오후 수업 위주로 배치하는 것이 좋아요. ✔ 강의 스타일과 난이도를 균형 있게 – 과제가 많은 과목과 상대적으로 가벼운 과목을 적절히 섞어야 합니다. ✔ 출석 체크 방식 고려 – 교수님마다 출석 관리 스타일이 다르므로 이를 확인하고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 망조합 시간표 (비추천)❌ 월요일 아침 9시 수업 – 주말을 보내고 월요일 아침 일찍 일어나야 하면 체력적으로 힘들어요. ❌ 연강 4개 이상 – 하루 종일 수업만 듣다 보면 피로가 쌓이고, 집중력이 떨어집니다. ❌ 점심시간 없음 – 밥 먹을 시간이 없어지면 체력이 바닥나고, 오후 수업 집중도가 떨어져요. ❌ 과제 폭탄 강의 몰아넣기 – 과제 양이 많은 강의(예: 보고서, 프로젝트 기반 과목)를 여러 개 넣으면 학기 말에 과제 지옥을 경험할 수 있어요. ❌ 수업 간격이 너무 넓음 – 수업이 뜨문뜨문 배치되어 있으면 하루 종일 학교에 있어야 하고, 쉬는 시간이 애매해집니다. ❌ 출석 체크 빡센 강의 연속 배치 – 지각 한 번만 해도 감점이 심한 강의들이 몰려 있으면 부담이 커져요. 2. 듣기 좋은 강의 고르는 법시간표를 짜기 전에 어떤 강의를 들을지 정해야 합니다. 좋은 강의를 선택하면 수업이 재미있고 성적도 잘 받을 수 있어요. 강의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요소강의 계획서(실라부스) 확인: 과제, 평가 방식, 출석 규정 등을 미리 파악하세요.교수님 스타일 조사: 선배들이 남긴 강의 평가(예: 에브리타임, 학교 커뮤니티)를 참고하세요.시험 유형 체크: 시험이 많은지, 과제 중심인지 파악하면 본인 스타일에 맞는 강의를 선택할 수 있어요.과제량 확인: 과제가 많은 강의는 여러 개 몰아서 듣기 힘드니 주의하세요.전공 필수 vs. 교양 강의 밸런스: 전공 필수 과목을 먼저 듣되, 교양 과목으로 부담을 줄일 수 있어요.출석 규정 확인: 출석이 엄격한 교수님 수업은 지각하면 감점이 클 수 있어요. 추천 강의 유형✅ 성적 잘 주는 강의 – 선배들의 후기를 참고해 성적이 잘 나오는 과목을 고르는 것도 전략입니다. ✅ 흥미로운 교양 강의 – 취미나 관심사에 맞는 교양 수업을 들으면 재미있게 학점을 딸 수 있어요. ✅ 전공 기초 과목 – 전공 필수 과목을 너무 미루지 말고, 기초가 되는 과목을 먼저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습·토론형 강의 – 단순한 필기 수업보다 활동적인 수업이 더 재미있을 수 있어요. 3. 시간표 짜는 전략시간표를 짤 때 몇 가지 전략을 사용하면 효율적으로 짤 수 있어요. 시간표 전략✔ 필수 과목 먼저 배치 – 졸업 요건을 고려해 전공 필수 과목부터 넣으세요. ✔ 강의 유형 적절히 섞기 – 시험형, 과제형, 발표형 강의를 균형 있게 배치하세요. ✔ 오전형 vs. 오후형 선택 – 본인의 생활 패턴에 맞게 오전이나 오후 위주로 강의를 배치하세요. ✔ 공강 요일 활용 – 하루를 공강으로 만들면 과제나 개인 활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요. ✔ 출석 부담 고려 – 엄격한 출석 체크 강의는 연속으로 듣지 않는 것이 좋아요. ✔ 친구들과 상의하기 – 친한 친구들과 같은 수업을 듣거나, 조별 과제가 있는 수업은 미리 팀원을 정하는 것도 좋아요. 공강 요일 만들기 vs. 균형 잡힌 시간표공강 요일 만들기: 하루를 통째로 비워두면 과제나 아르바이트, 자기 계발 시간을 가질 수 있어요.균형 잡힌 시간표: 매일 적절히 배분하면 체력적으로 부담이 덜합니다. 마무리: 전략적으로 시간표를 짜면 대학 생활이 편해진다!시간표를 잘 짜는 것은 대학 생활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꿀조합 시간표를 만들려면 본인의 생활 패턴을 고려하고, 강의 정보를 충분히 조사한 후 계획적으로 시간표를 짜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지만, 한두 번 경험하면 자신만의 최적의 시간표를 짤 수 있을 거예요.대학 생활이 기대된다면, 시간표 짜기를 신중하게 준비해 보세요!2025.01.31
-
대학생활‘이걸 알았다면 더 쉬웠을 텐데’ 신입생 때 흔히 하는 실수와 피하는 법첫 학기 꿀팁: ‘이걸 알았다면 더 쉬웠을 텐데’ – 신입생 때 흔히 하는 실수와 피하는 법대학교 첫 학기는 기대와 설렘으로 가득하지만, 동시에 많은 실수를 할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해요. 대학 생활은 고등학교와 다르게 모든 것이 자유롭지만, 그만큼 자기 관리가 중요하답니다. 대학 선배로서 "이걸 미리 알았더라면 훨씬 쉬웠을 텐데!"라고 생각했던 부분들을 정리해 봤어요. 첫 학기를 성공적으로 보내기 위해 꼭 참고해 보세요! ???? 1. 시간표 짜는 실수: 이상적인 시간표 vs. 현실적인 시간표대학생활에서 시간표를 직접 짜는 것은 신입생들에게 매우 생소한 경험일 거예요. 하지만 잘못 짜면 한 학기 내내 후회할 수도 있습니다. ❌ 흔한 실수아침 9시 수업을 매일 넣기 → 고등학교와 달리 대학에서는 9시 수업이 생각보다 힘들어요. 아침잠이 많다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연강(연속 강의)으로 꽉 채우기 → 점심 먹을 시간도 없이 강의를 들으면 집중력이 떨어져요.수업을 띄엄띄엄 배치하기 → 공강 시간이 너무 많으면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기 어려워요. ✅ 해결 방법본인의 생활 패턴을 고려해서 시간표를 짜세요.하루에 강의를 너무 몰아서 듣지 말고, 적절한 휴식 시간을 배치하세요.공강 시간을 활용해 공부하거나 동아리 활동을 할 계획이라면 미리 준비해 두세요. ???? 2. 강의 & 공부 방법: 교수님 스타일 파악이 필수!대학에서는 교수님마다 강의 스타일이 다 다르기 때문에 수업 방식에 빠르게 적응해야 해요. ❌ 흔한 실수교수님 스타일을 파악하지 않고 강의를 듣기 → 어떤 교수님은 출석을 엄격하게 체크하고, 어떤 교수님은 리포트 위주로 평가합니다.강의 첫 주를 대충 듣기 → 첫 주에 수업 계획(실라부스)이 공개되는데, 이걸 놓치면 나중에 후회할 수 있어요.시험 기간에 벼락치기하기 → 대학 공부는 벼락치기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 해결 방법강의 계획서(실라부스)를 꼼꼼히 읽고, 평가 방식과 교수님 스타일을 파악하세요.첫 수업(OT)은 무조건 참석해서 어떤 방식으로 수업이 진행될지 확인하세요.중간고사, 기말고사 전에 벼락치기하지 말고, 미리미리 복습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 3. 과제 & 조별 과제: 미루면 지옥을 맛본다!대학 과제는 고등학교 숙제보다 훨씬 많고, 난이도도 높아요. 특히 조별 과제는 신입생들이 가장 힘들어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 흔한 실수과제를 마감 직전에 시작하기 → 벼락치기하면 밤샘은 기본이고, 결과물도 퀄리티가 낮아질 가능성이 커요.조별 과제에서 역할을 제대로 하지 않기 → 조원들에게 미움받기 쉽고, 낮은 평가를 받을 수도 있어요.레퍼런스(출처) 정리를 안 하기 → 리포트나 논문에서 표절이 걸리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어요. ✅ 해결 방법과제 마감일을 미리 캘린더에 적어 놓고, 조금씩 진행하는 습관을 들이세요.조별 과제에서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소통을 원활히 하세요.리포트 작성 시 출처 정리를 철저히 해서 표절 문제를 피하세요. ???? 4. 인간관계: 너무 조급해하지 말자대학교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게 되지만, 처음부터 모든 사람과 친해질 필요는 없어요. ❌ 흔한 실수처음 만난 사람들과 너무 깊이 친해지려 하기 → 급하게 인간관계를 형성하면 후회할 수도 있어요.선배들과 어색해서 필요한 정보를 못 얻기 → 선배들은 수업, 시험, 취업 관련 정보를 많이 알고 있어요.불편한 인간관계 억지로 유지하기 → 대학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관계에 신경 쓰지 않는 것이 좋아요. ✅ 해결 방법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맞는 친구들이 생기니, 억지로 관계를 만들지 마세요.친해지고 싶은 선배나 동기에게 가볍게 질문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시작하세요.필요할 때는 거리 두는 것도 중요해요. 모든 사람과 잘 지낼 필요는 없어요. ???? 5. 동아리 & 대외활동: 신중하게 선택하기대학에서는 다양한 동아리와 대외활동이 있지만, 너무 많은 활동을 하면 오히려 지칠 수 있어요. ❌ 흔한 실수친구 따라서 아무 동아리나 가입하기 → 나중에 흥미를 잃고 활동을 그만두게 될 수도 있어요.너무 많은 동아리에 가입하기 → 일정 관리가 어려워지고, 정작 중요한 공부를 소홀히 할 수 있어요.학생회 활동을 무작정 시작하기 → 일부 학생회는 활동량이 많아 학업과 병행하기 힘들 수도 있어요. ✅ 해결 방법자신이 정말 관심 있는 동아리를 신중하게 선택하세요.신입생 OT나 체험 활동을 통해 미리 경험해 보고 결정하세요.활동량이 너무 많아지지 않도록 균형을 맞추세요. ???? 마무리: 첫 학기는 적응하는 기간!대학 첫 학기는 모든 것이 새롭고, 기대되는 만큼 실수할 가능성도 많아요. 하지만 누구나 시행착오를 겪으며 성장하는 법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실수들을 미리 알고 대비한다면 훨씬 더 편안하고 즐거운 첫 학기를 보낼 수 있을 거예요.???? 여러분의 멋진 대학 생활을 응원합니다! 대학 생활이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 물어보세요 ????2025.01.31
-
대학생활대학생활 생존 가이드: 수업, 과제, 인간관계, 동아리 활동 팁!대학생활 생존 가이드: 수업, 과제, 인간관계, 동아리 활동 등 전반적인 팁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에 들어가면 완전히 새로운 환경을 맞이하게 됩니다. 자유롭고 즐거운 캠퍼스 생활이 기다리고 있지만, 그만큼 스스로 잘 적응해야 할 것도 많아요. 대학 생활을 처음 시작하는 예비 대학생들을 위해, 대학 선배의 입장에서 꼭 알아두면 좋을 꿀팁을 정리해봤습니다! 1. 수업: 듣기만 하면 끝이 아니다!대학에서는 고등학교처럼 정해진 시간표대로 수업을 듣는 것이 아니라, 직접 원하는 강의를 선택해서 듣게 됩니다. 그래서 신입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가 ‘시간표를 대충 짜는 것’이에요. 수업을 잘 듣고 학점을 잘 받기 위해 다음 팁을 참고하세요! 시간표 짜는 팁강의 계획서(=실라부스)를 꼭 확인하자: 각 수업의 내용, 평가 방식, 교수님의 스타일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균형 잡힌 시간표를 만들자: 하루에 강의를 몰아서 듣거나, 아침 9시 연강으로 시간표를 짜면 후회할 가능성이 높아요. 적당히 쉬는 시간을 넣어두세요.강의 난이도를 고려하자: 어렵고 과제가 많은 수업을 한 학기에 너무 많이 넣으면 부담이 클 수 있어요.수업 유형을 고려하자: 토론 위주, 실습 위주, 필기 위주의 강의 등 다양하니 본인의 학습 스타일에 맞는 강의를 선택하세요. 수업 듣는 법첫 강의(OT)는 무조건 참석: 교수님의 스타일과 수업 진행 방식을 알 수 있어요.출석은 필수!: 대학에서도 출석을 중요하게 봅니다. 특히 몇 번 이상 결석하면 자동 F가 되는 강의도 있어요.강의 녹음 & 필기 병행: 필기만 하면 놓치는 부분이 많아요. 중요한 수업은 녹음해 두는 것도 방법이에요.질문하는 습관을 기르자: 대학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중요합니다. 모르는 게 있으면 교수님께 질문하세요. 2. 과제: 미루면 지옥을 맛보게 된다!고등학교 때보다 과제의 양과 난이도가 훨씬 많아지고 어려워집니다. 리포트, 팀 프로젝트, 발표 과제 등 다양한 과제가 주어지기 때문에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해요. 과제 관리법일정을 미리 체크하자: 과제 마감일을 미리 달력이나 플래너에 정리해 놓으세요.미루지 말고 조금씩 해놓자: 마감 전날 벼락치기는 진짜 힘들어요. 조금씩 미리 해놓으면 부담이 줄어듭니다.팀 프로젝트에서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자: 조별 과제는 피할 수 없어요. 열심히 하지 않으면 조원들에게 미움을 살 수도 있어요.레퍼런스(출처) 명확히 하기: 논문이나 리포트를 쓸 때 표절하면 큰일 납니다. 출처 정리를 철저히 하세요.교수님 피드백 적극 활용: 초안이라도 교수님께 보여주면 더 좋은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요. 3. 인간관계: 적당한 거리 유지가 핵심!‘’'대학에서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게 됩니다. 하지만 모두와 친해질 필요는 없어요. 인간관계를 잘 유지하는 것이 대학생활을 즐겁게 만드는 핵심 요소 중 하나예요. 인간관계 관리법너무 억지로 친해지려고 하지 말자: 진짜 마음이 맞는 친구들은 자연스럽게 생겨요.선배와 교수님과의 관계도 중요: 선배들은 수업, 시험, 취업 등 여러 정보를 알려줄 수 있는 좋은 멘토가 될 수 있어요.너무 많은 약속 잡지 말기: 인간관계에 너무 에너지를 쓰다 보면 정작 해야 할 공부를 못 할 수도 있어요.같이 공부할 친구 만들기: 시험 기간에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친구가 있으면 정말 좋아요.불편한 인간관계는 자연스럽게 거리 두기: 꼭 모든 사람과 잘 지낼 필요는 없어요. 스트레스 받으면 적당히 거리를 두세요. 4. 동아리 활동: 꼭 해야 할까?대학에는 정말 다양한 동아리와 학생회 활동이 있어요. 새로운 친구를 사귀고 경험을 쌓는 데 좋은 기회지만, 무턱대고 아무 동아리에 가입하면 후회할 수도 있어요. 동아리 선택 기준자신의 관심사와 맞는지 확인: 단순히 ‘친구 따라’ 동아리에 가입하면 흥미를 잃을 가능성이 높아요.시간 부담이 너무 크지 않은지 체크: 일부 동아리는 활동량이 많아 학업과 병행하기 어려울 수도 있어요.선배들과의 관계가 편안한지 확인: 너무 위계질서가 강한 동아리는 부담이 될 수도 있어요.실제로 경험해 보고 결정하기: 대부분 동아리는 체험 활동을 제공하니, 미리 참여해 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아요. 마무리: 대학 생활,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대학은 고등학교와 달리 모든 것이 자유롭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자기 관리가 중요해요. 수업, 과제, 인간관계, 동아리 활동까지 신중하게 선택하고 균형을 맞추는 것이 대학생활을 즐겁게 보내는 방법입니다. 완벽하게 하려고 하기보다는, 자신에게 맞는 리듬을 찾아가면서 하나씩 경험해 보세요. 여러분의 멋진 대학 생활을 응원합니다! ????2025.01.31
-
학생부 관리도시사회학과 희망학생 추천도서 <도시의승리> 활용법『도시의 승리』는 도시화와 도시 사회의 변화에 대한 깊은 분석을 제공하는 책입니다. 이 책은 전 세계적으로 도시들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도시가 어떻게 발전하고 변해왔는지를 다룹니다. 특히, 도시의 성장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문제들을 중심으로, 도시가 당면한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했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이 책은 도시사회학에 관심 있는 학생들에게 매우 유익한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책의 주요 내용도시화의 역사와 발전『도시의 승리』에서는 도시화가 어떻게 시작되었고, 세계 각국의 도시들이 어떻게 성장했는지를 설명합니다. 산업화 이후 급격하게 도시화가 이루어졌으며, 그로 인해 도시가 직면한 여러 사회적 변화와 문제들을 다룹니다. 도시화의 초기에는 대규모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주가 일어났고, 이에 따라 주거지 부족, 실업 문제, 환경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책은 이러한 도시화의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었으며, 각 도시가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한 사례를 제시합니다.도시의 문제와 해결책도시가 겪은 주요 문제들, 예를 들어, 주거 문제, 교통 혼잡, 환경 오염 등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많은 도시들이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아냈습니다. 예를 들어, 교통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중교통 시스템을 강화하거나,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원과 녹지 공간을 확대하는 등의 방법들이 소개됩니다. 책은 이와 같은 해결책들이 실제로 어떻게 효과를 보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적, 정치적 갈등에 대해서도 다룹니다.도시와 사회적 변화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도시 내의 사회적 구조와 관계에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도시화는 새로운 계층의 형성과 사회적 갈등을 낳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의 격차가 확대되었고, 빈곤 문제나 주택 문제 등의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었습니다. 책은 이러한 사회적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또한 도시가 어떤 방법으로 사회적 통합을 이루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를 제공합니다.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마지막으로, 『도시의 승리』는 지속 가능한 도시의 모델을 제시합니다. 환경과 경제, 사회가 조화를 이루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소개합니다. 지속 가능한 도시란 단순히 환경을 보호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모두가 평등하게 기회를 가질 수 있는 도시를 의미합니다. 이 책에서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계획들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며, 특히 그로 인한 긍정적인 변화들에 대해 강조합니다. 활용법『도시의 승리』는 도시사회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매우 유용한 책입니다. 고등학생들이 이 책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도시화와 사회 변화 이해이 책은 도시화가 어떻게 사회를 변화시켰는지에 대해 다룹니다. 학생들은 이 책을 통해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적 변화들, 예를 들어 계층화, 주거지 문제, 환경 문제 등을 배우게 됩니다. 이는 도시사회학의 중요한 개념인 도시화와 그에 따른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고등학생들은 이 책을 통해 도시화가 단순히 물리적 공간의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점을 알게 될 것입니다.도시 문제에 대한 인식책에서 다루는 다양한 도시 문제들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도시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주거 문제, 교통 문제, 환경 문제 등은 서울을 포함한 전 세계 도시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들입니다. 학생들은 이를 읽고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들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의 교통 혼잡 문제나 환경 오염 문제를 도시화와 연결 지어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 사고책에서는 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혁신적인 해결책들을 소개합니다. 예를 들어, 도시 내 교통 체증을 해결하기 위한 대중교통 시스템 개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공원 조성 등의 방법들이 제시됩니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책에서 소개하는 정책과 해결책들이 어떻게 실현 가능한지, 그리고 각 정책들이 실제로 도시 환경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면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지속 가능한 도시를 위한 고민학생들은 이 책을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의 중요성을 배우고, 환경, 경제, 사회적 요소가 어떻게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를 위한 구체적인 사례들을 살펴보며, 학생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도시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고민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사회적 책임감을 기르고, 나아가 환경 보호나 사회적 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들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도시의 승리』는 도시화와 그로 인한 변화들을 다룬 매우 중요한 책입니다. 이 책은 도시사회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도시가 어떻게 발전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와 이론을 제공합니다. 학생들은 이 책을 통해 도시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고,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도시 만들기를 위한 고민을 통해 사회적 책임감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책입니다. 고등학생들이 이 책을 통해 도시사회학의 기초를 다지고, 더 나아가 사회적, 환경적 문제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2025.01.31
-
학생부 관리도시사회학과 희망학생 추천도서 <서울사회학> 활용법도시사회학과를 희망하는 학생이라면 책<서울사회학>을 추천합니다!도시사회학과 교수님들께서 집필에 참여하셨고, 도시사회학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내용들이 많이 있기 때문입니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도시사회학적 이론과 실제를 다룬 책으로, 서울이라는 도시가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해 왔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 책은 도시 사회학의 기본적인 개념들을 쉽게 설명하고, 서울이라는 특수한 지역을 통해 그 이론들을 실제 사례와 결합하여 설명합니다. 도시사회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참고서가 될 수 있습니다. 책의 주요 내용서울의 도시화 과정서울사회학에서는 서울이 어떻게 오늘날의 대도시로 성장했는지를 설명합니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서울은 어떻게 변화해 왔고, 그 변화가 시민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다룹니다. 예를 들어, 농촌에서 도시로의 대규모 이주, 그리고 그로 인한 빈곤층과 신흥 계층의 형성 등을 분석합니다. 이 과정에서 ‘도시화’가 단순히 물리적인 공간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사회 구조나 경제적 계층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줍니다.도시 문제와 갈등서울은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겪었습니다. 예를 들어, 주택 부족, 교통 혼잡, 환경 오염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가 발생했고, 이는 도시 내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어떻게 해결되어 왔으며, 해결 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이나 사회적 반응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그로 인해 서울 사회는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설명합니다.서울의 사회적 계층화서울 사회는 빠르게 도시화되면서 사회적 계층이 뚜렷하게 나누어졌습니다. 책은 서울을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으로 나누어 그들 간의 관계와 갈등을 분석합니다. 또한, 서울에서의 경제적 불평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그 불평등이 각 계층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도 다룹니다. 예를 들어, 주거지의 격차, 교육 기회의 불평등 등이 어떻게 사회적 계층을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했는지를 분석합니다.서울의 문화적 변화서울은 단순한 경제적 중심지가 아니라 문화적 중심지이기도 합니다. 서울에서 발생한 문화적 변화들을 다루며,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형성된 대중문화나 예술 운동을 설명합니다. 이 책은 서울이 가진 고유한 문화적 특성, 그리고 문화와 경제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합니다. 학생들에게의 활용법 도시사회학 이론의 이해서울사회학은 도시사회학의 이론을 서울이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이 책을 통해 도시사회학에서 중요한 개념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시화’, ‘계층화’, ‘사회적 갈등’ 등 기본적인 도시사회학의 개념들을 서울을 중심으로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사례 분석을 통한 사회 문제 이해이 책에서는 서울에서 실제로 발생한 사회적 문제들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설명합니다. 학생들은 이 사례들을 통해 서울이 겪어온 사회적 갈등이나 문제들을 실제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의 주택 문제나 교통 문제, 빈곤 문제 등을 다루면서 사회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배우게 됩니다. 이러한 사례 분석은 학생들이 사회적 문제를 실제적으로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비판적 사고 능력 기르기서울사회학은 서울의 발전 과정과 그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합니다. 학생들은 이 책을 읽으면서 서울이 어떤 방식으로 발전했는지, 그 과정에서 발생한 부작용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사회적 계층과 불평등에 대한 인식이 책은 서울에서의 사회적 계층화와 불평등 문제를 다룹니다. 고등학생들은 이 내용을 통해 사회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 내에서의 교육 기회 불평등이나 경제적 격차 등이 개인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민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학생들이 사회적 문제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더 나아가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관심을 가지도록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책은 단순한 도시사회학 책을 넘어, 서울이라는 도시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 책을 통해 학생들은 서울의 역사, 문화, 경제, 그리고 사회적 갈등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도시사회학 이론을 실제 사례를 통해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문제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사회적 책임감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 고등학생들이 이 책을 통해 도시사회학에 대한 기초를 다지고, 사회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2025.01.31
-
학과 탐색도시행정학과 vs. 도시사회학과: 무엇이 다를까?도시행정학과 vs. 도시사회학과: 무엇이 다를까?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24학번 은결멘토입니다. 혹시 여러분은 도시행정학과와 도시사회학과가 어떻게 다른지 궁금했던 적이 있나요? 두 학과 모두 도시를 연구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공부하는 내용과 접근 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두 학문을 비교하면서, 각각 어떤 점에 초점을 맞추는지 쉽게 설명해볼게요! 1. 도시행정학과: 도시를 운영하는 법을 배우는 곳도시행정학과는 도시를 계획하고 운영하는 방법을 배우는 학과입니다. 쉽게 말해, 도시가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하는 행정적, 정책적 역할을 연구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도로를 새로 만들거나 주택을 공급할 때 정부가 어떤 정책을 세워야 하는지, 도시 문제(교통 체증, 환경오염 등)를 해결하려면 어떤 행정적 조치가 필요한지를 고민하는 학문입니다.도시행정학을 전공하면 주로 지방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도시계획과 관련된 정책을 세우는 공무원이 되거나, 국토교통부나 시청에서 근무하면서 실제 정책을 실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요. 따라서 공공정책, 행정법, 재정관리 등 행정학적인 요소를 많이 배우게 됩니다. 2. 도시사회학과: 도시 속 사람들의 삶을 연구하는 곳반면, 도시사회학과는 도시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 초점을 맞춥니다. 사람들이 어떻게 모여 살고, 어떤 방식으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지 연구하는 학문이죠. 예를 들어, 청년층과 노년층이 같은 동네에서 어떤 관계를 맺고 사는지, 특정 지역에서 빈부격차가 심해지는 이유는 무엇인지, 재개발이 한 지역의 주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합니다.도시사회학을 전공하면 연구기관, 시민단체, 또는 정책 연구소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아요. 또,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연구하거나 도시계획 과정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이 때문에 사회학 이론, 조사 방법론, 도시 문제에 대한 분석 능력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3. 같은 도시를 연구하지만, 다른 접근 방식예를 들어 ‘재개발’을 주제로 도시행정학과와 도시사회학과가 어떻게 접근하는지를 비교해볼게요.도시행정학과에서는 재개발이 경제적으로 얼마나 효과적인지, 행정적으로 어떤 절차가 필요한지를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주택 공급이 필요한가? 어떤 법적 절차를 따라야 하는가? 정부가 어떻게 재개발을 지원해야 하는가? 등의 문제를 고민하죠.도시사회학과에서는 재개발이 지역 주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합니다. 기존 주민들은 어디로 이주하게 되는지, 원주민들이 재개발된 지역으로 다시 돌아올 수 있는지, 새로운 환경이 지역 공동체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분석합니다. 4. 어떤 학과를 선택해야 할까? 어떤 학과를 선택할지는 여러분의 관심사에 달려 있어요.도시를 직접 계획하고 정책을 만들고 싶다면? → 도시행정학과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연구하고 싶다면? → 도시사회학과 예를 들어, 여러분이 행정적인 절차나 정책 결정 과정에 관심이 많고, 공무원이나 정책 전문가가 되고 싶다면 도시행정학과가 적합할 거예요. 반면, 사회 문제에 관심이 많고, 사람들의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하고 싶다면 도시사회학과가 더 잘 맞을 수도 있어요. 5. 함께 협력하는 학문사실 도시행정학과와 도시사회학과는 따로 떨어진 것이 아니라 서로 협력하는 관계입니다. 도시를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좋은 정책(도시행정)과 사람들의 삶에 대한 이해(도시사회학)가 함께 필요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두 학과를 함께 공부하거나, 관련된 학문을 접목하는 경우도 많아요. 6. 마무리오늘은 도시행정학과와 도시사회학과의 차이를 비교해보았어요. 두 학문은 모두 도시를 연구하지만, 하나는 정책과 행정에 초점을 맞추고, 다른 하나는 사람들의 삶을 연구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여러분이 어떤 분야에 더 흥미가 있는지 고민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길을 찾아가길 바라요! ????2025.01.31
-
진로 탐색대학 전공 선택과 진로 탐색: 나만의 미래를 찾아가는 길저는 고등학생때부터 진로에 대한 고민이 많았습니다. 고3이 되고 나서 사회계열 학과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대학에 오고 나서도 여전히 고민이 많습니다.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에게 전공 선택은 큰 고민거리 중 하나입니다. 전공은 단지 학문적인 관심을 충족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직업적 경로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학 전공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와 팁, 그리고 전공 선택을 위한 자기 성찰 방법과 학문적 탐구 방법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1. 전공 선택의 중요성대학에서 전공을 선택하는 것은 단순히 좋아하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전공은 학문적 성취뿐만 아니라, 미래의 직업 선택에도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의학, 법학, 공학 등은 특정 직업군으로 직결되지만, 사회과학, 인문학, 예술 분야 등은 여러 직업군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전공 선택을 잘못하면 이후 진로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전공 탐색을 위한 첫 번째 단계: 자기 성찰전공을 선택하기 전에 자신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합니다. 자신이 어떤 학문에 관심이 있는지, 어떤 활동을 즐기는지, 어떤 환경에서 잘 성장하는지를 탐색해야 합니다. 다음은 자기 성찰을 위한 몇 가지 질문입니다.내가 좋아하는 활동은 무엇인가?: 예를 들어, 내가 사회 문제에 관심이 많다면 사회학이나 정치학과 같은 전공이 맞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기술이나 공학적 문제 해결에 흥미가 있다면 공학 전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내가 잘하는 것은 무엇인가?: 자신이 잘하는 분야는 전공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학이나 과학에 뛰어난 능력이 있다면 자연과학 계열이나 공학 전공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내가 추구하는 가치와 목표는 무엇인가?: 각 전공은 특정한 가치나 목표를 지향합니다. 예를 들어, 인문학 전공은 인간의 삶과 문화를 깊이 이해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경영학 전공은 경제적 효율성이나 리더십을 중시합니다.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반영하는 전공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와 같은 질문을 통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잘하며, 어떤 목표를 추구하는지를 알아가는 것이 전공 선택의 첫 번째 단계입니다. 3. 전공 탐색을 위한 두 번째 단계: 다양한 전공에 대한 정보 수집자기 성찰 후에는 다양한 전공을 탐색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수집해야 합니다. 대학 홈페이지, 전공 설명회, 전공 관련 책자 등을 통해 전공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와 각 전공이 제공하는 교육과정을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또한, 전공에 대한 실제적인 경험을 얻기 위해 해당 전공의 학과나 관련 직업군에서 활동하는 사람들과의 대화나 인터뷰를 시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사회과학 전공을 고민하고 있다면 사회학자나 정치학자와의 만남을 통해 그들의 경험을 듣고, 전공의 실제적인 면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전공 선택 후의 학문적 탐구 방법대학에서 전공을 선택한 후에는 깊이 있는 학문적 탐구가 필요합니다. 전공이 정해진 후,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에 대한 방향성을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다양한 수업을 듣기: 처음에는 해당 전공의 기초 과목을 들으며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그 분야에서 중요한 이론과 개념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초 수업을 통해 전공에 대한 관심도를 확인하고, 점차적으로 심화 과목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교수님과의 소통: 학문적 성장은 교수님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수업 후에 교수님에게 질문을 하거나, 연구실에서 일할 기회를 찾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전공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고, 학문적 질문을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동아리 활동 및 인턴십 경험: 전공과 관련된 동아리나 학회 활동에 참여하면 실무적인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관련 분야에서의 인턴십은 이론과 실무를 연결할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경제학 전공이라면 경제 관련 기관에서의 인턴십을 통해 현장 경험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글쓰기와 연구: 전공 관련 논문을 작성하고,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것은 학문적 탐구의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를 기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5. 진로 탐색과 전공 선택의 연결전공 선택은 단순한 학문적 결정이 아니라, 자신의 진로와 밀접하게 연관된 중요한 결정입니다. 자기 성찰을 통해 자신의 흥미와 능력을 파악하고, 다양한 전공을 탐색한 후, 학문적 탐구를 통해 깊이 있는 지식을 쌓아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대학 생활 동안 다양한 경험을 쌓고,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공 선택이 잘 이루어지면, 대학 생활은 물론 그 이후의 진로에서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2024.12.31
-
대학생활대학생활에서 꼭 해봐야 할 10가지 버킷리스트대학생활에서 꼭 해봐야 할 10가지 버킷리스트대학생활은 학업, 인간관계, 자기계발 등 모든 면에서 새로운 도전과 경험을 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그중에서도 대학 시절에만 누릴 수 있는 특별한 순간들을 놓치지 않기 위해 버킷리스트를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요? 여기, 선배로서 강력 추천하는 대학생 때 꼭 해봐야 할 10가지를 소개합니다! 1. 친구들/학과 동기들과 여행 가기같은 전공을 공부하는 친구들과의 여행은 색다른 추억을 만듭니다. MT나 학과 행사를 통해 친해진 친구들과 함께라면 더없이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어요. 여행 중 토론과 학업 이야기를 섞으면 공부도 여행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습니다. 2. 동아리 가입해서 활동하기동아리는 학업 외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최고의 기회입니다. 관심 있는 분야를 탐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후배 관계를 쌓고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데도 도움이 돼요. 공연, 봉사, 학술 동아리 등 다양한 옵션 중 자신의 성향에 맞는 활동을 찾아보세요. 3. 교환학생 또는 해외 연수 도전하기대학 시절은 새로운 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는 최적의 시기입니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참여해 외국 대학에서 수업을 듣거나 단기 연수를 통해 다양한 문화를 경험해 보세요. 영어 능력도 향상되고, 글로벌 감각을 키울 수 있는 최고의 기회입니다. 4. 인생 첫 자취 경험하기 (필수 아님)대학이 집에서 멀다면 자취를 해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독립적인 생활을 통해 책임감과 시간 관리 능력을 배울 수 있어요. 자취하면서 요리, 집안일 같은 소소한 생활 스킬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됩니다.→ 만약 자취를 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라면 꼭 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취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너무 두려움을 가지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ㅎㅎ 5. 캠퍼스 축제 즐기기대학 축제는 그 자체로 대학생만의 특권입니다. 축제 기간 동안 열리는 공연, 부스 체험, 플리마켓 등을 즐기며 캠퍼스 분위기를 만끽하세요. 특히 밤에 열리는 대동제는 친구들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남길 수 있습니다. 6. 교내 공모전이나 대회 참가하기대학생활 동안 도전 정신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바로 공모전입니다. 전공 관련 아이디어 대회부터 창업 경진대회, 글쓰기 공모전 등 다양한 대회가 있으니 관심 있는 분야를 찾아보세요. 상금이나 수상 경력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능력을 시험해 볼 수 있는 좋은 경험입니다. 7. 꿈을 향한 인턴십 경험하기실제 현장에서 일하며 실무를 경험할 수 있는 인턴십은 대학생 때 꼭 해봐야 할 활동 중 하나입니다. 전공과 관련된 인턴십을 통해 학업에서 배운 지식을 실제로 적용하고,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탐색할 기회를 잡으세요. 8. 도서관에서 밤새워 공부하기한 번쯤은 도서관에서 밤새워 공부해보세요. 시험 기간 도서관은 대학생만이 누릴 수 있는 독특한 분위기를 제공합니다. 이 경험을 통해 집중력을 키우고, 함께 밤을 새우는 친구들과도 유대감이 생깁니다. 9. 대외활동으로 경험 확장하기대외활동은 교내 생활을 넘어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봉사활동, 기업 서포터즈, 학생 기자단, 멘토링 프로그램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해 보세요.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대외활동을 통해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10. 혼자만의 여행 떠나기대학생활은 자아를 탐구할 수 있는 시간입니다. 혼자 여행을 떠나며 자신만의 시간을 가져보세요. 새로운 환경에서 스스로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삶에 대해 고민해볼 기회를 만들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하며이 10가지 버킷리스트는 대학생으로서 누릴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담고 있습니다. 하나씩 실천하며 대학생활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보세요. 이 모든 순간들이 쌓여 미래의 자신을 더 빛나게 해줄 밑거름이 될 것입니다. ????2024.12.31
-
대학생활예비 대학생을 위한 가이드: 대학 기숙사 생활 꿀팁대학 기숙사 생활 꿀팁: 예비 대학생을 위한 가이드 대학교에 입학하면 많은 학생들이 기숙사 생활을 시작하게 됩니다. 기숙사는 학교와 가까워서 통학 걱정을 덜 수 있는데요. 하지만 처음 기숙사에 들어가면 낯설고 막막할 수 있어요. 그래서 현재 기숙사 생활을 하고 있는 제가 알찬 기숙사 생활을 하고 싶은 여러분들을 위해 꿀팁을 알려줄게요! 1. 기숙사 입주 준비: 꼭 챙겨야 할 물건들기숙사 생활을 시작할 때 필요한 물건들을 잘 준비하는 것이 중요해요.침구류: 침대 사이즈에 맞는 이불, 베개, 매트리스 커버를 준비하세요. 기숙사 침대는 대부분 싱글 사이즈예요.개인 위생용품: 수건, 칫솔, 치약, 샴푸, 비누 같은 기본적인 물품은 필수예요. 간편한 세면도구 가방도 유용해요.정리함과 수납박스: 기숙사 공간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정리함을 활용하면 깔끔하게 물건을 정리할 수 있어요.전자제품: 멀티탭, 드라이기, 충전기, 노트북은 꼭 필요해요. 기숙사 규정을 확인하고 금지된 물품이 없는지 체크하세요.기타 물품: 옷걸이, 세탁 바구니, 간단한 공구(드라이버, 가위 등), 의약품(감기약, 소화제 등)도 있으면 좋아요. 2. 룸메이트와의 생활: 서로 배려하기기숙사 생활의 핵심은 룸메이트와의 관계예요. 처음 만나는 사람과 방을 공유하는 게 쉽지 않을 수 있지만, 서로를 배려하면 즐거운 생활이 될 수 있어요. 규칙 정하기: 방을 함께 사용하는 만큼 서로 지켜야 할 규칙을 정하는 게 중요해요. 예를 들어, 청소 일정, 소등 시간, 개인 물건 사용에 대해 미리 이야기해 보세요.소통하기: 작은 불편함도 쌓이면 큰 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불편한 점이 있다면 솔직하게 말하고, 상대방의 의견도 존중하세요.개인 시간 존중: 기숙사 방은 두 사람만의 공간이지만, 개인적인 시간도 필요하다는 걸 잊지 말아요. 방에 오래 머물 때는 이어폰을 사용하는 등 상대방을 배려하세요. 3. 효율적인 시간 관리: 규칙적인 생활 습관 만들기기숙사 생활은 자유롭지만, 그만큼 자기 관리가 중요해요.규칙적인 기상 시간: 수업 시간을 고려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들여 보세요.공부와 휴식의 균형: 기숙사에선 공부도 중요하지만, 충분한 휴식도 필요해요. 공동 공부방이나 학교 도서관을 활용하면 집중력을 높일 수 있어요.생활 루틴 정하기: 기숙사에서는 스스로 밥을 챙겨 먹거나 세탁을 해야 해요. 주간 스케줄을 짜서 필요한 일을 놓치지 않도록 하세요. 4. 기숙사 공동 시설 이용법기숙사에는 공용 시설이 많아요. 이런 공간을 잘 활용하면서 규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해요.세탁실: 사용자가 많을 수 있으니, 사람이 적은 시간대(이른 아침이나 밤)를 활용하세요. 세탁 후에는 빨래를 방치하지 말고 바로 가져오세요.주방: 주방에서 음식을 만들 때는 청소를 철저히 하고, 자기 물건(냄비, 그릇 등)은 꼭 챙기세요.휴게실: 휴게실은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거나 잠시 쉬기에 좋은 공간이에요.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되지 않도록 조용히 사용하는 걸 잊지 마세요. 5. 친구 사귀기와 기숙사 생활의 즐거움기숙사는 새로운 친구를 사귀기 좋은 장소예요.사교적인 태도 가지기: 처음엔 어색할 수 있지만, 먼저 인사하고 친근하게 다가가 보세요. 함께 시간을 보내기: 친구들과 공부를 같이 하거나 밥을 먹으며 추억을 쌓아 보세요.→ 무조건 룸메이트와 친하게 지내라는 건 아닙니다! 사람마다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이 부분은 서로 조절해 나가야 합니다. 6. 기숙사에서의 자기 관리기숙사 생활은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첫걸음이에요.건강 관리: 집과 떨어져 생활하다 보면, 끼니를 거르거나 편식을 하게 될 수 있어요. 간단한 요리를 배우거나 건강식을 챙겨 먹으려고 노력하세요.청결 유지: 방을 깨끗하게 유지하면 기분도 좋아지고, 생활의 질도 올라가요. 쓰레기를 바로 버리고, 바닥 청소도 정기적으로 하세요.스트레스 해소: 혼자서 지치거나 힘들 땐 친구들과 이야기하거나 산책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세요. 7. 기숙사 생활, 새로운 시작을 응원해요!기숙사 생활은 단순히 학교와 가까운 곳에서 지내는 것을 넘어, 독립성과 책임감을 키우는 중요한 경험이에요. 처음엔 서툴고 낯설겠지만, 조금씩 익숙해지면서 즐거운 추억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며 성장하는 자신을 기대해 보세요. 기숙사에서의 생활이 여러분의 대학 생활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 줄 거예요!2024.12.31
-
학과 탐색도로 위의 과학자, 교통공학과에 대해 알아보자!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교통공학과가 있는 대학교는 여러 군데 있지만, 서울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에만 존재하는데요.교통은 우리 일상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 도로, 철도, 항공,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율적이고 안전한 이동을 연구하는 학문이에요. 교통공학과에서는 이러한 교통 시스템을 계획하고 설계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요.미래의 교통 전문가를 꿈꾸는 학생들을 위한 학과, 교통공학과에 대해 알아볼까요? 교통공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울까?교통공학과에서는 교통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와 원리를 배우게 돼요. 예를 들어, 도로가 어떻게 설계되고 운영되는지, 대중교통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배치되는지, 그리고 도시에서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해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를 다룹니다. 교통계획: 도시의 교통 수요를 분석하고, 사람들이 더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로와 대중교통 노선을 설계하는 과정을 배워요.교통설계: 신호등 배치, 교차로 설계, 도로 구조 같은 세부적인 요소를 설계하는 방법을 공부해요.교통안전공학: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안전 시스템 설계와 사고 데이터 분석도 중요한 학문 중 하나예요.스마트 교통: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교통 관리, 빅데이터를 활용한 교통 분석처럼 최신 기술을 교통 분야에 적용하는 방법도 배우게 돼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의 강점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는 특히 도시형 교통 시스템에 강점을 가지고 있어요. 서울 같은 대도시의 복잡한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실무를 동시에 익힐 수 있답니다. 현장 중심의 교육실제 교통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교통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을 통해 이론과 실무를 접목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교통 혼잡을 줄이는 방안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설계해보는 수업도 진행돼요.연구 프로젝트와 인턴십 기회교통공학과 학생들은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와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요. 서울시와 협력하는 교통 정책 연구나 교통 관련 기업에서의 현장 실습을 통해 실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답니다.우수한 취업률졸업생들은 교통 관련 공공기관(서울교통공사, 국토교통부), 연구소, 교통설계 회사, 물류기업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어요. 특히, 교통공학과는 공기업이나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기에도 유리한 학문 분야랍니다. 교통공학과가 적합한 학생은 누구일까?교통공학은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력이 중요한 학문이에요. 수학과 물리를 좋아하거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는 데 흥미를 느끼는 학생들에게 잘 맞아요. 또한, 도로, 철도, 항공과 같은 교통 인프라와 관련된 최신 기술에 관심이 많다면 더욱 적합하답니다. 교통공학과에서의 진로와 미래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를 졸업한 후에는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어요.공공기관: 국토교통부, 서울시 교통정책과 같은 정부 기관에서 교통 계획과 정책을 수립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요.연구소 및 설계회사: 교통연구원, 교통설계 회사 등에서 새로운 교통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도시 교통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를 할 수 있답니다.스마트 교통 분야: 자율주행,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AI 기반 교통 관리 시스템과 같은 첨단 교통 기술 분야에서도 활약할 수 있어요. 교통공학과에서 꿈을 키워보자!만약 도시의 복잡한 교통 문제를 해결하고, 사람들이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고 싶다면, 교통공학과에 도전해보세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는 이론과 실무를 균형 있게 배우며, 여러분의 꿈을 실현할 최고의 장소가 될 거예요.2024.12.31
-
학과 탐색(장학금제도가 빵빵한 간판학과) 서울시립대학교 세무학과 소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의 간판학과인 세무학과에 대해 소개하고자 하는데요. 2025년 정시전형에 세무학과 신입생 중 정시모집 입학성적 우수자 2명에게 1인당 연 5백만원씩 재학중 4년간 총 2천만원을 지급하는 장학금이 있는데요. 이처럼 우수한 장학금제도와 교육과정이 마련된 세무학과에 대해 알아보러 가볼까요?? 서울시립대학교 세무학과는 세법과 회계학을 중심으로 공부하며, 국가와 사회에 필요한 세무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과예요. 여기서 배우는 내용은 단순히 숫자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경제와 법을 연결해 국가와 기업이 올바르게 세금을 납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직업으로 이어질 수 있답니다. 혹시 세무사나 공인회계사가 되는 꿈이 있다면, 이 학과가 바로 그 꿈을 실현할 발판이 될 수 있어요! 세무학과에서는 무엇을 배울까?세무학과에서는 세법, 회계, 경제 등 다양한 학문을 배우게 돼요. 예를 들어, 법인세법에서는 기업들이 세금을 어떻게 계산하고 신고해야 하는지를 배우고, 소득세법에서는 개인의 소득에 따라 세금이 어떻게 부과되는지 알게 돼요.뿐만 아니라, 우리가 평소에 접하는 부가가치세나 집을 사거나 팔 때 내는 양도소득세,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부과되는 지방세법까지 다루게 되죠. 이렇게 배우다 보면 세금이 단순히 돈을 내는 게 아니라, 경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걸 알게 될 거예요.여기에 더해, 세무학과에서는 회계학도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요. 회계는 기업이나 기관이 돈의 흐름을 정리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학문이에요. 세법과 회계를 함께 공부하다 보면, 졸업 후 실제 회사에서나 세무사 사무실에서 바로 일을 시작해도 잘 적응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출 수 있어요. 학과에서의 생활과 특별한 점서울시립대학교 세무학과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실무 중심 교육이에요. 예를 들어, ERP 시스템과 같은 회계 프로그램을 다뤄보는 실습 수업이 있어서, 졸업 후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힐 수 있어요. 또, 세무사나 공인회계사(CPA)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해 스터디 모임과 같은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되고 있어요.또 다른 장점은 다양한 진로 선택이 가능하다는 거예요. 세무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은 세무사, 공인회계사 같은 전문 자격증을 취득해 일할 수도 있고, 국세청이나 지방세청 같은 공공기관에 들어가 공무원으로 일할 수도 있어요. 이외에도 기업의 회계팀이나 세무팀에서 일하거나, 컨설팅 회사에서 전문가로 활동하기도 해요. 세무학과가 적합한 사람은 누구일까?세무학과는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꼼꼼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걸 좋아하는 학생에게 잘 맞아요. 숫자를 다루는 일이 많지만, 단순히 계산하는 게 아니라 숫자 속에 숨겨진 의미를 찾고, 이를 세법에 맞게 해석하는 일이에요.또한,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싶은 학생에게도 추천해요. 세금을 관리하고 조정하는 일은 개인과 기업의 경제를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거든요. 서울시립대학교 세무학과에서의 미래서울시립대학교는 서울시에 위치해 있으며, 학비가 합리적이에요. 세무학과는 특히 공공성 있는 교육을 강조하기 때문에, 공공기관이나 공기업으로 취업을 원하는 학생들에게도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어요.세무학과를 졸업하고 나면 다양한 자격증을 준비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세무사와 공인회계사(CPA)가 있어요. 두 자격증 모두 높은 전문성과 안정적인 수입을 보장하는 직업으로, 도전할 만한 가치가 있답니다. 세무학과, 도전해볼 만하지 않을까?만약 경제나 법, 회계에 관심이 있다면, 세무학과는 여러분의 재능을 살릴 수 있는 완벽한 학과가 될 수 있어요. 세금을 통해 사회와 경제가 돌아가는 원리를 배우고, 이를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보세요. 서울시립대학교 세무학과에서 공부하면서 너의 꿈을 실현해보길 바랄게요!2024.12.31
-
학생부 관리사회학과 희망 학생들을 위한 '오귀스트 콩트' 정리 및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6학종 5합격 멘토 은결입니다 :)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에 재학 중이며, 고3 때 사회학/도시사회학을 희망했습니다. 사회학 전공을 하고 있는 멘토로서! 사회학과 희망 학생들을 위한 '오귀스트 콩트' 정리 및 세특 활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오귀스트 콩트 1. 사회학 용어 창안1840년: 오귀스트 콩트는 '사회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었으며, 사회 현상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주장.목표: 사회학을 과학처럼 법칙을 세워서 연구하고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의도를 가짐. 2. 실증주의정의: 실증주의는 경험적이고 실험적으로 증명 가능한 지식만을 인정하는 태도.사회학에서의 실증주의: 사회학도 자연과학처럼 경험적 증거(관찰, 비교, 실험 등)를 바탕으로 지식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사회학의 목적: 인간 사회의 구조와 법칙을 발견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 현상을 규명. 3. 사회 통합의 요소언어와 종교: 언어나 종교적 신념 등이 사회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봄. 이 요소들은 사회 구성원 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사회적 결속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분업: 사회적 분화가 진행되면서, 사람들 간에 의존 관계가 증가하고, 이는 사회적 결속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함. 4. 도덕적 합의와 종교의 역할문제 해결을 위한 도덕적 합의: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덕적인 합의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사회의 발전을 이끌어야 한다고 봄.종교의 역할: 콩트는 나아가서 새로운 종교를 만들어내고자 했으나, 이는 실현되지 않았다. 대신, 사회학이라는 학문으로서 사회 구조와 인간 사회를 과학적으로 이해하려는 접근법에 기여함. 세특 활용법 1. 주제: "오귀스트 콩트의 실증주의와 사회학의 발전"세부 내용:실증주의 적용: 콩트의 실증주의를 바탕으로 사회학의 연구 방법론을 설명. 자연과학의 방법을 사회학 연구에 적용하려는 시도를 분석.사회학의 과학화: 사회학을 과학처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법칙을 찾아내려는 콩트의 목표가 어떻게 사회학의 기초를 마련했는지 설명.사회의 법칙 발견: 콩트가 주장한 사회의 법칙과 그 발견을 위한 실험적 방법을 어떻게 사회학 연구에 적용할 수 있었는지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설명. 2. 주제: "언어, 종교, 분업의 사회적 역할"세부 내용:언어와 종교: 사회 통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언어와 종교의 기능을 콩트의 이론에 비춰 분석.예시: 현대 사회에서 언어나 종교적 신념이 어떻게 사회적 결속을 이루는지.분업의 중요성: 분업이 발전하면서 사람들 간의 의존 관계가 증가하며, 이는 사회적 결속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예시: 현대 사회의 직업 분화와 경제적 의존 관계 분석. 3. 주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도덕적 합의와 사회학의 역할"세부 내용:도덕적 합의: 사회적 갈등 해결을 위해 필요한 도덕적 합의와 그 과정이 어떻게 사회적 안정성을 가져오는지 설명.콩트의 종교적 접근: 종교가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콩트의 종교적 이상을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분석.사회학의 역할: 콩트가 종교 대신 사회학을 통해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사회학의 중요성을 강조. 세특 작성 팁!!실증주의와 사회학의 발전: 세특을 작성할 때, 콩트의 실증주의가 사회학의 연구 방법론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구체적으로 서술하세요. 이론을 설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실제 사회 현상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좋습니다.언어와 종교의 역할: 사회적 결속을 이루는 요소로 언어와 종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며, 이를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를 연결하는 것이 유익합니다.도덕적 합의와 사회학: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도덕적 합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콩트의 사회학적 접근이 이를 어떻게 가능하게 하는지 설명하면서, 사회학의 실용적인 역할을 강조하면 좋습니다.2024.12.24
-
학생부 관리사회학과 희망 학생들을 위한 '막스 베버' 정리 및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6학종 5합격 멘토 은결입니다 :)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에 재학 중이며, 고3 때 사회학/도시사회학을 희망했습니다. 사회학 전공을 하고 있는 멘토로서! 사회학과 희망 학생들을 위한 '막스 베버' 정리 및 세특 활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막스 베버 1. 배경직업: 법률가, 경제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사회학자주요 관심사: 근대 사회로의 변화 원인과 그 의미 2. 주요 저서<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읽어보면 너무 좋아요!주요 주장: 경제적 요소 외에도 종교적인 요인이 자본주의 발전을 이끌었다고 주장.청교도적 금욕주의: 청교도들은 금욕적인 생활 태도를 취하고, 이를 신앙과 구원에 연결시켰다. 이 생활 태도가 자본주의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봄.종교와 경제의 상관관계: 종교적 가치가 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경제적 변화가 단순히 경제적인 이유만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님을 강조. 3. 합리화와 근대화과학과 근대 기술, 관료제 발전: 근대 사회는 합리화를 통해 발전. 특히 관료제의 발전과 과학적 사고방식이 사회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부정적 의미: 베버는 근대화가 결국 인간의 감정과 창의성을 억제하고, 비인간적인 관계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경고. 4. 이념형 (Ideal Type)이념형의 개념: 사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구체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이상적인 모델을 설정. 실제 세상에서 일어나는 현상은 이 모델과 다를 수 있지만, 이념형을 통해 사회를 해석하고 분석할 수 있음.이해의 도구: 이념형은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도구로 사용되며, 이를 통해 보이는 그대로가 아니라 해석을 제공. 5. 인간 행위의 능동성행위의 의도와 목적: 베버는 인간 행동이 단순히 외부의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이고 의도적인 행동이라고 보았다. 이 행동에는 특정한 목적과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막스 베버의 권력 이론 합법적 권위정당성 확보: 법과 규칙을 통해 권력은 정당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사회 질서가 유지된다.합법적인 지배 체제: 합법적인 권위는 법적인 제도와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정당성을 갖는다. 법의 안정성은 권력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요소가 된다.탈인간화된 관계관료제: 관료제는 인간적인 특성을 배제하고, 규칙과 규범에 따라 기능하는 체제. 권력과 개인이 분리되어, 관계는 보다 객관적이고 비인간적으로 형성된다.객관적 관계 형성: 권력은 규칙에 따라 정해진 방식으로 행사되며, 개인의 감정이나 특성이 배제된다. 세특 활용법 1. 주제: "막스 베버의 사회 변화 이론과 현대 사회에 대한 적용"세부 내용: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베버의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에서 종교적 가치가 경제 발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예시: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적 가치가 경제 발전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합리화와 근대화: 근대 사회로의 전환 과정에서 과학, 기술, 관료제의 발전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예시: 현대 사회에서 과학적 사고방식과 기술 발전이 사회 구조 변화에 미친 영향.이념형 사용: 특정 사회 현상을 이념형을 통해 해석하고 분석.예시: 특정 사회 현상(예: 기업 구조, 교육 제도)에 대한 이념형 적용. 2. 주제: "막스 베버의 권력 이론을 통한 사회 구조 분석"세부 내용:합법적 권위 분석: 법적 제도와 규칙이 사회 질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예시: 현대 사회의 법적 제도가 권력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ex. 공공기관 내 권력 구조).탈인간화된 관계: 관료제 내에서 개인과 권력이 어떻게 분리되는지 분석.예시: 기업이나 정부 기관에서 관료제가 어떻게 개인의 감정을 배제하고, 객관적인 규칙에 따른 권력 관계를 형성하는지. 3. 주제: "막스 베버의 인간 행위 이해와 사회적 의미"세부 내용:행위의 목적과 의도 분석: 인간은 능동적이고 목적적인 행동을 한다는 베버의 이론을 통해 사회적 현상을 분석.예시: 특정 사회적 행동(예: 소비자 행동, 정치적 행동)의 의도와 목적을 분석. 세특 작성 팁!! 이론을 실제 사회 현상에 적용: 세특을 작성할 때, 베버의 이론을 단순히 설명하는 데 그치지 말고, 실제 사회적 사례나 현상에 어떻게 적용했는지 구체적으로 서술하기구체적인 예시 제시: 이론을 실제 사례와 연결해 분석하면 세특이 더 풍부해집니다. 예를 들어, 기업 내에서 권력 구조가 어떻게 합법적 권위로 형성되는지, 관료제에서 어떻게 권력과 개인이 분리되는지를 실례로 제시하면 좋습니다!2024.12.24
-
학생부 관리사회학과 희망 학생들을 위한 '에밀 뒤르켐' 정리 및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6학종 5합격 멘토 은결입니다 :)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에 재학 중이며, 고3 때 사회학/도시사회학을 희망했습니다. 에밀 뒤르켐은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과목에서 다루기 때문에 사회학과 희망 학생들이 세특과 연결짓기 수월하면서 익숙할 것 같은데요. 사회학 전공을 하고 있는 멘토로서! 사회학과 희망 학생들을 위한 '칼 마르크스' 정리 및 세특 활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1. 에밀 뒤르켐 소개에밀 뒤르켐은 현대 사회학의 창시자로, 사회학의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연구 방법론을 정립했습니다. ① 주요 이론사회는 독립적 실체사회는 단순히 개인들의 합이 아니라, 그 자체로 독특한 특성을 지닌 독립적 실체로 보았습니다.사회는 개인을 넘어서는 강제성과 실재성을 지님.사회적 사실(Social Facts)사회적 사실이란 개인과 상관없이 존재하며, 강제성을 가지고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객관적 실재입니다.예: 관습, 법, 규범, 집단적 가치관.사회 결속(Social Solidarity)사회의 결속과 도덕적 연대를 강조하며, 이를 통해 사회 질서와 안정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봄.기계적 연대: 전통적 사회에서의 단순하고 동질적인 결속.유기적 연대: 현대적 사회에서의 복잡하고 이질적인 결속.노동조합과 직능단체개인의 소속감을 강화하고 요구를 대변하기 위해 노동조합이나 직능단체 같은 중간 집단의 역할을 강조.교육을 통해 도덕과 사회 질서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장.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연구사회학적 연구는 객관성과 과학성을 바탕으로 사회 제도를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인간의 행동은 심리적 요인보다는 사회적 조건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고 봄. ② 자살론 (1897)뒤르켐은 자살을 단순히 개인적 문제가 아닌 사회적 현상으로 분석하며, 자살 유형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습니다:이기적 자살: 개인이 사회적 소속감과 연대감을 잃을 때 발생.혼자 살거나 자녀가 없는 경우, 개신교 신자가 가톨릭 신자보다 높은 자살률.아노미 자살: 가치관의 혼란이나 규범의 부재로 인해 발생.급격한 사회 변화, 경제 위기, 전쟁 등 혼란의 시기에 발생.이타적 자살: 강한 소속감과 대의를 위해 스스로 희생.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경우 등.숙명론적 자살: 지나치게 엄격한 통제나 억압적 환경에서 발생. ③ 이론의 한계개인의 행동과 감정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음.급격한 사회 변화를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음. 2. 세특에 활용할 수 있는 주제와 세부내용 ① 주제: 사회적 사실과 현대 규범의 변화세부내용: 사회적 사실의 개념을 현대 사회의 규범 변화에 적용.예: SNS 문화와 집단적 규범 형성의 메커니즘 분석.활용법: 특정 현상을 사회적 사실로 정의하고, 개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 ② 주제: 자살론과 현대 사회 문제세부내용: 자살론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자살 원인을 사회적 요인과 연관시켜 분석.예: 청소년 자살 문제에서 학교와 가정의 소속감 부족 문제 탐구.활용법: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자살 원인을 사회적 요소로 설명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 ③ 주제: 노동조합의 사회적 역할과 결속 강화세부내용: 노동조합과 같은 집단이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소속감과 결속력을 강화하는 사례 조사.예: 플랫폼 노동자의 권익 보호 단체 사례 연구.활용법: 노동조합이 개인과 사회 간의 관계를 어떻게 중재하고 강화하는지 분석. ④ 주제: 교육을 통한 도덕과 사회 질서 확립세부내용: 뒤르켐의 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 교육 시스템에서 도덕적 연대를 형성하는 방법 탐구.예: 교내 봉사 활동과 사회적 연대의 관계 조사.활용법: 교육이 사회 질서 확립과 도덕적 책임감을 키우는 데 기여하는 방식을 분석하여 사회학적 관점으로 서술. ⑤ 주제: 전통 사회와 현대 사회의 결속 방식 비교세부내용: 기계적 연대와 유기적 연대를 바탕으로 전통적 농촌 사회와 현대 도시 사회의 사회적 결속 방식을 비교.예: 도시와 농촌 지역 간의 이웃 관계 차이 분석.활용법: 두 사회의 연대 방식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현대 사회에서 결속력을 강화할 방안을 제시.2024.12.24
-
학생부 관리사회학과 희망 학생들을 위한 '칼 마르크스' 정리 및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6학종 5합격 멘토 은결입니다 :)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에 재학 중이며, 고3 때 사회학/도시사회학을 희망했습니다. 사회학자 중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은 칼 마르크스가 아닐까 싶은데요.사회문화, 생활과 윤리과목에서 다루기 때문에 사회학과 희망 학생들이 세특과 연결짓기 수월할 것 같습니다. 사회학 전공을 하고 있는 멘토로서! 사회학과 희망 학생들을 위한 '칼 마르크스' 정리 및 세특 활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1. 칼 마르크스 소개칼 마르크스(Karl Marx)는 사회학뿐만 아니라 철학자, 경제학자, 역사학자, 언론인, 혁명가 등으로 활동하며 현대 사회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① 주요 관심사자본주의의 발전이 인간을 어떻게 소외시키는가에 집중.사회구조 변화의 핵심 원인으로 경제구조를 강조.계급 투쟁을 역사 발전의 동력으로 파악하며, 궁극적으로 공산주의 사회를 기대. ② 소외 개념칼 마르크스의 소외 이론은 4가지 주요 특징으로 구성됩니다생산물 소외: 노동자는 자신이 생산한 노동의 결과물을 통제할 수 없고, 시장의 요구에 따라 생산.생산 과정 소외: 노동자는 생산 과정에서 통제권을 잃음.인간 관계 소외: 생산 활동과 자본주의로 인해 인간 관계가 감소.자아 소외: 자신이 만든 제품 및 생산 활동과의 관계 단절. ③ 역사 유물론 (Historical Materialism)사회 발전이 추상적 이상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생산방식과 삶의 방식에 의해 결정된다고 봄.사회 구조 변화를 이해하는 데 경제적 토대가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 ④ 계급투쟁자본을 소유한 자본가(부르주아)와 노동력을 제공하는 노동자(프롤레타리아) 간의 갈등을 중점적으로 분석.생산 활동에서 생기는 긴장과 갈등이 계급 충돌을 낳고, 이를 통해 혁명적 변화가 이루어진다고 주장.노동자 혁명을 통해 분업과 불평등이 없는 공산주의 사회 실현을 기대. ⑤ 공산주의 이론과 한계마르크스의 이론은 학계에 생산적인 논의를 불러일으켰으나, 공산주의 사회로의 진화와 성장은 경험적으로 증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음. 2. 세특에 활용할 수 있는 주제와 세부내용 ①주제: 마르크스의 소외 개념과 현대 노동 환경세부내용: 마르크스가 제시한 소외 개념을 현대 직장과 비교. 예를 들어, 플랫폼 노동자(Uber, 배달앱 등)가 겪는 소외 현상 분석.활용법: 사회학, 경제학 세특에서 소외 개념을 활용해 플랫폼 경제가 노동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 ② 주제: 역사 유물론을 통한 사회 변화의 원동력 탐구세부내용: 마르크스의 역사 유물론을 활용해 특정 시대의 생산 방식과 사회 구조 변화를 연결.예: 산업혁명 시기와 정보화 시대의 사회구조 비교.활용법: 사회 구조의 변화와 기술 발전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을 세특에 기록. ③주제: 계급투쟁의 현대적 해석세부내용: 마르크스의 계급투쟁 이론을 바탕으로 현대 사회의 경제적 불평등 문제(빈부격차, 부동산 불평등 등) 분석.활용법: 지역사회의 계층 간 갈등 사례를 조사하거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마르크스 이론을 현대적으로 적용. ④ 주제: 공산주의 사회의 이상과 현실적 한계세부내용: 마르크스가 제시한 공산주의 사회와 현실적 구현 가능성의 차이 분석.예: 20세기 공산주의 국가의 실패 원인 분석.활용법: 마르크스의 이론적 이상을 평가하며 현대적 실현 가능성을 세특에 담기. ⑤ 주제: 마르크스 이론의 발전과 비판세부내용: 마르크스 이론에 대한 학계의 비판적 시각 정리.예: 역사 유물론의 단순화된 경제 결정론 비판, 복잡한 현대 사회 구조와의 괴리.활용법: 마르크스의 한계를 기반으로 사회학의 새로운 이론적 가능성을 탐구. 3. 그 외 활용법 사회 문제 해결 아이디어 도출:소외, 계급 투쟁 개념을 활용해 현대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 방안 모색.진로와 연결된 글쓰기: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등 자신의 희망 진로와 연관 지어 논리적 사고력을 보여주는 글 작성.교내 대회 및 발표 자료 활용:계급 갈등과 사회 구조 변화를 주제로 시사 발표 자료 제작.통합적 교과 활용:사회 탐구: 노동과 경제 활동의 상관관계 연구.윤리와 사상: 공산주의와 자본주의의 윤리적 가치 비교.정치와 법: 계급 투쟁과 법적 갈등 사례 탐구.2024.12.24
-
학생부 관리도시사회 생기부에 꼭 넣어야 할 ‘ㅅㅋㄱㅎㅍ’ 키워드*이 스토리노트를 다음과 같은 학생들에게 추천합니다!! → 도시사회학, 도시계획학, 범죄학, 심리학, 인류학, 사회학과를 희망하는 학생 ㅅㅋㄱㅎㅍ는 도시사회학 분야에서 굉장히 중요하게 다루는 키워드인데요.스토리노트에서 ㅅㅋㄱㅎㅍ의 학자 6명과 이론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제목에 써있던 ㅅㅋㄱㅎㄱ는 바로 시카고학파 입니다! 1. 시카고학파란? 시카고학파는 20세기 초 시카고 대학교에서 시작된 사회학의 연구 전통으로, 특히 도시사회학과 인간 생태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도시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그 안에서 발생하는 사회적·문화적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했습니다. 2. 주요 학자와 이론 1) 로버트 파크 (Robert E. Park) Human Ecology생존경쟁과 적자생존의 관점에서 사회현상을 분석.경제적 경쟁은 생존경쟁의 일부이며, 도시는 주어진 환경에서 생존경쟁의 결과로 형성.도시적 삶을 두 가지 수준으로 나눔:생물적 조직화:부족한 자원에 대한 경쟁 속에서 조직화.큰 도시는 지역사회의 경쟁과 기능적 분화로 조직화.문화적 조직화:상징, 심리적 적응과 공통의 정서에 기반한 협력적 조직화.인간사회를 공동체(공통의 도덕적 질서)와 사회(경쟁과 갈등)로 구분.생태학적 관점에서는 공동체를 더 강조. 2) 어니스트 버제스 (Ernest Burgess) 도시 팽창 이론과 동심원 이론도시는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확장하며, 공간적으로 계층화됩니다.도심은 새로운 기능을 끌어들이고 낡은 기능을 몰아냄.동심원 이론은 도시를 5개 구역으로 설명:LOOP (중심업무지구, CBD)Zone in Transition (전환지대)Zone of Working Men’s Homes (저소득층 주거지)Residential Zone (중산층 주거지)Commuters Zone (통근자 지대)사회적 문제: 이동성이 큰 지역에서 사회적 응집력 부족과 정신적 타락 발생. 3) 로데릭 멕켄지 (Roderick D. McKenzie)경쟁은 인간 조직과 공간적 분화를 자연스럽게 형성.인간 공동체는 목적성과 이동성을 가지며, 결속은 공통의 목표와 정서에 기반.자연지역(Natural Area) 개념 제시: 도시 내부 지역이 기능적·문화적으로 특화됨.연구 흐름:게토, 환락가, 교외 등의 지역 특성 연구.여러 도시의 게토 지역 공통점을 통해 전체 사회를 설명. 4) 루이스 워스 (Louis Wirth) Urbanism as a Way of Life도시의 독특한 생활양식(도시성)을 설명.도시성 정의를 위한 세 가지 핵심 변수:규모(Size):익명성 증가, 사회적 관계의 피상화.경쟁과 공식적 통제가 일차적 관계를 대체.밀도(Density):과밀로 인한 과도한 자극과 스트레스 유발.근교 개발과 주거지 분화 촉진.다양성(Heterogeneity):표준화와 직업적 이동성 증가.조직과 집단의 역할 확대.도시성을 생태학적·조직적·사회적 관계 및 집합 행동의 차원으로 확장. 5) 아모스 홀리(Amos Hawley) 시카고 인간생태학을 종합적 이론으로 확장파크의 제자인 James Quinn과 Roderick McKenzie의 제자로, Michigan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음인간생태학의 중심 관심은 인간이 집합적으로 환경에 적응하는 방식네 가지 생태적 원리: 상호의존, 중추기능, 분화, 지배생태적 체계의 변화는 확장과 재적응의 발전 과정을 거쳐 이루어짐진화론적 변화를 강조하며, 인간생태학에서 도시와의 연관성을 버리고 기능주의 패러다임으로 변환 6) 오티스 던컨 (Otis D. Duncan) POET 모델Hawley의 상호의존 개념을 수용하여, 생태적 체계는 POET의 상호의존적 ecological complex로 설명됨POET 모델은 4가지 카테고리인 인구(Population), 조직(Organization), 환경(Environment), 기술(Technology)로 구성됨 POET 모델의 적용 사례:2차 세계대전 이후, 자동차의 증가로 LA에 매연 문제가 발생 (T → E)LA의 스모그가 눈과 호흡기에 문제를 일으킴 (E → P)매연은 자라나는 식물들에 영향을 끼쳤음 (E → E)LA에는 새로운 환경 관련 기관인 LA Council Air Pollution Control District가 설립됨 (E → O)이 기관은 자동차에 대한 규제를 만들어 매연을 줄임 (O → T)새로운 내연기관 시스템 도입으로 LA의 공기가 더 깨끗해짐 (T → E)깨끗한 공기로 인해 사람들은 눈과 호흡기 문제를 덜 겪음 (E → P) 여러분이 어떤 이론과 학자를 자신의 생기부와 연결하는지에 따라서 활용 방법이 정말 다양해집니다! 시카고학파의 이론은 단지 도시사회학을 넘어서, 사람들의 행동 양식, 사회적 상호작용, 범죄 발생의 원인 등 여러 분야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여러분의 관심 분야에 따라 이 이론을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죠. 도시사회학을 꿈꾸는 학생이라면, 시카고학파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시의 사회적 구조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할 수 있고, 범죄학에 관심이 있다면 도시의 범죄와 사회적 요소를 연결하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심리학이나 인류학을 전공하고 싶다면, 인간의 감정과 행동, 그리고 문화적 차이를 분석하는 데 시카고학파의 관점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다양한 분야와의 연결을 통해 여러분만의 독창적인 생기부를 만들어 보세요!!2024.12.23
-
학생부 관리사회&심리학 희망학생을 위한 탐구주제와 내용 알려드립니다! (6)#감정사회학 #감정 #관계 #관련 학자 3명 안녕하세요! 2기 최우수 멘토 은결입니다 :) 2기 활동 중 약 160개의 스토리노트를 작성하면서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질문받는 것 중 하나는 “희망학과 관련 탐구주제 추천” 인데요. 그래서 가장 잘 알고 있고, 고등학생 때 많이 활용했던 분야인 사회학 탐구 주제와 세부 내용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론을 활용하여 여러분만의 탐구로 확장시킨다면,나만의 차별화된 생기부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화 탐구력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 1대1톡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감정사회학 1. 감정사회학의 정의와 연구 목적감정사회학은 감정의 발달, 표현,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조건을 연구.사회적 조건이 감정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이 사회적 조건의 형성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 2. 주요 학자 및 이론 1) Charles Horton Cooley감정을 사회적으로 의미가 주어진 느낌으로 정의.사회는 개인이 각자의 감정을 발전시키도록 돕는데, 이는 주로 언어를 통해 이루어짐. 2) Kemper (1987)감정을 1차적 감정(생리적, 진화적)과 2차적 감정(사회적으로 구성된 감정)으로 구분.1차적 감정: 인간 공통의 생리적 기반을 둔 감정(화, 공포, 행복, 슬픔, 혐오).2차적 감정: 사회적 학습을 통해 형성(자부심, 죄책감, 부끄러움 등). 3) Jacques-Philippe Leyens감정적 차별 개념 제시.인간은 1차적 감정과 2차적 감정을 구분하며,2차적 감정을 인간만의 고유한 감정으로 간주.내집단을 외집단보다 "더 인간적"으로 판단하는 경향 있음. 3. 감정의 정의 및 종류 1) 감정의 구성 요소상황적 신호: 특정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적절한 감정을 제안하는 신호.생리적 변화: 신체적 반응(예: 심박수 증가).표현적 몸짓: 신체적 행동을 통한 감정 표출.감정의 이름: 감정의 종류를 명명. 2) 감정과 관련된 주요 개념정동(Affect):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긍정/부정의 판단(장기/단기).감정(Emotion): 특정 자극에 의해 생성되는 사회적 마음 상태.기분(Mood): 강도가 낮고 장기간 지속되는 감정 상태.느낌(Feeling): 감정과 연관된 주관적이고 내적인 마음 상태. 4. 감정의 사회화와 규범 1) 감정의 사회화Pollack and Thoits: 감정은 가족, 친구, 학교 등 주요 사회화 과정에서 학습.감정을 명명, 해석, 표현하는 방법을 학습함. 2) 감정적 규범표현의 규칙(Display Rules): 감정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에 대한 규범.느낌의 규칙(Feeling Rules): 특정 상황에서 느껴야 할 감정에 대한 규범.감정 관리: 사회적 기대를 맞추기 위해 감정을 조절.표면 연기: 감정 표출을 통제.내면 연기: 실제 감정을 변화. 5. 감정의 사회적 역할 1) 감정과 상호작용감정은 사고 과정과 의사결정의 기반을 제공.상징적 상호작용론: 인간은 감정을 학습하며, 감정의 학습된 의미는 일상생활 유지에 중요. 2) 감정노동특정 직업에서 요구되는 감정을 만들어내는 기술.규범과 실제 감정 간 불일치가 내적 갈등을 야기. 3) 사회적 규범과 감정의 각본감정의 각본: 특정 상황에서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사회적 기대.감정적 신호: 특정 환경에서 적절한 감정에 대한 정보 제공. 6. 관계와 감정 1) 친밀한 관계의 형성 요소근접성: 물리적 위치의 가까움.유사성: 공통점이 많을수록 친밀감 증가.매력: 상호작용 상대가 제공할 수 있는 가치.상호 호혜: 주고받는 관계 유지. 2) 관계적 자본 이론관계에 대한 통제 가능성은 긍정적 감정과 연결됨. 3) 지위구성 이론높은 지위의 구성원이 긍정적 감정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며,부정적 감정을 더 쉽게 나타냄. 7. 감정의 문화와 사회적 중요성각 사회는 고유의 감정 문화를 발전시킴.감정은 관계를 시작, 지속, 종료하는 주요 요인.사회적 규범은 특정 상황에서 적절한 감정을 정하고,규범이 위반되었을 때 이를 인식하게 됨. -세특 탐구 주제와 내용- 주제 1: "감정의 사회화와 감정 규범의 역할"세부 내용감정적 규범(표현의 규칙, 느낌의 규칙)의 사회적 기능 분석.감정의 사회화를 가족, 학교, 친구관계 사례로 설명.학습된 감정이 일상적 상호작용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조사. 주제 2: "감정노동과 현대 사회의 직업 윤리"세부 내용감정노동 개념과 3차 산업의 특징 설명.서비스직 종사자들의 감정노동 사례 인터뷰.감정노동이 개인의 정신 건강과 직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제 3: "감정의 1차적, 2차적 구분과 사회적 차별"세부 내용Kemper의 이론을 바탕으로 1차적 감정과 2차적 감정 정의.Jacques-Philippe Leyens의 감정적 차별 연구 사례 조사.현대 사회에서 내집단과 외집단 간 감정적 차별의 실례 분석. 주제 4: "감정과 상징적 상호작용론"세부 내용감정의 학습과 사회적 의미의 형성과정 설명.상징적 상호작용론을 통해 감정이 자아 표현에 미치는 영향 분석.운동 경기 관중의 감정적 표현 사례 연구. 주제 5: "감정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세부 내용감정이 의사결정과 사고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학 및 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감정 규범이 경제적 또는 정치적 선택에 미치는 사례 조사.현대 사회에서 감정과 이성의 상호작용 탐구.2024.12.23
-
학생부 관리사회&심리학 희망학생을 위한 탐구주제와 내용 알려드립니다! (5)#사회화 #사회화이론과 관련된 관점 #행위자(대리인) #가족/학교/매체와 사회화 안녕하세요! 2기 최우수 멘토 은결입니다 :) 2기 활동 중 약 160개의 스토리노트를 작성하면서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질문받는 것 중 하나는 “희망학과 관련 탐구주제 추천” 인데요. 그래서 가장 잘 알고 있고, 고등학생 때 많이 활용했던 분야인 사회학 탐구 주제와 세부 내용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론을 활용하여 여러분만의 탐구로 확장시킨다면,나만의 차별화된 생기부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화 탐구력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 1대1톡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사회화 과정 1. 사회화란?사회화는 인간이 자신의 사회적 위치에 맞는 생각, 감정, 행동 등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진다.공식적 사회화교육기관: 학교교정기관: 교도소 (재사회화 및 교화 과정)비공식적 사회화관찰과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짐사회화는 주로 어린 시절에 일어나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된다. 이는 사회변동, 나이, 이주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2. 사회화와 이론적 관점상징적 상호작용론: 어린 시절의 사회화에 주목사회구조와 인성론: 생애주기에 걸친 사회화에 초점자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과정이며, 성장과정을 통해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한다.인간은 특정 상황에서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며 역할을 습득하며, 이는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데 중요하다.상호작용론의 입장에서 자아는 언어와 의미의 상징적 교환 과정을 통해 발달한다. 3. 언어와 자아의 발달언어 습득은 자아 발달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신생아는 몇 개월 만에 상징적 행위들을 습득하지만, 언어를 습득한 이후에 자아 개념이 형성된다. 4. 사회화의 행위자(대리인)사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행위자는 다음과 같다. 개인집단조직: 학교, 교회 등귀속지위: 인종, 성별 등지역사회: 성별과 계급 등으로 개인을 구분하며 기회 구조에 영향을 미침매체: 영화, 비디오게임, 인터넷, 소셜미디어제도: 교육, 가족, 종교제도 특히 가족, 학교, 동료집단이 중요한 사회화 대리인으로 작용한다. 5. 가족과 사회화 가족의 변화최초의 가장 중요한 사회화 행위자로서, 기본적인 믿음 체계(성역할, 정치적 신념, 종교적 신념 등)를 습득하게 한다.지난 세기 동안 가족의 구조와 역할은 급격히 변화했다.크기: 출산율 저하구조: 핵가족화, 1인 가구 증가 가족구조와 자녀가족구조의 변화는 사회화 과정에도 영향을 미친다.적은 수의 아동이 전통적 가족에서 생활맞벌이, 한부모, 다문화 가정 증가 가족구조와 자녀의 삶부모의 이혼은 자녀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음동성 부모와 이성 부모의 효과에 대해서는 논쟁 중출생 순위와 형제자매 간의 차이도 논쟁의 대상 가족의미의 변화동거가족, 1인가족, 한부모가족, 성소수자 가족 등 다양한 형태 등장 계급과 가족중산층 가정순응보다 자율성과 개인 발전을 강조하위계층보다 자녀에 대한 체벌이 적음자녀의 계획적인 생애주기를 중요시 가족은 자녀들에게 사회적 가치뿐 아니라 사회적 지위를 전수한다. 6. 학교와 사회화 학교의 역할가족에 이어 두 번째로 중요한 사회화 행위자로, 많은 지식과 함께 행동의 규범을 배우는 공간이다.학교는 동료집단과 조직에 대한 사회화를 담당한다. 교실 구조와 사회화 과정나이, 성별 등으로 구분된 집단 행동의 시작경쟁적이고 관료적인 구조 학습학생들은 공식적 수업 외에도 다음을 배운다.상호작용 방식엄격한 규율과 정해진 스케줄동료집단의 역할 피그말리온 효과와 동료집단피그말리온 효과: 교사의 기대가 학생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동료집단은 자발성과 독립성을 제공하며, 다양한 역할 수행 방법을 학습하게 한다. 동료집단의 영향자아 발달과 인정자아에 대한 가치를 제공보상과 처벌이 자아평가에 영향자아 표현 능력 발달타인과의 상호작용 능력 발전새로운 지식 습득각 연령집단의 고유한 문화를 통해 학교와 사회에서 제공하지 않는 지식 학습 7. 매체와 사회화 매체의 역할TV, 영화, 인터넷 등의 매체는 사람들에게 강한 영향을 미친다.TV와 영화 속 인물의 행동은 롤 모델로 작용할 수 있음. 성 고정관념과 매체 비판벡델 테스트:이름이 있는 두 여성 등장이들이 대화대화 내용이 남성에 관한 것이 아님마코 모리 테스트:한 명 이상의 여성이 등장자신만의 서사를 가짐그 이야기가 남성을 보조하지 않음 세특 탐구 주제와 세부내용 1. 사회화와 자아 형성탐구 주제: 언어 습득과 자아 발달의 관계세부내용:영아기에서 언어 습득 과정이 자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상징적 상호작용론을 활용한 언어와 사회적 의미의 교환 과정 분석언어 발달이 늦어진 아동과 정상 발달 아동의 자아 개념 형성 차이 사례 조사2. 가족구조 변화와 사회화 과정탐구 주제: 현대 가족구조의 변화가 자녀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세부내용:핵가족, 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에서의 사회화 차이점 비교부모의 직업지위와 교육 수준이 자녀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조사중산층과 하위계층 가정에서 자율성과 순응 강조 방식의 차이 분석3. 학교와 동료집단의 사회화 역할탐구 주제: 학교 환경과 동료집단이 자아 형성에 미치는 영향세부내용:학교 내 관료적 구조와 학생의 사회적 역할 학습 과정 분석피그말리온 효과가 학생 성취와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사례 연구동료집단에서의 자발성과 독립성 경험이 성인기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4. 매체와 사회적 역할 학습탐구 주제: TV와 소셜미디어가 청소년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세부내용:TV 프로그램 및 영화 속 성별 고정관념에 대한 비판적 분석 (벡델 테스트, 마코 모리 테스트 활용)소셜미디어의 롤 모델 효과와 청소년 행동 패턴 변화 조사영화 속 폭력적 행동이 청소년의 행동 규범 학습에 미치는 영향 실험 사례5. 사회화 과정의 연속성과 변화탐구 주제: 생애주기 동안 사회화 과정의 연속성과 변화 분석세부내용:성인기의 사회화와 재사회화 사례(이주, 직장 변화 등) 연구어린 시절과 성인기의 사회화 대리인 차이점 분석사회 변동(예: 팬데믹) 속에서 사회화의 새로운 방식 등장 사례 탐구6. 지역사회와 사회화의 상호작용탐구 주제: 지역사회 환경이 사회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세부내용:다양한 계급 및 지역사회의 기회 구조가 개인의 역할 학습에 미치는 영향농촌과 도시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사회화 차이 연구지역 내 다문화적 환경이 사회화 방식에 미치는 영향 사례 조사7. 상징적 상호작용과 자아 표현탐구 주제: 상징적 상호작용이 자아 형성에 미치는 영향세부내용:언어와 상징의 교환이 개인의 자아 표현에 미치는 사례 연구특정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자아 개념 변화 분석(예: 동아리 활동, 집단토론)SNS와 같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상징적 상호작용의 자아 발달 영향 탐구 활용 팁!!탐구 주제는 사회학, 심리학, 또는 교육학 관점에서 심화 연구로 발전 가능.주제를 논문, 사례 분석,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체화하여 발표나 글쓰기 활동으로 연결.현실 사례와 이론을 연결하여 독창적인 시각을 강조할 것.2024.12.23
-
학생부 관리사회&심리학 희망학생을 위한 탐구주제와 내용 알려드립니다! (4)#역할이론 #역할갈등#지위 안녕하세요! 2기 최우수 멘토 은결입니다 :) 2기를 활동 중 약 160개의 스토리노트를 작성하면서많은 학생들이 스토리노트를 통해 정말로 많은 도움을 얻는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질문받는 것 중 하나는 “희망학과 관련 탐구주제 추천” 인데요.그래서 가장 잘 알고 있고, 고등학생 때 많이 활용했던 분야인 사회학 탐구 주제와 세부 내용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론을 활용하여 여러분만의 탐구로 확장시킨다면,나만의 차별화된 생기부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화 탐구력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 1대1톡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역할이론지위와 역할지위: 사회 내에서 개인이 차지하는 위치나 신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직업, 계층, 성별, 연령 등이 포함됩니다. 지위는 특정한 역할을 요구하며, 이는 사회적 기대에 맞는 행동을 요구합니다.예시: "학생은 공부를 해야만 한다", "교수는 강의를 해야만 한다"와 같은 규범적인 기대가 역할로 나타납니다.역할: 역할은 개인이 특정 지위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껴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사회적 기대입니다. 역할은 특정 지위에 맞는 행동을 요구하며, 사회는 이 역할을 개인에게 강제하는 수단으로 작용합니다.예시: 학생은 시험 준비를 해야 하고, 교수는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규범적인 기대가 있습니다.역할과 지위의 관계역할 수행의 중요성: 각 지위는 그에 상응하는 역할을 부여하며, 사회는 이 역할을 잘 수행하는 사람에게 보상을, 그렇지 못한 사람에게 제재를 가합니다. 이는 사회가 개인에게 행동을 강제하는 효과적인 수단입니다.예시: 학생이 공부를 열심히 하면 좋은 성적을 받고, 그렇지 않으면 성적이 낮아지거나 불이익을 받습니다.역할갈등역할갈등은 개인이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충돌을 겪는 상황을 말합니다. 역할 내 갈등과 역할 간 갈등으로 나눠집니다.역할 내 갈등: 하나의 지위 내에서 상반되는 기대가 주어지는 경우 발생합니다.예시: "교수는 학생에게 도움을 줘야 한다"는 기대와 "시험에서 낮은 성적을 줘야 한다"는 기대가 충돌할 때 발생합니다.역할 간 갈등: 서로 다른 지위에서 요구되는 역할 간의 충돌이 발생합니다.예시: "시험 공부를 해야 하는 학생"과 "도움을 청하는 친구" 역할 간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역할과중역할과중은 개인이 주어진 여러 역할을 수행하기에 감정적, 시간적 자원이 부족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역할을 모두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나 부담입니다.예시: 많은 시험과 과제가 겹쳐서 효율적으로 공부할 시간이 부족할 때 역할과중이 발생합니다.역할긴장역할긴장은 각 개인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개인이 자신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완수하는 데 어려움을 느낄 때 발생합니다.예시: 부모로서의 역할과 직장인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긴장감입니다. 사회학/심리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탐구 주제 추천 학생 역할에서의 역할갈등과 역할긴장세부 내용: 학생이 학업, 친구, 가족 등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겪는 역할갈등과 역할긴장의 사례를 조사한다. 예를 들어, 공부와 아르바이트, 가족의 기대와 자신의 목표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연구할 수 있다.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직장에서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세부 내용: 직장에서의 역할갈등, 역할과중, 역할긴장 등이 직무 스트레스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분석한다. 상사의 기대와 동료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역할 갈등을 사례로 들 수 있다.사회적 역할에 따른 성격 특성 변화세부 내용: 역할이 개인의 성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예를 들어, 직장 내 역할 변화가 개인의 리더십 스타일, 스트레스 수준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수 있다.학교 내 역할갈등이 청소년의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향세부 내용: 학생으로서의 역할과 친구, 가족 등의 역할 간 갈등이 청소년의 자아 개념 및 자기 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 친구 관계나 학업 성취도에 따른 자아 이미지 변화를 조사할 수 있다.역할과중이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세부 내용: 대학생들이 여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상황에서 겪는 역할과중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학업, 아르바이트, 사회 활동 등 여러 역할 사이에서 시간과 자원을 어떻게 분배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사회적 역할이 직장 내 성과와 관련된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세부 내용: 직장에서 맡은 역할이 개인의 스트레스 수준과 직무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 역할갈등이나 역할과중이 직장 내 업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2024.12.23
-
학생부 관리사회&심리학 희망학생을 위한 탐구주제와 내용 알려드립니다! (3)#사회심리학 주요 관점 4가지 #사회화 #사회적학습이론 #행위자 안녕하세요! 2기 최우수 멘토 은결입니다 :) 2기를 활동 중 약 160개의 스토리노트를 작성하면서많은 학생들이 스토리노트를 통해 정말로 많은 도움을 얻는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질문받는 것 중 하나는 “희망학과 관련 탐구주제 추천” 인데요.그래서 가장 잘 알고 있고, 고등학생 때 많이 활용했던 분야인 사회학 탐구 주제와 세부 내용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론을 활용하여 여러분만의 탐구로 확장시킨다면,나만의 차별화된 생기부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화 탐구력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 1대1톡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사회심리학의 주요 관점들 상징적 상호작용론핵심 개념: 사람들은 상징을 통해 서로 상호작용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삶의 의미를 만들어 나간다. 즉, 사회는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가 형성되고 변화하는 과정이다.시카고 학파와 아이오와/인디애나 학파: 시카고 학파는 상징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의미를 만들어간다고 본다. 아이오와/인디애나 학파는 개인의 행동이 사회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한다.연극학적 접근: 고프만은 인간을 사회적 상황에서 ‘배우’처럼 연기하는 존재로 보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무대 위에서의 연기에 비유했다. 전면부와 후면부의 구분을 통해 사람들이 사회적 기대에 맞춰 행동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민속방법론적 접근: 가핑켈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사회적 질서를 어떻게 만들어가는지를 탐구했다. 이 이론은 일상적 상호작용을 통해 우리가 당연히 여기는 규범들이 사실은 인위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위반 실험"은 사람들이 일상에서 얼마나 규범을 따르는지를 실험적으로 보여준다. 사회구조와 인성핵심 개념: 사회적 구조와 개인은 '역할'이라는 개념을 통해 연결된다. 사회적 구조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며, 개인은 이 구조 내에서 특정한 역할을 맡고 이를 통해 사회와 관계를 맺는다.예시: 예를 들어, 학생 역할, 직장인 역할, 부모 역할 등은 각각 다른 사회적 관계망 안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역할들은 개인의 성격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집단문제해결 과정핵심 개념: 사회적 과정이 집단 내에서 어떻게 만들어지고 발전하는지를 연구한다. 집단 내에서 의사결정, 갈등 해결 등의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다룬다.예시: 학교나 직장에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각 팀원이 맡은 역할과 상호작용이 집단 내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사회적 의미의 형성핵심 개념: 사회적 의미는 고정적이지 않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 대마초의 황홀감, 음식의 맛, 외모에 대한 평가 등은 특정 사회적 맥락에서 형성된 의미이다.예시: 대마초의 환각 효과는 처음부터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대마초를 흡연하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습득된다. 이는 의미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된다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중요한 예시다. 행위자핵심 개념: 개인은 사회적 구조의 강제에서 독립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이는 자율성과 제한 사이의 균형을 의미한다.예시: 개인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주어진 사회적 구조에 반응하거나 저항하는 방식이 행위로서의 역할이다. 예를 들어, 회사 내에서 상사의 요구를 따르면서도 개인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자율성이 존재한다. 행동주의 심리학핵심 개념: 행동은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학습된다고 보는 이론이다.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나 손다이크의 “효과의 법칙”은 행동의 반복 여부가 긍정적인 결과와 부정적인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고 설명한다.예시: 스키너의 조건화 상자는 특정 자극에 대해 원하는 행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행동을 학습시키는 실험이다. 사회적 학습 이론핵심 개념: 특정 행동이 반드시 보상 없이도 관찰이나 모방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폭력적인 행동은 직접적으로 보상을 받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모방하여 학습될 수 있다.예시: 미디어에서 폭력적인 장면을 자주 접하는 사람들이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는 주장은 사회적 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사회화핵심 개념: 사회화는 사람과 사람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요구와 자아개념을 점진적으로 결합하는 과정이다. 인간은 사회적 환경을 내면화하며, 사회적 기대를 배우고 이를 자신의 행동에 반영한다.단계:준비단계: 주변 사람들을 단순히 모방하는 단계놀이단계 (3-6세):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자신을 보고 역할을 맡는 단계게임단계 (>6세): 여러 사람의 복잡한 역할과 관계를 파악하고, 사회적 기대를 내면화하여 사회를 이해하는 단계 사회학/심리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탐구 주제 추천 사회적 상호작용이 청소년의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향세부 내용: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기반으로, SNS와 같은 디지털 플랫폼에서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상호작용이 자아 개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한다. 디지털 상호작용에서 사회적 의미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세부 내용: 사회적 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폭력적인 TV 프로그램이나 비디오 게임이 청소년의 공격적 행동을 증가시키는지, 아니면 해소하는지에 대해 연구한다. 실험을 통해 미디어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일상적 규범의 사회적 구성과 위반 실험세부 내용: 민속방법론을 통해 일상적인 규범들이 어떻게 사회적으로 구성되는지 분석한다. 또한, ‘위반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규범을 얼마나 당연하게 여기는지를 탐구할 수 있다. 사회적 구조가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세부 내용: 사회구조와 인성 이론을 바탕으로, 특정 사회적 구조(학교, 가정, 직장 등)가 개인의 행동과 성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의 학생 역할과 가정에서의 부모 역할이 청소년의 성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할 수 있다. 연극학적 접근을 통한 사회적 역할 변화세부 내용: 연극학적 접근을 적용하여, 사람들이 사회적 상황에 따라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연구한다. 예를 들어, 학교와 집에서의 역할을 비교하고, 전면부와 후면부에서의 행동 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2024.12.23
-
학생부 관리사회&심리학 희망학생을 위한 탐구주제와 내용 알려드립니다! (2)안녕하세요! 2기 최우수 멘토 은결입니다 :) 2기를 활동 중 약 160개의 스토리노트를 작성하면서많은 학생들이 스토리노트를 통해 정말로 많은 도움을 얻는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질문받는 것 중 하나는 “희망학과 관련 탐구주제 추천” 인데요.그래서 가장 잘 알고 있고, 고등학생 때 많이 활용했던 분야인 사회학 탐구 주제와 세부 내용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론을 활용하여 여러분만의 탐구로 확장시킨다면,나만의 차별화된 생기부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화 탐구력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문화 #상징적 상호작용론 #거울자아 #사회적역할 #권력 #언어와 상징 등과 관련된 사회심리학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이것을 활용한 탐구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대1톡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1. 문화의 구성 요소문화: 각 사회의 독특한 행동이나 믿음 체계, 공유된 삶의 양식.상징: 동일한 문화권 내 구성원들에게 특별한 의미를 전달하는 대상.가치와 믿음:가치: 무엇이 바람직하고 좋은지, 아름다운지를 판단하는 기준.믿음: 무엇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가늠하는 기준.언어: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체계.규범: 사회구성원의 행동에 대한 규칙과 기대. 2. 사회심리학의 선구자들찰스 호턴 쿨리1차 집단: 가족, 친구처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는 집단.2차 집단: 공식적이고 목적 중심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집단.거울자아: 타인의 반응을 거울삼아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조지 허버트 미드상징적 상호작용 이론: 사람은 상호작용과 상징을 통해 사회를 재구성하며 의미를 부여하고 변화시킴.I와 Me:I: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자아.Me: 사회적 규범에 의해 형성된 자아. 3.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개인은 상호작용과 상징을 통해 사회를 재구성함.상호작용 과정에서 의미가 구축되고, 사회구성원 간 합의에 따라 사회적 사실이 됨.의미는 사람과 사물에 부여되며, 시간이 지나며 변화함.인간과 동물의 차이: 상징(특히 언어)을 사용하여 사회적으로 적합한 행동 방식을 찾음. 4. 사회구조와 개인의 인성사회구조:사회 구성원 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행동이나 상호작용 패턴.예: 추석 때 아무도 원하지 않지만 전을 부침.역할 수행: 사회적 구조와 개인을 연결하는 과정.사회구조가 개인에 미치는 영향:권력 구조가 인간 관계에 영향을 줌. 5. 집단 과정 이론연구 대상: 소규모 집단 내 상호작용과 사회적 과정.주요 초점:권력, 지위, 공정성 인식이 발생하는 과정.집단 내 상호작용과 구성원의 행동 변화. 6. 사회이론의 기본 개념이론:사회적 삶의 요소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설명하는 명제의 집합.구성 요소:개념 정의.사회적 관계에 대한 일반적 진술.관계의 원인과 예측.적용 범위.가설: 이론적 진술을 검증 가능한 형태로 정리한 것.변수: 이론적 개념을 측정 가능한 형태로 전환한 것.독립 변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종속 변수: 독립 변수에 따라 변화하는 결과. 7. 표집(표본 추출)모집단: 연구 결과가 설명하려는 전체 집단.표본: 모집단을 대표하도록 선정된 조사 대상.표본 추출 방법:확률 표집: 모집단을 무작위로 추출(예: 무작위 표집, 집락 표집).비확률 표집: 접근 가능한 대상 중심(예: 편의 표집, 눈덩이 표집). 8. 윤리적 문제와 연구 규제기관생명윤리위원회:연구 목적과 절차가 윤리 기준에 부합하는지 검토.연구 대상의 권리와 안녕 보호.연구 윤리의 3대 원칙:인간 존중: 동의를 받으며, 잠재적 위험과 이익을 명시.유익함: 참여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음.공정성: 실험 책임과 이익을 공정하게 분배. 9. 윤리적 논란이 된 실험 사례존 왓슨의 어린 앨버트 실험: 고전적 조건화 실험.밀그램 전기충격 실험: 권위에 대한 복종 연구.짐바르도 교도소 실험: 사회구조와 역할이 인간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탐구 주제 내용 1. 상징적 상호작용과 역할 수행주제: 학교 내에서 역할(리더, 팔로워, 조력자 등)이 그룹 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론적 배경: George Herbert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 개인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 정체성과 역할을 형성함.실험 방법:준비: 4~5명의 소규모 그룹을 구성. 그룹 내 특정 역할(예: 팀장, 발표자, 서기)을 무작위로 할당.활동: 모든 그룹에게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게 함(예: 포스터 제작, 문제 해결 게임 등).측정: 역할이 지정된 그룹과 자유롭게 역할을 분담한 그룹 간의 과제 수행 시간, 협력 정도, 만족도를 비교 분석.탐구 포인트:역할 지정 여부가 그룹 협력에 미치는 영향.리더 역할을 맡은 학생의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 간의 차이. 2. 거울자아(looking-glass self)와 자기 이미지 형성주제: 친구의 피드백이 개인의 자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론적 배경: Charles Horton Cooley의 거울자아 - 개인은 타인의 반응을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함.실험 방법:준비: 학생들에게 간단한 창작 활동(예: 그림 그리기, 시 쓰기)을 요청.활동: A 그룹은 긍정적 피드백만 제공받고, B 그룹은 중립적 피드백을 제공받음.측정: 활동 후 각 학생의 자기 만족도, 자신감 변화를 설문 조사.탐구 포인트:긍정적 피드백과 중립적 피드백이 자신감에 미치는 차이.친구들의 반응에 따라 작업 결과물에 대한 자기 평가 변화 여부. 3. 집단 내 권력과 공정성 인식주제: 그룹 내 권력 구조가 공정성 인식과 협력에 미치는 영향이론적 배경: 집단 과정론 - 권력과 지위는 집단 내 상호작용의 중요한 요인.실험 방법:준비: 학생들을 3~4명씩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리더" 역할을 부여.활동: 리더는 특정 자원을 나누어 주는 역할을 수행(예: 사탕, 포인트 등).측정: 리더의 자원 배분 방식에 대한 그룹원의 공정성 평가를 설문으로 측정.탐구 포인트:리더의 권한 행사 방식(평등 분배 vs. 차별 분배)이 그룹 내 신뢰도와 협력 의지에 미치는 영향. 4. 사회적 규범의 위반 실험 주제: 규범 위반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반응 관찰이론적 배경: 규범은 사회구성원의 행동을 규제하는 규칙으로, 위반 시 부정적 반응을 유발함.실험 방법:준비: 간단한 사회적 규범 위반 사례를 계획(예: 복도에서 반대 방향으로 걷기, 엘리베이터에서 뒤돌아 서기 등).활동: 학생들이 이러한 행동을 수행하고 주변 사람들의 반응(표정, 말, 행동)을 기록.탐구 포인트:규범 위반에 따른 즉각적 반응의 유형(놀람, 웃음, 불쾌감 등).규범이 개인의 행동을 제약하는 방식에 대한 논의. 5. 언어와 상징이 협력에 미치는 영향 주제: 언어적 소통이 협동 과제의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이론적 배경: 인간은 상징(언어 포함)을 통해 사회적으로 적합한 방식으로 행동을 조정함.실험 방법:준비: 두 그룹에게 동일한 퍼즐 과제를 제공.활동: A 그룹은 자유롭게 소통 가능, B 그룹은 특정 제한된 단어만 사용 가능(예: 동사 사용 금지).측정: 과제 수행 시간과 성공률 비교.탐구 포인트:언어적 소통의 제한이 협력과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비언어적 소통(몸짓, 표정 등)의 대체 효과. 6. 사회적 역할과 규범의 갈등 주제: 학생들이 경험하는 역할 갈등(예: 학생으로서의 역할 vs. 친구로서의 역할)이론적 배경: 역할갈등은 서로 다른 역할 간의 충돌로 인해 발생.실험 방법:준비: 학생들에게 역할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시나리오 제공(예: 친구가 시험 중에 답을 묻는 상황).활동: 상황에 대한 각 학생의 선택과 이유를 설문 조사.측정: 학생들이 규범(부정행위 금지)과 관계(친구를 돕는 것) 사이에서 느끼는 갈등 정도 분석.탐구 포인트:역할 갈등 상황에서 규범 준수와 개인적 관계 중 어떤 것을 우선시하는지.역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전략 논의. 7. 편견과 고정관념 실험 주제: 외모가 개인의 능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론적 배경: 사회적 고정관념은 개인의 인식과 행동에 강력한 영향을 미침.실험 방법:준비: 동일한 내용을 담은 과제물을 서로 다른 이름(성별이 다른 이름, 특정 직업군과 연결된 이름 등)으로 제출.활동: 과제물을 평가하게 하고 점수의 차이를 분석.측정: 고정관념이 평가의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탐구 포인트:외모와 이름이 평가에 미치는 무의식적 편견 확인.편견을 줄이기 위한 방안 논의. +추가 탐구 주제 주제 1: 사회적 역할과 자아 형성의 상호작용탐구 질문: 개인의 자아 형성에 사회적 역할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세부 내용:찰스 호턴 쿨리의 거울자아 이론을 중심으로, 타인의 피드백이 개인의 자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조지 허버트 미드의 I와 Me 개념을 활용해 개인의 주체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의 갈등과 조화를 탐구.일상 속에서 경험한 사회적 역할(학생, 자녀, 친구 등)을 분석하고, 이를 자아 형성과 연결.설문 조사나 일기 기록을 통해 경험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결론 도출. 주제 2: 문화와 가치관의 변화탐구 질문: 전통적인 문화와 현대적 가치관은 어떻게 충돌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는가?세부 내용: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을 활용하여 문화적 충돌과 융합 과정을 분석.사례: 명절 전통(예: 추석 음식 준비)과 현대적 효율성 중시 문화의 충돌.청소년 집단(친구 그룹 등)에서 상징적인 요소(패션, 언어 등)의 변화와 이를 통해 형성된 집단 문화 분석.문화 변화를 시각화한 포스터 제작이나 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여 구체화. 주제 3: 소규모 집단 내 공정성과 권력의 상호작용탐구 질문: 소규모 집단 내에서 권력과 공정성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집단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가?세부 내용:집단 과정 이론을 바탕으로 소규모 집단(팀 활동, 동아리 등)에서 발생하는 권력 구조와 갈등 분석.권력의 분배 방식(리더의 의사결정 방식 등)이 공정성 인식과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실험: 역할극을 통해 리더십 스타일(독재형, 민주형 등)이 구성원의 만족도와 협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 주제 4: 조건화와 인간 행동탐구 질문: 학습된 행동(조건화)은 인간의 일상 행동에 어떻게 반영되는가?세부 내용:존 왓슨의 어린 앨버트 실험과 고전적 조건화 이론을 바탕으로, 특정 자극(소리, 냄새 등)이 행동을 유발하는지 조사.실험: 특정 음악(밝은 음악 vs. 어두운 음악)을 반복적으로 들려준 뒤, 피험자의 기분이나 행동 변화를 관찰.행동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고, 일상에서 조건화가 적용되는 예시 탐구. 주제 5: 권위와 복종의 심리탐구 질문: 권위적 환경에서 개인은 왜 복종하는가?세부 내용:밀그램의 전기충격 실험을 사례로, 권위가 개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학교나 가정에서 권위적 상황(선생님의 지시, 부모의 규율)에 따른 학생들의 행동 변화를 조사.설문조사: "권위자에게 복종한 경험"과 "복종 이유"를 익명으로 수집하여 데이터 분석.윤리적 한계와 현대적 적용 가능성도 논의. 주제 6: 사회적 역할과 인간 행동의 변화탐구 질문: 특정 사회적 역할을 맡은 개인은 왜 그 역할에 따라 행동이 변화하는가?세부 내용:짐바르도의 교도소 실험을 바탕으로, 역할 수행과 행동 변화의 관계를 탐구.모의 역할극: 학생들에게 각각의 사회적 역할(리더, 조력자, 중립자 등)을 부여한 뒤 상호작용 관찰.행동 변화의 패턴 분석 및 사회적 기대가 심리적 부담으로 작용하는지 조사. *사회학, 심리학과를 희망한다면 반드시 생기부에 활용해야 하는 탐구 방법론* 문헌 조사: 관련 이론과 연구 사례 탐색.실험 및 관찰: 탐구 주제에 적합한 실험이나 역할극 설계 및 데이터 수집.설문 조사: 학생들 또는 주변 사람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수집.결론 도출: 데이터를 분석하고, 탐구 주제에 대한 결론 정리.시각화: 그래프, 도표, 동영상 등으로 탐구 결과를 효과적으로 전달.2024.12.23
-
학생부 관리사회&심리학 희망학생을 위한 탐구주제와 내용 알려드립니다! (1)안녕하세요! 2기 최우수 멘토 은결입니다 :) 2기를 활동 중 약 160개의 스토리노트를 작성하면서많은 학생들이 스토리노트를 통해 정말로 많은 도움을 얻는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질문받는 것 중 하나는 “희망학과 관련 탐구주제 추천” 인데요.그래서 가장 잘 알고 있고, 고등학생 때 많이 활용했던 분야인 사회학 탐구 주제와 세부 내용들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론을 활용하여 여러분만의 탐구로 확장시킨다면,나만의 차별화된 생기부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화 탐구력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사회학&심리학 희망 학생들을 위해 사회심리학 이론에 대해 알아보고, 이것을 활용한 탐구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대1톡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 #사회심리학 정의 #사회학적 상상력 #뒤르켐 자살론 #계층 #사회적 사실-기능주의 관점 사회심리학이란?사회심리학은 사회적 맥락에서 사람들의 생각, 느낌, 행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다루는 학문입니다.이 학문은 사회적 환경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개인의 사고와 행동이 사회적 관계와 구조 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탐구합니다. 분석의 단위 1. 거시사회학사회적 수준의 자료를 이용한 대규모 사회적 과정에 초점을 맞춥니다.예시: 출산율, 이동률, 범죄율, 사회 변동 등.2. 미시사회학대규모 사회적 구조가 사회심리학적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집단 간 관계에 초점을 맞춥니다.예시: 대면 관계를 기반으로 한 집단 연구. 세특 연계:거시사회학 주제: "한국 사회의 저출산 문제와 그 사회적 요인 분석"과 같이 사회적 데이터를 활용한 프로젝트 설계 가능.미시사회학 주제: "학교 내 소규모 그룹의 의사소통 방식과 성과 간의 관계 탐구"와 같은 대면 관계 연구 가능. 사회심리학의 정의 1. 사회적 맥락에서 사람들의 생각, 느낌, 행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개인의 느낌과 생각, 행동 간의 관계 탐구사회학: 사회적 맥락 강조심리학: 개인의 생각과 행동 강조 2. 사회학적 사회심리학 vs. 심리학적 사회심리학공통점: 인간의 사고, 행위, 감정 등이 어떻게 사회적 배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를 연구. 사회학적 사회심리학:사회적 수준의 영향력(사회적 요인)을 강조소규모 집단부터 대규모 문화까지 다양한 맥락 탐구심리학적 사회심리학에 비해 (사회학)이론을 중시. 세특 연계:"사회학적 관점에서의 학교 내 규범 형성과 학생 행동의 관계 연구"와 같이 학교라는 소규모 맥락에서 사회심리학적 현상을 분석."개인의 정체성과 소셜 미디어 상호작용"을 사회심리학 관점에서 탐구. 사회심리학 연구를 위한 도구 1. 사회학적 상상력 (C. Wright Mills)사회학자에게 가장 중요한 도구로 간주됩니다.개인적 삶과 사회적 힘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는 능력을 키움. 2. 사회는 어디에 존재하는가?우리는 언제, 어디서 사회를 경험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세특 연계:"사회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지역사회 봉사활동의 의미 분석"과 같은 실천적 프로젝트 가능.학생들의 일상적인 경험(예: 대중교통 이용, 학교생활)에서 사회적 힘의 작용을 탐구. 사회학적 상상력의 활용 1. 개인과 사회의 연결 고리개인의 내적 사고과정과 외적 생애주기의 변화를 바탕으로 역사적, 문화적, 구조적 틀 안에서 개인을 이해. 2. 뒤르켐의 자살론: 자살의 사회학적 요인 탐구기존 자살 설명(기후, 인종, 유전, 정신 건강 등)을 비판하며 사회적 요인 강조. 세특 연계:"뒤르켐의 자살론을 활용한 학교 내 스트레스와 심리적 지지망의 상관관계 연구" 설계.현대 사회에서의 자살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지원 체계 분석. 세특 연계:주제: "학생의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탐구"개인적 관심사와 사회적 기대치(예: 부모의 직업, 지역적 요인)를 연결하는 연구를 설계.주제: "사회학적 상상력을 활용한 대중교통 이용 경험 연구"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경험하는 사회적 맥락과 개인적 관점을 분석하여 시스템 개선 방향을 제시. 주요 사회적 사실들 1. 사회적 규범행동이나 관계를 규제하는 규칙으로, 집단의 지침 역할을 합니다.2. 사회계층사회적 가치에 대한 차별적인 접근 가능성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깁니다.3. 가치뿌리 깊은 사상이나 믿음으로, 개인과 사회의 방향성을 결정합니다.4. 지위명성이나 존경과 연결되는 집단이나 사회 내에서 개인의 위치.5. 역할집단 내 행동에 대한 일련의 기대.역할갈등: 서로 다른 역할 간 충돌.역할 긴장: 같은 역할 내의 요구가 충돌.6. 조직목적을 공유하며 일련의 형식적 규칙과 권위구조를 가진 집단. 세특 연계:"학교 내 규범과 학업 성취도의 관계"를 탐구하거나 "학생회 조직 내 역할 분담과 협력 구조 분석"과 같은 주제를 다룰 수 있음. 주요 사회적 사실 -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본 제도 1. 제도대규모 집단에서 동일한 규범과 역할을 통해 형성된 유형화된 상호작용.2. 제도의 유형과 역할경제제도: 희소자원의 효율적 분배.정치, 정부, 군사제도: 사회적 갈등 관리 및 집단의 보존.가족제도: 사회구성원의 재생산과 1차 양육.종교제도: 사회적으로 성스러운 것에 대한 의례와 믿음 구조.교육제도: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기존 지식의 전승.세특 연계:"교육제도의 변화와 학생들의 학습 동기 관계"를 분석하거나 "가족제도의 변화가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주제를 설정.2024.12.23
-
기타수능을 앞둔 여러분들에게수능을 앞두고 있는 여러분, 지금 이 순간은 아마 많은 감정이 교차하는 시점일 것입니다. 그동안 정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투자해왔고, 이제는 눈앞에 다가온 시험을 준비하며 불안과 초조함을 느낄 수도 있을 겁니다. “내가 과연 잘 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에 잠 못 이루는 날도 많고, 점점 더 다가오는 수능일에 마음이 무겁고 압박감에 눌릴 수도 있겠죠. 하지만 여러분이 지금까지 얼마나 열심히 달려왔는지를 기억하세요. 그동안의 노력은 결코 헛되지 않았습니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의 멘탈을 관리하고, 수능을 잘 준비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불안과 초조함을 다루는 법수능이 다가올수록 불안감은 더욱 커집니다. “점수가 나쁘면 어떻게 할까?”, “내가 준비한 게 부족한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감정입니다. 하지만 그 불안감을 마주할 때, 그 감정 자체를 부정하거나 회피하려 하기보다는 그 감정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안과 초조함은 여러분이 그만큼 이 시험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그래서 그 불안을 애써 떨쳐내려 하지 마세요. 그 대신, 불안을 건설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세요. 예를 들어, 불안감을 느낄 때마다 “이 불안이 나를 더 준비하게 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자”라는 마음으로 그 감정을 받아들이면, 그 불안이 여러분을 더 집중하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불안이 계속해서 나를 지배한다면, 잠시 그 감정에서 벗어나 호흡법을 시도해보세요. 깊게 숨을 들이마시고, 천천히 내쉬면서 마음을 가라앉히는 연습을 해보세요. 또한, 잠시라도 자연을 바라보거나 음악을 듣는 등의 방법을 통해 감정을 조절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작은 성취를 인정하자수능을 준비하면서 여러분은 매일매일 끊임없이 학습하고, 때로는 지치고 힘들기도 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동안 여러분이 쌓아온 작은 성취들을 하나씩 돌아보세요. 하루하루 조금씩 진전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 풀었던 문제 중 틀린 문제에서 배운 점을 기억하고, 그 문제를 다시 풀어보는 성취감을 느껴보세요. 이렇게 작은 성취를 인정하고 자축하는 것은 여러분의 자신감을 키우는 데 매우 도움이 됩니다. 수능이라는 큰 목표를 향해 가는 길은 때때로 벅차고 힘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작은 성취들을 하나씩 축적해 나가는 것이 결국 큰 목표를 이루는 과정입니다. 매일 조금씩 나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스스로 칭찬하세요. 그만큼 여러분은 매일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비교하지 말자수능을 준비하다 보면 주변 친구들이 잘한다고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친구가 모의고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거나, 공부하는 모습을 보면 자신도 모르게 비교를 하게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억하세요, 누구와도 비교할 필요 없습니다. 모든 사람은 각자의 속도와 방식대로 가고 있습니다. 수능 준비에서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과의 경쟁이 아니라, 자신과의 경쟁입니다.다른 사람의 성과나 공부 방법을 보고 불안해하지 말고, 오히려 자신에게 집중하세요. 내가 그동안 해온 노력, 내가 쌓아온 시간들이 얼마나 값지고 중요한지에 집중하는 것이 훨씬 더 생산적입니다. 여러분만의 학습 방식과 속도가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시험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다수능을 앞두고 있다 보니 시험에 대한 압박감이 커지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수능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물론 수능은 여러분의 대학 진학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여러분이 어떤 시험을 보든, 어떤 진로를 선택하든 그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노력과 태도입니다. 시험 결과가 여러분의 가치를 결정짓지 않습니다. 대학이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기억하고, 여러분의 삶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지 끊임없이 생각해보세요. 수능을 준비하면서 때로는 지치기도 하고 힘들기도 하겠지만, 그 모든 경험이 여러분을 더 강하고 성장한 사람으로 만들어줄 것입니다. 여러분은 잘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지금까지 쏟아낸 노력과 시간은 결코 헛되지 않았습니다. 수능이라는 큰 시험을 준비하면서 겪은 고난과 인내는 여러분이 앞으로 어떤 삶을 살아가든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지금 이 순간, 여러분은 이미 대단한 일을 해내고 있습니다. 모든 수험생이 다 똑같은 길을 걷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여러분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그동안 이겨낸 모든 어려움과 그 순간마다 한 걸음씩 내딛은 모든 성취는 정말 자랑스럽습니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해서 압박감에 눌리기보다는, 지금까지 해온 것들을 믿고 자신감을 가지세요. 여러분은 이미 충분히 잘하고 있습니다. 수능 당일, 그날이 아무리 중요한 날이라 해도 여러분의 가치는 그 한날에만 달려 있지 않아요.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그동안의 노력과 인내,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얻은 자신감과 성장입니다. 수험생으로서 여러분은 이미 충분히 멋진 사람들입니다. 여러분, 화이팅입니다!2024.11.11
-
면접 준비숭실대 정보사회학과 면접 질문&준비꿀팁 공개!!숭실대학교 수시면접에 대해 알려드겠습니다!숭실대 면접을 보시는 분들이 참고하시면 매우 도움될 것 같아요~특히 정보사회학과 면접 기출 질문과 답변도 알려드리겠습니다! 숭실대학교 수시면접 핵심정리 <SSU미래인재 전형> 1단계 합격자 발표일: 2024년 11월 25일(월) 10:00면접일정: 2024년 11월 29일(금) 평가요소: 전공적합성(50%)인성, 잠재력(50%) 평가방법: 서류 기반 블라인드 면접면접위원 2인, 지원자 1인지원자 1인당 15분 내외 진행 전형방법: 1단계: 서류 100% (3배수 선발)2단계: 1단계 성적 50% + 면접 50% 최초합격 발표일: 2024년 12월 13일(금) 10:00 <정보사회학과 면접 준비 꿀팁> 정보사회학과는 정보와 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그로 인한 사회 변화에 대한 깊은 이해가 요구되며, 이는 단순히 기술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측면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있습니다. 정보사회학과 면접 기출문제를 통해 고등학생들이 면접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정보사회학과 면접 기출 질문&예시 답변> 1. 진로계획에 대해 말해주세요 → 정보사회정책 연구원 (예시) 질문 의도: 면접관은 지원자가 정보사회학을 통해 향후 어떤 직업을 목표로 하고 있는지, 또한 그 직업이 왜 중요한지 알고 싶어 합니다. 답변 팁:먼저, 정보사회정책 연구원의 역할을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직업은 정보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분석하고, 정부나 기업에 적합한 정책을 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진로 계획을 설명할 때, 왜 정보사회학을 선택했는지, 그리고 정보와 사회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보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회적 불평등이나 개인정보 보호, 디지털 격차와 같은 문제들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정책을 연구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일을 하고 싶습니다."와 같이 답변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진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학문적 배경을 어떻게 준비할지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정보사회학을 통해 사회 문제를 깊이 이해하고, 데이터 분석 및 정책 제시 능력을 키워 정보사회정책 연구원으로 활동하고 싶습니다."라는 방식으로 구체화할 수 있습니다. 2. 어떤 사회문제에 관심이 많나요? → 불평등, 특히 정보 불평등과 격차질문 의도: 면접관은 지원자가 사회문제를 어떻게 바라보는지, 그리고 그 문제에 대한 관심과 고민을 알고 싶어 합니다. 답변 팁:정보 불평등과 디지털 격차에 대한 관심을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보 기술이 발전하면서 정보 접근에 대한 격차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저소득층이나 농촌 지역은 여전히 인터넷이나 최신 기술에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많습니다. 이는 교육 기회나 경제적 기회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라고 답변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디지털 포용과 정보 접근성 향상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라고 언급하면서, 정보화 사회에서의 형평성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3. 통계에서 양적/질적 방법 중 무엇이 더 나은가요? 다른 좋은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질문 의도: 면접관은 지원자가 연구 방법론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고 싶어 합니다. 또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장단점에 대한 이해를 묻고 있습니다. 답변 팁: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는 각기 다른 장점이 있습니다. 양적 연구는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해 보편적인 경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결과를 제공합니다. 반면, 질적 연구는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사람들의 경험이나 감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각 연구 방법론은 목적에 따라 적합성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사회적 불평등을 다룰 때 양적 연구는 불평등의 범위와 영향을 수치로 분석하는 데 유용하고, 질적 연구는 개인의 경험과 이야기 속에서 불평등의 본질을 깊이 이해할 수 있게 해줍니다."또한 혼합 연구 방법을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좋은 접근법입니다. 양적과 질적 방법을 결합해 보다 다각적인 분석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4. 시스템에러 책을 읽고 인상 깊은 부분은 무엇인가요? 질문 의도: 면접관은 지원자가 정보사회에 대한 관심과 사고를 얼마나 깊이 있게 하고 있는지를 알고 싶어 합니다. 이 질문은 특정 책을 통해 지원자의 사고를 분석하고자 합니다. 답변 팁:『시스템에러』는 정보화 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다룬 책입니다. 이 책에서는 디지털 기술이 가져오는 사회적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정보화 사회가 시스템적으로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책을 읽고 난 후 자신이 느낀 가장 큰 인사이트나 도전적이었던 문제를 말해보세요. 예를 들어, "책에서 다룬 정보의 불평등과 알고리즘의 오류에 관한 부분이 인상 깊었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점점 더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 시스템이 잘못된 판단을 내릴 경우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라고 답변할 수 있습니다.이 답변은 면접관에게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가진 지원자임을 인식시킬 수 있습니다. 5. 성적에서 아쉬웠던 점과 뿌듯했던 점은 무엇인가요? 질문 의도: 면접관은 지원자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 그리고 자기 개발에 대한 태도를 알고 싶어합니다. 답변 팁:아쉬운 점: 성적에서 아쉬운 점은 자신이 어려움을 겪었던 과목이나 공부 방법에 대한 이야기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학이나 과학과 같은 과목에서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그 이유는 개념을 이해하기보다는 문제 풀이에 집중한 부분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후에는 기초부터 차근차근 개념을 다시 이해하고 문제 풀이 연습을 병행하려 노력했습니다."뿌듯한 점: 반면, 성취감을 느꼈던 점은 성적 향상뿐만 아니라 어려운 상황을 극복한 경험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 과목에서 처음에는 점수가 낮았지만, 지속적으로 영어 원서 독해와 영어 듣기 연습을 하면서 점수가 많이 향상되었습니다. 이 경험은 꾸준함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었습니다." 6. 마지막 말 질문 의도: 면접의 마무리에서, 면접관은 지원자가 마지막으로 전하고 싶은 자신의 의지나 결심을 듣고 싶어 합니다. 답변 팁:이 질문에는 자신만의 열정과 동기를 간단명료하게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저는 정보사회학을 통해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연구자가 되고 싶습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정보 사회에서 더 나은 미래를 만들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할 것입니다."라는 간단한 결심을 밝힐 수 있습니다. 정보사회학과 면접은 지원자가 사회적 이슈와 정보 기술에 대한 이해를 얼마나 깊이 갖추었는지를 평가하는 중요한 자리입니다. 이 과정에서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진로 계획이나 학업 성취도에 대한 질문을 통해 자신이 왜 이 전공을 선택했는지, 어떻게 발전할 계획인지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면접 준비의 핵심입니다! 면접 준비에 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톡을 통해 물어봐주세용2024.11.11
-
면접 준비[면접 꿀팁]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에는 어떤 말을 하면 좋을까?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면접 꿀팁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면접 꿀팁]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에는 어떤 말을 하면 좋을까? 대학 면접에서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을 어떻게 전할지 고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면접의 마지막 순간은 자신을 한 번 더 어필할 수 있는 기회이므로, 잘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기서는 미리 준비했을 때와 준비하지 않았을 때 각각의 접근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미리 준비할 경우미리 마지막 발언을 준비하는 것은 면접을 보다 자신감 있게 마무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포맷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자기 소개 및 요약“먼저, 이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면접을 통해 제 경험과 목표를 공유할 수 있어서 매우 기뻤습니다.” 학과에 대한 열정 강조“특히 [전공 또는 학과명]에 대해 말씀드릴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저는 이 분야에 대한 깊은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이곳에서 더 많은 지식을 쌓고, 발전하고 싶습니다.” 기여 의지 표현“제가 이 대학에서 공부하게 된다면, [특정한 기여나 활동]을 통해 학교와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마무리 인사“다시 한 번, 오늘 면접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이 대학의 일원이 되어 함께 성장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이렇게 미리 준비한 내용을 바탕으로 마지막 발언을 하면, 면접관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2. 미리 준비하지 않을 경우면접 중에 아쉬운 점이 있었거나, 질문에 대한 답변이 미흡했다고 느낄 경우, 마지막 발언을 통해 이를 보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럴 때는 다음과 같은 접근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쉬웠던 부분 언급“마지막으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아까 [특정 질문]에 대한 저의 답변이 미숙했던 것 같다는 점입니다. 그 질문에 대해 다시 한 번 제 생각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보완된 답변 제시“저는 [질문에 대한 보완된 답변]이라고 생각합니다. [구체적인 이유나 예시]를 들어 설명해 드리고 싶습니다. 이 점을 통해 제가 이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했음을 보여드리고 싶습니다.” 학과에 대한 열정 확인“이와 함께, 저의 열정과 목표는 변함이 없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습니다. [학과명]에서 학습하며 [특정 활동이나 목표]를 이루고 싶습니다.” 감사 인사로 마무리“감사합니다. 오늘 면접을 통해 제가 가진 열정과 의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 기회를 통해 학교와 함께 성장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이렇게 마지막 발언을 통해 아쉬운 부분을 보완하면, 면접관에게 자신의 문제 해결 능력과 성장 의지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실수를 넘어, 자신의 생각을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드러내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대학 면접의 마지막 발언은 자신을 다시 한 번 어필할 수 있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미리 준비한 경우에는 자신의 열정과 목표를 재확인하고, 기여 의지를 강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대로, 미리 준비하지 못한 경우에는 아쉬운 점을 보완하고, 여전히 열정이 있음을 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면접관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남기고, 자신이 원하는 대학에 합격할 수 있는 기회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마지막 순간을 잘 활용하여 자신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면접이 끝난 후에도 좋은 기억으로 남길 수 있도록 하세요!2024.10.31
-
기타수능을 위한 마인드컨트롤 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곧 수능이 다가오는데요!!수능을 위한 마인드컨트롤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수능은 많은 학생들에게 인생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스트레스를 유발합니다… 이 시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학업적인 부담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압박감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마인드컨트롤 방법이 필요합니다. 목표 설정과 계획 수립마인드컨트롤의 첫 단계는 명확한 목표 설정입니다. 수능 목표 점수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웁니다. 예를 들어, 매일 공부할 과목과 시간을 정하고, 주간 목표를 설정하여 점진적으로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합니다. 목표를 세울 때는 SMART 원칙(구체적, 측정 가능, 달성 가능, 관련성, 시간 제한)을 적용하여 현실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긍정적인 자기 대화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은 마인드컨트롤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나는 할 수 있다", "나는 준비가 되어 있다"와 같은 긍정적인 자기 대화를 통해 자신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부정적인 생각이 들 때마다 이를 인식하고 긍정적인 언어로 전환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예를 들어, "이번 시험도 힘들겠지"라는 생각 대신 "나는 충분히 준비했으니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스스로에게 말하는 것입니다. 스트레스 관리 기술 익히기수능 준비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다양한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익혀야 합니다. 명상, 요가, 심호흡 등의 이완 기법을 통해 긴장을 풀고 마음을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 하루에 몇 분이라도 조용한 시간을 가지며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시간은 집중력을 높이고, 심리적 안정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규칙적인 생활 습관정신적인 안정은 규칙적인 생활에서 비롯됩니다.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인 운동은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수면은 기억력과 집중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매일 같은 시간에 자고 일어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간단한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통해 긴장을 풀고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시험 시뮬레이션실전 감각을 익히기 위해 모의고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 시험과 유사한 환경에서 문제를 풀어보면 긴장감을 줄이고, 시험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모의고사 후에는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연습은 자신감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주변과의 소통수능 준비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친구, 가족, 선생님과의 소통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힘들거나 지칠 때는 주변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큰 위안이 됩니다. 친구와 함께 스터디 그룹을 만들어 서로의 동기 부여를 할 수도 있습니다. 수능 준비는 단순히 지식을 쌓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준비가 필요합니다. 위에서 제시한 마인드컨트롤 방법들을 실천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긍정적인 사고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자신을 믿고, 꾸준히 노력한다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수능이라는 큰 시험 앞에서 자신을 잘 다스리고,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응원하겠습니다 :)2024.10.31
-
학과 탐색[학과소개]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안녕하세요! 오늘은 시립대 전전컴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서울시립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는 전기, 전자, 컴퓨터 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1995년에 설립된 학부로,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혁신적인 연구와 교육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는 인재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이 학부는 전기 및 전자 공학, 컴퓨터 공학의 기초 이론과 실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교육 목표와 커리큘럼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의 교육 과정은 이론과 실습을 균형 있게 배치하여 학생들이 실제 산업 환경에서 요구되는 기술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초 과목으로는 전기회로, 전자기학, 신호 및 시스템,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기초 등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심화 과목으로 나아갑니다. 심화 과목으로는 디지털 신호 처리, 통신 시스템, 제어 시스템, 임베디드 시스템, 인공지능, 머신러닝 등 최신 기술 동향을 반영한 과목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또한,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는 실습과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다양한 실험실에서 장비를 다루고, 실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실습 과정은 학생들이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는 데 기여합니다. 연구 분야와 성과학부는 전기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인공지능, IoT(사물인터넷), 로봇 공학, 반도체 공학 등 첨단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교수진은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생들과 협력하여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국내외 학술지에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서울시립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는 다양한 연구소와 협력하여 산업계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은 학생들에게 인턴십 및 취업 기회를 제공하며,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연구 성과는 지역 사회의 기술 발전과 산업 혁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학생 활동과 커뮤니티학부 내에서는 다양한 동아리와 학생회를 운영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학생들은 전공 관련 동아리 활동을 통해 기술적 역량을 키우고, 세미나 및 워크숍에 참여하여 최신 기술 동향을 익히고 있습니다. 또한, 학부에서는 매년 전공 관련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졸업생 진로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졸업생들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IT 기업, 전자 제품 제조업체, 통신사, 연구소 등에서 엔지니어, 연구원, 데이터 분석가 등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높은 취업률을 자랑합니다. 또한, 일부 졸업생들은 대학원에 진학하여 심화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울시립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는 이론과 실습을 통해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기술 인재를 양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전문 지식과 실무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사회와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는 미래의 기술 혁신을 이끌어 나갈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2024.10.31
-
수시 준비[선택과목]어떻게 선택해야할까?-이과편<선택과목, 무엇을 선택해야 될까?> -이과편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입시에서 선택과목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과에 비해서 과목 간 위계가 낮긴 하지만, 희망 계열에 맞는 선택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진학하고자 하는 학과와 다른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선택한다면, 입시에 있어서 불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리로톡에 올라오는 질문들을 보니, 선택과목 선정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문과/이과를 나누어서 희망 진로별 유리한 선택과목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요즘 대학에서는 전공적합성 또는 계열적합성을 생기부를 통해 판단합니다. 전공적합성과 계열 적합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진로선택과목입니다. 자신이 관심있는 진로와 관련된 진로선택과목을 듣는다면 전공적합성과 계열적합성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만약 희망하는 진로와 관련된 진로선택과목이 학교에서 열리지 않는다면 ‘공동교육과정’을 통해서 따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따로 수강한다면 전공적합성과 계열적합성을 드러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적극성 및 전공에 대한 관심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대학마다 권장 선택과목이 다를 수 있으니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의 학과 모집요강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대학 모집요강을 우선으로 본 후 제 스토리노트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자연계열-이수 필요성 50%이상인 과목과학사, 생활과 과학-이수 필요성이 70%이상인 과목과학사, 생활과 과학: 기하, 수학과제탐구, 물리학2, 화학2, 생명과학2, 지구과학2, 융합과학 2. 공학계열-이수 필요성 50%이상인 과목지구과학2-이수 필요성이 70%이상인 과목:기하, 수학과제탐구, 물리학2, 화학2, 생명과학2, 융합과학 3. 의학계열-이수 필요성 50%이상인 과목:기하, 수학과제탐구, 물리학2, 융합과학-이수 필요성이 70%이상인 과목화학2, 생명과학2 *세부 전공* 1) 보건계열진로선택: 화학2, 생명과학2, 보건, 심리학, 과학과제연구기타: 기하, 고급생명, 생명과학실험 2) 순수학문 계열진로선택: 수학과제탐구, 화학2, 생명과학2, 생활과학, 물리학실험기타: 고급 물리학 3) 자연계열진로선택: 과학과제연구, 생명과학2, 화학2, 융합과학, 심화(고급)수학기타: 지식재산일반 3) 공학(기계, 전자)진로선택: 기하, 물리학2, 고급물리, 고급수학, 융합과학, 정보과학, 공학일반, 지식재산일반, 물리학실험기타: 생명, 화학2 4) 공학(화학, 생명)진로선택: 기하, 화학2, 물리학2, 과학과제연구, 심화(고급)수학, 생명과학실험, 고급생명과학, 융합과학기타: 물리학실험 5) 공학 (건축)진로선택: 기하, 물리학2, 물리학실험, 공학일반, 정보과학기타: 지식재산일반6) 공학 (컴퓨터)진로선택: 물리학2, 물리학실험, 정보과학, 융합과학, 공학일반기타: 고급수학, 화학2, 생명과학2, 창의경영 7) 농업, 생명계열진로선택: 고급생명과학, 생명과학2, 농업생명과학, 창의경영, 생태와 환경, 과학과제연구기타: 화학2, 고급수학 요즘 대학에서는 전공적합성 또는 계열적합성을 생기부를 통해 판단합니다. 전공적합성과 계열 적합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진로선택과목입니다. 자신이 관심있는 진로와 관련된 진로선택과목을 듣는다면 전공적합성과 계열적합성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만약 희망하는 진로와 관련된 진로선택과목이 학교에서 열리지 않는다면 ‘공동교육과정’을 통해서 따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따로 수강한다면 전공적합성과 계열적합성을 드러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적극성 및 전공에 대한 관심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대학마다 권장 선택과목이 다를 수 있으니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의 학과 모집요강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대학 모집요강을 우선으로 본 후 제 스토리노트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2024.10.31
-
수시 준비[선택과목]어떻게 선택해야할까?-인문계[선택과목]어떻게 선택해야할까?-인문계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입시에서 선택과목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과에 비해서 과목 간 위계가 낮긴 하지만, 희망 계열에 맞는 선택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진학하고자 하는 학과와 다른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선택한다면, 입시에 있어서 불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리로톡에 올라오는 질문들을 보니, 선택과목 선정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문과/이과를 나누어서 희망 진로별 유리한 선택과목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대학마다 권장 선택과목이 다를 수 있으니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의 학과 모집요강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대학 모집요강을 우선으로 본 후 제 스토리노트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과 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입시에서 과탐 과목 선택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 이유는 이과 계열 학과에 입학했을 때 처음으로 배우는 대학 전공 기초 과목이 고등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본인이 진학하고자 하는 학과와 다른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선택한다면, 대학 입학 후 학과 공부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앞서 말한 이유로 고등학교 선택과목은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경우, 보다 나은 선택을 위해 고려해야 할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 목표 대학에서 지정한 과목인가?자신의 관심과 적성에 맞는 과목인가?내신과 수능을 병행할 수 있는 과목인가? <진로선택과목>-전공학업 평가 기준 인문계열-이수 필요성 50%이상인 과목: 실용국어, 실용 영어, 진로 영어, 사회문제탐구, 고전과 윤리-이수 필요성이 70%이상인 과목: 심화 국어, 고전 읽기, 영어권 문화, 영미문학 읽기 2. 사회계열-이수 필요성 50%이상인 과목: 심화국어, 실용영어, 영어권 문화, 진로 영어, 고전과 윤리-이수 필요성이 70%이상인 과목: 경제수학, 여행지리, 사회문제탐구 1) 언론, 광고 분야진로선택: 사회문제탐구, 과학사, 생활과학, 논리학, 음악감상과비평, 미술감상과 비평기타: 경제, 사회문화 2) 경상 분야진로선택: 경제수학, 논술, 사회문제탐구, 심화영어, 제2외국어2기타: 수2, 미적분 3) 사회과학진로선택: 사회문제탐구, 생활과학, 철학, 논리학, 심리학, 음악감상과 비평, 미술감상과 비평, 고전과 윤리기타: 경제수학, 미적분 4) 어문진로선택: 심화국어, 심화영어, 고전과 윤리ㅡ 고전읽기, 미술감상과 비평, 제2외국어2기타: 고전문학감상 5) 교육진로선택 사회문제탐구, 과학문제탐구, 생활과학,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체육, 미술, 실기기초, 고전문학감상기타: 보건, 진로와 직업 6) 인문진로선택: 사회문제탐구, 고전읽기, 고전과 윤리,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철학, 논술기타: 보건, 논리학 요즘 대학에서는 전공적합성 또는 계열적합성을 생기부를 통해 판단합니다. 전공적합성과 계열 적합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진로선택과목입니다. 자신이 관심있는 진로와 관련된 진로선택과목을 듣는다면 전공적합성과 계열적합성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만약 희망하는 진로와 관련된 진로선택과목이 학교에서 열리지 않는다면 ‘공동교육과정’을 통해서 따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따로 수강한다면 전공적합성과 계열적합성을 드러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적극성 및 전공에 대한 관심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만약 학교에서 ‘고급경제’ 과목을 이수하고 싶은데, 과목이 열리지 않는다면???-> ‘클러스터’ 이용하기클러스터란 다른 학교에서 만들어지는 선택과목들을 들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클러스터를 잘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2024.10.31
-
면접 준비"학업역량/전공적합성/인성"을 평가하기에 좋은 <면접 질문 소재>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5면접을 본 선배로서 면접 꿀팁 알려드리겠습니다! "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의 기본"학업역량/전공적합성/인성"을 평가하기에 좋은 <면접 질문 소재> 대학에서 면접을 보는 이유 수시 접수가 마무리 되면, 수능시험과 면접이 남습니다.대입을 위한 면접 준비 또한 매우 중요한데요. 대학에서 면접을 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가장 큰 이유는 “서류신뢰도 진위 여부 검증”입니다. 생기부의 모든 기록이 면접 질문이 될 수 있습니다. 2. 서류심사에서 입학사정관들은 지원자의 강점,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 인성 등을 평가하는데요.면접에서도 이들을 종합적으로 재확인합니다. 과연 학업역량/진로역량/인성 등을 평가하기에 좋은 “면접질문소재”는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3. 학업역량을 평가하기에 좋은 질문 소재 -관심을 두고 노력한 과목 -교과 수업 시간에 발표하거나 토론한 주제 -실험한 결과물인 주제탐구보고서 -다른 과목에 비해 성적이 저조한 과목 -선생님이 우수한 결과물이라고 평가한 내용 4. 전공적합성을 평가하기 좋은 질문 소재 -학과에 지원한 동기가 무엇인지? -지원학과 준비 노력은? -전공학업에 대한 세부능력에서 주도적인 활동 -학년마다 같은 주제로 연구한 내용 -전공관련 동아리에서 연구한 내용 -진로활동 및 수행평가를 통해 심화된 지식으로 연구한 내용 5. 인성 평가하기에 좋은 질문 소재 -자발적인 협력을 통해 공동의 과제를 완성한 경험 -상대방의 어려움을 헤아려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한 경험 -학습 멘토 활동이나 어려운 처지의 동료를 도왔던 경험 -수업이나 교과 외 활동 등에서 자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표현한 경험 -학교의 규정이나 규칙을 어긴 경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개선하려는 노력 -출결상황에 무단결석, 지각, 공동체 활동에서 리더로서 역할을 충실히 한 내용 6. 학생이 제출한 서류와 면접에서의 답변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서류의 진위여부에 의심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면접 전에 제출한 서류들의 기록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답변을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에서 소개한 질문 소재들의 의도를 파악하면서 면접을 준비한다면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질문 소재들을 참고하면서 면접을 준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면접 질문들의 의도를 파악하면서 준비를 한다면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앞에서 소개한 질문 소재들을 참고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꿀팁) 자신감 있게 대화하기!!면접관과의 대화에서 자신감 있는 태도를 유지하세요. 눈을 맞추고, 편안한 자세로 앉아 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할 때는 침착하게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말하며, 필요할 경우 잠깐의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습니다. 꿀팁2) 마무리 잘하기면접이 끝난 후, 감사의 인사를 잊지 마세요. 면접관에게 시간을 내줘서 고맙다는 말을 전하는 것은 인상 깊은 마무리가 될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면접 경험을 돌아보고, 어떤 부분이 좋았고 어떤 부분을 개선할 수 있을지를 정리해보세요.대학 면접은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철저한 준비와 자신감 있는 태도로 면접에 임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2024.10.31
-
기타[독서활동] 광장 (최인훈)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이번에는 소설 광장에 대해 어떻게 세특에 활용하면 좋을지 알려드리겠습니다!다음 내용과 주제를 참고하셔서 탐구활동을 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당 최인훈의 소설 『광장』은 한국 전후 사회를 배경으로 한 작품으로, 주인공인 '나'의 내면 갈등과 소외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이 소설은 개인의 정체성과 존재의 의미를 탐구하며, 인간 존재의 고뇌를 깊이 있게 다룹니다. 내용 요약주인공 '나'는 한국 전쟁 이후의 혼란한 사회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고뇌합니다. 그는 고향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면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지만, 도시에서의 삶은 그를 더욱 고립시키고 소외감을 느끼게 합니다. 주인공은 가족과의 단절, 사회적 관계의 부재 등으로 인해 존재의 의미를 잃어가고, 광장이라는 공간을 통해 사회적 갈등과 개인의 고뇌를 느끼게 됩니다.소설의 주요 배경인 '광장'은 단순한 물리적 공간을 넘어, 개인과 사회, 집단과 개인 간의 갈등이 얽히는 상징적 장소로 등장합니다. 주인공은 광장에서 다양한 사람들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쉽지 않으며, 그는 결국 다시 소외감을 느끼게 됩니다.작품은 전후 한국 사회의 정치적 불안, 이념 대립, 사회적 갈등 등을 반영하고 있으며, 인간 존재의 고뇌와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철학적 질문을 던집니다. 최인훈은 복잡한 인물들의 심리를 통해 독자에게 깊은 감동과 사유를 제공합니다. 최인훈의 소설 『광장』은 한국 현대 문학의 중요한 작품 중 하나로, 개인과 사회, 존재와 소외, 그리고 인간의 고뇌를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이 작품을 세부 능력 특기 사항(세특) 작성에 활용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주제를 추천합니다. 소외와 정체성: 주인공의 내면 탐구-주인공이 겪는 소외감과 정체성 위기를 분석합니다. 전후 한국 사회의 변화 속에서 개인이 느끼는 고뇌를 중심으로, 주인공의 심리적 갈등을 탐구합니다.- 주인공의 내면 독백과 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소외가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합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의 소외 문제와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광장과 사회: 공간의 상징적 의미-소설에서 '광장'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를 탐구합니다. 광장이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의 장으로서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분석합니다.-소설 속에서 광장이 등장하는 장면을 분석하고, 그 공간이 어떻게 사회적 갈등과 연대의 상징으로 작용하는지를 논의합니다. 또한, 현대 사회의 광장(예: 시위 장소, 공공 공간)과의 비교를 통해 공간의 사회적 역할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전후 한국 사회의 문화적 반영- 『광장』이 전후 한국 사회의 문화적, 정치적 현상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합니다. 특히, 당시 사회의 갈등과 개인의 고뇌를 중심으로 탐구합니다.-소설에서 나타나는 역사적 배경(예: 한국 전쟁, 이념 대립 등)을 조사하고, 그것이 인물의 삶에 미친 영향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문학이 사회적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2024.10.31
-
기타[주제추천] 사회계열 희망 학생들을 위한 '확률과 통계' 세특 주제 추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리로톡을 보니 많은 학생들이 탐구 주제를 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더라구요..그래서 저처럼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별 세특 탐구 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사회계열이 아닌 학생들도 이용해도 좋아요! <사회계열 희망 학생들을 위한 확률과 통계 세특 탐구주제 추천>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확률과 통계는 데이터 분석과 의사결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과목은 사회 현상을 수치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필수적입니다. 확률과 통계의 기초를 통해 학생들은 사회적 문제를 분석하고, 현상을 예측하는 데 필요한 도구를 갖추게 됩니다. 아래에서는 확률과 통계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추천합니다. 이 주제들은 학생들이 실제 사회적 이슈와 연결하여 깊이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1. 여론 조사와 통계적 분석 탐구 내용: 여론 조사의 방법론과 그 결과의 해석을 분석합니다. 여론 조사에서 사용되는 샘플링 기법, 설문지 작성법, 데이터 분석 방법 등을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이슈(예: 정치적 선거, 사회적 문제)에 대한 여론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정당 지지율 조사에서 샘플링 오차, 신뢰 구간 등을 계산하여 결과의 신뢰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여론 조사 결과가 사회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할 수 있습니다. 2. 통계적 방법을 통한 건강 데이터 분석 탐구 내용: 건강 관련 데이터(예: 질병 발생률, 예방접종 효과 등)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사회적 건강 문제를 이해합니다. 건강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 방법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질병(예: 당뇨병, 고혈압)의 발생률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인구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합니다. 통계적 테스트(예: t-검정, 카이제곱 검정)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의미를 해석하고, 건강 정책 개선을 위한 제안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3. 스포츠 통계와 성과 분석 탐구 내용: 스포츠에서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선수의 성과와 팀의 전략을 이해합니다. 스포츠 통계가 경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스포츠 리그(예: 프로야구, 축구)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선수의 성과(예: 타율, 득점률 등)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경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팀 전략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4. 경제 데이터와 통계적 예측 탐구 내용: 경제 데이터(예: 실업률, 물가 상승률 등)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사회적 경제 문제를 이해하고 예측합니다. 경제 지표의 변화를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국가 또는 지역의 경제 지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경제 성장률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합니다. 회귀 분석, 시계열 분석 등의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여 예측 결과를 도출하고, 경제 정책에 대한 제안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5. 사회적 불평등과 통계적 분석 탐구 내용: 사회적 불평등(예: 소득 불평등, 교육 기회의 차이 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현상을 이해합니다. 사회적 불평등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지역의 소득 분포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니 계수와 같은 통계적 지표를 사용하여 소득 불평등을 분석합니다. 교육 기회의 차이를 조사하여, 통계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제안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확률과 통계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주제는 매우 다양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와 적성에 맞는 주제를 선택하여 심도 있게 연구해 보세요. 이러한 탐구 과정은 통계적 사고를 기르고, 사회적 문제를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세부 능력 특기 사항(세특) 작성 시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확률과 통계의 탐구는 단순히 수학적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2024.10.31
-
기타[주제추천] 사회계열 희망 학생들을 위한 '영어' 세특 주제 추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리로톡을 보니 많은 학생들이 탐구 주제를 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더라구요..그래서 저처럼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별 세특 탐구 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사회계열이 아닌 학생들도 이용해도 좋아요! <사회계열 희망학생들을 위한 영어 세특 탐구주제 추천>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영어는 글로벌 사회에서 중요한 의사소통 도구이자 문화적 이해를 깊게 하는 과목입니다. 영어를 통해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문제를 탐구하고 분석할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이 사회 현상을 보다 넓은 시각에서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아래에서는 영어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추천합니다. 이 주제들은 사회적 이슈, 문화적 맥락, 그리고 언어적 표현을 연결하여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사회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1. 영어와 글로벌화: 언어의 힘 탐구 내용: 영어가 글로벌화 과정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영어가 국제 비즈니스, 과학, 문화 교류 등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여러 나라에서 영어가 사용되는 사례를 조사하고, 영어가 국제 사회에서 의사소통의 공통 언어로 자리 잡은 배경을 분석합니다. 또한, 영어 사용이 지역 언어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 이러한 변화가 사회적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2. 영어권 문화와 사회적 가치 탐구 내용: 영어권 국가들의 문화와 사회적 가치를 탐구하고, 이러한 가치가 문학,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매체에서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영어권 국가의 문학 작품(예: 제인 오스틴의 소설, 마크 트웨인의 작품 등)을 선정하고, 그 속에 담긴 사회적 가치와 문화적 배경을 분석합니다. 또한, 현대 영화나 음악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메시지를 조사하여, 문화가 어떻게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3. 영어 교육의 변화와 사회적 영향 탐구 내용: 영어 교육의 변화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비영어권 국가에서의 영어 교육의 중요성과 그 효과를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한국의 영어 교육 정책을 조사하고, 과거와 현재의 교육 방식의 변화를 비교합니다. 또한, 영어 교육이 개인의 사회적 기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더 나은 교육 정책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4. 소셜 미디어와 영어의 진화 탐구 내용: 소셜 미디어가 영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특히, 소셜 미디어에서의 언어 변화와 새로운 표현 방식(예: 이모티콘, 줄임말 등)의 발전을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소셜 미디어 플랫폼(예: 트위터, 인스타그램)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러한 변화가 젊은 세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또한, 소셜 미디어가 사회적 이슈(예: 인종차별, 성소수자 인권 등)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5. 영어와 인권: 언어의 역할 탐구 내용: 영어가 인권 문제를 다루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탐구합니다. 특히, 인권 선언문, NGO의 활동, 사회 운동에서의 영어 사용을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유엔 인권 선언문이나 특정 인권 단체의 캠페인을 분석하고, 그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특징과 효과를 연구합니다. 또한, 인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영어가 이러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할 수 있습니다. 영어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주제는 매우 다양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와 적성에 맞는 주제를 선택하여 심도 있게 연구해 보세요. 이러한 탐구 과정은 영어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 사회적 문제를 분석하는 데 필요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세부 능력 특기 사항(세특) 작성 시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영어의 탐구는 단순히 언어적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글로벌 사회에서의 인간관계와 문화적 이해를 심화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2024.10.31
-
기타[주제추천] 사회계열 희망 학생들을 위한 '생명과학' 세특 주제 추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리로톡을 보니 많은 학생들이 탐구 주제를 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더라구요..그래서 저처럼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별 세특 탐구 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사회계열이 아닌 학생들도 이용해도 좋아요! <사회계열 희망학생들을 위한 생명과학 세특 탐구주제 추천> 생명과학은 생명체의 구조와 기능, 생태계의 상호작용, 유전학, 생명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이를 통해 사회적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초를 제공합니다. 아래에서는 생명과학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추천합니다. 이 주제들은 생명과학의 이론적 지식과 사회적 맥락을 연결하여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1. 유전자 편집 기술과 윤리적 문제 탐구 내용: 유전자 편집 기술의 발전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를 탐구합니다. 유전자 편집이 인류와 환경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분석하고, 이 기술의 사용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살펴봅니다. 활동 예시: 유전자 편집의 원리와 적용 사례(예: 유전병 치료, 작물 개량 등)를 조사합니다. 또한, 유전자 편집 기술이 인간의 생명 윤리에 미치는 영향(예: 디자이너 베이비 문제)을 논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윤리적 기준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2. 기후 변화와 생태계의 상호작용 탐구 내용: 기후 변화가 생태계와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기후 변화가 특정 생물 종의 서식지와 생태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지역의 기후 변화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지역의 생물 종(예: 식물, 동물)의 변화를 조사합니다. 기후 변화가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을 제안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전염병과 면역 시스템 탐구 내용: 전염병의 발생 원인과 면역 시스템의 작용을 탐구합니다. COVID-19와 같은 최근의 전염병 사례를 통해 전염병의 전파 경로와 면역 반응을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COVID-19의 전파 경로, 백신 개발 과정, 면역 시스템의 역할 등을 조사합니다. 또한, 전염병 예방을 위한 공공 보건 정책의 중요성과 그 효과를 평가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4. 생명 윤리와 의학적 결정 탐구 내용: 생명과학의 발전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를 탐구합니다. 특히, 생명 윤리가 의학적 결정(예: 장기 이식, 안락사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의학적 결정 사례를 조사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윤리적 딜레마를 논의합니다. 예를 들어, 안락사에 대한 찬반 의견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생명 윤리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주제는 매우 다양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와 적성에 맞는 주제를 선택하여 심도 있게 연구해 보세요. 이러한 탐구 과정은 생명과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 사회적 문제를 분석하는 데 필요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세부 능력 특기 사항(세특) 작성 시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생명과학의 탐구는 단순히 과학적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인류와 환경에 대한 책임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2024.10.31
-
기타[주제추천] 사회계열 희망 학생들을 위한 '여행지리' 세특 주제 추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리로톡을 보니 많은 학생들이 탐구 주제를 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더라구요..그래서 저처럼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별 세특 탐구 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사회계열이 아닌 학생들도 이용해도 좋아요! <사회계열 희망학생들을 위한 여행지리 세특 탐구주제 추천> 여행지리는 관광 산업의 발전과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다양한 공간적 요소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아래에서는 여행지리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추천합니다. 이 주제들은 특정 지역이나 관광지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1. 한국의 주요 관광지와 지역 경제 탐구 내용: 한국의 주요 관광지(예: 제주도, 경주, 서울 등)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관광 산업이 지역 사회와 경제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각 관광지의 관광객 수, 관광 수입, 일자리 창출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관광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또한,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제안서를 작성해 볼 수 있습니다. 2. 지속 가능한 관광의 필요성과 사례 연구 탐구 내용: 지속 가능한 관광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실천하는 사례를 연구합니다. 특히, 환경 보호와 지역 사회의 경제적 이익을 동시에 고려하는 방법을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지속 가능한 관광을 실천하는 국내외 사례(예: 에코 투어리즘, 커뮤니티 기반 관광 등)를 조사하여, 그 성공 요소와 한계를 분석합니다. 또한, 지역 사회의 참여를 통해 지속 가능한 관광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제안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관광과 문화유산의 관계 탐구 내용: 관광이 문화유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문화유산 보호와 관광 개발 간의 균형을 모색합니다. 특히, 문화유산이 관광 자원으로서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를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문화유산(예: 불국사, 창덕궁 등)을 조사하고, 그 관광 효과와 문화유산 보호의 필요성을 논의합니다. 문화유산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책 제안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4. 전통 시장과 관광의 상호작용 탐구 내용: 한국의 전통 시장이 관광 산업과 어떻게 연계되고 있는지를 연구합니다. 전통 시장이 관광객에게 제공하는 경험과 그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전통 시장(예: 광장시장, 남대문시장 등)을 방문하고, 관광객의 소비 패턴과 시장의 경제적 기여를 조사합니다. 또한, 전통 시장의 발전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5. 해양 관광과 환경 문제 탐구 내용: 해양 관광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해양 관광의 필요성을 탐구합니다. 해양 생태계 보호와 관광 산업 간의 균형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해양 관광지(예: 부산 해운대, 제주도 해변 등)의 환경적 문제를 조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제안합니다.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관광객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습니다. 6. 도시 관광과 사회적 변화 탐구 내용: 도시 관광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도시 관광의 발전이 사회적 구조와 문화에 미치는 변화를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대도시의 관광지(예: 서울 명동, 홍콩의 빅토리아 항 등)를 분석하고, 관광이 지역 주민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합니다. 또한, 도시 관광의 발전이 지역 사회의 문화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할 수 있습니다. 여행지리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주제는 매우 다양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와 적성에 맞는 주제를 선택하여 심도 있게 연구해 보세요. 이러한 탐구 과정은 여행지리의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실제 사회적 이슈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세부 능력 특기 사항(세특) 작성 시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여행지리의 탐구는 단순히 학문적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2024.10.31
-
기타[주제추천] 사회계열 희망 학생들을 위한 '경제수학' 세특 주제 추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리로톡을 보니 많은 학생들이 탐구 주제를 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더라구요..그래서 저처럼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별 세특 탐구 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사회계열이 아닌 학생들도 이용해도 좋아요! <사회계열 희망학생들을 위한 경제수학 세특 탐구주제 추천>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경제수학은 경제 현상과 사회적 문제를 수치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과목입니다. 경제수학은 경제 이론과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수학적 도구를 제공하며, 통계, 확률, 최적화 문제 등을 다룹니다. 아래에서는 경제수학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추천합니다. 이 주제들은 경제적 현상, 사회적 문제, 그리고 수학적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이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경제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 수요와 공급의 수학적 모델링 탐구 내용: 수요와 공급의 기본 개념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고, 시장 균형 가격을 찾는 과정을 분석합니다. 수요와 공급 곡선의 기울기, 교차점 등을 통해 시장의 변화에 따른 가격 변동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상품(예: 스마트폰)의 수요와 공급 데이터를 수집하여 그래프를 그립니다. 수요와 공급 곡선을 분석하고, 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자와 생산자의 행동 변화를 수학적으로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시장에서의 수급 불균형 문제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2. 경제 성장과 GDP의 수학적 분석 탐구 내용: 경제 성장률과 국내총생산(GDP) 간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분석합니다. 경제 성장 모델(예: 솔로우 성장 모델)을 통해 장기적인 경제 성장을 설명하고, 이를 실제 데이터와 비교합니다. 활동 예시: 한국과 다른 국가의 GDP 데이터를 수집하여 성장률을 계산하고, 이를 그래프로 나타냅니다. 또한, 경제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예: 인구 증가, 기술 발전 등)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성장률의 변화를 예측합니다. 3. 인플레이션과 물가 지수의 수학적 이해 탐구 내용: 인플레이션의 개념과 물가 지수를 수학적으로 분석합니다. 소비자 물가 지수(CPI)와 생산자 물가 지수(PPI)의 계산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의 영향력을 평가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시점의 물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CPI와 PPI를 계산하여 인플레이션율을 분석합니다. 인플레이션이 가계와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수학적으로 설명하고,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4. 최적화 문제와 자원 배분 탐구 내용: 자원의 최적 배분을 위한 수학적 모델링을 연구합니다. 선형 프로그래밍 기법을 통해 자원 배분 문제를 해결하고, 최적화의 원리를 이해합니다. 활동 예시: 농업 생산에서 여러 작물의 재배를 최적화하는 문제를 설정하고, 선형 프로그래밍을 사용하여 최적의 작물 배치와 수익을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전략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5. 금융 수학과 투자 분석 탐구 내용: 금융 수학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고, 투자 분석에 필요한 수학적 도구를 탐구합니다. 복리 계산, 할인율, 투자 수익률 등을 수학적으로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투자 상품(예: 주식, 채권)의 수익률을 계산하고, 복리 계산을 통해 장기적인 투자 효과를 분석합니다. 다양한 투자 전략을 비교하고, 위험과 수익 간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6. 확률과 통계의 경제적 적용 탐구 내용: 확률과 통계의 개념을 경제적 현상에 적용하여 분석합니다. 경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경제 지표(예: 실업률, 소비자 신뢰 지수)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해 확률적 모델을 구축합니다.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경향성과 변동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적 예측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7. 게임 이론과 경제적 상호작용 탐구 내용: 게임 이론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경제적 상호작용에서의 전략적 결정을 분석합니다. 협력과 비협력 게임의 사례를 통해 이론을 실제 경제 현상에 적용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산업에서의 기업 간 경쟁 상황을 게임 이론을 통해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두 기업이 가격을 결정하는 상황을 설정하고, 내쉬 균형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이를 통해 경제적 상호작용의 복잡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경제수학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주제는 매우 다양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와 적성에 맞는 주제를 선택하여 심도 있게 연구해 보세요. 이러한 탐구 과정은 경제 현상을 수치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세부 능력 특기 사항(세특) 작성 시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경제수학의 탐구는 단순히 수학적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경제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2024.10.31
-
기타[주제추천] 사회계열 희망 학생들을 위한 '문학' 세특 주제 추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리로톡을 보니 많은 학생들이 탐구 주제를 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더라구요..그래서 저처럼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별 세특 탐구 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사회계열이 아닌 학생들도 이용해도 좋아요! <사회계열 희망학생들을 위한 문학 세특 탐구주제 추천>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문학은 인간의 삶과 사회를 깊이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문학 작품은 시대의 사회적 맥락, 인간의 감정, 문화적 가치 등을 반영하며, 이를 통해 비판적 사고와 공감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문학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추천합니다. 이 주제들은 문학의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1. 한국 현대 문학과 사회 변화 탐구 내용: 한국 현대 문학 작품을 통해 사회 변화의 흐름을 분석합니다.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 한국 전쟁, 산업화, 민주화 과정에서 문학이 어떻게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고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김훈의 『칼의 노래』, 박완서의 『나의 사랑 나비』 등의 작품을 분석하고, 이들 작품이 반영하는 시대적 상황과 사회적 문제를 논의합니다. 또한, 작가의 생애와 그들이 속한 사회적 맥락을 연결하여 연구할 수 있습니다. 2. 여성 문학과 젠더 문제 탐구 내용: 한국 및 세계 문학에서 여성 작가들이 다룬 젠더 문제를 탐구합니다. 여성의 정체성과 사회적 역할, 성차별 문제 등을 문학 작품을 통해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한강의 『채식주의자』, 심보선의 시 등을 통해 여성의 목소리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합니다. 또한, 젠더 문제와 관련된 문학적 장치(예: 은유, 상징 등)를 연구하여 그 의미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3. 문학과 사회 비판 탐구 내용: 문학 작품이 사회적 부조리를 어떻게 비판하는지를 분석합니다. 특히, 사회적 불평등, 정치적 억압, 환경 문제 등을 주제로 삼은 작품들을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조지 오웰의 『1984』, 레이 브래드버리의 『화씨 451도』와 같은 디스토피아 작품을 분석하여,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사회적 메시지를 논의합니다. 이를 통해 문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4. 문학 속의 역사적 사건 탐구 내용: 특정 역사적 사건이 문학 작품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탐구합니다. 역사적 사건이 문학적 표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과 같은 작품을 통해 5·16 군사 정변이나 6월 민주항쟁을 다루는 방식을 분석합니다. 역사적 배경과 문학적 표현의 관계를 깊이 있게 탐구할 수 있습니다. 5.문학과 정체성 탐구 내용: 문학 작품을 통해 개인이나 집단의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표현되는지를 연구합니다. 특히, 민족 정체성, 문화 정체성, 성 정체성 등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활동 예시: 한강의 『소년이 온다』나 윤고은의 작품을 분석하여, 이들 작품이 어떻게 정체성을 탐구하고 표현하는지를 논의합니다. 또한, 특정 문화적 배경을 가진 작가가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문학적 요소로 변환하는지를 연구할 수 있습니다. 문학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주제는 매우 다양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와 적성에 맞는 주제를 선택하여 심도 있게 연구해 보세요. 이러한 탐구 과정은 비판적 사고를 기르고,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세부 능력 특기 사항(세특) 작성 시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문학의 탐구는 단순히 학문적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인간의 감정과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2024.10.31
-
기타[주제추천] 사회계열 희망 학생들을 위한 '동아시아사' 세특 주제 추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리로톡을 보니 많은 학생들이 탐구 주제를 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더라구요..그래서 저처럼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별 세특 탐구 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사회계열이 아닌 학생들도 이용해도 좋아요! <사회계열 희망학생들을 위한 동아시아사 세특 탐구주제 추천> 동아시아는 한국, 중국, 일본, 대만, 홍콩 등 다양한 문화와 역사가 얽혀 있는 지역으로, 이 지역의 역사적 사건과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현대 사회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아래에서는 동아시아사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추천합니다. 이 주제들은 동아시아의 역사적 사건, 문화적 변화, 사회적 현상 등을 다루고 있으며, 학생들이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 한국과 중국의 역사적 관계 탐구 내용: 한국과 중국의 역사적 관계를 탐구하고, 그로 인해 형성된 문화적, 정치적 교류의 변화를 분석합니다. 특히, 고대부터 현대까지의 관계를 살펴보며, 각 시대의 주요 사건과 그 영향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고대 삼국시대의 교류, 고려시대의 송나라와의 관계, 조선시대의 명나라와 청나라와의 관계 등을 비교 분석합니다. 또한, 현대 한중관계의 발전과 갈등 요소에 대해서도 조사하여, 역사적 배경을 통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2. 일본의 메이지 유신과 근대화 과정 탐구 내용: 일본의 메이지 유신이 일본 사회와 경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합니다. 메이지 유신을 통해 일본이 어떻게 근대 국가로 발전했는지를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메이지 유신의 주요 정책과 그로 인한 산업 발전, 교육 개혁, 군사력 강화 등을 조사합니다. 또한, 메이지 유신이 일본의 제국주의적 팽창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일본의 국제적 위치 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3. 동아시아의 전통과 현대 문화 비교 탐구 내용: 동아시아 국가들(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문화와 현대 문화의 변화를 비교 분석합니다. 각국의 전통 문화가 현대 사회에 어떻게 계승되고 변화하고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전통 예술(예: 한국의 판소리, 중국의 경극, 일본의 노)과 현대 문화(예: K-팝, 중국의 영화, 일본의 애니메이션)를 비교하여, 문화적 정체성과 변화 과정을 조사합니다. 이를 통해 문화의 현대화 과정에서의 전통의 의미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4. 동아시아의 식민지 경험과 그 영향 탐구 내용: 동아시아 각국(특히 한국, 대만, 일본)의 식민지 경험이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합니다. 식민지 시대의 역사적 사건과 그로 인한 사회적 변화에 대해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일본의 한국 식민지 통치와 대만의 일본 통치 비교, 그리고 그로 인한 문화적, 사회적 변화에 대한 사례를 조사합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식민지 경험이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역사적 기억과 그 의미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5. 중국의 경제 개혁과 사회 변화 탐구 내용: 1978년 이후 중국의 경제 개혁이 사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합니다. 경제 개혁이 어떻게 중국 사회의 구조를 변화시켰는지를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농업 개혁, 산업화, 도시화 과정에서의 사회적 변화(예: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 증가, 사회적 불평등 문제 등)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경제 성장의 이면에 있는 사회적 문제를 분석합니다. 또한, 현대 중국 사회의 주요 이슈(예: 환경 문제, 인권 문제 등)에 대한 논의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6. 동아시아 국제 관계의 변화 탐구 내용: 동아시아 지역의 국제 관계(한중일 관계, 북한 문제 등)를 탐구하고, 지역 협력과 갈등의 원인을 분석합니다. 동아시아 국가 간의 외교적 상호작용과 그 변화 과정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최근의 한중일 정상 회담, 북한의 핵 문제,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등을 조사하여, 국제 관계의 복잡성과 그 배경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지역의 미래 전망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7. 동아시아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대응 탐구 내용: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예: 황사, 대기오염, 수질오염)와 그에 대한 사회적 대응을 연구합니다. 각국의 환경 정책과 그 효과를 비교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각국의 환경 정책(예: 한국의 미세먼지 대책, 중국의 환경 보호 법안 등)을 조사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변화와 인식 변화를 분석합니다. 또한, 지역 사회의 환경 보호 활동이나 국제 협력 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사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주제는 매우 다양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와 적성에 맞는 주제를 선택하여 심도 있게 연구해 보세요. 이러한 탐구 과정은 비판적 사고를 기르고, 동아시아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세부 능력 특기 사항(세특) 작성 시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동아시아사의 탐구는 단순히 학문적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2024.10.31
-
기타[주제추천] 사회계열 희망 학생들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주제 추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리로톡을 보니 많은 학생들이 탐구 주제를 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더라구요..그래서 저처럼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별 세특 탐구 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사회계열이 아닌 학생들도 이용해도 좋아요! <사회계열 희망학생들을 위한 한국지리 세특 탐구주제 추천>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한국지리는 중요한 과목입니다. 한국의 지리적 특성과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은 사회과학을 공부하는 데 필수적인 기초가 됩니다. 아래에서는 한국지리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추천합니다. 이 주제들은 한국의 지리적 특징, 사회적 현상, 경제적 발전 등을 다루고 있으며, 학생들이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1.한국의 지역 발전 불균형 탐구 내용: 한국 내 지역 간 경제적, 사회적 불균형 문제를 조사합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발전 차이를 분석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예: 인구 이동, 산업 집중 등)을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각 지역의 인구, 경제 성장률, 산업 구조 등을 비교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발전의 불균형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또한,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서를 작성해 볼 수 있습니다. 2. 한국의 자연재해와 사회적 대응 탐구 내용: 한국에서 발생하는 자연재해(예: 태풍, 홍수, 지진 등)와 그에 대한 사회적 대응 방안을 연구합니다. 자연재해가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정부의 재난 관리 체계를 분석합니다. 활동 예시: 최근의 자연재해 사례를 조사하고, 피해 복구 과정과 정부의 대응 방법을 분석합니다. 또한, 지역 사회의 자원 봉사 활동이나 NGO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여, 자연재해에 대한 사회적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3. 한국의 농업 변화와 지속 가능성 탐구 내용: 한국의 농업 구조와 그 변화 과정을 탐구합니다. 특히, 전통 농업에서 현대 농업으로의 변화, 그리고 지속 가능한 농업 실천에 대한 논의를 포함합니다. 활동 예시: 농업 관련 통계 자료를 수집하고, 농업의 변화가 지역 경제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농업 방법(예: 유기농업, 스마트 농업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래의 농업 방향성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4. 도시화와 한국의 사회적 변화 탐구 내용: 한국의 급격한 도시화 과정과 그로 인한 사회적 변화를 분석합니다. 도시화가 개인의 삶, 사회 구조,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대도시와 지방 도시의 사회적 특징을 비교하고, 도시화가 가족 구조, 생활 방식, 문화적 변화에 미친 영향을 탐구합니다. 인터뷰나 설문조사를 통해 실제 도시민의 삶의 변화를 조사하여, 도시화의 긍정적 및 부정적 측면을 고찰합니다. 5.한국의 문화유산과 관광지 개발 탐구 내용: 한국의 문화유산과 그 보존 상태, 그리고 관광지 개발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문화유산이 지역 사회와 경제에 기여하는 방안을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지역의 문화유산(예: 전통 마을, 역사적 유적지 등)을 조사하고, 관광지 개발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로 인해 발생하는 경제적 효과와 사회적 문제를 논의합니다. 또한, 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정책이나 지역 사회의 노력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6. 한국의 기후 변화와 적응 전략 탐구 내용: 기후 변화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대응 전략을 연구합니다. 특히, 농업, 어업, 생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후 변화 적응 방안을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기후 변화에 따른 지역별 영향을 조사하고, 정부 및 지역 사회의 적응 전략을 분석합니다.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캠페인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7. 한국의 교통망과 경제적 발전 탐구 내용: 한국의 교통망 발달과 그로 인한 경제적 발전을 분석합니다. 교통 인프라가 지역 경제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주요 교통망(예: 고속도로, 철도, 공항 등)의 발전 역사와 그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분석합니다.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교통망 개선을 위한 정책 제안서를 작성해 볼 수 있습니다. 한국지리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주제는 매우 다양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와 적성에 맞는 주제를 선택하여 심도 있게 연구해 보세요. 이러한 탐구 과정은 비판적 사고를 기르고, 한국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세부 능력 특기 사항(세특) 작성 시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한국지리의 탐구는 단순히 학문적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초를 형성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2024.10.31
-
기타[주제추천] 사회계열 희망 학생들을 위한 '생활과 윤리' 세특 주제 추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리로톡을 보니 많은 학생들이 탐구 주제를 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더라구요..그래서 저처럼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별 세특 탐구 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사회계열이 아닌 학생들도 이용해도 좋아요! <사회계열 희망학생들을 위한 생활과 윤리 세특 탐구주제 추천> 생활과윤리는 개인의 윤리적 사고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과목으로, 현대 사회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아래에서는 생활과윤리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추천합니다. 1.환경 윤리와 지속 가능성 탐구 내용: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환경 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환경 보호를 위한 윤리적 접근 방식을 탐구합니다. 특히, 인간의 행동이 자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삶의 방식에 대해 논의할 수 있습니다. 활동 예시: 지역 사회의 환경 보호 활동이나 캠페인에 참여하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환경 윤리에 대한 자신만의 의견을 정리해보세요. 또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윤리적 접근 방식을 제안하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2. 디지털 윤리와 개인 정보 보호 탐구 내용: 정보화 사회에서 디지털 윤리는 매우 중요한 주제가 되었습니다. 개인의 정보 보호와 사이버 윤리에 대한 문제를 탐구하고, 디지털 환경에서의 윤리적 행동 기준에 대해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소셜 미디어에서의 개인 정보 보호 사례를 분석하고, 디지털 환경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예: 사이버 폭력, 허위 정보 유포 등)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안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친구들 사이에서의 정보 공유에 대한 의견을 조사해 볼 수도 있습니다. 3. 젠더와 윤리적 책임 탐구 내용: 성별에 따른 사회적 역할과 기대가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젠더 불평등 문제와 성소수자 인권에 대한 윤리적 관점을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젠더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신의 학교나 지역 사회에서 인식되고 있는 젠더 문제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젠더 평등을 위한 정책이나 행동 방안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젠더와 관련된 영화나 문헌을 분석하여 그 속에 담긴 윤리적 메시지를 탐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사회적 책임과 기업 윤리 탐구 내용: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윤리적 책임을 탐구합니다.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윤리적 경영의 중요성을 분석하고, 성공적인 기업 사례를 연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기업의 CSR 활동을 조사하고, 그것이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분석하는 보고서를 작성해보세요. 또한, 기업의 윤리적 경영이 소비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5. 생명 윤리와 의학적 결정 탐구 내용: 현대 의학에서의 생명 윤리 문제를 탐구합니다. 인공 수정, 유전자 편집, 안락사 등 다양한 생명 윤리적 이슈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논의를 살펴봅니다. 활동 예시: 생명 윤리와 관련된 특정 이슈(예: 안락사)에 대한 찬반 의견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신의 입장을 정리해보세요. 또한, 생명 윤리 문제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하여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기회를 만들어볼 수도 있습니다. 6. 인권과 사회 정의 탐구 내용: 인권 문제는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윤리적 이슈입니다. 인권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의 인권 문제(예: 난민, 성소수자 인권 등)를 탐구합니다. 활동 예시: 특정 인권 문제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인권의 중요성과 사회 정의를 위한 노력에 대해 논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권 관련 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제 사례를 조사하고, 그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생활과윤리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주제는 매우 다양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와 적성에 맞는 주제를 선택하여 심도 있게 연구해 보세요. 이러한 탐구 과정은 비판적 사고를 기르고,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세부 능력 특기 사항(세특) 작성 시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생활과윤리 과목의 탐구는 단순히 학문적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자신의 생각과 사회에 대한 인식을 넓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2024.10.31
-
기타[주제추천] 사회계열 희망 학생들을 위한 '사회문화' 세특 주제 추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리로톡을 보니 많은 학생들이 탐구 주제를 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더라구요..그래서 저처럼 사회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한 과목별 세특 탐구 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사회계열이 아닌 학생들도 이용해도 좋아요! <사회계열 희망학생들을 위한 사회문화과목 세특 탐구주제 추천> 사회문화 과목은 인간의 행동, 사회 구조, 문화 등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주제들은 학생들이 사회적 문제를 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아래에서는 사회문화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다양한 주제를 추천합니다. 1.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상 탐구 내용: 한국 사회에서의 다문화 현상을 조사하고, 그로 인한 사회적 변화와 도전 과제를 분석합니다. 특히, 외국인 이주자와 그들의 문화가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다문화 사회에서의 갈등과 화합의 사례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활동 예시: 다문화 가정의 사례를 인터뷰하거나, 관련된 통계 자료를 분석하여 다문화 사회의 긍정적 및 부정적 측면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다문화 정책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안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2. 소셜 미디어와 현대 사회의 변화 탐구 내용: 소셜 미디어가 개인의 사회적 관계와 문화적 소비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소셜 미디어가 정보의 전파 방식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활동 예시: 특정 소셜 미디어 플랫폼(예: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에서의 트렌드나 캠페인을 분석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현상(예: 사이버 폭력, 정보 과부하 등)에 대해 연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셜 미디어가 정치적 참여나 사회 운동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탐구할 수 있습니다. 3. 생태환경 문제와 사회적 인식 변화 탐구 내용: 환경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환경 보호를 위한 사회적 노력과 정책의 변화를 분석합니다. 기후 변화, 플라스틱 사용 문제 등 다양한 환경 이슈를 다룰 수 있습니다. 활동 예시: 환경 관련 캠페인이나 사회 운동(예: 프라이데이즈 포 퓨처)의 사례를 조사하고, 대중의 인식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합니다. 또한, 정책적 대응과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청소년 문화와 소비 트렌드 분석 탐구 내용: 현대 청소년의 문화적 소비 트렌드와 그 배경을 탐구합니다. 대중문화, 패션, 음악, 게임 등 다양한 요소가 청소년의 정체성과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활동 예시: 특정 청소년 문화(예: K-팝, 웹툰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청소년들의 가치관과 소비 패턴을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청소년 문화가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할 수 있습니다. 5. 젠더와 사회적 역할 탐구 내용: 젠더가 사회적 역할 및 기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합니다. 특히, 성별에 따른 고정관념과 그로 인한 사회적 불평등을 분석하며, 최근의 젠더 관련 이슈(예: 성평등, 성소수자 인권 등)를 다룰 수 있습니다. 활동 예시: 젠더 관련 설문조사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젠더 평등을 위한 방안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젠더 이슈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 방식을 분석하는 것도 흥미로운 주제가 될 것입니다. 6. 노인 인구와 사회적 대응 탐구 내용: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와 그에 대한 대응 방안을 탐구합니다. 노인 복지, 사회적 고립, 세대 간 갈등 등 다양한 측면을 다룰 수 있습니다. 활동 예시: 노인 복지 정책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안서를 작성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노인과 청소년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세대 간 이해를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도 좋은 접근입니다. 사회문화 과목에서 탐구할 수 있는 주제는 매우 다양합니다. 위에서 제안한 주제를 바탕으로 자신의 관심사와 적성에 맞는 주제를 선택하여 깊이 있게 연구해 보세요. 이러한 탐구 과정은 비판적 사고를 기르고,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세부 능력 특기 사항(세특) 작성 시에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사회문화 과목의 탐구는 단순히 학문적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 자신의 생각과 사회에 대한 인식을 넓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통계의 거짓말'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통계의 거짓말>책 "통계의 거짓말" 소개 "통계의 거짓말"은 미국의 통계학자 다리우스 시디스가 쓴 책으로, 통계가 어떻게 잘못 사용되거나 오해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저작입니다. 이 책은 통계가 사실을 왜곡하고 사람들의 인식을 조작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독자에게 통계적 사고의 중요성을 일깨우고자 합니다. 시디스는 통계가 단순한 숫자와 데이터의 집합이 아니라, 그것을 해석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면밀히 분석합니다. 책의 주요 내용은 통계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는 데 그치지 않고, 통계가 어떻게 다양한 분야에서 잘못 사용되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보여줍니다. 특히, 정치, 경제, 건강,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통계가 어떻게 왜곡되고, 그로 인해 잘못된 결론이 도출되는지를 설명하며, 독자에게 비판적 사고를 요구합니다. 이 과정에서 독자는 통계적 수치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그 이면에 숨겨진 맥락을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게 됩니다. 추천하는 이유 "통계의 거짓말"은 단순히 통계학의 기초를 배우는 데 그치지 않고, 통계가 사회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오용되는지를 심도 있게 탐구합니다. 이 책은 통계적 사고가 현대 사회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해주며, 독자가 통계적 수치를 보다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특히, 정보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통계적 사고는 필수적인 능력으로, 이 책은 그러한 능력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통계의 기본 개념과 활용 - 탐구 내용: 통계의 기초 개념(예: 평균, 중앙값, 표준편차 등)을 이해하고, 이러한 개념이 데이터 분석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연구합니다. 통계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정보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편향된 통계의 사례 분석 - 탐구 내용: 통계가 어떻게 편향되거나 왜곡될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특정 연구에서 샘플링 편향이나 질문의 형태가 결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그러한 사례를 실제 뉴스나 연구 결과에서 찾아봅니다. 예를 들어, 여론 조사에서 특정 집단이 과소대표되거나 과대표되는 경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3.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구분 - 탐구 내용: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잘못된 결론을 도출하는 사례를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실제로 인과관계를 의미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분석하고, 일상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독자는 통계적 수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4. 통계적 조작의 사회적 영향 - 탐구 내용: 통계가 정치, 경제, 건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떻게 조작되고 있는지를 연구합니다. 특히, 특정 목적을 위해 통계가 어떻게 왜곡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통계가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치적 선거에서의 여론조사 결과가 어떻게 해석되고 사용되는지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5. 비판적 사고와 정보 소비 - 탐구 내용: 현대 사회에서 정보 소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통계적 수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뉴스 기사나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그 속에 숨겨진 통계적 오류나 편향을 찾아내는 활동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비판적 사고가 개인의 의사결정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통계의 거짓말"은 통계의 복잡성과 그 사용의 문제점을 심도 있게 탐구하는 중요한 저작입니다. 다리우스 시디스는 독자에게 통계적 수치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그 이면에 숨겨진 의도와 맥락이 있음을 일깨워주며, 이를 통해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제안된 탐구 주제를 바탕으로 이 책을 읽고 연구하면, 통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통계적 사고는 현대 사회에서 정보의 소비와 의사결정에 있어 필수적인 도구이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비판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습니다. 이 책은 독자에게 통계의 세계를 깊이 이해하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하는 훌륭한 자료입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새빨간 거짓말, 통계'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새빨간 거짓말, 통계> 책 "새빨간 거짓말, 통계" 소개 "새빨간 거짓말, 통계"는 통계학의 중요성과 그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책으로, 저자인 다니엘 레비틴이 통계가 어떻게 잘못 사용되거나 오해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책은 현대 사회에서 통계가 얼마나 광범위하게 사용되는지를 보여주며, 통계가 결코 중립적이지 않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레비틴은 통계가 어떻게 특정한 목적을 위해 조작되거나 왜곡될 수 있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설명하며, 독자들로 하여금 비판적 사고를 갖도록 유도합니다. 저자는 통계의 기초 개념을 소개하며, 일상에서 우리가 접하는 수치들이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를 분석합니다. 또한, 통계적 데이터가 잘못된 결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인(예: 샘플링 편향,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혼동 등)을 설명합니다. 책은 통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독자가 수치를 보다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돕습니다. 추천하는 이유 "새빨간 거짓말, 통계"는 통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하며, 현대 사회에서 정보의 소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일깨워줍니다. 저자는 통계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그 이면에 숨겨진 의도와 맥락이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통계적 수치를 보다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되며, 이는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초가 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통계의 기초 개념과 중요성 - 탐구 내용: 통계의 기본 개념(예: 평균, 중앙값, 표준편차 등)을 이해하고, 이러한 개념이 데이터 분석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연구합니다. 통계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정보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편향과 왜곡된 통계의 사례 - 탐구 내용: 통계가 어떻게 편향되거나 왜곡될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연구에서 샘플링 편향이 발생했을 때 결과가 어떻게 왜곡되는지를 분석하고, 그러한 사례를 실제 뉴스나 연구 결과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3.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구분 - 탐구 내용: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잘못된 결론을 도출하는 사례를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실제로 인과관계를 의미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분석하고, 일상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4. 통계의 활용과 오용 - 탐구 내용: 통계가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연구합니다. 특히, 특정 목적을 위해 통계가 어떻게 조작되거나 왜곡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통계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5. 비판적 사고와 정보 소비 - 탐구 내용: 현대 사회에서 정보 소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통계적 수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뉴스 기사나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그 속에 숨겨진 통계적 오류나 편향을 찾아내는 활동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새빨간 거짓말, 통계"는 통계의 중요성과 그 사용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는 중요한 저작입니다. 다니엘 레비틴은 독자에게 통계적 수치가 단순한 정보가 아니라, 그 이면에 숨겨진 의도와 맥락이 있음을 일깨워줍니다. 제안된 탐구 주제를 바탕으로 이 책을 읽고 연구하면, 통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통계적 사고는 현대 사회에서 정보의 소비와 의사결정에 있어 필수적인 도구이며,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비판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습니다. 이 책은 독자에게 통계의 세계를 깊이 이해하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하는 훌륭한 자료입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책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소개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는 경제학자 찰스 휘트먼이 쓴 책으로, 역사 속의 주요 경제학자들의 이론과 아이디어를 현대 사회와 연결하여 설명합니다. 이 책은 경제학의 복잡한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독자에게 경제학이 우리 일상생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저자는 애덤 스미스, 카를 마르크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등 다양한 경제학자들의 사상을 소개하며, 그들이 남긴 유산이 오늘날의 경제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탐구합니다. 책은 각 경제학자의 기본 개념과 함께 그들의 생각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서술합니다. 또한, 현대 경제 문제와 연결하여 그들의 이론이 여전히 유효한지를 논의합니다. 휘트먼은 경제학이 단순히 숫자와 그래프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의 행동과 사회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도구임을 강조합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경제학이 단순한 학문이 아니라, 우리 삶의 여러 측면에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추천하는 이유 이 책은 경제학의 역사와 그 이론들이 현대 사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쉽게 풀어내어, 경제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또한, 각 경제학자의 아이디어를 통해 독자는 다양한 시각에서 경제적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 책은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독자뿐만 아니라, 이론을 깊이 있게 공부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도 유익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경제학의 역사적 발전 - 탐구 내용: 경제학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연구합니다. 애덤 스미스의 자유시장 경제 이론에서부터 현대의 행동 경제학까지, 각 시대의 주요 경제학자들이 제시한 아이디어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했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2. 자유시장과 정부 개입 - 탐구 내용: 자유시장 경제와 정부 개입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탐구합니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와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이론을 비교 분석하고, 현재 경제 정책에서 두 이론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3. 경제학과 인간 행동 - 탐구 내용: 경제학이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연구합니다. 행동 경제학의 발전과 그 이론이 실제 경제적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의 소비 패턴이나 투자 결정이 어떻게 심리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4. 글로벌 경제와 자본주의 - 탐구 내용: 자본주의가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자본주의의 발전이 세계 경제에 가져온 긍정적 및 부정적 결과를 분석하고, 오늘날의 경제적 불평등 문제와 그 원인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5. 지속 가능한 경제 모델 - 탐구 내용: 현대 사회에서 지속 가능한 경제 모델의 필요성을 연구합니다. 전통적인 경제학 이론이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 새로운 경제 모델(예: 순환 경제, 공유 경제 등)이 어떻게 발전할 수 있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는 경제학의 역사와 그 이론이 현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중요한 책입니다. 찰스 휘트먼은 복잡한 경제학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며, 독자에게 경제학이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줍니다. 제안된 탐구 주제를 바탕으로 이 책을 읽고 연구하면, 경제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경제학은 단순히 이론적인 학문이 아니라, 실제로 우리 사회와 개인의 삶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중요한 분야임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이 책은 경제학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현대 경제 문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2024.10.31
-
기타[주제추천]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현재 저는 ‘공간경제의 이해’라는 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데요.공부하면서 교수님께서 추천해주신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를 보게 되었습니다. 이 영상을 보니 탐구활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주제 아이디어가 굉장히 많더라고요!그래서 이번 스토리노트에는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와 연결된 탐구 주제에 대해 추천해드리겠습니다~!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소개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는 현대 사회의 경제 시스템인 자본주의의 본질과 그 작동 방식을 심도 있게 탐구하는 다큐멘터리 시리즈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자본주의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그리고 그것이 개인의 삶과 사회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양한 사례와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분석합니다. 다큐멘터리는 자본주의의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불평등, 환경 문제, 그리고 사회적 갈등 등 부정적인 측면도 함께 조명합니다. 프로그램은 자본주의의 역사적 배경을 소개하며, 산업혁명, 금융위기, 글로벌화 등의 주요 사건들을 통해 자본주의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설명합니다. 또한, 다양한 전문가의 인터뷰와 실제 사례를 통해 자본주의가 현대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합니다. 이 과정에서 자본주의가 개인의 삶과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탐구하며, 시청자에게 경제 시스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추천하는 이유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는 단순히 경제적 개념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본주의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자본주의를 바라보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시청자에게 자본주의의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을 고민하게 만드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자본주의의 역사와 발전 과정 - 탐구 내용: 자본주의가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해왔는지를 연구합니다. 특히, 산업혁명, 제국주의, 금융위기 등의 역사적 사건이 자본주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본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을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 2. 자본주의와 사회적 불평등 - 탐구 내용: 자본주의가 개인과 사회 간의 불평등을 어떻게 재생산하는지를 탐구합니다. 자본주의 체제에서 빈부 격차가 확대되는 원인과 그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3. 소비문화와 자본주의 - 탐구 내용: 자본주의가 소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소비주의가 개인의 가치관과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현대 사회에서의 소비 형태와 그 문제점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4. 환경 문제와 자본주의 -탐구 내용: 자본주의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자본주의적 생산 방식이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안적 접근 방식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5. 대안적 경제 모델 - 탐구 내용: 자본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경제 모델(예: 공유 경제, 사회적 기업 등)을 탐구합니다. 이러한 모델이 자본주의 체제에서 어떻게 작동하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경제적 접근 방식의 필요성을 논의할 수 있습니다.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는 현대 사회의 경제 시스템인 자본주의를 다각도로 탐구하는 중요한 프로그램입니다. 이 다큐멘터리는 자본주의의 역사적 배경과 현재의 문제점을 심도 있게 분석하며, 시청자에게 자본주의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합니다. 추천하는 주제를 바탕으로 탐구 활동을 진행하면, 자본주의의 복잡성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단순히 경제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자본주의와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만드는 기회를 제공합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도시의 승리'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도시의 승리>책 "도시의 승리" 소개 "도시의 승리"는 도시와 경제, 사회적 변화의 관계를 심도 있게 탐구하는 책으로, 저자인 에드워드 글레저가 도시가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설명합니다. 글레저는 도시가 인류 발전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며, 사람들이 모여 사는 것이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책은 도시가 경제적 성공과 사회적 발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다양한 사례와 데이터를 통해 분석합니다. 저자는 도시가 인구 밀집, 다양성, 그리고 경제적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이 상호작용하고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창의성과 혁신을 불러일으키고, 이는 결국 경제적 성장으로 이어진다고 강조합니다. 글레저는 도시가 직면한 문제들(예: 빈곤, 불평등, 환경 문제)도 다루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의 재생과 혁신을 제시합니다. "도시의 승리"는 도시가 단순한 거주 공간이 아니라, 인간의 창의성과 사회적 발전을 위한 중요한 플랫폼임을 강조하며, 독자에게 도시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도시화와 경제 성장: 도시화가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도시가 경제적 기회를 제공하고, 기업과 창업가가 모여 혁신을 이루는 과정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시화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비교하고, 이를 통해 도시 발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2. 사회적 다양성과 창의성: 도시 내 다양한 인구 구성(인종, 문화, 직업 등)이 창의성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협력할 때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와, 이러한 다양성이 도시의 경제적 성공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다양성이 창조적 환경을 어떻게 조성하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3. 도시 문제와 지속 가능성: 도시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예: 주거 불균형, 환경 오염, 교통 혼잡 등)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방안을 모색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시티 개념이나 친환경 정책이 도시 문제 해결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연구할 수 있습니다. 4. 도시 재생과 혁신: 쇠퇴한 도시 지역의 재생 과정과 그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효과를 탐구합니다. 도시 재생 프로젝트(예: 낙후 지역 개발, 문화재 활용 등)가 어떻게 지역 사회를 활성화하고,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성공적인 도시 재생 사례를 조사하는 것도 좋습니다. 5. 도시와 기술의 관계: 현대 도시에서 기술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연구합니다.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이 도시의 운영과 관리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탐구하고, 이러한 기술들이 도시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어떻게 향상시키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술 발전이 도시 생활에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한 주제가 될 것입니다. "도시의 승리"는 도시가 현대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책으로, 저자는 도시가 창의성과 경제적 발전의 중심지임을 강조합니다. 이 책은 도시화가 가져오는 다양한 기회와 도전 과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제안된 주제를 바탕으로 이 책을 탐구하면, 독자는 도시의 복잡한 구조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현상을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도시의 승리"는 도시가 단순한 거주 공간이 아니라, 인간의 창의성과 사회적 발전을 위한 중요한 플랫폼임을 재확인하게 만드는 작품으로, 도시의 미래를 고민하고 탐구하는 데 있어 많은 영감을 줄 것입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착한 소비는 없다'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착한 소비는 없다>책 "착한 소비는 없다" 소개 "착한 소비는 없다"는 소비와 윤리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지는 책으로, 저자이자 사회학자인 마르크 리오네가 현대 소비사회에서 진정한 '착한 소비'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탐구합니다. 이 책은 소비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복잡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임을 강조합니다. 리오네는 소비가 개인의 도덕적 판단과 상관없이 구조적이고 시스템적인 문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지적하며, 소비자가 '착한 소비'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은 환상이라는 주장을 펼칩니다. 책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소비가 어떻게 환경 파괴, 인권 침해, 그리고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지를 분석합니다. 저자는 독자에게 소비의 배경과 결과를 깊이 이해하도록 유도하며, 소비자가 선택하는 제품이 어떻게 생산되고 유통되는지를 투명하게 바라볼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착한 소비'라는 개념이 어떻게 마케팅과 소비주의에 의해 왜곡되고 있는지를 설명하며, 진정한 변화는 소비자가 아닌 시스템의 변화에서 비롯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소비의 윤리적 측면: 소비가 개인의 윤리적 판단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윤리적 요소(환경, 인권, 동물 복지 등)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착한 소비'의 개념이 어떻게 소비자에게 도덕적 책임을 부여하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2. 소비와 환경 문제: 소비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특히, 대량 생산과 소비가 어떻게 환경 파괴와 자원 고갈을 초래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소비 방식(예: 지속 가능한 소비, 제로 웨이스트 등)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소비와 환경 문제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소비주의와 자본주의: 현대 사회에서 소비주의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탐구합니다. 자본주의 시스템 내에서 소비가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적 지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분석하고, 소비가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방식에 대해 논의할 수 있습니다. 소비주의가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도 좋습니다. 4. 대안적 소비 모델: '착한 소비'의 한계를 넘어, 대안적 소비 모델(예: 협동조합, 지역 생산자와의 직접 거래 등)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를 연구합니다. 이러한 모델이 소비자와 생산자 간의 관계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5. 소비자의 역할과 책임: 소비자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연구합니다. 소비자가 '착한 소비'라는 환상을 벗어나, 보다 구조적이고 시스템적인 변화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소비자 행동이 어떻게 기업의 생산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도 흥미로운 주제가 될 것입니다. "착한 소비는 없다"는 소비 사회의 복잡성과 소비가 가지는 윤리적, 사회적 맥락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중요한 책입니다. 저자는 소비가 단순한 개인의 선택이 아니라, 사회적 구조와 밀접하게 연결된 행위임을 강조하며, 소비자가 의식적으로 선택하더라도 그 선택이 언제나 '착한' 결과를 초래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합니다. 제안된 주제를 바탕으로 이 책을 탐구하면, 독자는 소비의 복잡한 맥락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착한 소비는 없다"는 단순히 소비를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소비의 본질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하는 작품으로, 현대 소비 사회에서의 책임 있는 행동을 고민하게 만드는 기회를 제공합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선량한 차별주의자'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선량한 차별주의자>책 "선량한 차별주의자" 소개 "선량한 차별주의자"는 한국의 사회학자 김지혜가 쓴 책으로, 일상에서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차별과 편견의 구조를 탐구합니다. 저자는 우리가 자칭 '선량한' 사람이라면 차별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우리의 사고 방식과 행동이 어떻게 차별적일 수 있는지를 논의합니다. 이 책은 특히 인종, 성별, 계층, 지역 등 다양한 사회적 정체성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차별의 양상을 분석합니다. 김지혜는 차별이 단순히 악의적인 의도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구조와 문화 속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저자는 차별이 일상적인 언어 습관, 사회적 규범, 그리고 개인의 사고 방식에 어떻게 스며들어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합니다. 또한,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차별하는 방식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이 책은 독자에게 차별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도록 돕고, 자신의 무의식적인 편견을 성찰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저자는 차별을 단순히 '나쁜 행동'으로 치부하지 않고, 그것이 어떻게 사회 전반에 걸쳐 구조적으로 작용하는지를 탐구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무의식적 편견의 기원: 무의식적인 편견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탐구합니다. 사회적 맥락, 문화적 배경, 그리고 개인의 경험이 우리의 사고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이러한 편견이 우리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의 사회적 경험이 성인으로 성장했을 때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차별의 사회적 구조: 차별이 개인의 행동뿐만 아니라 사회적 구조와 제도에 어떻게 뿌리내리고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교육, 직장,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별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 방안을 논의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구조적 차별이 어떻게 지속되는지를 사례를 통해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언어와 차별: 언어가 차별을 perpetuate하는 방식에 대해 연구합니다. 특정 단어 선택, 표현 방식, 그리고 일상적인 대화에서의 차별적 언어 사용이 어떻게 무의식적인 편견을 강화하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언어 사용의 중요성과 언어적 변화가 차별 해소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는 것도 좋은 주제가 될 것입니다. 4. 차별과 사회적 불평등: 차별이 사회적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인종, 성별, 계층 간의 불평등이 어떻게 차별적 태도에서 비롯되는지를 연구하고, 이러한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별 임금 격차나 인종적 불평등 문제를 다루는 것이 좋습니다. 5. 차별 극복을 위한 개인적 실천: 개인이 차별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실천을 할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무의식적인 편견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론이나 연습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소통이 개인의 편견을 어떻게 줄일 수 있는지를 논의하는 것도 유익할 것입니다. "선량한 차별주의자"는 우리가 생각하는 '선량함'과 차별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는 중요한 책입니다. 김지혜는 차별이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임을 강조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제안된 주제를 바탕으로 이 책을 탐구하면, 독자는 차별의 본질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게 되고, 사회적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은 차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개인의 역할을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선량한 차별주의자"는 단순히 차별을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가 어떻게 더 나은 세상을 만들 수 있을지를 고민하게 만드는 작품입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포노 사피엔스'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포노 사피엔스>책 "포노 사피엔스" 소개 "포노 사피엔스"는 이탈리아의 심리학자이자 교육학자인 마르코 아카디아니가 쓴 책으로, 디지털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의 삶과 사고 방식을 탐구합니다. 저자는 '포노 사피엔스'라는 용어를 통해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이 인간의 인지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이 책은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가 우리의 사고 방식, 감정, 관계, 그리고 전반적인 삶의 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아카디아니는 디지털 기기가 우리의 인지 능력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사회적 관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를 탐구합니다. 그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어떻게 성장하고 변화하는지를 분석하며, 이러한 변화가 교육, 직업, 그리고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논의합니다. 또한, 저자는 현대 사회에서의 정보 과부하와 그로 인한 스트레스, 그리고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다루며,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사고 방식과 접근 방법을 제시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디지털 기기의 영향: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기기가 우리의 인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특히, 주의 집중력, 기억력, 그리고 문제 해결 능력과 같은 인지적 측면에서 디지털 기기의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도한 정보 소비가 어떻게 인지적 과부하를 초래하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2. 디지털 네이티브의 정체성: 디지털 환경에서 성장한 세대인 디지털 네이티브가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지를 연구합니다. 온라인 활동, 소셜 미디어, 게임 등이 개인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요소가 자아 개념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3.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 디지털 기술이 사회적 관계와 상호작용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증가가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특히 대면 관계와의 차별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시대의 외로움과 고립감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습니다. 4. 정보 과부하와 정신 건강: 디지털 시대의 정보 과부하가 개인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 등의 문제를 탐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나 전략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디톡스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것도 좋습니다. 5. 교육의 변화와 미래: 디지털 기술이 교육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이 디지털 환경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온라인 학습, 혼합 학습, 게임 기반 학습 등이 학생들의 학습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래 교육의 방향성과 필요한 기술적, 인지적 역량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습니다. "포노 사피엔스"는 디지털 시대에 우리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책입니다. 저자는 디지털 기기가 우리의 삶의 모든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현대인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조명합니다. 제안된 주제를 바탕으로 이 책을 탐구하면, 우리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이해를 얻고, 현대 사회에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포노 사피엔스"는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우리가 어떻게 디지털 혁명 속에서 진화하고 있는지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저작입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사고방식과 접근법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팩트풀니스'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팩트풀니스> 책 "팩트풀니스" 소개 "팩트풀니스"는 스웨덴의 의사이자 통계학자인 한스 로슬링이 쓴 책으로,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이 세상을 어떻게 오해하고 있는지를 분석합니다. 저자는 통계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류의 발전과 사회적 변화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고, 우리가 실제로 세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책은 사람들의 고정관념과 편견을 깨고, 보다 정확한 정보에 기반한 사고를 촉진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로슬링은 다양한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인류가 지난 200년 동안 어떤 방식으로 발전해왔는지를 보여줍니다. 그는 빈곤, 교육, 건강, 성 평등, 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가 가진 부정적인 인식이 사실과 얼마나 동떨어져 있는지를 구체적인 데이터로 설명합니다. 또한, 이러한 오해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사고방식을 가져야 하는지를 제시합니다. "팩트풀니스"는 독자에게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정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데이터와 통계의 중요성: 데이터와 통계가 현대 사회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탐구합니다. 로슬링이 제시하는 다양한 통계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확한 정보의 중요성을 논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가 잘못 해석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도 다룰 수 있습니다. 2. 인류 발전의 역사적 맥락: 인류가 지난 200년 동안 어떤 방식으로 발전해왔는지를 연구합니다. 건강, 교육적 성장 등의 지표를 통해 인류의 발전 양상을 분석하고, 이러한 발전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과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3. 사람들의 고정관념과 편견: 사람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데 있어 가지는 고정관념과 편견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연구합니다. 로슬링이 제시한 10가지 편견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특정 주제에 대해 왜곡된 시각을 가지게 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4. 정보의 소비 방식 변화: 현대 사회에서 정보 소비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소셜 미디어, 뉴스, 블로그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정보가 어떻게 전달되고 소비되는지를 분석하고, 이는 사람들이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보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5.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 활용: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와 통계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합니다. 빈곤, 교육 불평등,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도 좋은 주제가 될 것입니다.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이 어떻게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탐구할 수 있습니다. "팩트풀니스"는 현대 사회의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고, 보다 정확한 정보에 기반한 사고를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책입니다. 저자는 통계와 데이터를 통해 인류의 발전을 설명하고,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재고하도록 유도합니다. 제안된 주제를 바탕으로 이 책을 탐구하면, 우리는 보다 넓은 시각에서 사회를 이해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팩트풀니스"는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독자에게 세상과 그 안에서의 인간의 위치에 대한 깊은 성찰을 촉구하는 작품으로, 현대 사회에서의 정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만드는 기회를 제공합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교육의 미래'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공부의 미래>책 "공부의 미래" 소개 "공부의 미래"는 교육 혁신가이자 저자인 켄 로빈슨이 쓴 책으로,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공부와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저자는 전통적인 교육 시스템이 학생들의 창의성과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책은 기술 발전, 글로벌화, 그리고 사회적 변화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탐구하며, 학생들이 미래 사회에서 필요한 능력과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방안을 모색합니다. 로빈슨은 특히 학생 중심의 교육, 창의성의 중요성, 그리고 협력적 학습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는 교육이 단순히 지식 전달이 아니라, 학생들이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공간이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교육의 목적이 단순한 직업 준비가 아니라,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성공을 위한 준비임을 강조합니다. 이 책은 독자에게 교육의 본질과 미래 방향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전통 교육 시스템의 한계: 전통적인 교육 방식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탐구합니다. 특히, 암기 위주의 교육이 창의성,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등을 어떻게 저해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교육 시스템의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도 좋은 주제가 될 것입니다. 2. 창의성의 중요성: 로빈슨이 강조하는 창의성이 교육에서 왜 중요한지를 연구합니다. 창의성이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창의성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 방안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나 문제 중심 학습이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탐구하는 것도 흥미로운 주제가 될 것입니다. 3. 기술과 교육의 융합: 현대 기술이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온라인 학습,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의 기술이 어떻게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변화시키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기술들이 교육의 미래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를 논의하는 것도 좋습니다. 4. 협력적 학습의 필요성: 현대 사회에서 협력과 소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협력적 학습의 필요성을 탐구합니다. 팀 프로젝트나 그룹 활동이 학생의 사회적 기술과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협력적 학습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5.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능력: 미래 사회에서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능력에 대해 탐구합니다. 비판적 사고, 창의성, 협력 능력, 그리고 감정 지능 등 다양한 능력이 어떻게 사회적 성공에 기여하는지를 분석하고, 이러한 능력을 교육 과정에서 어떻게 배양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는 것도 중요한 주제가 될 것입니다. "공부의 미래"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책입니다. 저자는 교육의 본질을 재조명하고, 학생들이 미래에 필요한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합니다. 제안된 주제를 바탕으로 교육의 미래를 탐구하면, 우리는 더욱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교육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은 단순히 교육의 문제를 지적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래 지향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어, 교육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많은 영감을 줄 것입니다. "공부의 미래"는 교육의 혁신과 학생의 잠재력 발휘를 위한 새로운 길을 제시하는 중요한 저작으로, 우리의 사고를 확장하고 교육의 방향성을 재고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교사와 학생 사이'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교사와 학생 사이> 책 "교사와 학생 사이" 소개 "교사와 학생 사이"는 교육학자이자 저자인 피에르 부르디외의 저서로,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 교육 시스템, 그리고 사회적 맥락에서의 교육의 의미를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이 책은 교육이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과 권력 관계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지는 복잡한 과정임을 강조합니다. 저자는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그 관계가 교육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분석합니다. 부르디외는 교육이 사회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한편, 동시에 개인의 성장과 발전의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합니다. 그는 교사의 역할이 단순한 정보 전달자가 아니라, 학생의 사고 방식과 가치관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합니다. 이 책은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교육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의 중요성: 교사와 학생 간의 신뢰와 존중의 관계가 교육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이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며, 긍정적인 관계가 학생의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좋은 교사-학생 관계가 어떻게 학생의 전인적 성장에 기여하는지 조사할 수 있습니다. 2. 교육 시스템 내 권력 구조: 교육 시스템에서의 권력 관계와 그로 인한 불평등 문제를 연구합니다. 교사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그리고 학생이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교육 환경에서의 권력 역학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교육이 사회적 불평등을 어떻게 재생산하는지를 논의할 수 있습니다. 3. 문화적 자본과 교육: 부르디외의 '문화적 자본' 개념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가진 문화적 자본이 교육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학생들이 어떤 배경을 가지고 있는지가 교실 내에서의 상호작용과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사가 이 문화적 자본을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는 것도 흥미로운 주제가 될 것입니다. 4. 교육의 정의와 목적: 교육이 가지는 본질적 의미와 그 목적에 대해 탐구합니다. 교육이 지식 전달을 넘어 개인의 인격 형성과 사회적 책임을 어떻게 강조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 이를 통해 현대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교육이 사회적 변화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도 좋습니다. 5. 교사의 역할 변화: 현대 교육 환경에서 교사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연구합니다. 정보화 사회와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교사의 역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사가 학생의 학습을 지원하는 방식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변화가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교사와 학생 사이"는 교육의 복잡성,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 그리고 사회적 맥락에서의 교육의 의미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중요한 책입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교육이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과 권력 관계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지는 복잡한 과정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제안된 주제를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와 교육의 본질을 탐구하면,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 더 나은 교육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교사와 학생 사이"는 우리에게 교육의 의미와 그 과정에서의 관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드는 기회를 제공합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평균의 종말'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평균의 종말> 책 "평균의 종말" 소개 "평균의 종말"은 통계학자와 데이터 분석가인 헨리 아론슨이 쓴 책으로, 현대 사회에서 '평균'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오해되고 남용되는지를 탐구합니다. 저자는 평균이란 단순히 수치적 계산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맥락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합니다. 이 책은 평균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인간 행동, 의사결정, 그리고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분석합니다. 아론슨은 평균을 단순한 수치로 환원하는 것이 어떻게 인간의 복잡한 경험과 다양성을 간과하게 만드는지를 설명합니다. 그는 평균이 개인의 고유성을 무시하고, 집단의 특성을 왜곡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러한 왜곡은 교육, 의료,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저자는 독자에게 평균의 함정을 피하고, 보다 정확하고 의미 있는 데이터를 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평균의 정의와 그 한계: 평균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평균이 가지는 한계에 대해 탐구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평균(산술 평균, 중앙값, 최빈값 등)의 정의와 사용 사례를 비교하고, 각각의 평균이 어떻게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평균이 단순한 수치적 개념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평균의 사회적 영향: 평균이 사회적 결정(예: 교육 정책, 건강 관리, 경제 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평균을 기준으로 한 정책이 어떻게 개인과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부작용이나 문제점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육에서의 평균 성적 기준이 학생 개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볼 수 있습니다. 3. 데이터 해석의 중요성: 현대 사회에서 데이터를 해석하는 데 있어 평균이 가지는 역할과 그 함정에 대해 논의합니다. 데이터 분석에서 평균이 어떻게 오해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보다 정확한 데이터 해석을 위해 필요한 기준이나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시각화 기법을 통해 평균 이외의 다양한 통계적 정보를 시청각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것도 좋습니다. 4. 평균과 개별성: 평균이 개인의 고유성을 어떻게 무시하는지를 탐구합니다. 평균에 의존한 평가 방식이 개인의 다양성과 특성을 어떻게 간과하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재 선발에서 평균적인 기준이 아닌 개별적 특성을 중시하는 접근법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5. 평균의 대안-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평균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데이터 분석 방법을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머신러닝, 데이터 마이닝, 예측 분석 등 최신 기술을 통해 보다 정교하고 개인화된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평균의 한계를 넘어서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평균의 종말"은 평균이라는 개념을 재조명하고, 현대 사회에서 그 의미와 한계를 탐구하는 중요한 책입니다. 평균이 개인의 경험과 다양성을 어떻게 왜곡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보다 나은 의사결정과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제안된 주제를 바탕으로 평균의 복잡성을 탐구하면, 데이터와 통계의 중요성을 깊이 이해하고,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평균의 종말은 단순한 수치적 개념을 넘어, 우리가 어떻게 데이터를 이해하고 활용하는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만드는 기회를 제공합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몰입의 즐거움'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몰입의 즐거움> 책 "몰입의 즐거움" 소개 "몰입의 즐거움"은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가 쓴 책으로, 몰입(Flow)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인간의 경험과 행복을 탐구합니다. 저자는 우리가 어떤 활동에 몰두할 때 느끼는 깊은 만족감과 즐거움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설명하며, 몰입 경험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합니다. 이 책은 몰입의 상태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개인의 성취와 행복을 어떻게 극대화할 수 있는지를 다룹니다. 몰입은 우리가 도전적인 작업에 집중하고, 그 과정에서 시간의 흐름을 잊게 만드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저자는 몰입 상태에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개인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합니다. 또한, 몰입의 경험이 직업적 성공뿐만 아니라 개인적 성장과 행복에도 얼마나 중요한지를 설명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몰입의 정의와 요소: 몰입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는 무엇인지 탐구합니다. 몰입을 경험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명확한 목표, 즉각적인 피드백, 도전과 기술의 균형 등)을 분석하고, 실제 사례와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몰입과 생산성: 몰입이 개인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몰입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의 효율성과 창의성 향상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통해 직장이나 학업에서 성공을 거두는 방법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를 통해 몰입이 성공적인 결과로 이어진 경험을 조사하는 것도 흥미롭습니다. 3. 몰입과 개인의 행복: 몰입 경험이 개인의 행복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몰입을 통해 얻는 즐거움과 성취감이 어떻게 정신적 웰빙을 증진시키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개인의 삶의 질이 어떻게 향상될 수 있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4. 몰입의 장애물: 몰입 상태에 진입하기 위한 장애물과 이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합니다. 외부 환경의 방해, 자기 의심, 스트레스 등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장애물에 대한 이해는 몰입 경험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 몰입 경험의 적용: 다양한 분야(예: 예술, 스포츠, 교육 등)에서 몰입 경험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각 분야에서 몰입을 통해 성취한 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몰입이 어떻게 개인의 성장 및 성과에 기여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몰입을 촉진하기 위한 방법이나 프로그램을 연구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몰입의 즐거움"은 몰입의 개념을 통해 개인의 성장과 행복을 탐구하는 중요한 책입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몰입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떻게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제안된 주제를 바탕으로 몰입 경험을 탐구하면, 개인의 삶에서 몰입의 중요성을 깨닫고, 이를 통해 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몰입의 경험은 단순히 즐거운 순간을 넘어,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언어의 줄다리기'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언어의 줄다리기>책 "언어의 줄다리기" 소개 "언어의 줄다리기"는 언어와 커뮤니케이션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는 책으로, 언어가 인간의 사고와 문화,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다룹니다. 저자는 언어가 단순한 의사소통 도구에 그치지 않고, 개인의 정체성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합니다. 또한, 언어의 사용이 권력 관계, 사회적 갈등, 그리고 문화적 차이를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설명합니다. 이 책은 언어가 우리의 생각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언어를 통해 우리가 어떻게 세상을 인식하고 이해하는지를 보여줍니다. 저자는 언어의 변화와 발전,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줄다리기'라는 비유로 설명하며, 언어적 소통이 어떻게 상호작용의 미묘한 균형을 이루는지를 탐구합니다. 탐구할 수 있는 주제 5가지 1. 언어와 정체성의 관계: 언어가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특히,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사회적 관계를 맺어가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중 언어 사용자가 두 가지 언어에서 각각 다른 정체성을 가지는 이유를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언어와 권력의 상관관계: 언어가 권력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특정 언어가 사회에서 어떻게 우위를 점하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불평등에 대해 논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식 언어와 방언 간의 갈등이나, 특정 언어 사용이 권력을 어떻게 강화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흥미로운 주제가 될 것입니다. 3. 언어의 변화와 사회적 변화: 언어가 사회 변화에 반응하여 어떻게 발전하는지를 탐구합니다. 사회적 이슈(예: 젠더, 인종, 환경 문제 등)가 언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고, 새로운 용어나 표현이 어떻게 생겨나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4. 언어와 문화의 상호작용: 언어가 문화적 가치와 관습을 어떻게 반영하고 형성하는지를 탐구합니다. 특정 문화에서 사용하는 언어적 표현이나 관용구가 그 문화의 가치관을 어떻게 드러내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존댓말 사용이 한국 사회의 위계질서를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5. 디지털 시대의 언어 변화: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매체와 소셜 미디어가 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이러한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언어적 표현, 약어, 이모티콘 등이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언어 사용이 세대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도 흥미로운 주제가 될 것입니다. "언어의 줄다리기"는 언어와 사회, 문화, 개인의 관계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책으로, 독자에게 다양한 관점을 제공합니다. 이 책을 통해 언어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언어가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제안된 주제를 바탕으로 더 깊이 있는 탐구를 진행하면, 언어의 힘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탐구는 결국 우리가 사는 세상을 더 잘 이해하고, 서로의 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2024.10.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존엄하게 산다는 것' 세특 활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읽어본 책을 가지고 세특에 어떻게 녹일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존엄하게 산다는 것> 책 "존엄하게 산다는 것"의 내용 "존엄하게 산다는 것"은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탐구하는 책으로, 우리가 어떻게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는지를 고민하게 만듭니다. 저자는 인간의 존엄성을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하며, 사회적, 윤리적, 개인적 측면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지켜나갈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이 책은 특히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 존재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며, 개인의 삶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지를 제시합니다. 저자는 존엄한 삶이란 단순히 생존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타인에게 책임을 지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으며 살아가는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또한, 인간의 존엄성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더욱 빛을 발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책은 독자에게 인간의 존재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하며,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를 제공합니다. 세특 활용 방법 "존엄하게 산다는 것"의 내용을 바탕으로 세특(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다음은 그 활용 방법 몇 가지입니다. 1. 인문학적 소양 강화: 책의 주제를 바탕으로 인간의 존엄성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한 탐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빈곤, 차별, 인권 문제 등과 관련하여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발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토론 및 발표: 독서 후 토론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존엄한 삶을 위한 실천 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우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자기 성찰 일지 작성: 책을 읽고 느낀 점이나 자신의 삶에서 존엄성을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자기 성찰 일지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신의 가치관을 정립하고, 인생의 목표를 설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4. 봉사 활동 연계: 존엄한 삶의 실현을 위해 지역 사회에서 봉사 활동을 계획하고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타인의 존엄성을 존중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5. 진로 탐색: 책의 내용을 통해 인권, 윤리, 사회복지 등과 관련된 진로를 탐색하고, 관련 분야의 전문가와의 인터뷰나 현장 체험을 통해 실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관련 학과 1. 인문학: 철학, 사회학, 문학 등 다양한 인문학적 분야에서 인간의 존재와 존엄성에 대한 깊은 탐구가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학문은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며,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 사회복지학: 인간의 존엄성을 보호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사회복지학을 통해 실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배우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3. 법학: 인권과 관련된 법률을 연구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 제도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는 학문입니다. 법학을 통해 사회 정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습니다. 4. 심리학: 인간의 행동과 마음을 이해하고, 개인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상담 및 치료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심리학은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타인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 교육학: 존엄한 삶을 위한 교육 방법과 이론을 연구하고, 학생들에게 인간 존엄성을 존중하는 가치관을 심어주는 데 중점을 두는 분야입니다. 교육학을 통해 미래 세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자가 될 수 있습니다. "존엄하게 산다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인간 존재의 의미를 깊이 있게 탐구하는 중요한 책입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고민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특 활동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책의 내용을 실천하고, 관련 학과를 통해 더 깊이 있는 공부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존엄한 삶을 추구하는 과정은 개인의 성장을 촉진하고,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여정이 될 것입니다.2024.10.31
-
정시 준비[입시정보] 정시전형의 기초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입시 전형에는 수시와 정시가 있습니다.이번 시간에는 정시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대학 입시 정시 전형 안내 대학 입시는 고등학생들에게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다양한 전형 중에서도 정시 전형은 많은 학생들에게 가장 익숙하고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능 성적을 기반으로 대학에 지원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시 전형의 개념, 특징, 준비 방법, 그리고 유의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정시 전형의 개념 정시 전형은 매년 실시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성적을 바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입니다. 수능은 한국의 고등학교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하며, 학생들은 이 시험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대학 및 전공에 지원하게 됩니다. 정시 전형은 일반적으로 12월에 수능이 실시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해 1월에 대학에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2. 정시 전형의 특징 정시 전형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단순한 평가 기준: 정시 전형은 수능 성적만으로 학생을 선발하므로, 평가 기준이 명확합니다. 이는 수험생들에게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며, 성적에 따라 합격 여부가 결정됩니다. - 전국 단위 경쟁: 정시 전형은 전국의 모든 수험생이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합니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정시와 수시의 차별성: 수시 전형에서는 학생부 성적, 자기소개서, 면접 등의 다양한 요소가 평가됩니다. 반면, 정시 전형은 수능 성적이 전부이기 때문에, 수능 준비에 집중하는 학생들에게 유리할 수 있습니다. 3. 정시 전형 준비 방법 정시 전형을 효과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략이 필요합니다. - 수능 준비: 정시 전형의 핵심은 수능 성적입니다. 따라서, 철저한 수능 준비가 필요합니다. 과목별 학습 계획을 세우고, 기출문제와 모의고사를 활용하여 실력을 점검해야 합니다. 특히, 자신의 약점을 파악하고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효율적인 시간 관리: 수능 준비 기간 동안 시간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공부할 과목과 시간을 균형 있게 배분하여, 모든 과목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성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모의고사 활용: 정기적인 모의고사를 통해 자신의 실력을 점검하고, 시험에 대한 긴장감을 줄이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모의고사는 실제 수능과 유사한 환경에서 진행되므로, 실전 감각을 익히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4. 유의사항 정시 전형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이 있습니다. - 대학별 수능 반영 비율 확인: 각 대학마다 수능 성적을 반영하는 비율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일부 대학은 특정 과목의 성적을 더 중요하게 평가하기도 하므로, 지원할 대학의 입학 요강을 사전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시 전형과 수시 전형의 균형: 정시 전형에만 집중하다 보면 수시 전형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시 전형과 정시 전형을 동시에 고려하여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수능 준비는 많은 학생들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필요할 경우 주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친구나 가족과의 대화, 취미 활동 등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5. 정시 전형의 장단점 정시 전형의 장점 중 하나는 명확한 평가 기준입니다. 수능 성적이 합격 여부를 결정하므로, 학생들은 자신의 성적에 따라 직접적인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수능 준비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 반면, 단점으로는 수능 성적이 모든 것을 결정짓기 때문에, 수능에서의 실수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능 성적이 낮을 경우 원하는 대학에 진학하지 못할 위험이 존재합니다. 정시 전형은 학생들이 자신의 실력을 바탕으로 대학에 지원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철저한 준비와 계획을 통해 원하는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수능 준비는 물론, 정신적 안정과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시 전형을 통해 여러분의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2024.10.31
-
수시 준비[입시정보] 수시전형의 기초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대학 입시 전형에는 수시와 정시가 있는데요수시 전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학 입시 수시 전형 안내 대학 입시는 대부분의 고등학생에게 중요한 전환점입니다. 그중에서도 수시 전형은 학생들이 자신의 강점을 부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시 전형의 개념, 특징, 준비 방법, 그리고 유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수시 전형의 개념 수시 전형은 학생들이 고등학교 3학년 동안 준비한 학업 성적과 다양한 활동을 바탕으로 대학에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이 전형은 보통 1년에 여러 차례 실시되며, 학생들은 원하는 대학에 여러 번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시 전형은 주로 학생부 성적, 자기소개서, 추천서, 면접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선발합니다. 2. 수시 전형의 특징 수시 전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다양한 평가 요소: 수시 전형에서는 단순히 수능 성적만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학생부 성적, 교내외 활동, 자기소개서, 면접 등 다양한 요소가 반영됩니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만의 개성과 경험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 다중 지원 가능: 수시 전형은 여러 대학에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대학에 지원하여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조기 선발: 수시 전형에서는 빠르게 합격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학생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주고, 수능 준비에 대한 부담을 덜어줍니다. 3. 수시 전형 준비 방법 수시 전형을 효과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 학생부 관리: 학생부는 수시 전형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 중 하나입니다.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학업 성적, 교내 활동, 봉사 활동 등의 기록을 잘 관리해야 합니다. 특히, 자신이 관심 있는 전공과 관련된 과목에서 좋은 성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면접 준비: 많은 대학에서 수시 전형의 일환으로 면접을 실시합니다. 면접 준비는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친구나 가족과의 모의 면접을 통해 실전 감각을 익히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유의사항 수시 전형을 준비하면서 주의해야 할 몇 가지 사항이 있습니다. - 전형별 지원 전략: 각 대학의 수시 전형은 요구하는 조건이나 평가 기준이 다릅니다.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전형 정보를 충분히 조사하고, 자신에게 맞는 전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 정시 전형과의 균형: 수시 전형에만 집중하다 보면 정시 전형 준비를 소홀히 할 수 있습니다. 수시 전형 준비와 함께 정시 전형에 대한 준비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입시는 많은 학생들에게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주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친구나 가족과의 대화를 통해 마음의 짐을 덜어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수시 전형은 학생들이 자신의 강점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철저한 준비와 계획을 통해 원하는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자신만의 이야기를 잘 담아내고, 꾸준히 노력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수시 전형을 통해 여러분의 꿈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2024.10.31
-
학과 탐색[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소방방재학과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소방방재학과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에는 문과와 이과가 동시에 존재하는 ‘도시과학대학’이 있습니다!도시과학대학은 흔하게 있지 않는 단과대학이라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는 화재 예방, 재난 관리, 구조 및 구급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이 학과는 도시와 사회의 안전을 확보하고, 재난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과 지식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오늘날의 복잡한 사회에서는 다양한 재난과 위협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소방방재학과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 있습니다. -학과의 목표와 비전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에게 소방 및 재난 관리에 관한 기초 이론과 실무 기술을 교육하여, 창의적이며 실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또한, 안전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 개발 및 실행 능력을 배양하여,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교육 과정 소방방재학과의 교육 과정은 기초 과목부터 고급 과목까지 폭넓은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소방학, 화재 안전 공학, 재난 관리 시스템, 구조 및 구급 기술, 위험 관리 등이 있으며, 학생들은 이러한 과목을 통해 소방 및 재난 관리의 다양한 측면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학과는 실습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실제 재난 상황을 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훈련과 실습을 제공합니다. 소방 장비 사용법, 구조 훈련, 현장 실습 등을 통해 학생들은 이론과 실제를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연구 분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의 연구 분야는 매우 다양합니다. 화재 발생 및 전파 모델링, 재난 대응 시스템 개발, 위험 평가 및 관리, 구조물 안전성 분석 등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교수진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며, 학생들도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제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학과는 국내외 여러 연구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로벌한 시각에서 소방 및 재난 관리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연구 동향을 접할 수 있습니다. -진로 및 취업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졸업생들은 공공기관, 소방서, 재난 관리 기관, 건설 회사, 안전 관련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소방관, 재난 관리 전문가, 안전 관리자, 구조 전문가 등의 직무를 수행하며, 특히 재난 예방 및 대응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또한 대학원 진학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국내외 유수의 대학원에서 소방 방재학, 안전 관리, 재난 과학 등의 분야로 진학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커리큘럼의 특징 소방방재학과의 커리큘럼은 이론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경험을 중시합니다. 다양한 사례 연구, 현장 탐방, 그리고 전문가 초청 강연 등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재난 관리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팀 프로젝트와 발표를 통해 협업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생 활동 및 커뮤니티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에서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커뮤니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소방 동아리, 세미나, 워크숍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학생들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재난 관리에 대한 열정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이 현실적인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는 현대 사회의 재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학과의 교육과 연구는 학생들에게 소방 및 재난 관리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소방 및 재난 관리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이 학과는 그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재난 예방과 대응을 위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2024.10.31
-
학과 탐색[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공간정보공학과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공간정보공학과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에는 문과와 이과가 동시에 존재하는 ‘도시과학대학’이 있습니다!도시과학대학은 흔하게 있지 않는 단과대학이라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서울시립대 공간정보공학과는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간 정보를 활용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공간정보는 지리적 데이터를 수집, 분석, 관리 및 활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는 도시 계획, 환경 관리, 교통 시스템, 재난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학과는 공간정보 시스템(GIS), 원격 탐사, 지리정보 분석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학생들에게 공간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학과의 목표와 비전 서울시립대 공간정보공학과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에게 공간정보의 기초 이론과 최신 기술을 교육하여,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과 환경 보호를 위한 공간정보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교육 과정 공간정보공학과의 교육 과정은 기초 과목부터 고급 과목까지 폭넓은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공간정보 시스템(GIS), 원격 탐사, 지리정보 분석, 공간 데이터베이스, 위치 기반 서비스 등이 있으며, 학생들은 이러한 과목을 통해 공간정보의 다양한 측면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학과는 실습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이론을 적용하고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실습실, 현장 조사, 인턴십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창의력을 발휘하고, 팀워크 및 프로젝트 관리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연구 분야 서울시립대 공간정보공학과의 연구 분야는 매우 다양합니다. GIS 기술 개발, 공간 데이터 분석, 스마트 시티 구축, 환경 모니터링, 재난 관리 시스템 등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교수진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며, 학생들도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학과는 국내외 여러 연구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로벌한 시각에서 공간정보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연구 동향을 접할 수 있습니다. -진로 및 취업 서울시립대 공간정보공학과 졸업생들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IT 기업, GIS 전문 기업, 환경 관련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공간정보 시스템 개발, 데이터 분석, 도시 및 지역 계획, 재난 관리 등의 직무를 수행하며, 특히 스마트 시티 및 공간 데이터 활용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또한 대학원 진학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국내외 유수의 대학원에서 공간정보학, 도시 계획, 환경 공학 등의 분야로 진학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커리큘럼의 특징 공간정보공학과의 커리큘럼은 이론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경험을 중시합니다. 다양한 사례 연구, 현장 탐방, 그리고 전문가 초청 강연 등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공간정보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팀 프로젝트와 발표를 통해 협업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생 활동 및 커뮤니티 서울시립대 공간정보공학과에서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커뮤니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간정보 동아리, 세미나, 워크숍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학생들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공간정보 분야에 대한 열정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이 현실적인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서울시립대 공간정보공학과는 현대 사회의 공간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학과의 교육과 연구는 학생들에게 공간정보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공간정보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이 학과는 그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공간정보 솔루션을 제시하는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2024.10.31
-
학과 탐색[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환경공학부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환경공학부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에는 문과와 이과가 동시에 존재하는 ‘도시과학대학’이 있습니다!도시과학대학은 흔하게 있지 않는 단과대학이라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는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환경 보호를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문 분야로, 현대 사회가 직면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제공합니다. 이 학부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고 개선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실무를 교육하며, 학생들이 환경 공학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학부의 목표와 비전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에게 환경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환경 관리 및 정책 개발을 통해 사회와 자연 환경의 조화를 이루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환경 공학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교육 과정 환경공학부의 교육 과정은 기초 과목부터 고급 과목까지 폭넓은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환경 화학, 수처리 공학, 대기 오염 제어, 폐기물 관리, 생태 공학 등이 있으며, 학생들은 이러한 과목을 통해 환경 공학의 다양한 측면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학부는 실습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실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실험실 실습, 현장 조사, 인턴십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생들은 이론과 실제를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연구 분야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의 연구 분야는 매우 다양합니다. 물리화학적 수처리 기술, 대기 환경 개선, 생태 복원,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 기후 변화 대응 기술 등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교수진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며, 학생들도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학부는 국내외 여러 연구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로벌한 시각에서 환경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연구 동향을 접할 수 있습니다. -진로 및 취업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환경 관련 기업, 연구소, 비영리 단체 등에서 환경 정책 개발, 환경 관리, 기술 연구 및 개발 등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 및 수질 관리, 폐기물 처리 및 자원 재활용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발휘하며, 지속 가능한 환경 솔루션을 제안하는 전문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또한 대학원 진학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국내외 유수의 대학원에서 환경공학, 생태학, 도시 환경 관리 등의 분야로 진학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커리큘럼의 특징 환경공학부의 커리큘럼은 이론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경험을 중시합니다. 다양한 사례 연구, 현장 탐방, 그리고 전문가 초청 강연 등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환경 문제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팀 프로젝트와 발표를 통해 협업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생 활동 및 커뮤니티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에서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커뮤니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환경 동아리, 세미나, 워크숍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학생들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열정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이 현실적인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는 현대 사회의 환경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학부의 교육과 연구는 학생들에게 환경 공학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이 학부는 그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환경 기술과 솔루션을 제시하는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2024.10.31
-
학과 탐색[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조경학과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조경학과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에는 문과와 이과가 동시에 존재하는 ‘도시과학대학’이 있습니다!도시과학대학은 흔하게 있지 않는 단과대학이라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서울시립대 조경학과는 자연환경과 도시환경을 조화롭게 설계하고 관리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이 학과는 조경 설계, 생태계 관리, 도시녹지 및 경관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연구와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조경학과는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하고 아름다운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학과의 목표와 비전 서울시립대 조경학과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에게 조경의 기초 이론과 실무 기술을 교육하여,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조경 설계와 생태계 보존을 강조하여, 환경 보호와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조경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교육 과정 조경학과의 교육 과정은 기초 과목부터 고급 과목까지 폭넓은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조경 설계, 식물학, 생태학, 환경 계획, 경관 관리 등이 있으며, 학생들은 이러한 과목을 통해 조경의 다양한 측면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학과는 실습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실제 조경 프로젝트를 통해 이론을 적용하고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설계 스튜디오, 현장 실습, 인턴십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창의력을 발휘하고, 팀워크 및 프로젝트 관리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연구 분야 서울시립대 조경학과의 연구 분야는 매우 다양합니다. 지속 가능한 조경 설계, 도시 생태계 복원, 공원 및 녹지 공간 설계, 기후 변화 대응 조경, 식물 생리학 및 생태학 등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교수진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며, 학생들도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학과는 국내외 여러 연구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로벌한 시각에서 조경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연구 동향을 접할 수 있습니다. -진로 및 취업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졸업생들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조경 설계사무소, 건설회사, 환경 관련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조경 설계, 도시 녹지 관리, 환경 정책 개발, 생태계 복원 등의 직무를 수행하며, 특히 지속 가능한 조경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또한 대학원 진학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국내외 유수의 대학원에서 조경학, 환경 디자인, 도시 계획 등의 분야로 진학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커리큘럼의 특징 조경학과의 커리큘럼은 이론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경험을 중시합니다. 다양한 사례 연구, 현장 탐방, 그리고 전문가 초청 강연 등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조경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팀 프로젝트와 발표를 통해 협업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생 활동 및 커뮤니티 서울시립대 조경학과에서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커뮤니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조경 동아리, 세미나, 워크숍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학생들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조경 분야에 대한 열정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이 현실적인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서울시립대 조경학과는 자연환경과 도시환경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학과의 교육과 연구는 학생들에게 조경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지속 가능한 환경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이 학과는 그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아름답고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2024.10.31
-
학과 탐색[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교통공학과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교통공학과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에는 문과와 이과가 동시에 존재하는 ‘도시과학대학’이 있습니다!도시과학대학은 흔하게 있지 않는 단과대학이라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는 교통 시스템의 설계, 운영, 관리 및 정책 개발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교육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교통은 경제, 환경, 사회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교통공학과는 이러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학과는 교통 흐름, 교통 안전, 대중교통 시스템, 물류 및 교통 정책 등을 다루며, 지속 가능한 교통 솔루션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학과의 목표와 비전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에게 교통 시스템의 이론과 실제를 종합적으로 가르쳐, 효과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것입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 개발을 통해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교통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교육 과정 교통공학과의 교육 과정은 기초 과목부터 고급 과목까지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이론과 실무를 다룹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교통 시스템 분석, 교통 흐름 이론, 대중교통 계획, 교통 안전 공학, 물류 관리 등이 있으며, 학생들은 이러한 과목을 통해 교통 분야의 다양한 측면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학과는 실습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실제 교통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현장 실습, 인턴십 프로그램, 연구 프로젝트 등을 통해 학생들은 이론과 실제를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연구 분야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의 연구 분야는 매우 다양합니다. 교통 흐름 및 모델링, 교통 안전 및 사고 분석, 대중교통 시스템 설계, 스마트 교통 시스템, 지속 가능한 교통 정책 등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교수진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며, 학생들도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학과는 국내외 여러 연구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로벌한 시각에서 교통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연구 동향을 접할 수 있습니다. -진로 및 취업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 졸업생들은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건설회사, 교통 관련 기업, 연구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교통 정책 개발, 대중교통 계획, 교통 안전 분석, 물류 관리 등의 직무를 수행하며, 특히 대중교통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문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또한 대학원 진학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국내외 유수의 대학원에서 교통공학, 도시 계획, 환경 공학 등의 분야로 진학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커리큘럼의 특징 교통공학과의 커리큘럼은 이론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경험을 중시합니다. 다양한 사례 연구, 현장 탐방, 그리고 전문가 초청 강연 등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교통 시스템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팀 프로젝트와 발표를 통해 협업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생 활동 및 커뮤니티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에서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커뮤니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교통 동아리, 학술 세미나, 워크숍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학생들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교통 문제에 대한 열정을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이 현실적인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서울시립대 교통공학과는 현대 사회의 교통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학과의 교육과 연구는 학생들에게 교통공학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이 학과는 그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미래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2024.10.31
-
학과 탐색[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건축학부 (건축공학)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건축학부 (건축공학)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에는 문과와 이과가 동시에 존재하는 ‘도시과학대학’이 있습니다!도시과학대학은 흔하게 있지 않는 단과대학이라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서울시립대 건축공학과는 현대 건축의 설계, 구조, 환경, 시공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건축의 이론과 실무를 종합적으로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이 학과는 기술적 접근과 창의적 문제 해결을 통해 지속 가능한 건축 환경을 조성하고,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학과의 목표와 비전 서울시립대 건축공학과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에게 건축공학의 기초 이론과 최신 기술을 가르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건축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입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건축과 친환경 설계를 강조하여, 건축 분야에서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교육 과정 건축공학과의 교육 과정은 기초 과목부터 고급 과목까지 폭넓은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건축 구조, 재료 공학, 환경 공학, 시공 관리, 설계 방법론 등이 있으며, 학생들은 이러한 과목을 통해 건축의 다양한 측면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학과는 실습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실제 건축 프로젝트를 통해 이론을 적용하고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설계 스튜디오, 현장 실습, 인턴십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창의력을 발휘하고, 팀워크 및 프로젝트 관리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연구 분야 서울시립대 건축공학과의 연구 분야는 매우 다양합니다. 건축 구조 및 재료, 지속 가능한 건축, 스마트 빌딩, 도시 재생, 건축 시공 및 관리 등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교수진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며, 학생들도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제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학과는 국내외 여러 연구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로벌한 시각에서 건축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연구 동향을 접할 수 있습니다. -진로 및 취업 서울시립대 건축공학과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건축사사무소, 건설회사, 공공기관, 도시 개발 회사, 환경 관련 기업 등에서 건축 설계, 구조 분석, 시공 관리, 도시 계획, 환경 정책 등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건축 구조 및 시공 관리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건축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또한 대학원 진학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국내외 유수의 대학원에서 건축공학, 환경공학, 도시 계획 등의 분야로 진학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커리큘럼의 특징 건축공학과의 커리큘럼은 이론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경험을 중시합니다. 다양한 사례 연구, 현장 탐방, 그리고 전문가 초청 강연 등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건축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팀 프로젝트와 발표를 통해 협업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생 활동 및 커뮤니티 서울시립대 건축공학과에서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커뮤니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건축 동아리, 스터디 그룹, 세미나 및 워크숍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학생들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건축에 대한 열정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이 현실적인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서울시립대 건축공학과는 건축의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학과의 교육과 연구는 학생들에게 건축공학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현대 건축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이 학과는 그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건축 솔루션을 제시하는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2024.10.31
-
학과 탐색[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건축학부 (건축학)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건축학부 (건축학)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에는 문과와 이과가 동시에 존재하는 ‘도시과학대학’이 있습니다!도시과학대학은 흔하게 있지 않는 단과대학이라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서울시립대 건축학과는 현대 건축의 이론과 실무를 종합적으로 배울 수 있는 학문적 공간으로, 도시와 환경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건축 설계를 목표로 합니다. 이 학과는 건축의 기초 이론부터 시작해, 건축 설계, 구조, 재료, 환경,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건축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학과의 목표와 비전 서울시립대 건축학과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에게 건축 설계의 이론과 기술을 가르치고, 이를 통해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입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건축과 환경 친화적인 설계를 강조하여, 사회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건축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교육 과정 건축학과의 교육 과정은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다양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건축 이론, 설계 방법론, 건축 역사, 구조 공학, 재료 공학, 환경 공학 등의 과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건축의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학과는 실습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실제 건축 프로젝트를 통해 이론을 적용하고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설계 스튜디오, 현장 실습, 인턴십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창의력을 발휘하고, 팀워크와 프로젝트 관리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연구 분야 서울시립대 건축학과의 연구 분야는 매우 다양합니다. 지속 가능한 건축, 스마트 빌딩, 도시 재생, 환경 설계, 건축 구조 및 형식 등 여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교수진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며, 학생들도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학과는 국내외 여러 연구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로벌한 시각에서 건축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연구 동향을 접할 수 있습니다. -진로 및 취업 서울시립대 건축학과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건축사사무소, 건설회사, 공공기관, 도시 개발 회사, 환경 관련 기업 등에서 건축 설계, 프로젝트 관리, 도시 계획, 환경 정책 등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건축 설계 및 현장 관리, 도시 재생 프로젝트, 지속 가능한 설계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또한 대학원 진학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국내외 유수의 대학원에서 건축학, 도시 계획, 환경 디자인 등의 분야로 진학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커리큘럼의 특징 건축학과의 커리큘럼은 이론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경험을 중시합니다. 다양한 사례 연구, 현장 탐방, 그리고 전문가 초청 강연 등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건축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팀 프로젝트와 발표를 통해 협업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생 활동 및 커뮤니티 서울시립대 건축학과에서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커뮤니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건축 동아리, 스터디 그룹, 세미나 및 워크숍 등이 마련되어 있어, 학생들이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건축에 대한 열정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활동은 학생들이 현실적인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서울시립대 건축학과는 건축의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학과의 교육과 연구는 학생들에게 건축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현대 건축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이 학과는 그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건축 설계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2024.10.31
-
학과 탐색[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도시공학과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도시공학과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에는 문과와 이과가 동시에 존재하는 ‘도시과학대학’이 있습니다!도시과학대학은 흔하게 있지 않는 단과대학이라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는 현대 도시의 발전과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도시공학은 도시의 설계, 계획, 운영 및 관리를 포함하여, 도시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이 학과는 도시 인프라, 교통 시스템, 환경 문제, 주거 및 지역 개발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학생들이 종합적이고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학과의 목표와 비전 도시공학과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에게 도시 환경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사회적, 경제적 접근 방법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정책과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사회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도시의 다양한 문제를 분석하고,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전문가로 성장하게 됩니다. 2. 교육 과정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의 교육 과정은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폭넓은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도시 공학 이론, 도시 계획 및 설계, 교통 공학, 환경 공학, GIS(지리정보시스템) 등의 과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론적 지식과 함께 실무적인 기술을 함께 배울 수 있습니다. 특히, 이 학과는 실습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실제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현장 실습, 인턴십 프로그램, 연구 프로젝트 등을 통해 학생들은 이론과 실제를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3. 연구 분야 도시공학과의 연구 분야는 매우 다양합니다. 도시 인프라, 교통 시스템, 환경 문제, 에너지 효율성, 스마트 시티 개발 등 여러 주제를 다룰 수 있습니다. 교수진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며, 학생들도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학과는 국내외 여러 연구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로벌한 시각에서 도시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연구 동향을 접할 수 있습니다. 4. 진로 및 취업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건설회사, 환경 관련 기업, 연구소 등에서 도시 계획, 교통 관리, 환경 정책, 인프라 개발 등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 인프라 및 교통 시스템의 설계와 운영, 환경 문제 해결 등의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졸업생들은 또한 대학원 진학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국내외 유수의 대학원에서 도시공학, 환경공학, 교통공학 등의 분야로 진학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5. 커리큘럼의 특징 도시공학과의 커리큘럼은 이론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경험을 중시합니다. 다양한 사례 연구, 현장 탐방, 그리고 전문가 초청 강연 등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도시 공학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팀 프로젝트와 발표를 통해 협업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는 도시의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학과의 교육과 연구는 학생들에게 도시 공학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현대 도시 사회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이 학과는 그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도시의 지속 가능성과 발전을 위해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는 앞으로도 많은 사회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2024.10.31
-
학과 탐색[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도시행정학과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도시행정학과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에는 문과와 이과가 동시에 존재하는 ‘도시과학대학’이 있습니다!도시과학대학은 흔하게 있지 않는 단과대학이라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는 현대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이 학과는 도시의 행정과 정책, 도시 계획 및 개발, 그리고 주민 참여와 커뮤니티 관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도시의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1.학과의 목표와 비전 도시행정학과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에게 도시 관리와 정책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실무 능력을 함양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변화하는 도시 환경 속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됩니다. 학과는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 사회적 형평성, 그리고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는 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2.교육 과정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의 교육 과정은 도시 행정의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는 다양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행정학 이론, 도시 정책 분석, 도시 계획 및 개발, 지역 사회 개발 등의 과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도시 행정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학과는 실무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여, 학생들이 실제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현장 실습, 인턴십 기회, 그리고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이론과 실제를 연결할 수 있는 경험을 쌓게 됩니다. 3.연구 분야 도시행정학과의 연구 분야는 매우 폭넓습니다. 도시 정책, 도시 계획, 주민 참여, 공공 서비스 관리, 환경 정책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교수진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며, 학생들도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학과는 국내외 여러 연구 기관 및 대학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글로벌한 시각에서 도시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연구 동향을 접할 수 있습니다. 4.진로 및 취업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비영리 단체, 연구소, 민간 기업 등에서 도시 정책 개발, 도시 계획, 사회 복지, 환경 관리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 행정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및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맡는 경우가 많습니다. 졸업생들은 또한 대학원 진학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국내외 유수의 대학원에서 행정학, 도시 계획, 사회학 등의 분야로 진학하고 있으며, 이들은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5. 커리큘럼의 특징 도시행정학과의 커리큘럼은 이론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경험을 중시합니다. 다양한 사례 연구, 현장 탐방, 그리고 전문가 초청 강연 등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도시 행정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팀 프로젝트와 발표를 통해 협업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서울시립대 도시행정학과는 도시의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학과의 교육과 연구는 학생들에게 도시 행정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현대 도시 사회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가운데, 이 학과는 그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2024.10.31
-
학과 탐색[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 도시사회학과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알아보기-도시사회학과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에는 문과와 이과가 동시에 존재하는 ‘도시과학대학’이 있습니다!도시과학대학은 흔하게 있지 않는 단과대학이라서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는 도시와 사회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현대 도시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학과는 도시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측면을 포괄적으로 다루며, 도시화, 인구 이동, 사회적 불평등, 환경 문제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합니다. 학과의 목표와 비전 도시사회학과의 주된 목표는 학생들에게 도시 사회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실무 경험을 강조하며,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와 현장 실습을 통해 학생들이 실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도록 돕습니다. 2. 교육 과정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의 교육 과정은 사회학 이론과 도시 연구 방법론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본적인 사회학 이론을 배우는 과목부터 시작하여, 도시 문제를 다루는 심화 과목까지 다양하게 제공됩니다. 주요 과목으로는 도시화, 공간 사회학, 사회적 불평등, 도시 정책 분석 등이 있으며, 학생들은 이 과목들을 통해 도시 사회의 여러 측면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학과는 다양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과 연구 기회를 제공합니다. 학생들은 팀을 이루어 실제 도시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론과 실무의 연결고리를 강화합니다. 3. 연구 분야 도시사회학과의 연구 분야는 매우 다양합니다. 도시화의 진행 과정, 인구 이동 및 이주 문제, 주거와 생활 환경, 사회적 불평등, 지역 사회의 변화 등이 주요 연구 주제로 다루어집니다. 교수진은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학생들도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학과는 국내외 여러 연구 기관 및 대학과 협력하여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시각에서 도시 문제를 바라보고, 국제적인 연구 동향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집니다. 4. 진로 및 취업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를 졸업한 학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비영리 단체, 연구소, 민간 기업 등에서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개발, 연구, 컨설팅 등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계획, 사회복지, 환경 정책, 도시 정책 분석 등의 분야에서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졸업생들은 또한 대학원 진학을 통해 더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거나 전문성을 갖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많은 졸업생들이 국내외 유수의 대학원에서 사회학, 도시계획, 환경학 등의 분야로 진학하고 있습니다.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는 도시와 사회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 학과의 교육과 연구는 학생들에게 도시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도시 사회학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현대 사회에서, 이 학과는 그 중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리로스쿨 학과소개 카드뉴스에도 도시사회학과에 대한 소개가 있으니 참고하셔도 좋습니다~!2024.10.31
-
면접 준비수능과 수능 후 면접 준비, 병행 할 수 있을까??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 리로톡이나 개인 질문으로 #수능 준비와 수능 후 면접 준비를 같이 하기 힘들어요ㅠㅠ이런 질문들이 많이 올라오는데요 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수능 준비와 수능 후 면접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명심할 것>***면접 보단 수능 준비가 우선이다*** 하지만 면접이 수능 후 바로라면 미리미리 준비하기!!! -1주일에 한 번씩 공부가 너무 하기 싫을 때나 쉬는시간에만 면접을 준비하기 -수능 공부시간을 최대한 많이 확보한 후, 쉬는 시간의 용도로 면접 준비하기 1. 수능 준비가 최우선입니다. 수능은 여러분의 고등학교 생활을 마무리하는 중요한 시험이기 때문에, 이 시험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따라서 면접 준비는 수능 공부가 끝난 후에 집중적으로 하겠다는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면접이 수능 후 바로 이루어진다면, 미리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점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2. 면접 준비는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매주 한 번씩, 짧은 시간 동안 면접 준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매주 주말에 1시간 정도를 면접 준비에 할애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수능 공부와 면접 준비를 동시에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수능 준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시간을 잘 조절해야 합니다. 3. 쉬는 시간이나 짧은 틈을 이용해 면접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부가 너무 힘들거나 지칠 때, 잠깐의 휴식을 가지며 면접에 대한 생각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와 간단한 모의면접을 하거나, 예상 질문 리스트를 작성해 보는 것입니다. 이러한 작은 준비들이 모여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4. 면접 준비를 위해 필요한 자료를 미리 확보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면접 관련 책이나 자료를 읽어보거나, 온라인에서 면접 경험담을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수능 공부로 바쁜 여러분에게는 시간이 부족할 수 있지만, 필요한 자료를 미리 확보해 두면 면접 준비를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습니다. 5. 여러분의 마음가짐이 중요합니다. 수능 공부와 면접 준비를 병행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할 수 있다’는 마음가짐으로 일주일에 한 번씩 면접 준비를 하다 보면, 어느새 준비가 완료된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면접을 준비하는 방법에 대해선 이전 스토리노트에서 다루었습니다!면접 꿀팁, 면접 기본 상식, 면접 준비 방법 등 매우 자세하게 알려드렸는데요.제가 쓴 스토리노트를 본다면 면접 준비에 시간을 많이 할애하지 않으면서 수능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아직 읽어보지 않으셨다고요??????????그럼 빨리 읽어보시는 것이 도움될 겁니다!!! 저도 수능과 면접 5개를 준비하느라 정말 힘들었고, 불안하기도 했습니다.... 수능 준비를 최우선으로 하되, 짧은 시간 동안 면접 준비를 병행하여 효율적으로 준비하는 방법을 찾아보세요!여러분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를 응원합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톡을 통해서 질문주세용2024.09.30
-
면접 준비시립대는 면접에서 이걸 궁금해합니다 : 지원자는 어떤 사람인가?<시립대는 면접에서 이걸 궁금해합니다> : 지원자는 어떤 사람인가?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시립대학교 면접 전형 최초합격을 했고, 현재 도시사회학과 24학번에 재학 중인 은결 멘토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 면접은 제가 면접을 본 5개 대학교 중에서 가장 까다로웠습니다. 제가 동기 친구들에게 시립대 면접이 어땠는지 물어본 결과,공통으로 말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바로 “지원자가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한다” 입니다. 마지막이든, 처음이든 “지원자는.... 어떤 사람이에요?” 라고 직접 물어보기도 하고, 물어보는 질문을 통해서 알 수 있었다고 합니다. 저에게 직접적으로 어떤 사람인지 물어보진 않았지만, 답변을 하면서 제가 어떤 사람인지 드러냈었습니다. 그래서 그 부분은 더욱 심도있게, 꼬리질문하면서 물어봤습니다. 지원자가 어떤 사람인지 파악하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분 동안) 자기소개를 해보세요.-자신이 생각하는 강점과 약점을 각각 한 가지씩만 말해보세요.-성적(혹은 자신감)이 떨어졌을 때 어떻게 극복했는지 말해보세요.-형제 관계가 어떻게 되나요? 형제자매와 비교했을 때 자신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학교생활하면서 겪었던 어려움이 있다면 말씀해보세요.-고등학교 시절 아쉬웠거나 후회되는 것이 있나요?-대학에 오면 어떤 일(또는 공부)을 하고 싶나요? + 그 외에 또 하고 싶은 게 있나요?-10년 뒤에 자신은 어떤 모습일 것 같나요?-인생의 최종 목표가 있나요?-지금까지 살면서 가장 보람 있던 경험은 무엇인가요?-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 이런 질문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 드러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뻔한 답변을 할 수도 있겠지만, 진솔하고 면접관님들을 설득시키는 답변을 하면 합격확률이 높아집니다. +추가로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기본으로 하는 질문들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제출한 서류의 내용 진위 여부 확인 및 추가 질문 ○○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자소서 1번에 언급했는데 그 내용을 간단히 설명해보세요.○○을 했는데 관련해서 리더십, 협동심 등을 발휘한 일화가 있나요?○○ 봉사활동을 했는데 거기서 느낀 점은 무엇인가요?.동아리 활동을 어떻게 진행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세요.봉사 활동을 할 때 어려웠던 점이 있었다면 말해보세요.○○활동이 많은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을 했다고 생활기록부에 되어있는데 어떤 활동인가요?○○교과 성적이 다른 성적에 비해 아주 부진한 편인데 설명해 줄 수 있나요?봉사활동이 형식적으로 보이는데 어떻게 생각하나요?동아리 활동이 자신에게 영향을 준 것에 대해 말해보세요.멘토링이라는 봉사활동을 하고 싶은 이유가 있었나요?교내 ○○상을 받았는데 어떻게 해서 받게 되었나요?학업활동, 진로활동, 동아리활동 등 가장 중점을 둔 학교활동은 무엇인가요? 지원 동기 및 지원자의 진정성 확인 ○○학과에 지원하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요?○○학과가 무엇을 배우는지 알고 있나요?○○학과를 나오면 어떤 일을 하고 싶은가요?보통 꿈과 관련지어 학과를 선택한 이유를 말하는데 목표와 관련해서 ○○과를 지원한 이유를 설명해보세요.전공 소양을 기르기 위해 관련 분야의 책을 읽은 것이 있나요?우리 학과에 지원할 때 누군가의 영향을 받은 적이 있나요?학생은 장래희망이 ○○라고 되어있는데 ○○이 되기 위해 필요한 자질은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다른 학교에 합격해도 우리학교에 진학할 생각이 있나요?2024.09.30
-
면접 준비모의면접 체크리스트&생기부에서 면접 질문 추출하는 방법"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 저는 현역으로 5군데 대학 면접을 봐서, 5곳 모두 합격을 했었습니다! 보통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면접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서울시립대 2024년도 수시모집을 기준으로 면접형은 면접 40%+서류60%였습니다. 서울시립대 2025년도 수시모집에서는 면접이 50%로 늘어났는데요. 그만큼 면접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시립대의 면접은 질문 난이도 자체가 어렵고, 심화된 내용을 많이 물어봅니다. 다른 대학들의 경우도 면접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모의면접"을 통해서 많은 학생들이 면접준비를 하는데요. 모의면접을 하면서 신경써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 면접관은 어떤 시선에서 학생을 바라보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모의면접 체크리스트> 1. 면접실에 들어갈 때 큰 소리로 예의바르게 인사를 했는가?2. 자리에 앉기 전에 다시 한 번 인사를 했는가?3. 목소리가 면접관에게 잘 들릴 정도로 컸는가?4. 면접 질문에 대한 대답 상세 체크 문항4-1. 면접의 어떤 질문에 대답을 잘하지 못하였는가?- 독서활동(창체,행발)과 관련된 질문- 세특과 관련된 질문- 그 외 생기부와 관련된 질문- 전공과 관련된 질문- 시사 문제와 관련된 질문- 기타4-2. 면접 중 태도에 무슨 문제가 있었는가?- 말하는 태도가 예의바르지 못하였다.- 말이 중언부언하고 하고자 하는 말의 의도를 알 수 없었다.- ‘하십시오’체가 아니라 구어체로 대답하였다.- 구체적으로 답변하지 못하고 추상적으로 답변하였다.- 너무 답변이 짧거나 길어 시간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였다.(적절한 시간은 3분)-기타5. 준비하지 않은 질문에 임기응변으로 잘 답변할 수 있었는가?6. 면접관의 질문에 요점 위주로 상세하게 답변할 수 있었는가?7. 자신감 있게 답변하였는가?8. 면접이 끝난 후 예의바르게 인사하고 퇴장하였는가? 학교생활기록부 관련 면접 질문 추출하는 방법!! -지원 대학 및 학과(학부): -지원대학 또는 지원학과(학부)의 인재상: ~쓰기 ***자신의 학교생활기록부를 잘 읽고 (출결상황)부터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까지의 각 항목에서 의미 있는 사례(핵심 사례)를 뽑고 이와 관련하여 면접 질문을 추출해야 합니다!!! *** 출결상황 핵심 사례1 •추출 질문••핵심 사례2 •추출 질문•• 창의적 체험활동 중자율활동 핵심 사례1 •추출 질문••핵심 사례2 •추출 질문•• 창의적 체험활동 중동아리활동 핵심 사례1 •추출 질문••핵심 사례2 •추출 질문•• 창의적 체험활동 중봉사활동 핵심 사례1 •추출 질문••핵심 사례2 •추출 질문•• 창의적 체험활동 중진로활동 핵심 사례1 •추출 질문••핵심 사례2 •추출 질문••교과학습발달상황 핵심 사례1 •추출 질문••핵심 사례2 •추출 질문••핵심 사례3 •추출 질문••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고1, 고2) 핵심 사례1 •추출 질문••핵심 사례2 •추출 질문••2024.09.30
-
면접 준비면접관이 뽑고 싶지 않은 지원자는?지금까지는 면접관이 어떤 학생을 뽑고 싶어하는지 알아봤는데요~(이전 스토리노트에 면접 꿀팁이 많이 나와 있으니까 참고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반대로 면접에 합격하고 싶다면 면접관이 싫어하는 행동을 하지 않으면 됩니다!그래서 오늘은면접관이 뽑고 싶지 않은 지원자의 특징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면접관이 뽑고 싶지 않은 지원자는? 1. 동문서답하는 경우 : ‘설마 내가 그럴까?’하고 나와는 상관없는 이야기라고 생각하는 수험생이 면접을 해보면 의외로 많다. 면접 준비과정에서 답변을 미리 작성하고 거의 외우다시피 연습한 수험생들이 많이 범하는 실수다. 질문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답변해야 하는데 자신이 예상한 질문과 비슷하면 질문 의도를 생각하지 않고 준비해 간 답변을 그대로 한다. 이 경우, 면접위원은 지원자를 긍정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2. 지원자 자신이 한 활동에 관해 물어보는데 대답을 잘못하는 경우 : 서류의 진실성과 신뢰성이 깨지게 되어 서류평가과정에서 좋게 판단했던 지원자의 활동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지원자가 서류에서 보이는 것과 달리, 실제로는 우수하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3. 짧은 지식을 지나치게 뽐내는 경우면접위원은 대부분 지원학과 교수이며, 본인은 고등학생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자. 짧은 지식을 지나치게 뽐내는 것은 역효과를 부를 수 있다. 지식을 물으면 지혜롭게 답하면 된다. 고등학교 교과 과정에 충실하되 면접위원의 질문에 참신한 대답을 내놓음으로써 자신을 더 효과적으로 어필할 필요가 있다. 지원대학의 홈페이지에서 지원 학과(부)의 특성, 교육과정, 진로 등을 살펴보면서 지원 학과(부)에서 배우는 주요 개념들과 그 분야의 주요 쟁점들에 대한 논쟁의 초점 등을 생각해보자. 부족한 지식은 대학에서 채울 수 있는 만큼 단순히 많이 알고 있는 학생보다는 잠재력이 엿보이는 학생들을 선호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4. 타당하지 않은 근거로 답을 하는 경우사회문제에 관한 지원자의 관심과 전공에 대한 배경지식을 살피기 위한 ‘의견·주장형’ 질문은 자신의 주장을 먼저 정확히 밝히고서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자. 답변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다면 망설이지 말고 정정하되, 자신이 말한 논리나 관점에 대해 면접위원이 반박할 경우 곧바로 수정하는 것보다는 논거가 확실하다면 일관성을 유지하자. 면접위원은 지원자의 의견이나 주장 자체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지원자가 제시하는 근거의 타당성과 적절성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타당한 근거로 자신의 역량을 드러내자!! 예의 없어 보이는 경우도 당연히 면접관이 싫어합니다!말을 할 때 비속어, 줄임말을 쓰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예시)))저희 나라는~~~~ -> 안됩니다-> '우리'나라 입니다저희는 나라를 낮추는 용어이기에 쓰면 안됩니다.우리나라가 맞는 표현이지만, 많은 학생들이 실수하기 쉬운 포인트입니다.제가 알려드린 4가지 특징을 생각하면서 절대로 면접장에서 하면 안됩니다!4가지를 하지 않아도 합격확률이 높아집니다~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물어봐주세용2024.09.30
-
면접 준비학교생활기록부 항목별 면접 준비 사항 및 예시 문항 (3)학교생기부 기반 면접 준비사항과 예시문항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저번 스토리노트와 이어진 내용입니다~ <학교생활기록부 항목별 면접 준비 사항 및 예시 문항3> 1. 세부능력 특기사항 면접준비수업시간에 무엇을 배웠고 어떠한 학습경험을 했는지 기재되어 있는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에서는 교과학습활동을 통해 배운 개념, 주제탐구활동 과정, 실험 결과 등에 대해 질문할 수 있습니다. 수업시간에 배웠던 개념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되, 전공과 관련된 교과목의 경우 발표활동, 탐구활동, 토론활동 등 전공과 관련한 주제를 활용하여 어떠한 학습경험을 하였는지 활동 참여 동기, 과제수행 과정, 활동 결과 등을 정리해보아야 합니다. 3년간의 교과학습활동에 대해 명확하게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예시문항 정치와 법 수업에서 진행한 가짜뉴스 탐구활동을 통해 알게 된 가짜뉴스가 정치 과정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확률과 통계 수업에서 심슨의 역설이 발견되는 실제 사례를 분석하는 활동을 하였는데, 심슨의 역설이란 무엇인지 사례를 들어 설명해보세요. 2. 독서활동 면접준비독서 활동 자체는 대학에 제공되지 않지만 창의적 체험활동 또는 교과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에 기록된 독서 내용은 대학의 중요한 평가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독서 활동은 지원자의 관심 분야와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 지적 탐구력 등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되는 항목입니다. 평가자는 독서활동을 한 계기와 읽고 난 이후의 변화에 주안점을 두고 질문하게 됩니다. 따라서 독서 계획을 세우는 것을 시작으로 독서활동을 하게 된 계기, 책을 선정하게 된 동기, 인상적인 내용이나 구절, 느낀 점 및 깨달은 점 등 독서활동의 전-중-후에 대해서 정리하는 습관을가지는 게 좋습니다. 3년간의 독서 활동을 완벽하게 숙지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면접 대비를 위해서는 평소에 책을 읽고 바로 정리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시문항 <GMO, 논란의 암호를 풀다>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해당 도서를 선정하여 독서한 계기는 무엇이며, 책을 통해서 배운 점은 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재미있는 식품 신제품 개발>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해당 독서활동에서 배운 점이진로 선택에 어떤 도움을 주었나요? 3. 행동특성 종합의견 면접준비 말 그대로 나의 평소의 행동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이 기술되는 영역입니다. 때로는본인이 왜 이런 평가를 받았을까 하는 의문이 생길 수도 있고,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에 적혀 있는 내용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깜짝 놀랄 수도 있습니다. 종합의견의 내용은 본인의 평소 행동을 기반으로 하는 담임교사의 평가이므로, 종합의견에 기술되어 있는 평가의 근거가 무엇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이 나왔을 때 사례를 중심으로 이야기한다면 어렵지 않게 답변할 수 있습니다. 예시문항 힘든 일정 속에서도 얼굴 찌푸리는 것을 보기 어려운 학급의 대표적인 웃는 상으로꼽히는 학생이라고 적혀있습니다. 그 이유를 가장 잘 드러내는 일화가 있나요? 학기 말 진행한 ‘우리 반 친구들에 대한 설문’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완벽한 친구’,‘더 이상 미사여구가 필요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최고의 찬사를 들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2024.09.30
-
면접 준비학교생활기록부 항목별 면접 준비 사항 및 예시 문항 (2)저번 스토리노트에 이어 학교생기부 항목별 면접 준비사항과 예시 문항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 항목별 면접 준비 사항 및 예시 문항2> 1, 봉사활동 면접준비봉사활동에 관련된 질문은 아무래도 봉사를 통한 학생의 성장을 물어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봉사기간, 본인이 맡은 역할 등 세부사항과 봉사를 시작하게 된 계기, 힘들었던 점, 그리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기울였던 노력도 꼼꼼히 점검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활동을 통해 본인이 느꼈던 봉사의 의의를 생각해보고 활동 전과 후에 달라진 심경의 변화를 정리해두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시문항봉사활동을 하면서 본인이 참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고, 어떤 점이 가장 도움이 되었나요? 그 과정을 통해 무엇을 느낄 수 있었는지 말해주세요 2학년부터 봉사활동을 거의 하지 못하였네요. 그 이유와 함께 본인의 성실함 또는인성 및 사회성을 드러낼 수 있었던 사례가 있다면 이야기해주세요. 2. 진로활동 면접준비진로활동에서 평가자는 학생의 진로의 구체화 과정을 확인하고자 합니다. 면접에서는 자기소개서에 작성된 진로와 진로활동과의 연계에 대한 확인 위주의 질문이 나올 것입니다. 따라서 진로활동과 지원전공, 진로희망, 자기소개서 기재 내용을 면밀하게 확인해두는 것이 면접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시문항 3학년 진로탐색활동을 통해 글쓰기의 의미를 고민하며 소설가를 희망한 것으로 보입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글쓰기의 의미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세요. 교육 분야의 다양한 활동을 경험한 후 최종적으로 역사교육과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입니다. 역사교육에 대한 진로를 결심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에 대해서 말해주시고, 희망하는 진로를 위해 역사교육과에서 어떻게 학업을 이수해나갈지간단하게 설명해주세요. 3. 교과학습발달상황 면접준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수업을 선택하고 수강하지만,어떤 수업을 들어야 하는지 정해진 답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면접관들은 지원자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수업을 선택하고 노력해왔는지를 가장 궁금해합니다. 따라서 본인이 과목을 선택한 동기, 어떤 생각을 가지고 수업을 선택하고 노력해왔는지에 대한 의미를 잘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학교 상황에 따라 본인에게 필요한 과목이 개설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고교 활동 내의 범위에서 할 수 있었던 활동(독서나 창의적 체험활동, 공동교육과정 이수 등)을 통해 조금이라도 환경적인 한계를 극복하고 관련 지식을 갖추려고 노력해보는 경험은 서류 준비뿐만 아니라 면접에서도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예시문항프로그래밍 과목을 이수하여 수강하였습니다. 어떠한 것을 배울 수 있다고 기대하여 수업을 신청한 것이며, 수업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내용은 무엇이었나요? 자기소개서에 기재한 본인의 진로희망처럼 경제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경제 과목을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었을 텐데 수강하지 않은 사유가 있나요? 이를 보충하기 위해 준비하고 노력한 부분이 있다면 말해보세요.2024.09.30
-
면접 준비학교생활기록부 항목별 면접 준비 사항 및 예시 문항보통 면접은 학교 생기부를 바탕으로 질문합니다.항목별로 어떤 질문이 나올 수 있고,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 항목별 면접 준비 사항 및 예시 문항> 인적/학적 면접준비 면접에서는 학적사항 질문이 많이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 질문이 나온다면어떤 내용일지는 지원자 본인이 가장 잘 파악하고 있을 것입니다. 질문에 대한 사실을 답변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관련된 사항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성장한모습을 함께 대답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시 2학년 때 전학 간 이후 학교생활 적응 및 학업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어떻게 극복하고자 노력했는지 말해보세요. 2. 출결면접준비 미인정 결석, 지각, 결과, 조퇴 등이 다수 보인다면 면접 시 질문이 나올 수 있습니다. 어떤 사유가 있었고, 개선하기 위한 본인의 노력, 변화된 점 등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시질병으로 인한 질병 관련 결석, 지각, 조퇴 등이 많은 편인데 어떤 이유 때문이었나요?대학 진학 후 학업 이수에 문제가 없을까요? 3. 자율활동면접준비 주로 지원자가 학교 또는 학급 내에서 수행한 역할은 무엇이었는지 혹은 지원자가자율적으로 진행한 활동 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의 면접 질문은 역할이나 활동을 왜 수행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무엇을 배우고 어떤 역량을키울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질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가 이 역할 또는 이 활동을 하게 된 계기가 무엇이며, 이를 통해 배우고 느낀 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하고 말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문항 3학년 때, 동영상 공유 사이트 내 댓글을 통한 실시간 담화 상황에서 한국어 사용외국인 화자들이 자주하는 문법적 오류를 분석하는 탐구자료집을 제작하였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제작한 탐구자료집 내용 중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이 있다면 소개해 보세요. 1학년 때, 학급별 주제발표 시간에 ‘난민 수용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를 가지고 난민 수용에 반대하는 입장에서 글을 작성했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때 작성했던 글의 내용을 간단히 소개해 보세요. 4. 동아리활동 면접준비동아리활동에서 이루어지는 면접 질문은 주로 전공과 관련한 활동 중심의 질문들이많습니다. 전공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활동을 하였다면 본인이 했던 역할과 배우고 느낀 점, 발전한 점을 중심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생각되더라도 그 활동을 통해 자신이 어떤 부분에서 성장하였는지 설명할 수 있다면 좋습니다. 더불어 활동 속에서 전공과 관련된 개념이 활용되었다면 개념에 대한 부분도 철저하게 복습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예시문항온라인으로 한 DNA 검출 실험은 어떻게 진행하였는지 설명해주세요. 그리고 준비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긍정적 환상에 대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인식 차이에 대해 설명하였는데요. 조금 더자세히 설명해주세요. 태블릿과 앱을 활용하여 기하 작도 활동을 했는데, 어떤 내용인지 간단하게 설명해주세요.2024.09.30
-
면접 준비[면접 꿀팁] 면접관이 좋아하는 말하기 비법<면접 준비 꿀팁: 면접관이 좋아하는 말하기 비법> 1. 면접의 비결은 자신감과 간절함입니다. 면접의 성패는 자신감에 의해 좌우됩니다. 누구나 면접에서 말하는 것은 두려운 일입니다. 말하기에 자신감을 가지려면 자신이 생각하고 이해하는 것을 조리 있게 표현하는 연습을 평소에 꾸준히 해야 합니다. 평소에 질문, 발표, 토의, 토론 과정에 적극 참여하여 말하기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면접 전에는 친구나 선생님 등의 도움을 받아 모의면접을 해 보아야 합니다. 모의면접을 해보는 것은 가장 좋은 면접 준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모의면접을 통해 면접 상황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자신의 답변 내용과 태도 등을 점검하고 교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감은 간절함으로부터 나옵니다. 면접은 말로 표현하는 평가이기 때문에 긴장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반복된 연습뿐입니다. 준비하고 또 준비하는 것이 합격에 대한 열망을 높여주고 합격의 문을 여는 열쇠가 될 것입니다. 2. 간결하게 말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면접은 ‘말’로 표현하는 평가입니다. 말은 쉽게 기억에서 사라집니다. 따라서 질문의 주제나 조건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관련 내용을 간단하게 답변해야 합니다. 만약 질문의 핵심을 정리하지 않았다면 요구하는 내용을 답하지 않거나 불필요한 내용까지 장황하게 언급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질문의 요지에 맞게 간결하게 답하고 이어서 부연 설명을 하는 방식으로 답변합니다. 3. 지원 대학 및 학과의 면접 관련 정보를 파악해야 합니다. 면접을 준비하면서 먼저 자신이 지원하는 대학의 면접 방법을 이해하도록 합니다. 보통 지원자 1명 대 면접관 2명의 개별 면접으로 서류 확인 면접을 합니다. 그러므로 자신이 제출한 학교생활기록부의 중요 내용들을 철저하게 이해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이에 바탕을 두고 학업 역량과 인성 평가 요소에서 예상 질문을 추출하여 답변하는 연습을 합니다. 그리고 지원하는 학과나 전공에 대한 정보를 충실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원하는 학과에서 어떤 공부가 중요하고 졸업 후에 진로는 어떻게 되는지 등을 홈페이지 등을 통해 파악하도록 합니다. 아울러 지원 학과나 전공 공부와 관련된 고등학교에서의 학습과 활동, 연관된 진로 개발 노력 등을 미리 준비하면 면접에서 좋은 결과를 거두게 될 것입니다. 4. 자신만의 비장의 무기를 준비해야 합니다. 자신의 고등학교 학습과 활동 중에서 사고력, 탐구력, 문제 해결력, 창의력 등을 우수하게 발휘한 경험을 선별합니다. 이러한 경험을 미리 준비해두면 면접 과정에서 유용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공부하고 활동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도전한 경험, 몰입하거나 집중력을 발휘하여 성취한 경험, 관심사를 끈질기게 파고들어 탐구한 경험 등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가 중요합니다. 비록 좋은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지만 자신의 관심사에 대한 넓고 깊은 탐구 경험도 포함됩니다. 도전하여 성공한 경험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실패한 경험이더라도 그 자체로 소중한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경험을 성찰하여 미래의 비전으로 어떻게 승화시키느냐 하는 것입니다. 5. 면접의 처음과 마지막 발언 기회를 활용해야 합니다. 면접 과정에서 처음에 부드러운 면접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자기소개, 독서, 존경하는 인물 등에 대해 질문합니다. 자기소개는 자신의 특성과 강점을 어필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답변하고 부족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내용도 무방합니다. 자기소개를 할 때는 내용을 통째로 외우지 말고 몇 개의 키워드를 가지고 말하는 연습을 하도록 합니다. 독서나 존경하는 인물 등의 질문에 대해서는 지원 학과나 전공, 자신의 진로와 관련되는 내용으로 답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면접이 끝나기 전에는 통상 마지막 발언 기회를 줍니다. 이때에는 면접 과정에서 미처 답변하지 못한 내용을 보충하거나, 자신의 진로나 공부에 대한 포부, 열의, 간절함 등을 보여주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2024.09.30
-
면접 준비면접 기본 상식: 면접 관련 자료 찾는 방법<면접 기본 상식: 면접 관련 자료 찾기> 면접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자세한 방법과 꿀팁에 대해 스토리노트에서 다뤘었는데요~혹시 보지 않으셨다고요??그럼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제 면접 준비 방법에 대해 알았다면 관련 자료를 찾아야합니다!면접 관련 자료는 어디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선행학습 영향평가 자체 평가 보고서: 각 대학은 전년도 전형에서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벗어난 내용으로 학생을 선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논술과 면접 등 대학이 자체 제작한 자료를 학생 선발에 사용한 경우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벗어나지 않았는지 반드시 평가하고 보고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 보고서 속에 면접에 사용한 제시문과 출제 의도, 모범답안 등 제시문 기반 면접에 대한 내용을 충실히 담고 있습니다. 또한 서류기반 면접의 학과별 문항을 포함하여 발표하는 학교가 다수 있어 면접을 준비한다면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모집요강: 모집요강에는 학생 평가에 영향을 주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면접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경우 면접의 평가항목과 평가요소, 각 항목별 반영 비율 등을 자세히 밝히는 학교가 많으니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대학은 상세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지 않기도 합니다. - 학생부종합전형 가이드북: 일부 대학은 학생부종합전형 가이드북을 제작해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모집요강에 모두 담을 수 없기에 별도의 책자를 제공하는데, 가이드북에는 서류평가와 면접평가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는 경우가 많고, 학과별 면접 예시 문항을 정리해 제공하는 대학도 많습니다. - 면접 후기 자료: 각 지역 교육청에서 면접 후기 자료를 제작해 배포하기도 하므로 이를 참고하는 것도 좋습니다. 특히, 울산광역시교육청 진로진학지원센터에서 매년 울산 지역 고등학교의 후기를 수집해 자료집을 제작하고, 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 배부하니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학의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이 가장 유용합니다. 각 대학은 자주 업데이트되는 모집요강과 면접 관련 정보를 제공하므로, 해당 학교의 입학처 페이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면접 평가 기준, 면접 일정, 준비사항 등을 상세히 안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역 교육청의 자료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각 지역 교육청에서는 면접 후기 자료를 제작하여 배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울산광역시교육청 진로진학지원센터는 매년 고등학교의 면접 후기를 수집해 자료집을 제작합니다. 이러한 자료는 면접 준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포털 사이트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학생들이 직접 경험한 면접 후기를 공유하는 카페나 블로그에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후기들은 면접 질문의 유형이나 면접 분위기 등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학원이나 진로 상담 센터의 정보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많은 학원에서 대입 면접 대비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전문적인 상담과 함께 면접 준비를 도와줍니다. 이와 같은 기관에서는 최신 면접 경향과 유용한 팁을 제공하므로, 활용해볼 만합니다. -SNS를 통한 정보 수집도 유용합니다. 인스타그램이나 유튜브 등에서 면접 관련 콘텐츠를 찾아볼 수 있으며, 특히 유튜브에서는 면접 경험담이나 모의 면접 영상 등을 통해 실질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2024.09.30
-
면접 준비면접 기본 상식: 면접의 진행 절차&특징면접을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기본으로 알아야 하는 상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면접 기본 상식: 면접의 진행 절차> 면접의 일반적 절차는 대기, 호출, 입실, 면접, 퇴실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대학마다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면접 시 면접자가 점수를 부여할 때 후광 효과를 배제하기 위하여 학생은 접수번호와 별개의 면접 번호를 부여받고 면접 대기실에서 대기합니다. 면접 번호는 수험번호와 관계가 없으며, 면접자가 수험번호와 연결하지 못하도록 입학시험 관리자가 관리합니다. 수험생은 면접 대기실에서 대기하다 조교의 면접 번호 호명에 따라 면접실로 들어갑니다. 이어 정해진 면접 내용과 면접 절차에 따라 면접을 진행하게 됩니다. 면접이 끝나면 퇴실과 함께 모든 면접이 끝나게 됩니다. 면접 내용의 누설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면접을 끝낸 학생과 면접을 받을 학생들은 서로 만나지 않게 합니다. 아래 그림 1은 서류면접의 일반적 진행 절차를 보여줍니다. ■ 제시문 기반 면접의 경우 제시문 검토 시간을 별도로 부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대기실과 면접실 사이에 답변 준비실을 마련해 제시문을 검토하여 답변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 다중미니면접(MMI)의 경우 아래 그림 2와 같이 상황별 제시문이 2개 이상 주어지기 때문에 상황별 제시문 검토실을 면접실 직전에 두는 방식으로 운영합니다. ■ 코로나19 상황에서 비대면 면접을 진행한 학교도 다수 있습니다. 비대면 면접의 경우 자유롭게 촬영한 영상을 업로드하는 유형, Zoom 등을 이용해 화상으로 면접을 진행하는 경우, 대학이 지정한 장소에서 문항을 확인하고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대학이 지정한 장소에서 Zoom 등을 이용해 화상으로 면접을 진행하는 경우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었습니다. 2024학년 대입에서는 코로나19 방역 상황 완화에 따라 대면 면접 위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 그림은 대면 면접의 진행 절차 예시입니다. 면접 유형별 특징학생부종합(서류 확인) 면접 - 제출서류(학교생활기록부) 진실성 - 서류평가 중 궁금한 내용이나 실제 활동 여부 확인을 위한 질문 - 면접 시간 10분 내외, 질문 항목 5~7개 + 추가 질문 - 면접관 2~3인과 지원자 1인의 다대일 진행이 다수 - 단계별 전형의 경우 충원율이 합격 여부 결정에 영향을 미침 - 서류 점검 및 확인을 통해 충분히 준비 가능 학생부교과(인성 및 적성) 면접 - 학생부는 교과 성적만 반영하는 경우가 다수 - 대학 자체 제작 문항 또는 공통 문항을 질문 - 면접 문항 또는 예시 문항을 사전에 공개하는 경우가 많음 - 면접관 2~3인과 지원자 1인의 다대일 또는 면접관 다수와 지원자 다수의 다대다 진행- 단계별 전형 또는 일괄전형 방식 운영 - 5~10분 내외 진행, 3~5개 문항에 추가 질문 가능 - 학교생활기록부 기반 면접도 운영(이화여대, 가천대 등) 자신이 보게 될 면접의 진행절차를 미리 알아두는 것이 더 도움이 되겠죠??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질문주세용2024.09.30
-
면접 준비면접 기본 상식: 필수로 준비해야 할 것&질문 의도 (2)<대입 면접을 위해 필수로 준비해야 하는 내용과 그 의도> 대입 면접을 위해 필수로 준비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스토리노트에서 다룬 적이 있었는데요~보지 않으셨다고요??그럼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오늘은 필수 준비 질문의 내용과 그 의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의도를 알아야 효과적으로 면접을 준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전 스토리 노트에서는 필수로 나오는 질문 3가지와 그 의도에 대해 다뤘는데요.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4, 5 질문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4. 존경하는 인물은? 의도진로 비전의 구체성, 진로 탐색 활동의 다양성과 구체성 확인 구성존경하는 인물, 그 인물을 알게 된 계기, 그 인물의 핵심 업적, 자신이 가치를 부여하는부분, 자신에게 또는 자신의 진로에 끼친 영향 등 예시저는 이태석 신부님을 가장 존경합니다. 어떤 삶이 보람 있을까 고민하던 중 ‘울지마톤즈’를 읽고 이태석 신부님을 알게 되었습니다. 의사로서 편안하게 살 수도 있는데 힘든 삶을 살며 수단 사람에게 도움을 주었고, 많은 사람이 그의 자취를 따르게 해서 의료인의 귀감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제가 진출하는 분야에서 어려움을 당한 사람들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생각하는 자세를 갖게 되었고, OO학과에 진학 후 봉사를 실천해서 사회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이상입니다. 5. 좋아하는 과목과 싫어하는 과목은? 의도진로 적합성, 발전 가능성, 학업 및 탐구 역량과 성향 파악 구성좋아하는 과목과 싫어하는 과목명, 좋아하는 이유와 싫어하는 이유, 대표적인 탐구 사례,학습 방법, 진로와의 연관성, 싫어하는 과목 개선을 위한 노력 등 예시제가 좋아하는 과목과 싫어하는 과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좋아하는 과목은 수학이고 싫어하는 과목은 문학입니다. 수학을 좋아하는 이유는 논리적이고 체계적이어서 혼자서도 학습할 수 있다는 점이고 문학을 싫어하는 이유는 논리적으로 이해되지 않는작가의 주관적 표현이나 감정을 찾아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수학 중에서 변화의 크기와 속도를 측정하는 미적분을 좋아합니다. 특히 제가 관심있는 기계공학의 원리에 많이 사용되는 분야여서 더 열심히 공부하고 있습니다. 문학이 논리적이지 않아 모호한 부분이 있지만 수업 중에는 열심히 듣고 정리해서 성적을 향상시키려 노력해서 어느 정도 성과는 있었습니다 여기 나오는 질문들이 면접장에서 나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나올 확률이 있기 때문에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각해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좋아하는 과목에 대해서 2개의 대학에서 물어봤습니다.전혀 준비하지 않았던 질문이라서 약간 당황을 했는데요~제가 정말로 좋아하는 과목인 음악을 이야기했습니다!면접관들도 예상치 못한 질문이라고 생각해서 꼬리질문과 개인적인 질문을 많이 해주셨습니다.왜 음악을 좋아하는지 사회학적 관점에서 설명을 잘하면 좋은 인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자신의 진솔한 감정이 드러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면접관들도 설득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면접에 대해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톡을 통해서 물어봐주세용2024.09.30
-
면접 준비면접 기본 상식: 필수로 준비해야 할 것&질문 의도<대입 면접을 위해 필수로 준비해야 하는 내용과 그 의도> 대입 면접을 위해 필수로 준비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스토리노트에서 다룬 적이 있었는데요~보지 않으셨다고요??그럼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합니다! 오늘은 필수 준비 질문의 내용과 그 의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의도를 알아야 효과적으로 면접을 준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자기소개 의도면접 준비상태, 논리적 사고, 지원동기와 포부, 꿈을 이루기 위한 노력, 이 학교와 이 학과를 선택한 의도 등 면접에서 가장 드러내고 싶은 자신의 특징과 의지 확인한다. 구성구성 진로 비전(구체적으로 이루고 싶은 포부), 진로 비전을 갖게 된 계기, 진로 비전을 이루기 위한 노력 과정, 해당 학과 선택의 이유, 학업 계획 등 예시안녕하십니까. 저는 청소년 대상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역사교육 전문가를 꿈꾸는 지원자입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교육봉사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많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이 '역사는 지루하고 재미없다'라고 생각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제가 역사를 너무 좋아했기 때문에, 이러한 편견을 해소하고 학교 현장에서 역사를 보다 재미있게 가르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문가가 되기로 결심했습니다. 이런 결심을바탕으로 역사와 교육 관련한 다양한 독서활동을 통해 지식을 넓히고, 동아리 역사 기행을 기획하고, 자료집을 제작하는 등 역량을 키우려 노력했습니다. 글로벌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는 OO대학교에서 여러 나라의 역사교육에 대해 배우면서 역사교육 전문가로 성장하고자 역사교육과에 지원했습니다. 2. 지원동기와 입학 후 학업계획 의도진로 비전과 대학의 전공에 대한 이해 수준 확인, 발전 가능성 파악, 진로 적합성의 일치 여부, 대학과 학과에 대한 이해 수준과 준비 정도 확인 구성진로 비전(구체적으로), 진로 희망을 갖게 된 동기와 계기, 진로 분야 관련 노력, 고등학생으로써의 한계, 지원 대학(학과)의 특징과 장점, 학업 계획, 진로 포부 등 예시지원동기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저는 어릴 때부터 책 읽기를 좋아했습니다. 외국의 다양한책이 우리말로 번역되어 경험을 넓힐 수 있어 좋았는데 우리나라 책도 외국어로 번역되고 있는지와 어떻게 번역되고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2학년 때 번역 동아리 활동에서 우리나라 드라마를 영어로 번역해 블로그에 공유하는 활동을 했는데 영어 자체보다 언어와 문화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실제 통번역이 이뤄지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배워 우수한 K-콘텐츠를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리는전문가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갖게 되었습니다. OO대학의 통번역학과는 제 진로 포부를실현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입학하게 된다면 전공 분야 수업에 열중하고 동아리 활동을 통해 실제 번역 활동에 참여하며 저의 능력을 키워 K-콘텐츠와 OO대학의 이름을 세계에 알릴 인재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3. 자신의 장점과 단점 의도 자기 이해 정도, 발전 가능성, 단점을 해소하려는 노력과 의지 확인구성장점과 단점, 장점을 장점으로 생각하는 이유, 장점이 자신에게 도움을 주거나 진로 분야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근거, 단점이 자신에게 끼친 영향, 극복 노력 등 예시저의 장점은 주변 사람들을 재미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상황에 맞는 농담과 재치 있는 입담으로 학급 분위기를 주도하곤 합니다. 이런 장점으로 반장 등 리더 역할을 많이 수행할 수 있었고, 책임감과 협동심을 키울 수있었습니다. 단점은 말을 많이 하다 보니 제가 한 말로 인해 본의 아니게 상처받거나 기분 나빠지는 친구들이 있다는 겁니다. 전체 분위기 때문에 그 상황에서 말하지는 않지만, 시간이 지나고 상처받은 친구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저도 마음이 좋지않았고, 친구에게 사과하여 관계를 개선하려 노력했습니다. 이런 단점으로 인해 말의 무게를 느끼고 있어 항상 조심하며 말하는 자세를 갖게 되었습니다. 이상입니다2024.09.30
-
면접 준비면접 기본 상식: 면접 평가 유형&특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지난 스토리노트에 이어 면접 기본 상식 2탄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면접 평가 유형1. 인성 및 적성 면접은 대학 자체 문항이나 공통 문항을 통해 학생의 가치관, 인성, 적성 등을 파악하는 면접입니다. 예시 문항이나 실제 면접 문항을 사전에 공개하는 학교가 많으며, 기출 문항을 통해 준비할 수 있습니다. 2. 서류 기반 면접은 학생부 종합 전형에서 주로 사용하는 유형으로, 학교생활기록부와 기타 제출서류 내용의 진실성과 학생의 직접 활동 내용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또한, 활동의 동기, 과정, 결과, 영향 등을 실제 학생의 경험을 바탕으로 듣고 우수성을 판단하며, 서류 평가 과정의 의문점을 해소하기 위해 학생별 문항을 제작합니다. 3. 제시문 기반 면접은 대학에서 자체 제작한 자료와 문항으로 학생의 학업 역량을 평가합니다. 제시된 자료 분석과 해석 능력을 토대로 학생의 학업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말로 하는 논술이라 평가하기도 합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출제하며, 정확한 개념 이해와 합리적 논거를 토대로 논리를 전개하는지를 평가합니다. 인문 분야는 인문 사회 분야의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고, 자연 분야는 수학과 과학의 개념 이해와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상황 기반 면접은 의학계열에서 주로 활용하는 MMI면접으로, 다양한 상황을 제시하여 학생의 특성과 가치관을 평가합니다. 일상에서 부딪히는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 어떤 윤리적 판단을 하는지를 보기 위해 여러 면접실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의 판단력, 가치관, 역량을 평가합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의사소통 능력, 상황 판단 및 순발력, 사회관계, 윤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면접 평가 특징 1. 대면 상태로 대화 형식으로 면접자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이 지닌 특성을 평가합니다. 서류 확인 면접은 학생이 제출한 학교생활기록부의 내용을 기반으로 질문하게 됩니다. 통상 면접관은 학생의 학업 역량, 인성, 잠재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세밀하고 깊이 있게 질문하면서 학생의 역량을 파악하려고 합니다. 2.학생이 학교생활에서 가장 의미 있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습 활동이 무엇인지 질문할 때, 그 공부를 하게 된 계기, 동기, 이유는 무엇인지, 그 공부를 잘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는지, 공부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은 무엇인지, 그 어려움을 어떻게 극복하였는지, 어떤 성과나 성취가 있었는지, 그런 경험이 자신의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등을 면밀하게 묻습니다. 즉, 공부나 활동의 동기, 과정, 결과, 성찰에 대해 주도면밀하게 질문하여 파악하고자 합니다. 그러므로 어떤 관심사를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한 경험 중에서 몰입하거나 집중하여 탐구한 것, 끈질기게 파고들어 탐구한 내용, 친구들과 함께 협력하거나 자신이 헌신하여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도록 노력한 경험 등을 정리하고 성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대학마다 평가항목 및 세부 평가요소, 각 요소별 반영 비율이 다르므로 학생부종합전형 가이드북 또는 입학요강에서 확인 후 면접을 준비해야 합니다.면접평가는 면접 유형에 따라 목적과 평가항목이 다릅니다! 서류 확인 면접의 경우 서류평가 항목과 면접평가 항목이 유사한 경우가 많고, 서류평가 과정에서 질의할 내용을 정해 면접에서 확인하는 유형과 서류평가와 별개로 면접을 통해 학생의 역량을 확인하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신이 볼 면접의 유형은 무엇인지 잘 확인한 후에 준비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2024.09.30
-
면접 준비면접 기본 상식: 복장은 어떻게 입어야 할까?<면접 복장 어떻게 입어야 할까?>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 저는 현역으로 5군데 대학 면접을 봐서, 5곳 모두 합격을 했었습니다! 보통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면접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만큼 면접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은 면접 기본 상식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면접의 기본 상식이지만 그만큼 놓치기 쉬운 정보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면접 복장 어떻게 입어야 할까? 먼저 O/X 퀴즈로 맞춰볼건데요. “면접복장으로 단정하게 교복 착용하는게 안전하다” 위의 답은 무엇일까요? 바로X입니다!!! 면접에서 절대 입으면 안되는 옷은 바로 교복입니다. 현재 ‘블라인드 면접’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블라인드 면접이란 지원자에 대한 편견이 개입될 수 있는 정보(고등학교 정보 등)를 가린 채 면접을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공정한 대입 전형을 위해 면접 대상자의 출신 고교나 가정환경(부모님의 직업 등)에 대한 정보를 면접관이 모르는 상태에서 면접을 진행합니다. 응시자는 교복을 입을 수 없고, 면접 진행 중 출신 학교명, 자신의 이름, 부모님 직업 등 블라인드 대상 자료를 공개할 수 없습니다. 만약 고의로 공개할 경우 불합격 등 불이익을 당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블라인드 대상 및 내용 - 성명, 출신학교, 수험번호, 사진 등 자료를 모두 블라인드 처리 후 면접 실시 - 교복 착용을 금지하고, 수험번호 대신 임시 번호 부여하여 면접 실시 - 서류 및 면접 과정에서 부모의 직업 및 사회경제적 지위를 알 수 없도록 진행 제가 추천하는 복장은 “깔끔하고, 단정한” 느낌의 옷입니다. 면접관님들은 대부분 나이가 있으시고, 공적인 자리이기 때문에 자신의 개성을 마음껏드러내는 옷을 입으면 첫인상이 안좋게 보일 수 있습니다.옷을 가지고 감점을 하지 않겠지만, 웬만하면 첫인상에서도 좋은 인상을 남기는 것이 좋겠죠?? 저는 화이트 블라우스에 검정색 하의를 입고, 겉옷으로는 코트를 입었습니다. 제가 갔던 면접장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코트를 입고 왔었습니다. 추천 옷)화이트 셔츠 + 블랙/네이비 하의 (슬랙스 등)화이트 블라우스 +블랙/네이비 하의 (슬랙스 등) 요즘은 청바지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너무 딱딱한 분위기인 면접은 아니라고 생각하기에, 청바지를 입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처음 입는 옷을 입고 가면, 불편하거나 예기치 못한 상황이 올 수 있으니면접보기 전에 미리 입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모의면접을 한다면, 모의면접때 실제 면접장에서 입고 갈 옷을 입고 모의면접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면접 대기실이 추운 곳도 있었고, 면접을 보기 직전 복도에 있을 때 매우매우 추웠습니다!!그러니 꼭 핫팩 2개를 챙겨가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저는 긴장하면 손이 차가워져서 핫팩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따뜻하게 손에 쥐고 있으면 긴장도 약간 풀려서 좋았습니다. 귀걸이, 반지, 팔지 등 눈에 띄는 장신구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면접의 기본 상식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만약 면접 준비 방법이 궁금하다면 저의 스토리노트를 참고하셔도 좋습니다!!2024.09.30
-
면접 준비건국대 면접 질문 예시 모음 (국제무역&융합인재&글로벌비즈니스학과)<건국대 면접 질문 예시 모음-사회과학대학>국제무역학과 01. 한국지리 시간에 ‘우리나라 무역과 서비스업의 변화’를 주제로 탐구하였는데, 교통통신의 발달과 무역, 서비스업의 변화에 어떤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했나요?02.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에 대해 학습하였는데 이에 대해서 소개해주세요. 03. 디지털 서비스가 무역의 대상이 되면서 생겨난 디지털세에 대해서 연구하였는데 연구 내용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4. 관세와 비관세조치에 관해 탐구하며 무역에 관세 부과만큼의 국내 산업 보호 효과를 발생시키는 비관세조치를 도입한다는 해결책을 고안했는데, 그 내용을 설명해주세요.05. 미·중 무역전쟁의 해결방안을 윤리적 관점에서도 생각해 보았다고 했는데, 윤리적 관점에서의 해결 방안이란 무엇인가요?06. 경제수학 수업 중 물가가 상승함에 따라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환율이 수출, 수입, 물가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이해한다고 했는데, 환율이 물가에 어떻게 영향을 주나요?07. 관세법에 대해 조사한 활동이 있는데 지원자가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관세법의 부족한 부분과 보안점을 생각한 내용이 있나요?08. 세계화와 불평등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했는데 그 해결책으로 공정무역을 설명한 이유는 무엇인가요?09. ‘세계의 무역과 우리나라의 방향성’이란 주제로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어떤 내용인지 설명해 볼까요?10. ‘ᄋᄋ’을 읽었는데, 어떤 과잉이 가장 위협적이라고 생각했나요?11. 국제적인 무역 기구의 설립과 역할, 국가간 분쟁의 해결방법을 탐구하였는데, 분쟁 해결의 사례를 들어 설명해 보세요. 융합인재학과01. 정치와법 시간에 지방자치의 발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능동성과 자율성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위해 재정 자립도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지방의 재정 자립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해주세요. 02. 사회문화 시간에 법제도 를 기능론·갈등론적 관점에서 탐구하였는데 그 핵심내용은 무엇인가요? 또 각각의 관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03. 독서 시간에 우리 나라의 학교폭력 관련 법률과 외국의 법을 비교하여 법의 개선 방안을 살펴보았는데 우리나라 법률의 대표적인 개선내용으로 무엇이 있을까요?04. 소년법 논란 및 관련 활동을 했었는데, 소년법에 특별히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05. 실업 문제와 가족해체에 대응하기 위해 전국민고용보험과 기본소득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발표를 했는데, 핵심내용에 관해서 설명해보세요. 06.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을 살펴보며, 반의사불벌조항의 요소에 따른 2차 피해 우려를 제시했는데 이에 관해서 설명해보세요. 07. 생활과윤리 시간에 부유한 나라의 약소국에 대한 원조 의무 보고서를 준비했다고 했는데, 해당 주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있나요? 이러한 원조는 의무라고 생각하나요?08. 사람들이 법이 부조리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의문 가져 설문조사 시행했다고 했는데, 설문조사의 결과는 어떻게 나왔나요? 새로운 해결방법을 제안했다고 했는데 그 내용을 설명해볼까요?09. 인권변호사를 희망한다고 했는데, 일반 변호사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인권변호사가 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이 있나요?10. 기본권(집회의 자유와 환경권) 충돌 사례를 탐구했던데, 이처럼 기본권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정부는 어떻게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11. 교육격차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발표를 했는데,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말해 보세요. 12. 차별 문제 해소를 위해 사회적 논의를 거쳐 기준을 명확히 세워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던데, 자신이 생각하는 차별 허용 또는 금지 기준은 무엇인가요? 글로벌비즈니스학과01. ‘링링호우와 중국의 교육정책’을 주제로 발표하였는데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02. ‘디지털 위안화의 전망’이라는 주제로 보고서를 작성하였는데 디지털 위안화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그 전망은 어떻게 되나요?03. 중국의 ESG 경영에 관심을 갖고 현재 중국의 ESG 경영에 대한 추세와 동향을 탐구하였는데, 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04. ‘메타버스를 활용한 중국 소수민족, 바이족과 다이족의 문화 세계에 알리기’ 목적으로 앱을 제작했는데, 메타버스를 어떻게 활용하였나요? 또 소수민족에 관심이 커진 계기에 관해서 설명해보세요. 05. ‘포스트 택배 시대, 중국 물류 기업 전략’을 주제로 한 탐구 발표에 관해서 설명해주세요. 06. 중국 내 인기 있는 한국상품을 분석했는데, 어떤 상품들이 있었나요? 인기 있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앞으로 어떤 상품을 개발하면 효과적일까요?07. 중국 내 인기 있는 한국상품을 분석했는데, 어떤 상품들이 있었나요? 인기있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앞으로 어떤 상품을 개발하면 효과적일까요?08. 중국의 꽌시 문화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꽌시란 무엇을 말하나요? 꽌시를 이해하는 것이 중국을 이해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되나요?09. 국제이슈 탐구 동아리에서 미세먼지 피해 사례를 조사했다고 했는데, 피해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요?중국과의 연관성이 있다고 했는데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10. ‘중국의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주제로 특징을 일곱 가지로 정리하는 탐구를 했는데 그중 세 가지를 말해 보세요. 11. 중국의 수출 품목 및 산업을 분석하고, 중국의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경제 성장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그 내용을 설명해 보세요. 12. ‘ᄋᄋ’을 읽고 중국의 ‘공동부유’라는 복지 및 분배 정책에 대한 견해를 담은 소감문을 작성했는데, 어떤 견해였는지 설명해 보세요.2024.09.28
-
면접 준비건국대 사회과학대학 면접 질문 예시 모음 (경제학과&응용통계학과)<건국대 면접 질문 예시 모음-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01. 산업의 다각화를 위한 방법으로 고부가가치 산업과 노동집약적 산업을 제시하였는데 부의 재분배와 관련된 측면에서 두 산업의 내용을 설명해주세요. 02. 경제이론인 밴드왜건 효과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탐구하였는데 밴드왜건 효과란 무엇인지 예를 들어 설명해주세요. 03. 증권거래세와 양도소득세의 개념에 관해 탐구하여 발표하였는데 증권거래세와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계산되어 부과되나요?04. 자영업 활성화를 위한 경제학적 정책에 관해서 탐구하였다고 했는데 내용에 관해서 설명해보세요. 정치와 법 시간에 탄소 국경세를 검토했다고 했는데, 탄소 국경세의 원리와 정의는 무엇인가요?05.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도 설명해보세요. 06. 1인 가구의 증가와 최저임금 이상으로 인해 대두된 ‘언택트 소비’에 대해서 공부했는 데 언택트 소비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대표적 사례는 어떤 것이 있나요?07.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대한 조사 및 발표를 진행했는데 어떤 부분을가장 중점적으로 조사했나요? 발표내용을 간략히 설명해 볼까요?08. 1인 가구의 증가와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대두된 ‘언택트 소비’에 대해 공부했는 데 언택트 소비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대표적 사례는 어떤 것이 있나요?09. ‘브렉시트가 미칠 영향’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는데, 보고서의 내용을 설명해볼까요? 원인과 해결방안은 무엇인가요?10. 교내 경제신문 제작 활동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기사는 무엇이며 이유를 설명해 주세요. 11. 신문을 읽고 새롭게 알게 된 경제용어를 조사했는데 그중 한 가지를 말하고 용어를 정의해 보세요. 12. 수요와 공급의 차이로 인해 금융경제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는데 두 요소의 상관관계를 설명해 보세요.응용통계학과 01. 선형회귀분석의 정의와 선형 회귀에서 발생하는 오차,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조사하여 보고서로 작성하였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2. ‘빅데이터 시대에 통계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주제로 탐구하였는데 빅데이터 시대에 통계학의 중요성은 어떠한가요? 또 향후 통계학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요?03. 통계가 인공지능분야까지 활용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통계가 인공지능 분야에 사용되는 실례를 소개해주세요. 04. 교내 엘리베이터 사용 감소 유도, 유도 전과 후의 변화를 조건부확률로 계산했는데, 이 상황에서 조건부확률을 계산한 이유는 무엇인가요?05. 확률과 통계 시간에 정규분포와 표준정규분포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확률변수라는 개념의 중요성을 깨달았다고 했는데, 정규분포와 표준정규분포가 어떻게 다른가요?06. 영어 수업에서 빅데이터에 대한 맹신의 위험성에 대한 강연을 들었는데, 강연 내용은 무엇이었나요?그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 어떠한가요?07. 베이즈정리에 대한 지문을 읽고 이를 응용한 마케팅 프로그램을 구상했다고 했는데, 구상한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해볼까요?08. 영어수업에서 빅데이터에 대한 맹신의 위험성에 대한 강연을 들었는데, 강연 내용은 무엇이었나요? 그에 대한 본인의 생각은 어떠한가요?09. 사회문화 시간에 언론에서 제시하는 통계의 오류에 대해 발표했는데, 구체적 사례에 대해서 말해볼까요? 통계 자료를 다룰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나요?10. 보렐의 법칙을 친구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설명하였는지 말해 보세요. 11. ‘계열에 따른 프로그래밍의 관심도’를 주제로 설문을 하고 ᄋᄋ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 자료를 분석했는데 분석 과정을 설명해 보세요. 12. 탐구 활동에서 코사인 유사도의 개념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한 경험이 있는데, 코사인 유사도의 개념을 간단히 설명해 보세요.2024.09.28
-
면접 준비건국대 사회과학대학 면접 질문 예시 모음 (정치외교&행정학과)<건국대 면접 질문 예시 모음-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과01. ‘칸트의 영구 평화론과 국제 정치’를 주제로 1인 특강을 진행하였는데, 칸트의 영구 평화론이 국제 질서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요?02. 루소를 통해 국가와 정부가 다름을 알게 되었다고 했는데 국가와 정부는 어떻게 다른가요?03.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한국의 대북정책 방향성을 고찰하였는데 현재 한국의 대북정책 방향성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04. 동아리에서 ‘학생들의 정치적 무관심’에 대해 횡단 연구를 설계했다고 했는데, 연구 과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5. 미얀마사태에 대해 중국 정부의 입장을 탐색했다고 했는데,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은 무엇인가요? 미얀마사태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설명해주세요. 06. ‘정치효능감을 중심으로 한 대한민국 청원 시스템의 발전 방향’이라는 보고서를 작성한 활동이 있었는데, 정치효능감이란 무엇인가요? 보고서의 내용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해 보세요. 07. ‘정치효능감을 중심으로 한 대한민국 청원 시스템의 발전 방향’이라는 보고서를 작성한 활동이 있는 데 정치효능감이란 무엇인가요? 보고서의 내용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해 보세요08. ‘한국의 난민 수용 문제’를 주제로 작성 발표를 했는데 난민 관련 정책과 난민법의 개선 사항에 대해 설명해 볼까요?09.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대한 조사 및 발표를 진행했는데 어떤 부분을 가장 중점적으로 조사했나요? 발표 내용을 간략히 설명해 볼까요?10. 책을 읽고 정치체제를 분류하는 활동을 했는데 분류한 내용을 설명하고, 새롭게 알게 된사실을 말해 보세요. 11. 무역이 정치외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하였는데, 무역과 정치는 어떻게 상호작용하나요?12. ‘ᄋᄋ형 정치 모델’을 제안하는 산출물을 발표했는데 그 내용은 무엇인가요? 행정학과01. 법 개정에 감정이 개입하면 안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개정을 제안하는 국민들과 결정하는 국회가 고쳐야 될 점이 무엇인지 정리하여 발표했는데 발표 내용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2. 사회적 차별에 관심을 가지고 유리천장, 최저임금제에 대해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관점에서 기사를 작성하였는데, 그 내용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3. 행정법과 관련된 소급 적용 사례 탐구활동에서 법적 안정성에 위배되지만 예외적으로 이를 적용하는 사례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04. 분배적 정의와 공정한 분배에 대해 수업시간에 다루었는데, 그 내용은 무엇이었나요?05. 국제법 시간을 활용하여 아동복지법과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을 비교하는 보고서를 제출했었는데, 어떤 차이점이 있었나요?06. 공유경제 및 공유도시의 장단점에 대해서 분석하고 공유도시 기반 조성계획안을 제출했다고 했는데, 공유경제, 공유도시의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공유도시 기반 조성계획안의 내용에 관해서 설명해주세요. 07. 분배적 정의와 공정한 분배에 대해 수업시간에 다루었는데, 그 내용은 무엇이었나요?08.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이라는 고전을 읽었다고 나와 있는데, 생각나는 내용을 이야기해볼까요?09. 한비자와 순자의 관점을 통해 왕따 문제의 해결책을 연구했는데, 고등학교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주장인가요?10. 탄소세와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탐구한 후 정부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이라고 생각했나요?11. ‘ᄋᄋ’을 인상 깊게 탐독했다고 하는데, 어떤 점이 인상 깊었나요?12. ‘고령화 현황과 대응방안’의 보고서를 제출하였는데 보고서에 작성한 구체적인 방안 다섯 가지를 제시해 보세요.2024.09.28
-
면접 준비건국대 문과대학 면접 질문 예시 모음 (미디어커뮤니케이션&문화콘텐츠학과)<건국대 면접 질문 예시 모음>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01. 매체 수업에서 광고와 관련된 활동을 수행하였는데, 광고가 조장할 수 있는 왜곡된 인식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02. 미디어와 관련된 ‘OTT 서비스’를 주제로 선정하여 기본 개념과 정보, 성공 요인 등을 소개하는 카드뉴스를 제작하였는데, OTT 서비스의 성공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03. 정보 기술과 매체의 발달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또 그 해결방안으로는 무엇이 있을까요?04. 포털뉴스 속 어뷰징 현상에 대해 탐구했는데, 어뷰징 현상이 무엇인가요? 탐구한 내용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05. 물류센터 화재 사건 보도에 대해 팩트체크 활동을 했는데, 보도 내용에서 틀린 점이 있었나요? 활동결과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06. 플랫폼의 발전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주장했는데, 어떤 관련성이 있나요? 미디어리터러시란 무엇을 말하나요?07. 과제연구 시간에 방송물의 해외 현지화에 영향을 주는 5가지 요인을 분석했다고 했는데, 어떤 것들이 있나요.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08. 대중과 미디어의 관계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그 내용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09. 기자단으로 장애인 인식 관련 조사를 했던데, 몇 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나요? 그 결과는 어떠했나요?10. ‘시사교양 프로그램의 하락세’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이 하락하는 것인가요? 또, 왜 그렇게 생각했나요?11. 2학년 동아리에서 안전 불감증에 대한 공익 광고를 제작했는데 제작 과정과 결과는 어땠는지 얘기해주세요. 12. 언어와 매체 수업에서 다큐멘터리의 편향된 시각을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요? 문화콘텐츠학과01. 사회문화 시간에 ‘문화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OTT 서비스’를 주제로 자율 탐구를 진행하였는데, 그 내용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02. 진로 시간에 한국 콘텐츠만의 차별화 전략에 대해 탐구하였는데, 본인이 생각하는 차별화 전략은 무엇인가요?03. 문화콘텐츠의 경제적 성장에 대한 분석을 발표하였는데, 분석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해주세요. 04. 단편 소설 작업으로 AI 윤리를 소재로 도전적 서사를 구축했다고 되어있는데, 그 내용을 소개해 주세요. 05.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새로운 세계관 형성에 대해 관심이 있는데, 현재 메타버스 세계관과 관련해 잘된 사례를 든다면 무엇이 있을까요?06. 화법과 작문 시간에 ‘외국 영화와 차별화된 우리 영화의 특징’을 주제로 발표했는데,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07. 과제연구 시간에 방송물의 해외 현지화에 영향을 주는 5가지 요인을 분석했다고 했는데, 어떤 것들이 있나요.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08. 대중과 미디어의 관계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그 내용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09. 기자단으로 장애인 인식 관련 조사를 했던데, 몇 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나요? 그 결과는 어떠했나요?10. ᄋᄋ 문화반에서 제작한 콘텐츠 중 하나를 소개해 보세요. 11. K-콘텐츠 분석 활동을 했는데 K-콘텐츠의 매력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또, 향후 만들고 싶은 콘텐츠가 있다면 말해 보세요. 12. 공익콘텐츠를 기획하여 기부 관련 콘텐츠를 만들었는데, 기획 내용과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무엇이었는지 설명해 보세요.2024.09.28
-
면접 준비건국대 문과대학 면접 질문 예시 모음 (철학과&사학과&지리학과)<건국대 면접 질문 예시 모음> 철학과01. 생활과 윤리 시간에 ‘분배적 정의에 대한 노직과 롤스의 입장’을 비교하였는데, 이들의 입장이 어떻게 다른가요?02. 유대인에 대한 학살은 역사 속에서 계속돼 온 현상인데, 독일 나치에 의한 홀로코스트가 유독 문제가 되는 것은 어떠한 이유일까요?03. 플라톤의 이상 국가에서는 철인 통치자가 공동체를 다스려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데, 개인의 덕성만으로 이상적인 공동체가 달성될 수 있을까요? 그것이 아니라면 무엇이 더 필요할까요?04. 사회과제연구 수업에서 재난지원금을 유교의 민본주의, 벤담의 공리주의로 풀어낸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했는데, 그 내용을 설명해볼까요?05. ‘결정론과 인간의 자유의지’라는 주제로 토론 활동을 진행했는데, 결정론과 자유의지는 무엇인가요? 철학적인 관점에서 어떤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지 설명해 보세요. 06. 윤동주 시인의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삶과 자기성찰적 태도를 사르트르와 야스퍼스의 실존적 개념과 연결하여 발표했는데, 두 사람이 말하는 실존적 개념은 무엇인가요?07. 칸트의 정언명령에 대해 배웠다고 했는데, 제1법칙과 제2법칙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08. 기자가 되고 싶다고 했는데, 철학과에 진학하고자 하는 이유가 있나요?09. 니체의 자아와 자기에 대해 보고서 작성을 했다고 되어있는데, 두 개념이 어떻게 다른가요?10. 롤스의 ‘ᄋᄋ’을 읽고 왜 성적우수장학금이 정의롭지 않다고 생각했나요?11. 시민불복종과 관련된 소로, 롤스, 싱어의 입장을 일목요연하게 비교하고 정리했는데, 각각의 특징을 설명해 보세요. 12. ‘ᄋᄋ’을 읽었는데, 읽은 후 느낀 점을 말해 보세요. 사학과01. 동아시아사 시간에 임진 전쟁을 표현하는 용어와 그 어원을 분석하며 자국중심적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자국중심적 해석의 사례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02. 신탁통치 오보 사건이 한국 현대사에 미친 영향을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나누어 설명해주세요. 03. 한국현대사 중 유신체제에 대해 고찰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유신체제의 기여점과 한계점에 대한 본인의 생각을 설명해주세요. 04. 북한에 있는 고려 시대 유물과 유적지에 대한 관심이 있는 것 같은데, 대표적으로 하나 소개해 줄 수 있나요?05. 고궁박물관과 경복궁을 관람하며 조상들의 우수한 건축기술 및 문화를 알게 되었다고 했는데, 예를 들어 설명해보세요. 06. 반출된 문화재 환수를 위한 활동을 했다고 되어있는데, 구체적으로 어떠한 활동을 한 것인지 설명해 줄 수 있나요?07. 사학도 동아리에서 역사서술의 객관성에 대해 토론했다고 했는데 토론 내용과 본인의 입장을 설명해보세요08. 직접 답사했던 장소 중 지원자에게 가장 의미 있던 곳에 대해 말해보세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09. 3학년 때 박물관에서 문화재 소개 봉사를 했는데 소개한 내용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보세요. 10. 지역 답사를 다니며 광무개혁을 조사했는데 답사한 곳 중 인상 깊었던 곳은 어디이며 이유는 무엇인가요?11. 한국사 시간에 풍수지리와 얽힌 역사적 사실을 발표하는 활동을 했는데, 그 내용을 설명해 주세요. 12. ‘ᄋᄋ’을 읽었는데, 가장 기억에 남는 구절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것을 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예시를 말해주세요 지리학과01. 도시와 지역의 불균형 개발과 불평등한 공간 속에서 건강하지 못한 지역사회가 만들어진다고 진단했는데, 본인이 생각하는 해결책은 무엇인가요?02. 한국지리 시간에 한반도의 형성과정에 대해서 학습하였는데, 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03. 동아리 활동을 통해 지리적 위치를 활용한 기업 경영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해서 발표하였는데, 어떤 내용이었나요?04. AED(자동심장충격기) 지도 만들기 활동을 했는데, 해당 활동을 통해 새롭게 깨달은 점이 있나요?05. 우리나라의 지역별 식중독, 천식, 폐렴 위험도 지도를 활용해 위험성이 높은 지역을 찾았다고 했는데, 식중독에 가장 취약한 지역은 어디인가요?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06. 세계지리 시간에 위도에 따른 기후별 식생 특징을 조사해서 발표했다고 했는데, 위도 외에도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07. 지방 도시의 쇠퇴와 지역 불균형 문제에 대해서 발표했는데, 지원자가 생각하는 문제는 어떤 것이 있나요? 해결방안은 무엇인가요?08. ‘세계 각국의 도시재생사업’을 주제로 수업을 진행했는데 지원자가 생각하는 도시재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에서 도시재생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09. 에코투어리즘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는데, 에코투어리즘이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에서 에코투어리즘이 발전하려면 어떻게 접근해야하나요?10. ᄋᄋ지역의 문화적 특성과 지리적 특성을 탐구한 방법과 내용을 설명해 보세요. 11. 우크라이나 전쟁의 원인을 다양한 지도를 분석하여 찾아내는 활동을 했는데, 어떤 지도를 사용했나요? 12. 단절된 도시의 연결성 회복에 대한 글을 읽고 핌피현상과 도시 단절을 어떻게 생각했나요?2024.09.28
-
면접 준비건국대 문과대학 면접 질문 예시 (국어국문&영어영문&중어중문학과)▣ 건국대 면접 질문 예시 모음 국어국문학과01. ‘통신 문학의 역사와 현대의 인터넷 문화’를 주제로 칼럼을 작성하였는데, 디지털 시대에 문학이 왜 위기를 맞이하였다고 생각하나요?02. <나목> 작품을 분석하였는데, 작품 속 ‘고목’과 ‘나목’의 의미는 각각 무엇인가요?03. ‘비평 이론의 모든 것’을 읽고 여러 비평 이론과 문예 사조를 공부했는데, 비평의 역할은 무엇이라 생각하나요? 가장 잘 된 문학비평의 예시가 있나요?04. ‘문학적 재현’이 전해주는 고통과 감정을 느끼며 재현의 기능과 능력을 체감했다고 했는데, 구체적으로재현의 기능과 능력은 무엇인가요?05. 동아리에서 한국어와 영어 표현 형태에 따른 문화적 차이를 연구했는데, 연구내용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 06.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하여 <홍길동전>, <운영전>을 분석했다고 했는데, 텍스트마이닝이란 무엇인가요? 분석 과정에서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은 무엇인가요?07. 교지편집 동아리에서 아동문학가를 인터뷰했다고 했는데 어떻게 섭외를 진행했나요? 인터뷰 내용 중에서 기억에 남는 내용이 있나요?08. 고전 수업에서 ‘홍계월전’과 영화 ‘철의 여인’을 분석한 글을 작성했다고 했는데, 어떤 관련성이 있나요?09. 화법과 작문 수업에서 문학의 특성을 거울에 비유해서 설명했던데, 그렇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인가요?어떤 문학작품에서 그런 경험을 하게 되었나요?10.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ᄋᄋ창작활동은 어느 작가의 어떤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것인가요?11. 독서의 중요성과 독서 방법에 대한 캠페인 활동에 관심이 많은데, 본인의 사례를 들어 독서의 가치를설명해 보세요. 12. 창작극의 극본을 썼다고 하는데 그 내용은 무엇이고, 그 경험을 통해 얻은 것은 무엇인가요? 영어영문학과01. ‘상징으로서의 언어’ 영어 지문 분석 후 보고서를 작성하였는데, 상징으로서의 언어란 무엇인가요?02. 영어 독해와 작문 시간에 언어의 노후화에 대해 학습하였는데, 언어 노후화의 발생 요인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03. ‘영어의 공용화와 이중 언어 정책’에 대해 주제탐구를 하였는데, 이와 관련하여 본인이 바람직하다고생각하는 방향은 무엇인가요?04. ‘영미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오리엔탈리즘'이라는 제목으로 주제탐구를 했는데, 어떤 작품을 대상으로했나요? 그 안에 담긴 동양에 대한 시선은 어땠나요?05. <동물 농장>, <호밀밭의 파수꾼>을 한글로 번역한 후, 기존 번역본과 대조하는 활동을 했다고 했는데, 번역할 때 가장 어려웠던 점과 극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6. 영미문화감상반에서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의 차이점에 대해 탐색했는데,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그러한 차이점이 갖는 사회·역사적 의미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07. 영어 수업에서 영어 단어에 담긴 신화 이야기를 발표했다고 했는데, 어떤 내용이었나요?08. 동아리에서 난민문제에 대한 외국인들 인식 조사 앙케이트를 했다고 했는데, 몇 명을 대상으로 했나요? 조사 결과는 어떻게 나왔나요? 본인이 맡았던 역할은 무엇이었나요?09. 학급 진로 포럼에서 인공지능 번역의 취약점에 대해 발표했는데, 어떤 취약점이 있나요? 구체적인 오역 사례로는 무엇이 있었나요? 이를 보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10. ‘ᄋᄋ’을 좋아한다고 되어있는데, 이 작품의 내용을 간단히 소개해 보세요. 11. 심화탐구 활동을 통해 각 국의 자국어 보호 정책을 조사했는데 그 내용을 설명해 주세요. 12. 우리나라 고전문학과 영문학에서 풍자의 차이점을 조사하였는데, 조사한 내용을 설명해 보세요. 중어중문학과01. 문자로서의 ‘한자’가 중국 문학의 안정성에 기여했다는 지원자의 관점은 어떤 근거에서 출발한 것인가요?02. 중국어 시간에 한·중 교육정책의 차이와 중국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점을 주제로 발표하였는데, 양국 교육정책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중국 교육의 개선점은 무엇일까요?03. 세계사 시간에 시진핑 시기의 통치이념 ‘중국몽’에 대해 탐구활동을 진행했는데, ‘중국몽’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04. 진로탐색 활동으로 번체자와 간체자가 발생한 과정을 중국역사를 통해서 이해했다고 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05. 중국어 초기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자 선행지식과 중국어 학습력의 관계를 주제로 계획서를 작성하였는데, 해당 연구의 목적은 무엇이었나요?06. 중국어로 번역된 우리나라 작품들이 드물다는 것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숙영낭자전>을 중국어로 번역했는데, 이 작품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번역과정에서 힘들었던 점은 무엇인가요?07. 중국문화동아리에서 중국 관광지 주제로 중국어 기사를 작성했다고 했는데, 어떤 곳을 선정했나요? 중국문화에 대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 있나요?08. 화법과 작문 시간에 중국어와 한자어의 관계에 대해 발표했다고 했는데,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나요?09. 언론탄압에 대한 중국인들의 반응 조사를 했다고 했는데, 어떻게 진행했나요? 참고한 자료들은 무엇이있나요?10. 한국어 화자가 중국어 학습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음운변동으로 유음화,연음, ᄅ의 비음화 등을 제시하였는데, 그중 한 가지를 구체적인 예를들어 설명해 보세요. 11. 한국과 중국의 한시를 비교하는 심화탐구보고서를 작성했는데 비교한 내용을 설명해 보세요. 12. ‘택시 속의 사회학’ 기사를 읽고 중국어로 줄거리를 요약하는 활동을 했는데 진행 과정 중에 어려웠던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2024.09.28
-
면접 준비건국대학교 KU 학생부위주전형 면접 팁!건국대학교 KU 학생부위주전형 가이드북 수록 면접 질문 예시 모음 건국대는 많은 학생들에게 인기있는 학교인데요. 저도 현역으로 건국대학교 KU자기추천형 (면접형) 에 지원하였고, 합격했었습니다!건국대학교의 학생종합전형 면접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면접 질문 예시는 무엇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건국대 학생부종합전형 면접 평가 1. 평가 방법면접 시간 : 10분 내외(지원자 1명에 면접위원 2명이 개별 면접으로 진행)면접 방식 : 제출서류(학생부)에 기반한 서류의 진위여부와 인성을 중심으로 종합 평가블라인드 면접 : 출신고교를 나타낼 수 있는 교복 착용 금지, 본인의 이름, 고교명, 수험번호 언급 금지 2. 평가요소 및 평가항목 [2024학년도 이후 적용]평가요소 배점 평가항목 -학업역량 300점 학업성취도, 탐구력, 학업태도-진로역량 400점진공(계열)관련 교과 이수 노력, 전공(계열)관련 교과성취도, 진로탐색 활동과 경험-공동체역량 300점 협업과 소통 능력, 나눔과 배려, 성실성과 규칙준수, 리더십 3. 면접 진행과정면접 전 대기실 -> 면접 고사실 이동 -> 면접 고사실 입실 -> 면접 평가 -> 면접 후 대기실 -> 귀가 4. 건국대 면접 팁 1) 평소에 활동한 내용을 잘 기록해두고, 면접 전 꼼꼼히 리뷰하기건국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면접은 100% 제출 서류를 기반으로 하며 학생들이 했던 활동에 대한 진위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이때 모든 질문은 해당 서류에 서만 나오게 되므로 면접을 잘 보기 위해서는 학교생활기록부의 내용을 잘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평소에 본인이 했던 다양한 활동들에 대해 시작한 계기, 과정 및 결 과, 배우고 느낀 점 등을 잘 정리해두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모의면접으로 면접 상황 미리 대비하기일부 학생들이 면접 시 긴장을 많이 하여 제대로 답변을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따라서 사전에 친구들과 서로 면접관-면접자가 되어서 면접 상황에 대해 경험해보기를 권합니다. 이 때 답변을 알맞게 하고 있는지, 제한된 시간 내에 답변하고 있는지, 발음은 잘 전달이 되는지 등을 체크하면서 피드백을 주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발표, 토론 등 말하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수업과 교내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면접위원의 질문 의도 파악하기면접 시 외운 답변으로만 답할 경우 면접위원이 물어보는 질문과 상관없이 개념 설명을 한다거나, 지원동기와 포부만 답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게 외운 답변에 대해 추가 질문을 받게 되면 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외운 답변을 말하기 보다는 질문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고 그에 대해 자신감 있게 답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4) 면접이 끝날 때까지 최선을 다하기 건국대학교 면접은 10분 내외로 진행되며, 대체로 5~7개의 질문과 그와 관련된 꼬리 질문들로 이루어집니다. 간혹 학생들 중 질문에 대해 제대로 된 답변을 못하는 경우, 당황하여 이어지는 질문에 끝까지 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면접은 온전히 지원자 자신의 시간이므로 면접이 끝날 때까지 포기하지 말고 성하게 답변해주시기를 바랍니다.2024.09.28
-
면접 준비서울시립대학교 면접 기출 문제 -중국어문화학과& 신소재공학과2025학년도 서울시립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1 면접형의 경우 서류평가 50% +면접 50% 입니다.면접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만큼 면접의 중요성이 매우 큽니다. 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 합격자의 면접 질문 기출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시립대는 면접을 시작하기 전 주의사항을 읽습니다. 왜 면접 전에 이걸 하는지 교수님께 직접 물어보았는데, 주의사항을 상기시키면서 학생들의 긴장감을 풀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시립대의 경우 면접 시간이 12분입니다! 다른 학교에 비해 약간 긴 편입니다. 1. 서울시립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 면접 - 중국어문화학과 ◎ 긴장하지 말고 책상 위에 있는 블라인드 면접 주의사항을 소리내어 읽고 면접을 시작할께요. ◎ 와보니까 학교는 어떤가요? >>> 이 질문들은 면접 전 긴장을 풀기 위한 것들입니다. 부담 없이 대답하면 됩니다! ◎ 독서기록을 보고 질문을 하였는데, “OOO의 작품의 줄거리와 특징에 대해서 말해보세요.” 추가 질문 - 작가가 이 작품을 쓰게 된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나요?추가 질문 - 작품의 배경이 되는 역사적 사건에 대해서 알고 있나요? ◎ 학생부를 보니 책을 많이 읽었는데요, 어떤 이유로 이렇게 책을 좋아하게 되었고, 좋아하는 장르가 있나요? ◎ 생기부를 보면 산업화와 도시화에 관심이 있다고 했는데, 중국과 관련된 책도 읽어 봤나요? ◎ 생기부에서 언급했던 시안사건에 대해서 설명해볼래요? 추가질문 – 시안이 어떤 도시인지 혹시 알고 있나요? ◎ 동아리 활동질문으로 학생부에 동아리 편집장으로 열심히 활동을 했다고 써 있는데요. 동아리 활동에서 맡은 직무의 핵심 역할이 무엇인가요? 추가질문 - 편집장으로서 갈등이 생겼을 때 어떠한 역할을 하셨나요? ◎ 시간이 다 돼서 마무리 발언 듣고 종료하도록 하겠습니다. 2. 서울시립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합격자 면접 - 신소재공학과 ◎ 긴장하지 말고 책상위에 있는 블라인드 면접 주의사항을 소리내어 읽고 면접을 시작할게요. ◎ 학생부에 나와있는 내용중에 주사전자현미경의 원리에 대해 설명해줄 수 있나요? 추가질문 – 시료를 코팅한다고 했는데, 전기가 흐르지 않는 시료는 관측할 수 없는 것인가요?추가질문 – 전자현미경 렌즈와 광학현미경 렌즈는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 줄 수 있나요?추가질문 – 전자현미경에서 자기렌즈가 어떻게 전자를 움질일까요? ◎ 생기부에 1학년 세부능력 특기사항에 압전소자와 열전소자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했다고 했는데, 이 두 소자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나요? ◎ 학교생활기록부와 자기소개서에 자율활동 동아리활동에서 태양전지를 만드는 실험을 2번에 걸쳐서 했다고 나오는데, 첫 번째 실험에서의 문제점을 두 번째 실험에서 보완했다고 나오는데, 어떤 점을 다르게 하셨나요? 추가질문 – 태양전지가 정상적으로 제작되었다는 것을 어떻게 확인했습니까?추가질문 – 전압은 어땠나요?추가질문 – 혹시 그러면 광원의 거리에 따른 발전량의 차이를 확인해 보셨나요?추가질문 - 이런 실험을 한 동아리에서 본인은 주로 어떤 역할을 맡으셨나요? ◎ 입자의 결정구조는 몇 가지가 있고 어떤게 있는지 설명할 수 있나요? ◎ 화학2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에 각 결정구조의 채움률을 계산했다고 나와있는데, 채움률을 어떻게 구했는지 설명해 줄 수 있나요? ◎ 네, 시간이 다 됐네요.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을까요?2024.09.21
-
면접 준비"학업역량/전공적합성/인성"을 평가하기에 좋은 <면접 질문 소재>공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저는 현역으로 5군데 대학 면접을 봐서,5곳 모두 합격을 했었습니다! 보통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면접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서울시립대 2024년도 수시모집을 기준으로 면접형은 면접 40%+서류60%였습니다. 서울시립대 2025년도 수시모집에서는 면접이 50%로 늘어났는데요. 그만큼 면접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서울시립대의 면접은 질문 난이도 자체가 어렵고, 심화된 내용을 많이 물어봅니다. 다른 대학들의 경우도 면접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면접을 보는 이유와 면접질문 소재들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이전 스토리노트들에서 면접 꿀팁에 대해 소개했으니 궁금하다면 읽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대학 면접의 핵심&학업역량/전공적합성/인성을 평가하기에 좋은 면접 질문 소재 수시 접수가 마무리되면, 수능시험과 면접이 남습니다. 대학 입시를 위한 면접 준비 또한 매우 중요한데요.보통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면접 평가를 합니다, 어떤 학생들은'생기부와 내신 성적, 수능 성적만으로 학생을 평가하는 것이 더 간편한 거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대학에서 면접을 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서류신뢰도 진위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평가이며 지원자가 제출한 서류에 대한 검증이 기본 방향입니다. 학교생활기록부 등 제출서류 모든 기록이 면접 질문이 될 수 있습니다.우선순위로 서류평가에서 입학사정관이 지원자의 강점과 역량으로 인정하는 부분과 학업 태도 및 연구결과 지식 수준, 공동체 역량 등 종합적으로 재확인합니다. #서류신뢰도 면접의 핵심전공적합성 우수한 학생은 지원학과 관련된 활동의 수준과 지식을 평가하며, 독서 활동에 동기와 책을 통해 배운 지식의 활동 수준, 공동체 활동에서 역할에 대한 리더 자질까지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활동 과정을 구성하고 결과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야 한다. 학생이 제출한 서류와 면접에서의 답변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서류의 진위여부에 의심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면접 전에 제출한 서류들의 기록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답변을 연습하는 것은 좋은 준비 방법입니다. #학업역량을 평가하기 좋은 질문 소재 -관심을 두고 노력한 과목-교과 수업 시간에 발표하거나 토론한 주제-실험한 결과물인 주제탐구보고서-다른 과목에 비해 성적이 저조한 과목 -선생님이 우수한 결과물이라고 평가한 내용 #전공적합성을 평가하기 좋은 질문 소재 -학과에 지원한 동기가 무엇인지?-지원학과 준비 노력은?-전공학업에 대한 세부능력에서 주도적인 활동-학년마다 같은 주제로 연구한 내용-전공관련 동아리에서 연구한 내용 -진로활동 및 수행평가를 통해 심화된 지식으로 연구한 내용 #인성 평가하기에 좋은 질문 소재 -자발적인 협력을 통해 공동의 과제를 완성한 경험-상대방의 어려움을 헤아려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한 경험 -학습 멘토 활동이나 어려운 처지의 동료를 도왔던 경험-수업이나 교과 외 활동 등에서 자신의 의견을 효과적으로 표현한 경험 -학교의 규정이나 규칙을 어긴 경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출결상황에 무단결석, 지각, 공동체 활동에서 리더로서 역할을 충실히 한 내용 최근 교과 수업 활동이 많아지고,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의 기록이 중요하게 평가됨에 따라 면접에서도 확인 질문이 늘어날 것입니다.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의 수행평가, 발표, 토론 등 그때 상황을 정리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또한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생활기록부를 첨부파일로 입력하면 학생에게 맞춤형 질문 사항을 자동적으로 생성해 주는 역할도 있는 만큼 한번 이용해 보길 추천합니다!2024.09.21
-
면접 준비"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의 기본 (4)"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의 기본 (4)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 저는 현역으로 5군데 대학 면접을 봐서, 5곳 모두 합격을 했었습니다! 보통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면접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서울시립대 2024년도 수시모집을 기준으로 면접형은 면접 40%+서류60%였습니다. 서울시립대 2025년도 수시모집에서는 면접이 50%로 늘어났는데요. 그만큼 면접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시립대의 면접은 질문 난이도 자체가 어렵고, 심화된 내용을 많이 물어봅니다. 다른 대학들의 경우도 면접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면접 합격률 100% 선배로서, 면접 준비의 기본 (4)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앞선 스토리노트에 면접준비의 기본 (1), (2), (3)이 나와있으니 궁금하다면 보는 걸 추천할게요ㅎㅎ 11. 마인드 컨트롤 하기 면접을 준비하면서 마인드 컨트롤하는 것이 정말 중요한데요.저는 면접이 5개라서 특히 더 불안했습니다. 면접에 자신있어서 면접 전형을 썼지만, 언제나 변수는 있기에 철저하게 준비했습니다.면접 준비하면서 불안하고, 부정적인 생각이 들때면 “대학교에서 나를 뽑지 않으면 인재를 놓치는 것이다”“나는 뛰어난 인재다”“할 수 있다!!”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나를 스스로 믿고 자신감을 가지는 것이 마인드컨크롤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면접장에 들어가기 전 대기실에 있는데요. 이때가 가장 떨립니다. 주변에 있는 학생들은 모두 나의 경쟁자이고, 내가 이들보다 더 잘해야 대학에 합격할 수 있다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쉽게 무너지면 안됩니다!! 나는 대학이 놓치면 후회할 인재라는 것을 되새기며 준비한 대로 잘 하면 됩니다. 12. 너무 암기한 듯이 말하지 않도록 하자 면접 꿀팁 스토리노트 (1)에서 필수로 준비해야 멘토 ( 자기소개/지원동기/진로계획/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 )를 알려드렸는데요~ (혹시 이전 스토리노트들을 보지 않으셨다면...? 보고 오시는 걸 추천드릴게요!! ) 미리 멘트를 준비하다보면 말을 할 때 외운 티가 날 수 있습니다. 답변을 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너무 딱딱하고, 암기한 것처럼 보이면 오히려 안 좋을 수 있습니다. 암기한 답변이 있다면 내가 그걸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점검해보면서 최대한 자연스럽게 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3. 여유+ 미소가 있으면 좋다누구나 면접장에 들어가면 떨립니다.저도 떨렸습니다.면접에 합격하려면 남들보다 더 우수한 점이 있어야겠죠..??누구나 떨리고 긴장한 모습이겠지만, 여러분은 여유+미소를 보여주면 좋습니다.그러면 면접관은 ‘이 학생은 다른 학생들보다 여유롭고 자신감이 있어 보이네??’라고 생각하면서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실제로 교수님께서 여유+미소가 있는 학생을 더 선호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저도 면접장에서는 안정감과 자신감 있는 모습을 보여드리고자 노력했습니다. 제가 알려드린 면접 꿀팁을 가지고 면접 준비에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다음 스토리노트에서는 <예상질문을 만들어야 할까?>를 다룰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2024.09.19
-
면접 준비"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의 기본 (3)"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의 기본 (3)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 저는 현역으로 5군데 대학 면접을 봐서, 5곳 모두 합격을 했었습니다! 보통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면접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서울시립대 2024년도 수시모집을 기준으로 면접형은 면접 40%+서류60%였습니다. 서울시립대 2025년도 수시모집에서는 면접이 50%로 늘어났는데요. 그만큼 면접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시립대의 면접은 질문 난이도 자체가 어렵고, 심화된 내용을 많이 물어봅니다. 다른 대학들의 경우도 면접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면접 합격률 100% 선배로서, 면접 준비의 기본 (3)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앞선 스토리노트에 면접준비의 기본 (1), (2)가 나와있으니 궁금하다면 보는 걸 추천할게요ㅎㅎ 7. 모의 면접 많이 하기학교마다 선생님께서 모의 면접을 해주시는 곳도 있습니다. 제가 다닌 고등학교에서도 모의 면접 프로그램이 있었는데요. 저는 이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선생님 2명과 모의면접을 주로 봤었고(5회), 선생님께서 피드백해주시는 부분과 면접 영상을 찍은 것을 보면서 보완해 나갔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선생님, 친구들에게 모의 면접을 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항상 같은 선생님께만 면접을 보지 않았고, 다양한 과목 선생님이나 잘 모르는 선생님들께 면접도 봤습니다.실제 면접 분위기처럼 긴장감을 느끼고, 실전연습을 해서 더 잘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8. 말을 할 때 조리있고, 논리적으로 말하는 연습하기-면접에서는 ‘두괄식’으로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평소에 친구나 부모님과 대화하면서 자신의 주장과 근거를 말할 때 조리있게 말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신이 한 말을 녹음한 후 들어보기 -> 자신의 말을 글로 표현해주는 앱을 이용해보기 (앱 이름은 뒤에 나와요~!) 9. 학과와 관련된 책을 읽었을 경우, 책의 내용/ 학자의 주장/ 인상깊은 점 등 무조건 준비하기!!생기부에 책을 읽었다고 나와있는 경우. 책을 제대로 읽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책에 대해 깊이 물어보는 경우가 있습니다.학생이 책의 내용을 알고 있는지 학자의 주장이나 책의 내용 등을 물어보고, 책에 대한 학생의 생각에 대해 꼬리질문 하기도 합니다. 제가 면접 본 대학 5곳 중 2곳에서 제가 읽은 책에 대해 깊이 있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만약 희망 진로와 관련된 책이나 세특에 중요하게 적힌 독서 내용이 있다면 책의 내용/ 학자의 주장/ 인상 깊은 점은 무조건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10. 도움되는 앱 (진짜 꿀팁!!!)-카메라 카메라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한다면 말을 할 때 어떤 행동을 하고, 언어습관은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말을 잘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면접에서는 ‘비언어적인 행동’도 중요합니다. 자신에게 말하면서 하면 안좋은 악습관이 있는지 영상을 통해 보면서 고쳐나가야 합니다. -다글로, 클로바노트다글로, 클로바노트는 목소리를 녹음하면 글로 표현해주는 편리한 앱입니다.면접연습을 할 때 제가 많이 이용했는데요. 제가 어떤 말을 했는지 글로 볼 수 있으니 언어습관을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이 두괄식으로 말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한다면 악습관들을 고쳐나갈 수 있습니다.2024.09.16
-
면접 준비"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의 기본 (2)"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의 기본 (2) 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 저는 현역으로 5군데 대학 면접을 봐서,5곳 모두 합격을 했었습니다! 보통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면접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서울시립대 2024년도 수시모집을 기준으로 면접형은 면접 40%+서류60%였습니다. 서울시립대 2025년도 수시모집에서는 면접이 50%로 늘어났는데요. 그만큼 면접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시립대의 면접은 질문 난이도 자체가 어렵고, 심화된 내용을 많이 물어봅니다. 다른 대학들의 경우도 면접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면접 합격률 100% 선배로서, 면접 준비의 기본 (2)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3. 탐구활동/ 프로젝트 등을 하면서 참고했던 자료, 결과물 등 모두 모으기 생기부를 분석을 하면서 자신이 어떤 활동을 했는지 알게 되는데요. 어떤 활동을 했는지만 알면 안됩니다! 탐구활동/프로젝트 등을 진행하면서 참고했던 자료는 무엇인지, 왜 했는지, 탐구의 결과는 무엇인지, 느낀점/한계점/시사점은 무엇인지 준비해야 합니다. 실제로 탐구활동을 하면서 참고했던 자료나 결과물을 직접 보면서 준비하는 것이 수월하기 때문에 절대로 자료들을 삭제하면 안됩니다! 저는 노트북에 학년별 탐구활동 모음집 폴더를 만들어서 정리를 했습니다. 고3 면접을 준비할 때 원하는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4. 어려운 용어의 뜻 알아두기세특에 ~이론, 전문 용어 등이 나와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도 사회학 이론이나 학자의 연구 (ex. 콜만의 교육불평등) 등 단어들이 많이 등장했는데요. 면접에서 이 용어의 정의가 무엇인지 물어보기도 했습니다. 특히 교육학 세특에 ‘콜만의 교육불평등’이 등장했는데,콜만의 교육불평등이란 무엇인지 설명해보라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이렇게 심화 용어, 전문 용어나 이론 등이 등장하면 정말로 그걸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질문이 나올 수 있으니 뜻을 암기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는 콜만의 교육불평등이란 무엇인지 정의를 암기했었습니다. 5. 탐구활동의 동기, 과정, 느낀점 준비하기 대학에서 좋아하는 세특의 구조는 [동기-과정-결과]라고 전에 스토리노트에서 언급했었는데요.(혹시라도 보지 않으셨다면 보고 오는 것을 추천드릴게요ㅎㅎ) 면접에서는 세특에 나와있는 활동에 대해 물어봅니다. 만약 생기부에 ~활동을 함. 이라고만 서술되어 있으면 왜 했는지, 자세한 과정은 무엇인지 물어볼 수 있습니다. 학생이 실제로 탐구를 제대로 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입니다! 그렇기에 학생들은 –탐구에 대해서 동기, 과정, 느낀점(한계점, 시사점 등)을 무조건 준비해야합니다.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활동이나 짧게 서술된 활동 등에 대해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앞으로 알려드릴 면접 꿀팁들이 정말 많습니다!!궁금하다면 "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의 기본 (3)을 읽는 걸 추천드릴게요!혹시라도 [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의 기본 (1)]을 보지 않았다면,,,보는 것이 면접 대비에 유리합니다!2024.09.14
-
면접 준비"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의 기본 (1)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저는 현역으로 5군데 대학 면접을 봐서,5곳 모두 합격을 했었습니다! 보통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면접이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서울시립대 2024년도 수시모집을 기준으로 면접형은 면접 40%+서류60%였습니다.서울시립대 2025년도 수시모집에서는 면접이 50%로 늘어났는데요.그만큼 면접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서울시립대의 면접은 질문 난이도 자체가 어렵고, 심화된 내용을 많이 물어봅니다.다른 대학들의 경우도 면접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면접 합격률 100% 선배로서, 면접 준비의 기본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필수로 준비해야 하는 멘트: 자기소개/지원동기/진로계획/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 자기소개, 지원동기 둘 중 하나는 대부분 대학교에서 물어봤었습니다.자기소개와 지원동기에 대한 답변은 서로 비슷한데요.만약 자기소개를 하라고 하면 ~것에 관심있는 사람이다. ~그래서 이 학과에 지원했다라고 풀 수 있습니다.또한 지원동기로는 나는 ~이런 사람이다라는 것을 먼저 밝힐 수 밖에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에는 어떤 말을 하면 좋을까? -미리 준비할 경우희망 진로 관련 책을 읽으면서 알게된 인상깊은 구절을 예시로 들면서 이 학과에 오고 싶다는 간절함과 지식을 드러내면 좋습니다!저는 사회학과 관련된 책을 읽으면서 사회학이란 무엇인지 의사와 환자의 관계로 비유한 문장을 보게 되었는데요.이 문구를 예시로 들면서 사회학에 대해 평소 나는 무엇이라고 생각했는지 등을 드러낼 수 있었습니다. 이 학과에 너무 오고 싶다거나, 학문을 공부하고 싶은 열정을 드러낼 수 있는 말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미리 준비하지 않을 경우면접을 보면서 모든 질문에 대해 완벽하게 답했을 수 있지만, 아쉬운 답을 했을 수도 있습니다.만약 아쉬웠던 부분이 있거나, 기억이 안나는 부분이 있다면,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을 이용하면 좋습니다!이걸 기회로 삼아서 좀더 보완하고, 완벽하게 다시 답을 한다면 면접관들에게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해보세요~”학생) “아까 ~질문에 대한 저의 답변이 미숙했던 것 같습니다.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 이런 형식으로 다시 말한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주의**마지막 말은 너무 길게 하면 안됩니다!! 10초~30초 사이로 간결하고 인상깊은 말을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진로계획 준비하기 (정말 중요!!)요즘 트렌드는 자기소개와 지원동기를 묻기보단 진로계획을 더 물어보는 것 같았습니다.자기소개와 지원동기를 물어본 대학보다, 진로계획을 물어보는 대학들이 훨씬 많았습니다.진로계획은 자기소개와 지원동기를 아우를 수 있는 답을 할 수 있으면서, 전공에 대한 자신의 관심사와 비전을 알 수 있기에 물어보는 것 같은데요.면접 초반에 하는 질문이니 면접 분위기와 인상을 바꿀 수 있는 질문인 것 같습니다. 2. 나의 생기부를 꼼꼼히 분석하기 어떤 질문이 나올지 예측하기 전에 가장 필수로 해야하는 일이 있는데요~바로 생기부를 꼼꼼히 읽어보는 것입니다!!내가 3년 동안 어떤 활동들을 했는지 정확히 알아야 질문도 예측할 수 있고, 잘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구체적으로 서술된 세특에 나오는 활동들, 진로와 관련된 과목들의 세특들은 좀 더 자세히 봐야합니다. 저는 생기부를 5번 이상 읽었습니다.생기부를 여러 번 읽을 수록 내가 한 활동들이 머리 속에서 정리되는 느낌이고, 어떤 것이 중요한 지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최소 3번 이상 생기부를 정독한다고 마음을 먹고 준비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더 많은 꿀팁들이 궁금하다면??스토리노트 "면접 합격률 100%" 선배가 알려주는 면접 준비의 기본 (2)를 읽어보는 걸 추천합니다!!2024.09.14
-
면접 준비면접의 중요성: 왜 면접 준비가 중요한가?면접의 중요성: 왜 면접 준비가 중요한가? 고등학생들은 대학 진학을 위해 면접을 경험하게 됩니다. 면접은 단순히 질문에 답하는 자리 이상으로, 자신을 표현하고 평가받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따라서 면접 준비는 학생들에게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면접 준비의 중요성과 그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면접은 자신의 강점을 부각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이력서나 자기소개서에서 자신의 경험이나 성취를 나열하지만, 면접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더 깊이 있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면접관은 지원자의 말투, 태도, 자신감 등을 통해 지원자를 더 잘 이해하게 됩니다. 따라서 면접 준비를 통해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어떤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를 명확히 정리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면접에서 자신의 강점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둘째, 면접은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서 자신을 차별화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특히 원하는 대학이나 직장에 많은 지원자가 몰리는 경우, 면접에서의 인상이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준비가 부족한 상태로 임하면, 다른 지원자들에 비해 불리한 위치에 놓일 수 있습니다. 반면, 철저한 준비를 통해 자신만의 매력을 강조하고, 질문에 대한 명확하고 자신감 있는 답변을 할 수 있다면, 면접관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셋째, 면접 준비는 자신감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면접에 대한 두려움과 긴장은 많은 학생들이 겪는 공통적인 문제입니다. 하지만 충분한 준비를 통해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연습하고, 모의 면접을 통해 실제 상황을 체험하면 자신감이 생깁니다. 자신감은 말투와 행동에 자연스럽게 나타나며, 이는 면접관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준비가 잘 된 상태의 학생은 면접 중에도 차분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넷째, 면접은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좋은 기회입니다. 면접 준비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는 앞으로의 학업이나 직장 생활에서도 중요한 능력입니다. 면접을 통해 연습한 소통 능력은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면접 준비는 자기 성찰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준비 과정에서 자신이 어떤 목표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돌아보게 됩니다. 이는 단순히 면접을 위한 준비를 넘어서, 자신의 인생 방향성을 점검하고 발전시키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면접 준비는 고등학생들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는 자신을 표현하고 경쟁에서 차별화되는 기회를 제공하며, 자신감을 높이고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철저한 면접 준비를 통해 성공적인 면접 경험을 쌓고, 앞으로의 진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면접은 단순한 질문과 답변의 과정이 아니라, 자신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단계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저는 5면접 5합격을 하여 면접 성공률 100%이었습니다.다음 스토리노트부터는 면접준비 꿀팁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2024.09.14
-
학생부 관리「경제수학」 일본의 버블경제 분석 비교경제수학 발표자료 <일본의 버블경제 원인 분석하고 현재 한국의 상황과 비교분석하기> “이미 우리나라는 장기 저성장 구조로 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출산과 고령화가 워낙 심해서요” -한국은행 총재 이창용 한국의 20년 후가 일본의 모습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다.우리나라가 일본의 장기 저성장을 똑같이 따라가는 중일까? #일본의 버블경제 원인일본 버블경제란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지속된 일본의 과열경제 현상을 말한다. 이 기간 동안 일본의 토지 가격과 주식 가격이 폭등하며 거품이 형성되었고, 이후 급격하게 붕괴되면서 경제 위기가 발생했다. 일본 버블경제의 원인은 다양한 측면에서 다뤄질 수 있다. 1)금리 정책 : 일본은 1980년대 말, 금리를 낮게 유지하여 자금을 쉽게 투입하게 함으로써 경제를 촉진하려 했다. 그러나 이렇게 급격하게 낮은 금리로 인해 은행들은 손쉽게 대출 자금을 창출하며, 부동산과 주식시장에 과도한 자금이 몰리게 되었다. 이는 미래에 대한 과도한 기대감을 부추겨, 과열경제를 겪게 한다.2) 화폐 가치의 상승 : 일본 엔화는 1980년대 후반부터 매우 강세를 보이며 고평가 상태였다. 이에 따라 일본 국민들의 구매력이 강화되어 엄청난 투자자금이 부동산 시장, 주식 시장에 몰렸다. 이에 따른 폭등한 자산 가치는 일본 경제에 버블 현상을 야기했다. 일본과 한국의 저성장, 어떻게 다를까? 일본은 한국과 달리 인구가 1억명이 넘는다. (2023년 기준 한국: 5천 2백만명, 일본: 1억 3천만명) 실제 어떤 나라가 경제적으로 대국이 되고 외국의 수출에 크게 의존하지 않으려면 내수시장이 만만치 않게 있으면 된다. 그러다 보니까 일본의 특정 산업같은 경우(식품, 건축)는 수출을 하지 않아도 된다. -저성장이란?국가가 얼마만큼 성장하느냐는 그 나라 안에서 생산활동, 소비활동, 투자활동이 얼마나 많이 일어나는지를 기반으로 측정된다. 실질적으로 국가의 성장은 더 많이 만들거나 순환이 되면 성장했다고 얘기를 한다. -저성장의 원인한국은 사람이 재산인 나라인데, 저출산과 고령화로 사람이 줄어들고 일할사람이 점점 모자라진다는 것은 앞으로 저성장 구조로 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인구구조적인 부분으로 인해서 재정적인 흐름은 정해진 미래이다. 경제 변수중에서 가장 예측하기 쉬운 변수는 인구구조이기 때문이다. -한국도 일본처럼 잃어버린 n년을 보낼까?일본의 잃어버린 30년: 1980년대 부동산, 주식 가격이 거품으로 인해 천정부지로 오르다 거품이 꺼지면서 장기 저성장을 겪은 일자산시장은 일본처럼 될 가능성이 크다.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만든 주범은 저출산, 고령화이다. 일본의 국민연금이 쌓이는 것보다 쓰는게 많아졌다. 다시 돈을 찾기 위해 일본 국민연금이 투자해논 일본의 증시에서 돈을 뺀다. 한국같은 경우도 2035년까지는 국민연금이 늘고 있다. 우리나라 자산시장에서 시총이 높은 회사들의 대주주 2~4등 안에 국민연금이 들어가 있다. 대주주가 주식을 팔기 시작하면 이 국민연금이 각각 투자해 넣어놨던 돈을 2035년부터 빼야 되면 매우 난감해지게 된다.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이 끝났을까?일본의 상황징후: 부동산, 주식시장 급등전셰세 모든국가가 금리를 올리지만 일본은 금리가 0%부동산 가격이 조금 오를 가능성이 있지만 엔화 가치가 다시 정상화되면 환차익까지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일시적인 현상일 뿐 구조적으로 일본경제는 나아지고 있지 않다. -일본의 저성장이 오래간 이유: 저출산 고령화 인구구조 해결 가능한 혁신적 회사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해결방안 (우리나라는 어떻게 해야할까?)안주하지 않고 계속 새로운 걸 개발한다.2차 전지, 인공지능, 메타버스 등에서 우리나라의 어떤 기업들이 성과를 못 내거나 새로운 네이버, 카카오, 쿠팡 같은 회사들이 안생긴다면 일본처럼 주저앉을 가능성이 있다. 모두 의대를 가려는 현상처럼 너무 안정적인 사회구조를 지향하면 안된다. 혁신 분야의 인재가 늘어야 발전할 수 있다.2024.08.31
-
학생부 관리[생명과학] 기업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통한 탄소 중립 실천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저는 문과였지만 생명과학도 수강했었는데요생명과학1 발표 수행평가를 어떻게 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다음은 대본 내용입니다 <생명과학1 수행평가 대본> 안녕하세요. 기업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통한 탄소 중립 실천에 대해 발표하겠습니다.(주제 선정 이유) 생물다양성을 보전해야 미래의 팬데믹을 예방할 수 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이것을 보고 생물다양성 보전하는 방법들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생물다양성 파괴에 기업이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기업의 생물다양성 보전 방법에 대해 궁금해졌고, 더 나아가 탄소중립 실천까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ESG경영을 하는 방법 중 하나인 생물다양성 보전과 탄소중립을 기업이 어떻게 실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주제를 선택했습니다. 먼저 생물다양성이란 일정한 지역에 존재하는 생물의 다양한 정도를 의미합니다. 생물다양성은 종 다양성, 유전적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을 모두 포함합니다. 생물다양성 파괴 원인은 다양하지만, 불법 포획과 남획, 서식지 파괴, 외래종 유입, 기후변화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생물다양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한 종이라도 멸종하면 전 세계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 종이 사라진다는 것은 이와 관련된 유기체와 환경 간 복잡한 연결 시스템이 무너져버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가사리 제거 실험에서 로버트 페인은 생물 다양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홍합이 크게 번식하면서 생물 15종 중에서 7종이 사라졌습니다.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많은 기업들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ONY가 있습니다. SONY는 One Blue Ocean Project 해양 플라스틱 운동을 실시하고, 드론을 환경 관련 사업에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협생 농법’도 연구하고 있는데요. 협생농법이란, 지구 생태계의 자기 조직화 능력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면서 인간에게 유용한 식물을 생산하는 농법입니다. 식량생산뿐만 아니라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까지도 포괄적으로 고려하는 생태계 활용법입니다. 그리고 쌀겨를 활용한 소재 개발도 하고 있습니다. 소니가 독자 개발한 Triporous™는 버려지는 쌀겨를 원료로 하여 재활용한 것으로, 독특한 미세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Triporous™는 미세구멍이 많은 기존 활성탄보다 울퉁불퉁한 굴곡이 많이 있습니다. Triporous™는 기존 활성탄으로는 흡착하기 힘들었던 큰 유기분자나 바이러스 등 일부 유기 물질을 보다 쉽고 빠르게 흡착할 수 있고, 독자적인 미세 구조로 가스와 악취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특성도 가지고 있는데요. 물 정화나 공기 정화, 방취제·악취 제거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Triporous™의 뛰어난 흡착 특성을 살린 제품과 솔루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탄소중립을 실천하고 있는 기업들도 많습니다. 탄소중립이란, 개인, 회사, 단체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기업들도 ESG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트렌드에 따라가기 위해 탄소중립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제로에너지 건물이란,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아여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건축물을 말합니다. 액티브 기술 중 태양광 발전 시스템인 BIPV를 활용한 한화빌딩은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폐마스크의 환경오염 문제도 심각합니다. 코오롱 그룹은 전국 사업장에 일회용 마스크 수거함을 설치하여 직원들의 마스크를 매장용 옷걸이로 바꾸었습니다. 폐마스크의 재활용으로 5.4t 정도의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합니다. 코카콜라 등 라벨로 발생하던 비닐 폐기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무라벨 병으로 바꾸었습니다. (=중소기업은 ESG 경영이 대기업보다 더 힘듦, ESG인식 세우고, 대기업 지원 촉진하고, 정부에서 ESG 분야 스타트업 육성하는 것 필요함)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ESG경영을 위한 전담 조직이 부족하고나 ESG 경영 준비 필요성에 덜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나있습니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 순으로 준비가 어렵다고 합니다. 중소기업의 ESG 인식을 세우고, 대기업 협력사 지원을 촉진하며, 정부에서 중소기업들을 지원하고, ESG 분야 스타트업 육성하는 것 등을 실행하면 중소기업도 ESG 경영을 부담없이 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될 것 같습니다. 중소기업에서 ESG경영을 실천하기에 더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환경을 위해 기업의 행동이 바뀌는 것도 중요하지만 소비자도 친환경 제품을 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고려하는 가치 소비가 증가해야 합니다.2024.08.31
-
학생부 관리「동아리활동」 창업가 인터뷰2 -경영학과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창업가 분과 인터뷰를 했는데요~저번 스토리노트에 이어진 인터뷰 내용입니다¡경영학과나 창업 등에 관심있는 학생들에게 도움될 것 같습니다¡ 6. 창업지원금도 받을 수 있고, 창업지원을 받을 수 있는 곳도 많아졌다고 들었었습니다. 대표님께서는 창업하실 때 창업지원을 받고 시작하신 건가요? 지원을 받으셨다면 어떠한 형태로 지원을 받으셨고, 무엇인지 소개해주세요. 창업지원은 크게 공적 지원과 사적 지원이 있습니다. 먼저 공적 지원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창업진흥원이 주도하여 예비창업자들에게 다양한 창업 교육과 기회를 제공하고, 창업한 기업들에게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들을 제공합니다. 사적 지원은 초기 엔젤투자자들과 이후 단계의 투자자들이 주가 되어 이루어집니다. 다시 공적 지원을 단계별로 설명하자면 실전창업교육 –> 예비창업패키지 –> 초기창업패키지 –> 창업도약패키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이 4단계에 상응하는 다양한 지원 사업들도 있습니다. 저는 “실전창업교육”을 통해서 저의 비즈니스 아이템을 검증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예비창업자들이 꼭 한번씩 도전하는 “예비창업패키지”를 통해서 지원을 받아 창업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저희 회사는 2022년 초기창업패키지, 비대면 스타트업 지원사업에도 선정되어 공적 지원을 많이 받은 편이죠. 이런 금전적 지원 외 창업 공간 제공 등 다양한 정부 지원 사업들이 존재합니다. 공적 지원과 동시에 사적 지원 즉, 흔히 말하는 투자 유치도 중요한데요. 사업을 더 빨리 성장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7. 기업을 운영할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는 것은 무엇인가요? 기업을 운영하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크게 2가지로 생각합니다. 먼저 기업을 만들어 가고 성장시키는 구성원들의 역량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게 길을 만들어 주는 일입니다. 기업을 운영하는 것은 결국 좋은 구성원들의 에너지를 회사의 목표라는 한 곳으로 집중시키는 일입니다. 기업의 대표는 구성원들이 가장 하기 싫어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해요. 티비 속의 멋진 대표님들은 현실에서는 극소수이랍니다. 나머지 하나는 기업이 가진 철학을 제품과 서비스에 녹여 들게 만드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업을 운영하다 보면 수많은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되고, 많은 유혹들 앞에서 흔들리기도 합니다. 그럴때마다 회사가 가진 철학이 확고해야 성장이라는 목표를 향해서 한발 한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8. 앞으로의 미래 트랜드 혹은 주목해야 할 분야(상품, 서비스, 기업 등)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미래의 트렌드는 결국 과거와 현재에 있다고 봅니다. 사업의 트렌드는 결국 과거와 현재에 불편한 점들을 개선해 가는 과정에서 발견되기 때문이죠. 인간이 하기 힘든 일을 대신 해 줄 로봇과 AI가 만들어졌죠. 빅데이터, 핀테크 등 소위 핫하다는 사업들도 결국 어느 순간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은 아님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여러분들이 잘 아시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 엑스도 아주 오래전부터 인류가 가져온 우주 공간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원론적인 이야기처럼 들리겠지만 앞으로의 트렌드는 지금 자기 자신과 자신의 주변 가까이 있습니다. 지금 고개를 들고 주변을 돌아보며 미래의 트렌트를 찾아보세요. 9. 대표님처럼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거나, 창업 등과 관련된 일을 하는 것에는 어떤 과목이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어떤 공부를 하면 좋은가요? 플랫폼 서비스는 거대한 형식일 뿐입니다. 플랫폼 서비스가 뭔가 거창해 보이지만 가장 대표적인 플랫폼이 편의점입니다. 편의점을 운영하는데 특정 전공과 과목이 중요할까요? 많은 학생분들이 이런 질문을 저에게 주십니다. 저는 창업과 관련된 전공과 과목은 따로 없다고 말씀 드리고 있습니다. 창업은 결국 내가 발견한 시장의 문제를 해결해 과는 과정이고, 그 과정을 결코 혼자서는 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경험과 전공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하게 됩니다. 따라서 어떤 특정 과목이 창업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 주변에 창업한 대표님들은 각자 제각각의 전공과 경력을 가진 분들이거든요. 10. 제 주변 친구들 중에서도 저처럼 창업에 관심 있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이처럼 창업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해주세요. 창업은 힘들과 외로운 과정이지만 그만큼 보람 있고 매력 있는 일입니다. 그리고 창업은 내가 창업해야지 하는 막연한 생각보다는 주어진 현실 속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과정임을 다시 한번 상기하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이 학교를 졸업하고 만나게 될 사회는 정말이지 학생으로서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다양하고 복잡한 일과 직업들이 존재하는 곳입니다. 그러니 지금 당장 창업을 하겠다는 생각보다는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열심히 살아가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해요. 열심히 살다가 보면 분명히 문제점과 어려움을 발견하게 될 것이고 이를 해결해 보겠다는 생각이 들 때 창업이라는 방법도 있다는 것을 기억해 내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를 가지길 바랍니다. 창업으로 성공하기 위해서 더 빨리 실패하고 더 자주 실패를 해 보아야 함을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언젠가 멋진 창업가가 된 여러분을 만나게 되길 바람해 보며 글 줄입니다. 감사합니다.2024.08.31
-
학생부 관리「동아리활동」 창업가 인터뷰 -경영학과안녕하세요¡2학년 동아리활동을 하면서 창업가분과 인터뷰를 했었는데요경영학과를 희망하던 저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그 내용이 무엇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대표님과 라르고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주세요.안녕하세요. 저는 라르고 대표 한정민이라고 합니다. 2020년 첫 창업을 하고 설립한 라르고는 건설과 인테리어 산업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통해서 기존 시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건설 산업 문화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라르고가 개발한 서비스로는 2021년 3월 출시한 건설 인력 매칭 서비스 “A급”과 2022년 6월 가오픈한 건설 자재 온라인 견적비교 서비스 “자재바다”가 있습니다. 가오픈 기간 중 이용자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올 연말 출시를 예정으로 자재바다 1.5 버전을 개발 중에 있습니다. 자재바다는 무신사, 마켓컬리처럼 오픈마켓에서 건설 분야에 특화된 “버티컬 이커머스”입니다. 자재바다는 앞으로 오프라인 매장과 연동하여, 온오프라인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회사 이름인 ‘라르고’는 어떤 의미를 담고 있고, 왜 ‘라르고’라고 지으셨나요? 라르고는 음악 용어로 “여유 있고, 느긋하게” 라는 뜻입니다. 대표적인 곡으로 드보르작의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의 2악장이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언젠가 들어 보셨던 클래식 곡일거에요. 빠르게 변하고 있는 시대에서 특히 IT분야의 급격한 변화의 속도 속에서 우리 회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여유 있고, 느긋한 삶을 살 수 있게 만들어 주자는 목표로 회사명을 라르고로 하게 되었습니다. 3. 법학과를 나오셨다고 저번에 들었었는데, 어떠한 계기로 건설 분야 플랫폼 서비스를 운영하게 되신 건가요?대학과 대학원에서 모두 법학 공부를 하며 20대와 30대의 절반을 보냈습니다. 그러다가 우연히 건설 분야에서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관행이라는 미명하에 시장의 문제들이 만행하고 있는 것을 보고 작은 변화라도 일으켜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플랫폼 회사로 이직하게 되었고, 거기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통해서 시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가진 아이디어를 창업을 통해서 실현하고자 도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4. 창업 또는 라르고를 운영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스타트업을 운영하면서 어려운 점은 무수히 많이 있지만 가장 힘든 부분은 서비스를 시장에 접근시켜서 고객들을 반응을 얻어 내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로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도 고객들에게 외면을 수 있고, 그걸 보는 것은 정말 힘들 일이죠. 하지만 이런 고통스러운 과정을 통해서 고객들의 니즈를 찾아가고 이를 바탕으로 “피봇”하는 것도 스타트업의 숙명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타트업이 만드는 제품과 서비스는 언제나 소수의 의견이고 이를 다수의 의견으로 만들어 가는 것이 창업가가 할 일이죠. 5. 창업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창업은 내가 하고 싶은 것을 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과 고객이 원하는 걸 해 주는 것임을 주의해야 합니다. 당연한 이야기 같지만 많은 분들이 자신만의 도그마에 빠져서 사업의 본질을 잊고 실패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저희 라르고도 항상 그런 점을 고민하고 냉정하게 현실을 바라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창업은 내 주변의 사람들이 힘들어 하고, 고통 받고 있는 것을 해결해 주는 과정입니다. 그 힘듬과 고통이 크면 클수록 고객들은 기꺼이 돈을 지급하게 되죠. 따라서 내가 만든 제품과 서비스가 최고이다 라는 독단에 빠지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2024.08.31
-
학생부 관리「자율활동」 환경노동위원회 법안 개정 활동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학교 프로그램-모의국회를 하면서 환경기술 산업법을 개정해보았는데 어떻게 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환경기술산업법에 관한 법안 제안이유 ‘그린워싱’이란 실제로는 친환경적이지 않지만 마치 친환경적인 것처럼 홍보하는 '위장환경주의'를 가리킵니다. 국내외적으로 그린워싱 규제는 표시. 광고 위주로 이루어지지만 실제로는 그린워싱 광고 사례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광고 규제 위반 시 시정조치, 과징금과 같은 행정적 제재뿐 아니라 형벌, 과태료 등의 벌칙을 받을 수 있고, 신고포상금제도도 있지만 실제로는 잘 시행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친환경’이라는 단어의 경우 그 자체만으로는 포괄적이고 모호하여 표시ㆍ광고 규제에 위반할 소지가 높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기업 그린워싱의 위해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정확한 기준을 세우기 위해 법을 개정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상품 또는 기업을 선택하는 최종소비자의 인식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이번 기회를 통해 알리고 싶었습니다. 이렇게 많은 그린워싱사례가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다. 환경노동위원회에서는 이것을 규제할 수 있는 환경기술산업법 개정 제2조 6항 추가‘환경성’이란 법적 개념으로,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이하 ‘환경기술산업법’) 제2조 제5호에 따르면 “재료와 제품을 제조·소비·폐기하는 전 과정에서 오염물질이나 온실가스 등을 배출하는 정도 및 자원과 에너지를 소비하는 정도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의미한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친환경’이라는 단어의 경우 그 자체만으로는 포괄적이고 모호하여 표시ㆍ광고 규제에 위반할 소지가 높다. ‘친환경’이라는 단어를 쓸 때는 구체적인 근거 및 범주를 한정하여 표시·광고하여야 한다. ‘영향력의 정도’란 단어의 의미가 모호하므로 ‘친환경기준심사위원회’에서 정한 수치에 따라 제품의 환경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바꾸었습니다. 제16조의 11탄소배출량 표시 등 친환경 제품 인증 마크는 있지만 기업의 홍보 방식이 그린워싱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인증 마크는 없습니다. 기업의 홍보 인증마크를 통해 소비자가 허위과장 광고를 쉽게 걸러내도록 하였습니다.기업에게 홍보 인증마크를 부여하는 기준은 환경성 표시 광고 8대원칙에 따라 친환경기준심사위원회가 관리 감독하는 것으로 개정했다. 제 16조의 8기업의 환경투자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 환경정보지표를 필수적으로 작성하고,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하였다. 내용: 환경관리, 환경관리 현황, 재품 및 서비스 개발 활용에 관한 사항 제17조 1항환경표지인증제도가 제17조 1항에 나와있지만 ‘같은 용도의 다른제품에 비해 환경성을 개선한 경우 그 제품에 대하여 환경뵤지 인증을 한다’는 것은 상대적이고 모호하다. 그래서 이것을 정확히 하기 위해 친환경기준 심하위원회가 정한 수치에 따라 환경표지인증마크를 부여하는 것으로 바꿨다. “녹색경영” 환경부 소속 친환경기준심사위원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만든 것-환경성 표시 광고 판단-그린워싱 신고포상금 제도 관할-기업 친환경 홍보 인증 마크 심사, 부여2024.08.31
-
수시 준비서울시립대학교 2025년도 수시모집 변경사항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재학 중인 서울시립대학교의 2025학년도 입학 전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2024년도와 2025년도의 입학 전형에 대해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요~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1. 학생부 교과전형 (지역균형선발 전형) 2024학년도: 진로선택과목을 인문/자연계열로 나눠 주요과목만 반영 2025학년도: 진로선택과목 모두 반영(석차등급 및 성취도로 평가된 모든 과목) * 진로선택과목에 주요 과목 이외에 예체능, 교양과목도 들어 있기 때문에 이런 과목 성적에서 B를 받을 경우 성적 환산점에서 깎일 우려가 있으니 주요 과목 이외의 과목 성적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습니다. ○ 학생부 교과: 100% 10 ‣ 고등학교별 추천인원 명 이내 ○ 학생부 교과 반영방법 ‣ 공통과목 및 일반선택과목 석차등급 (90%): (10%): ‣ 진로선택과목 성취도 ※ 석차등급 및 성취도로 평가된 전과목 반영 ‣ 수능최저학력기준 있음 189명 2. 학생부종합전형 가. 학생부종합전형 I - 2025학년도에 면접평가의 비율이 40%에서 50%로 올라가, 면접 준비를 철저히 해야하겠습니다. 성적이나 서류가 조금 약하면서 면접에 자신 있는 학생들은 면접이 또 하나의 합격 기회로 작용할 수 있겠습니다. 나. 학생부종합전형 II - 2025학년도에 수능최저학력 신설이 가장 학생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겠습니다. 국영수탐 중 2개 영역합이 5이내로 수능 최저를 맞출 경우 합격할 수 있는 기회가 좀 더 커지겠습니다. - 작년에 예비를 받았다 떨어진 졸업생들이 수능 최저를 맞출 수 있다면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수능최저가 부담스러워 경쟁률이 떨어질 수도 있겠습니다. 학생부 종합전형 1 면접형1단계 3배수: 서류평가 100%2단계: 서류평가 50% 면접 평가 50%서류평가: 학생부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 -> 2024학년도에는 2단계 면접 평가가 40% 서류평가가 60%였습니다.면접 40%도 높지만, 50%라니...!!면접의 중요도가 매우 올라갔으니, 서류평가가 좋지 않아도 면접을 잘 본다면 결과를 뒤집을 수 있습니다!면접 준비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시립대의 면접은 정말 어렵고, 질문도 까다로운데요앞으로의 스토리노트에서 면접 준비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학생부종합 (학생부 종합전형2 ) ] 서류형 일괄합산 서류평가 : 100% 서류평가 학생부 ‣ 수능최저학력기준 있음 수능최저 학력기준 신설!!!!!!! 학생부종합 (기회균형 전형) 1단계 3배수: 서류평가 100%2단계: 서류평가 50% 면접 평가 50%서류평가: 학생부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 -> 면접비율 확대!! 학생부종합 ( · 사회공헌 통합전형)1단계 4배수: 서류평가 100%2단계: 서류평가 50% 면접 평가 50%서류평가: 학생부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 음악학과 ○ 실기 학생부 교과 90%, 10% ○ 학생부 교과 반영방법 , ‣ 전학년 국어 영어 교과의 석차등급 ‣ 원점수 평균 표준편차 석차등급이 모두 기재된 교과만 반영 ‣ 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 8명 현행유지2024.08.31
-
공부 방법인강의 장단점 &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고등학생들에게 인터넷 강의(인강)는 매우 유용합니다!요즘 많은 학생들이 인강을 통해 학습하고 있으며, 그 장점과 단점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데요. 인강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인강의 장점 1) 시간과 장소의 자유 인강의 가장 큰 장점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학생들은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강의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바쁜 스케줄을 가진 학생들에게 유용합니다. 2) 다양한 강의 선택 인강 플랫폼은 다양한 과목과 강의를 제공합니다. 학생들은 자신에게 맞는 강의를 선택할 수 있고, 여러 강사를 비교하여 스타일과 설명 방식이 자신에게 맞는 강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 3) 반복 학습 가능 인강은 필요할 때 언제든지 다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나 중요한 내용은 반복해서 시청할 수 있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어려운 과목일수록 반복 학습은 큰 도움이 됩니다. 4) 자율적인 학습 인강은 학생 스스로 학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빠르게 이해하는 학생은 빠르게 진행할 수 있고, 어려운 부분은 천천히 다시 보고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율성은 학생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키우는 데 기여합니다. 2. 인강의 단점 1) 자기관리의 어려움 인강은 스스로 시간 관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자기 관리가 부족한 학생에게는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계획적으로 학습하지 않으면 쉽게 게으름을 피우게 되고, 학습 진도가 늦어질 수 있습니다. 2) 소통의 한계 대면 수업과 달리 인강은 강사와의 직접적인 소통이 어렵습니다. 질문이 생겼을 때 즉각적으로 답변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질문 시간을 마련하거나 커뮤니티를 활용해야 합니다. 3) 집중력 저하 온라인 강의는 주변 환경에 따라 집중력이 쉽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특히 집에서 공부할 경우, TV나 스마트폰 등 다양한 방해 요소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4) 정보의 과부하 인터넷에는 수많은 강의와 자료가 존재합니다. 이로 인해 어떤 강의를 선택해야 할지 고민하게 되고, 정보의 양에 압도될 수 있습니다. 잘못된 선택은 오히려 혼란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인강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 1) 학습 계획 세우기 인강을 수강하기 전에 구체적인 학습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간 또는 월간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각 과목별로 어떤 강의를 수강할지 미리 정해두세요. 계획에 따라 학습하면 자기 관리를 더 잘할 수 있습니다. 2) 집중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인강을 들을 때는 조용하고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방해 요소를 최소화하고, 편안한 자세로 강의를 듣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한 경우,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3) 강의 내용 정리하기 강의를 시청할 때는 반드시 필기를 하며 내용을 정리하세요. 중요한 포인트, 이해가 필요한 부분, 복습해야 할 내용 등을 기록하면 나중에 복습할 때 유용합니다. 노트 정리 방법으로는 코넬 노트법이나 마인드 맵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4) 질문과 토론 활성화 인강을 듣는 중에 궁금한 점이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생기면, 강의 플랫폼의 질문 게시판이나 커뮤니티를 활용해 질문하세요. 또한, 친구들과 함께 스터디 그룹을 만들어 강의 내용을 토론하고 서로의 이해도를 높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복습 시간 확보 강의를 듣고 난 후에는 반드시 복습하는 시간을 가지세요. 복습은 기억을 강화하고 이해도를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강의를 다시 보거나, 필기한 내용을 정리하여 복습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6) 자기 평가하기 인강을 수강한 후에는 자신이 얼마나 이해했는지를 평가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퀴즈나 문제를 풀어보거나, 학습한 내용을 친구에게 설명해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학습 상태를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2024.08.31
-
공부 방법공부 필기의 중요성 & 방법고등학생에게 효과적인 공부를 위해 필기법은 매우 중요합니다.필기는 단순히 수업 내용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이해를 돕고 기억을 강화하는 도구입니다. 다양한 필기법과 그 활용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필기의 중요성 필기는 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업 중에 강의 내용을 듣고 기록하는 것은 집중력을 높이고, 나중에 복습할 때 유용한 자료가 됩니다. 또한, 필기를 통해 정보를 정리하고 자신의 언어로 표현함으로써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2. 다양한 필기법 1) 노트 테이킹 가장 기본적인 필기법으로, 수업 중에 중요한 내용을 빠르게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식을 사용합니다. - 주제별로 나누기: 각 주제를 별도로 구분하여 기록합니다. 이를 통해 나중에 복습할 때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포인트 강조하기: 키워드, 정의, 예시 등을 강조하여 시각적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코넬 노트법 코넬 노트법은 효과적인 필기 및 복습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노트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 노트 영역: 강의 내용을 기록합니다.- 큐(질문) 영역: 나중에 복습할 때 사용할 질문이나 키워드를 작성합니다.- 요약 영역: 수업이 끝난 후,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합니다. 3) 마인드 맵 마인드 맵은 주제와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정리하는 방법입니다. 중심에 주제를 놓고, 그 주제와 관련된 아이디어나 정보를 가지처럼 뻗어나가게 그립니다. 이 방법은 창의적인 사고를 자극하고, 복잡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4) 플래시 카드 플래시 카드는 암기할 내용을 요약하고 정리하는 데 유용합니다. 한쪽 면에는 질문이나 키워드를 적고, 다른 쪽 면에는 답이나 설명을 적습니다. 이를 통해 반복적으로 복습할 수 있으며, 특히 외워야 할 내용이 많은 과목에 효과적입니다. 3. 필기 시 주의할 점 1) 수업 중 집중하기 필기를 잘 하기 위해서는 수업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사의 설명을 잘 듣고, 어떤 내용이 중요한지를 판단하여 기록하세요. 필요하다면 강사에게 질문하여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간결하게 기록하기 필기를 할 때는 가능한 한 간결하게 기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긴 문장보다는 키워드와 약어를 사용하여 빠르게 내용을 정리하세요. 이렇게 하면 시간이 절약되고, 나중에 복습할 때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정리된 필기 유지하기 필기를 한 후에는 정리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수업이 끝난 후, 기록한 내용을 다시 읽고 필요한 부분을 보완하거나 정리하여 깔끔한 노트를 만드세요. 이렇게 하면 나중에 복습할 때 더 유용합니다. 4. 필기 도구와 환경 효과적인 필기를 위해서는 적절한 도구와 환경도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세요. 1) 필기 도구 선택 종이 노트, 전자기기, 화이트보드 등 다양한 필기 도구 중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세요. 종이 노트는 손으로 쓰는 느낌이 좋고, 전자기기는 편리하게 수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신이 선호하는 방법을 찾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쾌적한 환경 조성 필기를 할 때는 조용하고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세요. 주변 소음이나 방해 요소를 최소화하고, 편안한 자세로 앉아 필기에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복습과 활용 필기는 단순히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이후 복습과 활용이 중요합니다. 정리한 노트를 주기적으로 복습하고, 필요한 내용을 다시 한 번 정리해 보세요. 필기를 통해 배운 내용을 친구와 공유하거나 스터디 그룹에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효과적인 필기법은 고등학생의 학습 성과를 높이는 데 큰 영향을 미칩니다. 다양한 필기 기법을 활용하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2024.08.31
-
기타발표 잘하는 방법 (ppt 발표 등)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학교뿐만이 아니라 인생을 살아가면서 ppt 발표 등을 할 기회가 많은데요.특히 고등학교에서는 수행평가나 세특을 위한 발표를 많이 합니다!저도 발표를 정말 많이 했었고, 정말 좋아했습니다.고등학교 1학년 나의 비전 선포식에서 1학년 1등을 하여, 강당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발표한 적도 있습니다!발표를 좋아하고, 팁들도 많은 제가 어떻게 하면 발표를 잘 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1. 주제 이해하기발표의 첫 단계는 주제를 깊이 이해하는 것입니다. 주제를 잘 알고 있어야 자신감 있게 발표할 수 있습니다. 관련 자료를 충분히 조사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해 보세요. 주제를 이해하면 질문에 더 잘 대답할 수 있으며, 청중과의 소통이 원활해집니다.2. 청중 파악하기발표의 대상이 누구인지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청중의 연령, 관심사, 배경 등을 고려하여 내용을 조정하세요. 예를 들어, 친구들을 대상으로 할 때는 친근한 언어를 사용하고, 선생님이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할 때는 보다 전문적인 용어를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청중의 수준에 맞춰 발표 내용을 조절하면 더 효과적입니다.3. 발표 구조 정리하기효과적인 발표는 명확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따릅니다.- 서론: 주제를 소개하고 발표의 목적을 설명합니다. 청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흥미로운 사실이나 질문을 던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본론: 주제를 심도 있게 다루는 부분입니다. 관련된 정보를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전달합니다. 각 포인트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예시나 데이터를 활용하여 뒷받침하면 좋습니다. - 결론: 발표 내용을 요약하고, 핵심 메시지를 강조합니다. 청중에게 남기고 싶은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하세요.4. 시각 자료 활용하기발표 시 시각 자료를 활용하면 내용을 더 잘 전달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드, 포스터, 그래프, 이미지 등을 사용하여 청중의 관심을 끌고 이해를 돕습니다. 슬라이드를 만들 때는 너무 많은 정보를 담지 말고, 핵심 포인트를 중심으로 간결하게 구성하세요. 시각 자료는 발표의 보조 도구이므로,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이 말하는 내용을 강조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5. 연습하기발표를 잘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연습이 필요합니다. 혼자서 연습하는 것도 좋지만, 친구나 가족 앞에서 시연해 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피드백을 통해 개선할 점을 찾고, 자신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연습할 때는 시간도 체크하여 발표 시간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6. 발표 중 태도와 목소리 관리하기발표할 때의 태도와 목소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자신감 있는 태도를 유지하고, 청중과 눈을 맞추며 소통하세요. 목소리는 분명하고 적절한 속도로 말해야 합니다. 너무 빠르거나 느리지 않게 조절하고, 감정을 담아 발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중요한 포인트에서는 목소리의 톤을 높이거나 낮추어 강조할 수 있습니다.7. 질문 대처하기발표 후 질문을 받을 때는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을 잘 듣고,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면 다시 물어보세요. 자신이 모르는 질문이 나와도 당황하지 말고, 솔직하게 답변하거나 이후에 확인하고 답하겠다고 말하는 것도 좋은 태도입니다. 질문을 통해 청중과의 상호작용을 늘릴 수 있습니다.8. 피드백 수용하기발표 후에는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세요. 선생님이나 친구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다음 발표에 반영하면 개선할 점을 찾고 발전할 수 있습니다.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발표 스타일을 더욱 발전시키는 기회로 삼으세요.9. 발표의 의미 이해하기발표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나누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발표를 통해 자신이 배운 내용을 정리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회로 삼으세요. 발표는 학습의 연장선이며, 자신감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발표는 어렵고 긴장되는 경험일 수 있지만, 철저한 준비와 연습을 통해 누구든지 잘할 수 있습니다!주제를 이해하고, 청중을 파악하며, 명확한 구조로 발표를 준비하세요. 시각 자료를 활용하고, 자신감 있는 태도로 임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발표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마지막으로, 발표는 자신의 생각을 나누는 기회라는 점을 잊지 마세요. 여러분의 목소리를 세상에 전달하는 소중한 경험이 될 거예요!!2024.08.31
-
기타고등학생을 위한 "공부 동기 부여" 방법고등학생을 위한 공부 동기 부여 방법 고등학생 시절은 많은 변화와 도전이 있는 시기입니다. 대학 진학을 위해 열심히 공부해야 하는 이 시점에서,많은 학생들이 학업에 대한 동기를 잃거나, 목표를 잃고 방황하게 되는 경우도 많더라고요,, 이 글에서는 고등학생들이 공부에 대한 동기를 부여받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목표 설정하기 가장 먼저,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표는 단기와 장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기 목표는 주간 또는 월간 학습 계획을 세우는 것이고, 장기 목표는 원하는 대학이나 전공을 정하는 것입니다. 목표가 구체적일수록 동기 부여가 강해집니다. 예를 들어, "수학 성적을 10점 올리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면, 이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성취감 느끼기 작은 목표를 달성하면서 느끼는 성취감은 큰 동기 부여가 됩니다. 공부를 하다 보면 어려운 과목이나 주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작은 단위로 나누어 학습해보세요. 예를 들어, 1주일 동안 특정 과목의 한 챕터를 완벽히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이를 이루었을 때 스스로에게 보상을 주는 방법도 효과적입니다. 3. 공부 환경 조성하기 공부하는 환경도 동기 부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조용하고 편안한 장소에서 공부하는 것이 집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주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친구들이나 멘토가 있다면 그들과 함께 공부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서로의 목표를 공유하고 격려하는 과정은 큰 동력이 됩니다. 4. 다양한 학습 방법 활용하기 한 가지 방법에만 의존하는 것은 동기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다양한 학습 방법을 시도해보세요. 예를 들어, 동영상 강의를 활용하거나, 스터디 그룹을 만들어 서로 가르치고 배우는 방법도 좋습니다. 또한, 문제 풀이와 같은 실습을 통해 직접 경험하는 것도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긍정적인 마인드 유지하기 부정적인 생각은 동기를 떨어뜨리는 주범입니다. "나는 이 과목을 잘하지 못해"라는 생각을 버리고, "나는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마인드를 유지하세요.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그 경험에서 배우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일 긍정적인 다짐을 하거나, 성공적인 인물의 이야기를 읽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6. 건강 관리하기 신체적, 정신적 건강은 공부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은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피로가 쌓이면 공부에 대한 의욕이 떨어지기 때문에,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7. 미래에 대한 비전 갖기 자신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갖는 것은 큰 동기 부여가 됩니다. 어떤 꿈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직업을 원하고 있는지를 생각해보세요.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지금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계획하면, 학업에 대한 동기가 더욱 강해집니다. 예를 들어, 의사가 되고 싶다면,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과목에 더욱 집중하게 될 것입니다. 8. 끊임없는 자기 점검 정기적으로 자신의 공부 방법과 목표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기적으로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목표를 수정하거나 학습 방법을 변화시켜 보세요. 자신이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큰 동기 부여가 됩니다. 고등학생들에게 공부는 때때로 힘든 과정일 수 있지만, 위의 방법들을 통해 동기를 부여받고 학업에 대한 열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감을 느끼며, 긍정적인 마인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을 믿고 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힘든 순간에도 포기하지 말고, 자신을 믿으며 나아가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 톡을 통해서 멘토에게 물어봐도 됩니다~!2024.08.31
-
면접 준비대학입시에서 "면접 준비"의 중요성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저는 5개의 대학교 면접을 봤었고, 모두 붙었던 경험이 있는데요.면접이 많아서 준비도 철저히 했습니다!!학교마다 면접 유형이 다르긴 하지만, 면접...결코 우습게 볼 상대가 아닙니다!! 대학입시에서 면접은 단순한 형식적인 절차가 아닙니다.. 면접은 지원자의 성격, 가치관, 사고방식 등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회로, 대학 입학을 위한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접 준비는 단순히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는 것을 넘어, 자신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대학의 요구를 이해하며, 자신이 원하는 전공과의 적합성을 보여주는 과정입니다!! 대학입시에서 면접 준비의 중요성 1. 자기 이해와 표현 능력 향상 면접 준비 과정에서 지원자는 자신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됩니다. 자신의 강점과 약점, 경험, 목표 등을 정리하며,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지를 고민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은 자기 이해를 높이고, 자기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면접에서 자신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은 학업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2. 대학과 전공에 대한 이해 증진 면접 준비를 하면서 지원자는 지원하는 대학과 전공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됩니다. 각 대학의 교육 철학, 커리큘럼, 교수진, 동아리 활동 등을 조사하는 과정은 지원자가 자신의 목표와 진로를 구체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과정에서 지원자는 자신의 관심 분야와 대학의 특성을 연결 지어 이야기할 수 있게 되어, 면접관에게 더욱 인상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3. 비판적 사고 능력 강화 면접에서는 예상치 못한 질문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논리적으로 답변하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 능력이 필요합니다. 면접 준비를 통해 다양한 질문을 예상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준비함으로써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는 학업과 직장 생활에서도 중요한 자산이 됩니다. 4. 스트레스 관리 능력 면접은 많은 지원자에게 큰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면접 준비 과정에서 이러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모의 면접을 통해 실제 상황을 경험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 과정은 긴장감을 줄이고 자신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스트레스 관리 능력은 학업 뿐만 아니라 인생의 여러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5. 인성 및 태도의 중요성 대학은 단순히 학문적 능력만을 평가하지 않습니다. 면접을 통해 지원자의 인성과 태도도 평가합니다. 면접 준비 과정에서 지원자는 자신의 가치관과 인생관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면접에 임하게 됩니다. 긍정적인 태도, 협동심, 사회적 책임감 등은 면접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인성적 요소는 대학 생활과 이후의 사회생활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학입시에서 면접 준비는 단순한 준비 과정을 넘어, 지원자의 인격적인 성장에 기여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자기 이해와 표현 능력, 비판적 사고, 스트레스 관리, 인성 및 태도, 네트워킹 기회를 통해 지원자는 학문적 능력 외에도 다양한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준비 과정은 대학 입학 이후의 학업과 사회생활에서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면접 준비는 단순히 대학에 들어가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인생의 여러 국면에서 자신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접 준비를 소홀히 하지 말고, 철저하게 준비하여 자신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셨으면 좋겠습니다!2024.08.31
-
공부 방법고등학교 공부 시간 관리 잘하는 법고등학교 공부 시간 관리 잘하는 법 고등학교 시절은 학업과 다양한 활동이 겹쳐지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때 효율적으로 공부 시간을 관리하는 것은 학업 성취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를 줄이고, 균형 잡힌 삶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고등학생들이 공부 시간 관리를 잘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을 제안합니다. 1. 목표 설정 효과적인 시간 관리는 명확한 목표 설정에서 시작됩니다. 단기 목표와 장기 목표를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이번 시험에서 특정 과목에서 원하는 점수를 얻는 것이 단기 목표라면, 장기 목표는 대학 진학이나 특정 전공 선택 등일 수 있습니다. 목표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해야 하며, 이를 통해 동기를 부여받고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계획 수립 목표를 설정한 후에는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일주일 단위로 공부 계획을 작성하고, 각 과목별로 필요한 시간을 배분합니다. 이를 통해 각 과목에 균형 있게 시간을 투자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계획은 유연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과목이 예상보다 더 어려운 경우, 그 과목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계획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3. 시간 블록 활용 효율적인 공부를 위해 '시간 블록'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일정한 시간 동안 집중해서 공부하고, 그 뒤에 짧은 휴식을 취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50분 동안 집중해서 공부한 후 10분간 휴식하는 식으로 진행합니다. 이 방법은 집중력을 높이고, 피로를 줄이며,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 우선순위 정하기 공부할 내용이 많을 때는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험 일정이나 과제 제출일에 따라 우선순위를 매기고, 가장 중요한 과목이나 내용을 먼저 학습합니다. 이를 통해 중요한 내용을 놓치는 것을 방지하고, 시간 관리를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내일 시험이 있는 과목을 우선적으로 공부하고, 그 다음으로 긴급하지 않은 과목을 학습하는 식입니다. 5. 환경 조성 공부하는 환경도 시간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조용하고 집중할 수 있는 장소를 선택하고, 불필요한 방해 요소를 최소화합니다. 스마트폰이나 소셜 미디어와 같은 방해 요소는 공부 시간 동안 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필요한 학습 도구나 자료를 미리 준비해 두면 공부 중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6. 자기 관리 시간 관리를 잘하기 위해서는 자기 관리도 중요합니다. 충분한 수면,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은 집중력을 높이고,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특히, 수면 부족은 집중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기억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의 일정을 잘 관리하고,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7. 점검과 조정 계획한 공부 시간을 점검하고, 주기적으로 조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매주 또는 매달 자신의 계획을 돌아보고, 어떤 부분이 잘 진행되었는지,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었는지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학습 패턴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계획을 더 효과적으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8. 멘토와의 소통 마지막으로, 멘토나 선생님과의 소통을 통해 조언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자신이 세운 계획이나 목표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친구들과 함께 스터디 그룹을 만들어 서로의 공부 방법을 공유하고, 동기 부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시절의 공부 시간 관리는 학업 성취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장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목표 설정, 계획 수립, 시간 블록 활용, 우선순위 정하기, 환경 조성, 자기 관리, 점검과 조정, 멘토와의 소통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효율적으로 시간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실천하며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습관을 기른다면, 고등학교 생활뿐만 아니라 이후의 삶에서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2024.08.31
-
주제탐구보고서인문사회계열을 위한 탐구보고서 쓰는 방법 -결론편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이번 시간에는 인문사회계열 보고서 결론편을 다루었습니다!서론/본론편을 보고 오지 않았다면....??앞에 글을 먼저 읽고 오시는 걸 추천드립니다~<결론 쓰는 법>인문사회계열 보고서의 결론은 연구의 핵심을 요약하고, 연구 결과의 의미를 분석하며, 향후 연구 방향이나 제언을 포함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1. 연구의 목적과 질문 요약결론의 시작 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 질문을 간단히 요약합니다. 이는 독자가 보고서의 핵심을 다시 상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예를 들어, “본 연구는 A 현상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와 같은 문장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는 독자가 연구의 전반적인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2. 주요 발견 정리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정리합니다. 이 부분에서는 연구에서 밝혀진 중요한 사실이나 통찰을 강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연구 결과, B 현상이 C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는 D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와 같이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서술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단계에서는 수치적 데이터나 사례를 들어서 신뢰성을 높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3. 결과의 의미 분석주요 발견을 정리한 후에는 그 결과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분석합니다. 연구 결과가 기존의 이론이나 연구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또는 어떤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이 결과는 E 이론을 지지하며, F 현상의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라고 서술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연구 결과의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4.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모든 연구에는 한계가 있기 마련입니다. 결론에서는 연구의 한계를 간단히 언급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합니다. 예를 들어,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더 다양한 지역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다.”라는 식으로 구체적인 제안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는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고,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5. 실용적 제언결론에서 연구의 결과가 실제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 결과가 정책, 교육, 사회적 변화 등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 정책 입안자들에게 G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라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6. 최종 요약마지막으로, 연구의 전반적인 요점을 간단히 요약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독자가 보고서를 마친 후 연구의 핵심을 기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연구는 A 현상의 사회적 의미를 밝히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였다.”라고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결론의 구성 예시- 연구 목적: “본 연구는 A 현상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사회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주요 발견: “연구 결과, B 현상이 C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는 D라는 사회적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결과의 의미: “이 결과는 E 이론을 지지하며, F 현상의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한계 및 향후 연구:“본 연구는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더 다양한 지역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다.”- 실용적 제언: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 정책 입안자들에게 G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최종 요약: “종합적으로 볼 때, 본 연구는 A 현상의 사회적 의미를 밝히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였다.”결론은 독자가 보고서를 마친 후에도 연구의 핵심을 기억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필요시에는 구체적인 데이터와 예시를 포함하여 이해를 돕는 것이 좋습니다. 인문사회계열의 보고서는 복잡한 사회적 현상을 다루기 때문에, 결론에서의 논리적 전개와 명료한 서술이 특히 중요합니다!2024.08.31
-
주제탐구보고서인문사회계열을 위한 탐구보고서 쓰는 방법 -본론편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저번 스토리노트에서 인문사회계열을 위한 보고서쓰는 방법 서론편에 대해 다루었는데요혹시 읽고 오지 않으셨다면....??먼저 서론편을 읽고, 본론편을 읽으시길 추천드립니다~보고서 서론-본론-결론 중에서 본론으 분량이 가장 많은만큼 들어가는 내용도 많은데요!어떻게 논리적인 보고서를 쓸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1. 본론 쓰기 본론의 주된 특징은 서론에서 제기한 주제와 그 주제에 대한 자신의 관점 또는 주장을 충분한 근거를 통해 논증함으로써 설득력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이때 선행 연구의 적절한 인용은 주요 근거가 됩니다. 본론의 분량은 대체로 전체 분량의 약 70% 정도가 적당합니다. 본론 쓰기는 서론 쓰기나 결론 쓰기보다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첫째, 글의 분량입니다. 본론은 자신의 주장에 대한 구체적 논쟁이 전개되는 곳입니다. 논쟁 과정에서 인용을 비롯한 여러 근거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본론은 서론이나 결론에 비하면 글의 분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전체 글의 분량이 많을 경우, 예를 들어 6,000자 내외의 글이라면 본론을 구성할 때 장과 절로 세분해서 계획하는 것이 먼저 필요합니다. 그리고 장과 절은 단락 단위로 계획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둘째, 글의 전개 순서와 유기적 연결입니다. 글의 분량이 많다는 것은 다른 한편으로 내용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일 본론이 장과 절로 구성되어 있다면 목차에서 만들어 놓은 장과 절의 순서를 그대로 따라가야 합니다. 그리고 장과 절 안에서의 내용은 단락을 사용해, 즉 중심 문장과 뒷받침 문장을 사용해 전개해 나갑니다. 장과 절 그리고 단락의 전개 순서는 내용이 점차 발전적으로 진행되어 글의 주제와 자신의 주장이 절정에 다다르면서 완결성을 갖도록 써 내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잘 구성된 전개 순서는 동시에 단락과 단락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셋째, 본론은 서론이나 결론과 비교할 때 인용을 많이 하기 때문에 출처의 표기법을 정확히 익혀야 합니다. 인용에 대한 출처 표기를 하지 않으면 표절이라는 심각한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잘못된 표기법은 불성실한 태도로 간주됩니다. 통계 분석 보고서의 경우, 본론은 일반적으로 연구 방법과 연구 결과를 자세히 서술합니다. 다시 말해 연구 방법에서는 연구 대상, 측정 도구, 분석 방법 등을 서술하고, 연구 결과에서는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 문제와 가설에 대해 검증한 결과를 정리합니다. *저는 본론을 쓰는 것이 가장 쉬웠습니다.내가 생각한 탐구주제가 명확하다면, 그에 맞는 내용을 쓰면 되기 때문입니다.하지만 가장 힘들었던 것은 매끄럽게 글을 전개하는 것이었는데요분량이 많기에 생각이 나는데로 글을 쓰다보면 갑자기 다른 길로 나가는 글이 된 적도 있습니다. 대학 면접에서 '~주제'를 다루었는데 어떻게 탐구했는지 자세하게 과정을 알려주세요라는 질문이 나올 수 있습니다.이걸 대비하기 위해 본론을 쓰기 위해 참고했던 자료들이나 나의 생각들을 잘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스토리노트에서는 결론편으로 돌아올테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2024.08.31
-
주제탐구보고서인문사회계열을 위한 탐구보고서 쓰는 방법 -서론편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학교에서 탐구보고서를 제출하라고 하는데, 어떻게 써야 잘 쓰는 것인지 고민이실 것 같은데요..ㅠㅠ오늘은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을 위한 탐구보고서를 쓰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저는 인문사회 탐구 보고서를 많이 썼고, 이것 덕분에 생기부의 질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생기부를 잘 채우기 위해선, 선생님이 세특을 잘 써주시는 방법도 있지만...가장 먼저 학생 여러분이 활동을 "성실히" + "제대로" 해야 합니다.인문사회계열 탐구보고서의 구조는 서론-본론-결론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먼저 서론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1. 학술적 글쓰기의 의미와 종류인문사회 계열의 보고서는 사람 또는 사회 현상과 관련된 문제들, 즉 인간, 사회, 문화, 역사, 정치, 경제, 환경, 과학기술, 예술 등에 대한 조사나 연구를 통해 인문학적 성찰과 창의적 문제 해결을 모색하는 학술적 글쓰기입니다. 이러한 학술적 글쓰기를 위해서는 문학적 상상력, 예술적 감수성, 논리적 추론 능력, 비판적 분석 능력, 추상적 사유 능력 등이 필요합니다. 인문계열과 사회계열의 특징은 좀 더 세부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인문계열은 논리적 추론 능력, 비판적 분석 능력, 추상적 사유 능력 외에도 문학적 상상력이나 예술적 감수성을 더 필요로 합니다. 반면 사회계열은 문학적 상상력이나 예술적 감수성과 달리 사회 현상이나 사물에 대한 관찰, 분석, 기술, 설명 능력을 바탕으로 가설 설정, 문제의 구체화, 예측과 처방을 더 직접적으로 필요로 합니다. 이와 달리 과학기술 계열의 보고서는 과학 및 공학 분야의 특정 자료 또는 정보를 기술하거나, 연구 또는 실험을 통해 밝힌 특정 사실을 서술하기도 하고 특정 견해를 주장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도표, 그래프, 다이어그램, 일러스트레이션 등을 활용합니다. 2. 학술보고서의 논리적 구성비판적인 사고의 과정을 글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논리적 구성을 갖추어야 합니다. 논리적 구성은 형식과 내용의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알맞은 형식과 내용을 갖춘 글은 전달력과 설득력을 높임으로써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도움이 됩니다. 이때 알맞은 형식을 위해서는 서론, 본론, 결론의 구성 요건을 갖추어야 하고, 알맞은 내용을 위해서는 논증의 구조를 갖추어야 합니다. 3. 서론 쓰기서론은 글의 시작 부분이기 때문에 전체적이면서도 핵심적인 내용을 간략히 밝힙니다. 즉 글의 배경 및 동기, 논의의 필요성, 문제 제기, 목적, 해결책 등을 주요 내용으로 구성합니다. 특히 독자의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논증적 글은 문제 제기와 해결책의 과정에서 자신의 관점 또는 주장이 간략하면서도 명확히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서론의 내용은 본론과 이어지지 않고 그 자체로 완결되도록 쓰는 것이 필요합니다. 서론의 분량은 대체로 전체 분량의 약 15~20% 정도가 적당합니다. 전체 글의 분량이 적을 경우, 예를 들어 원고지 2,000자 내외의 글이라면 서론을 한 단락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때 자신의 주장은 서론의 가장 마지막 문장에서 드러나도록 하는 것이 설득력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반면 전체 글의 분량이 많을 경우에는 서론도 여러 단락으로 구성합니다. 즉 배경 및 동기, 논의의 필요성과 문제 제기, 목적, 선행 연구 검토, 논의 방법과 의의, 전개 방향 등을 주요 내용으로 구성합니다. 세 단락으로 구성하더라도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두 가지 방법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첫 번째 방법) 첫 번째 단락은 배경 및 동기와 논의의 필요성을 모아서 정리합니다. 두 번째 단락은 문제 제기와 목적 및 선행 연구 검토를 모아서 정리합니다. 세 번째 단락은 논의 방법과 전개 방향을 모아서 정리합니다. 두 번째 방법) 첫 번째 단락은 배경 및 동기, 두 번째 단락은 논의의 필요성과 문제 제기, 세 번째 단락은 목적과 글의 전개 방향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통계 분석 보고서의 경우, 서론은 일반적으로 연구의 필요성, 이론적 배경, 선행 연구 검토 등으로 내용을 구성합니다. 이 밖에도 서론을 구성하는 방법은 학문 분야와 글의 분량, 논의 내용에 따라 다양합니다. *저는 서론을 가장 마지막에 쓰는데요. 본론-결론-서론 순서대로 보고서를 작성합니다.서론은 글의 핵심적인 내용을 간략히 밝히는 것인데 잘못하다가 본론에서 다른 이야기가 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만약 서론을 쓰기 힘든 분들이 있다면 본론과 결론을 쓴 뒤에 서론을 써보는 것이 어떨까요~?2024.08.31
-
학생부 관리[영어권문화 주제] 다문화 이론안녕하세요! 은결 멘토입니다!저는 2학년 때까지 경영학과를 희망하다가 3학년때 진로를 사회학으로 바꾸었는데요.2학년 막바지에 내가 사회학으로 진로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 같아 사회학관련 주제도 1개 다루었습니다!영어권문화 세특 자료에 대해 일부 공개하겠습니다~! <영어권문화 > 관심 학과: 사회학 동기영어권문화 지문에서 용광로이론, 샐러드볼 이론을 보고 문화동화가 무엇인지 궁금해졌다. 활동 요약1. ‘Two Different Ways of Assimilating Immigrants’ 글을 씀(용광로이론, 샐러드볼 이론, 제인 아담스, 나의 생각)2. ‘제인 아담스’에 대해 더 조사해봄 <Two Different Ways of Assimilating Immigrants>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 new wave of immigration brought about a massive population explosion in the United States. Few immigrants found life in America easy during this period. Many of those who lacked professional skills and did not speak English found themselves living in slum conditions in the large and messy cities of the Northeast, exploited by their employers and trapped at the needy classes. Among the responses to these problems, there were two groups which had ideas about how to assimilate these immigrants. A conservative group called the Daught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 approached immigrants with the expectation that newcomers should totally adopt American customs and culture in order to improve their lives. Consequently, they supported laws that required immigrants to take oaths of loyalty and to pass English language tests. They also banned the use of any language other than English in school.I thought this had something to do with furnace theory. The furnace theory is to bring the cultures of each group togeth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make them into a culture as if they were melted in a furnace. However, conflicts with immigrants arise due to the policy of assimilation into white mainstream culture. As a result, immigrants' dissatisfaction grew with the formation of the Harlem family and the low employment rate.Another notion of assimilation came from the experience of reformers such as Jane Addams. In 1889, Addams founded a volunteer organization in Chicago called Hull House. Her conception of dealing with assimilation was to attempt to enhance conditions in the city's poor immigrant neighborhoods and provide local government services, including medical care, legal assistance, and adult education. A fundamental aspect of the "settlement house" philosophy was to respect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new arrivals. Many reformers. including Jane Addams herself, feared that attempts to "Americanize" the immigrants would reduce a cultural diversity in the United States.I thought Jane Adams' philosophy and salad ball theory were related. The salad ball theory is that various members of society coexist with each other, such as salads, and achieve harmonious integration with each color and scent.In Korea, the number of multicultural households is also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Currently, there are about 1.45 million foreigners living in Korea and about 190,000 foreign children due to international marriages. Due to demographic changes in our society, cultural conflicts are inevitable in multicultural societies in both economic and social aspects. In order to create a correct multicultural society, I think it is important to form a perception that it is different, not wrong, like the salad ball theory. <글 내용 요약> 19세기 말 많은 이민자들이 미국에 들어와 빈민지역에서 살았다. 이민자들을 동화시키려는 방안을 가진 두 단체가 있다. 1) ‘the Daught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주장: 이민자들이 그들의 삶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미국의 관습과 문화를 완전히 받아들여야 한다. -> 교과서에 나온 용광로 이론과 비슷하다고 생각함 2) 제인 아담스 같은 개혁가들주장: 도시의 가난한 이민자 거주 지역의 환경을 향상시키고 의료, 법적 원조, 성인 교육을 포함한 지방 정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이들의 ‘사회복지관’ 철학의 기본 방향은 새로 온 사람들의 문화유산을 존중하는 것이다. 1)의 시도는 미국의 문화적 다양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 교과서에 나온 샐러드볼 이론과 비슷하다고 생각함 #나의 생각 다문화 사회에서는 문화 갈등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올바른 다문화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샐러드볼 이론처럼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르다는 인식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헐 하우스’를 설립한 ‘제인 아담스’에 대해 궁금해져서 더 조사해봄. -미국 사회학의 창설자 제인 아담스 미국 사회사업과 여성 참정권 역사에서 중요한 지도자였으며 세계 평화를 주장했다.미국에서 가장 유명한 정착촌 중 하나인 시카고의 헐 하우스를 공동 설립했다. 아담스는 존 듀이와 함께 민주주의를 프래그머티즘과 시민적 행동주의라는 관점에서 다시 정의했으며, 특히 권리보다는 의무에 중점을 둔 것이 인상깊었다. 아담스는 개인주의 관점을 현대사회에서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이를 대체하는 새로운 사회적 윤리를 요구했다. 헐 하우스는 이민자들의 정착을 위한 사회 서비스와 문화 행사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젊은 사회 복지사들이 훈련을 받을 수 있는 양질의 기회를 제공하여, 점차 확장되면서 13개 건물로 성장하였고, 마침내 헐 하우스는 미국내에서 가장 유명한 정착촌이 되었다.2024.08.31
-
학생부 관리[진로활동 주제] 규모의 경제와 제로한계비용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경영 경제학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많을 것 같은데요!저도 2학년 때 경영학과를 희망했었고, 학교 학술제에서 <규모의 경제와 제로 한계비용 발표>주제로 발표했습니다. 사진을 여기 글에 넣기 힘드니 발표 내용만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한계비용에서 한계란 마지막이란 뜻이 아닌 ‘추가적’이라는 뜻으로한계비용은 물건을 더 생산할 때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을 말합니다.한계비용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위 그림과 같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띠게 됩니다. 한계비용은 왜 감소하다가 증가하게 될까요? 먼저 감소하는 이유는 대량생산을 할수록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규모의 경제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한계비용은 일정 시점이 지나면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장사가 잘되어서 다른 커피숍을 인수해 가게 확장 시킬 때 나타납니다. 가게 인수할 때 큰 돈이 투자되었기 때문에 손님이 한 명 늘 때 생기는 추가이익보다 인수비용, 새로운 직원임금 등 추가비용이 더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한계비용이 증가합니다. 재화를 더 생산할 때 추가적으로 드는 비용인 한계비용이 과연 0이 될 수 있을까요?? 회의론자들은 우리가 주고 받는 것 중에 진짜로 무료인 것은 없다고 주장합니다. 이것은 타당한 주장이지만 현재 한계비용을 더 줄여 제로에 가깝게 하려는 상당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것을 한계비용 제로 수렴 현상이라고 하는데요. 한계비용이 거의 제로에 가까울 정도로 작아져서 단위당 생산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인터넷 기반 혁신이 이루어지면서 한계비용이 거의 제로에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지수함수적 성장’이 제로 한계비용 구조를 만드는데요. 지수함수적 성장이란 지수함수 그래프처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지수함수적 성장을 설명하는 법칙으로 무어의 법칙이 있습니다. (무어의 법칙은 무어가 하나의 반도체 칩에 들어가는 트랜지스터 수가 매년 2배 속도로 증가하여, 가격 상승없이 컴퓨터 성능도 매년 2배씩 향상 될 것’이라고 주장한 것을 말합니다.) 우리 삶에서 제로 한계비용 현상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사물인터넷이 재화의 서비스의 생산과 유통 등 모든 영역에서 한계비용을 제로에 가깝게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많은 스타트업들이 3D프린팅 운용 체제를 확립하고 자체 생산한 녹색 에너지로 자신의 연구실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글로벌 웹사이트에서 거의 무료로 제품을 마케팅하고 있습니다. 만약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유통하는 데 드는 인간 노동의 한계비용이 거의 제로에 가깝게 급락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IT와 인터넷 기술이 인간 노동의 한계비용도 제로 수준으로 낮추고 있습니다. 빅데이터와 고급 분석, 알고리즘, 인공지능 등이 제조업과 서비스업, 지식 및 엔터테인먼트 전반에 걸쳐 인간 노동을 대체할 것입니다. 셀프 계산 단말기, 가상 의류 피팅, 무인 차량 등 노동자들이 과학기술로 대체되고 앞으로 더 대체될 것입니다. 한계비용 제로사회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아야할까요?? 사회사상가 제러미 리프킨은 가능한 많은 재화를 공유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10평짜리 공간을 100만원 빌려서 사용하는 경우 이 공간을 10명이서 공유한다면 내가 부담해야 하는 비용은 10만원으로 줄어듭니다. 이건 이미 우리 주변에 있는 공유 오피스와 쉐어하우스, 전동 킥보드, 공유전기자전거 등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내가 소유하지 않으면서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한다면 비용을 확 줄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공유’를 선호하시나요? 우리는 오랫동안 소유와 사유화에 길들여져 있어서 공유라는 개념이 낯섭니다. 하지만 점점 더 많은 기업들이 ‘공유’를 기반으로 생겨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클라우드 워킹’이라는 방식으로도 공유를 하고 있습니다. 수 많은 것들이 무료가 되는 한계비용 제로사회는 2050년 경에 온다고 합니다. 우리가 현재의 흐름 속에서 좋은 기회를 파악한다면 우리가 남길 수 있는 이익은 더욱 커지고, 좀 더 나은 삶을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2024.08.31
-
학생부 관리[사문 주제] 정치적 효능감주제: 청소년의 정치적 효능감30529 최여경 가설: 청소년의 정치참여 효능감이 낮기 때문에 20대 투표율도 낮은 것이다. 1. 문제인식 1) 제20대 대통령선거 투표율 분석 결과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 20대의 시민의식 통계자료-“선거 시 반드시 투표에 참여한다” 전혀 중요하지 않다 (1점) 매우 중요하다 (5점) (출처: 통계청) -> 1점: 0.4% 2점: 0.3% 3점: 27.2% 4점: 37.4% 5점: 31.9% 3) (국가통계포털) -> 20대 투표율이 56.7%, 83.2%, 63.3%로 다른 연령의 투표율에 비해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2. 정치적 효능감의 조작적 정의정치적 효능감이란, 자신의 정치적 행동이 실제 정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믿음이나 감각 또는 자신과 정치의 거리에 따른 만족감이다. 정치적 문제 참여에 대한 효능감, 가치관이나 신념이 다른 사람에 대한 포용 및 이해에 대한 효능감, 정부가 시민의 요구에 얼마나 반응하는가를 생각하는 개인의 태도에 대한 효능감으로 나누어 보았다. 3. 정치효능감은 사회참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대한 근거 논문 연구들 1) 촛불문화제에 나타난 청소년의 사회참여 특성에 대한 연구 (이창호, 정의철)청소년들이 자발적이고 주체적으로 사회에 대한 의견을 표현함에 있어 자신감을 가짐으로써 사회에 대한 의사표현을 적극적으로 한다. 즉, 네티즌,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대다수의 연구에서 정치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참여가 또한 높아진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2) 블로그 쓰기와 사회정치참여에 관한 연구-정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박노일, 한정호)블로그 이용자 812명을 대상으로 정치효능감과 사회정치참여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치효능감이 높을수록 사회참여에 적극적이라는 결과를 밝혔다. 4. 나의 생각 실제적인 변화에 참여한 경험은 정치효능감을 높게 만들어 낼 수 있다라고 하는 연구결과들이 있다. 예를 들어 촛불집회는 청년들로 하여금 스스로가 변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처럼 사회 문제에 의견을 내는 민주시민교육은 초.중.고교 교육에서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그런데 아래 기사에도 나와 있듯이 교육부 ‘민주시민교육과’가 사라진다고 한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1057270.html민주시민교육은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대화와 토론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민주시민을 길러내기 위한 교육인데, 이를 위해선 사회·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도 교실 안에서 토의·토론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교실의 정치화에 대한 과도한 우려, 입시위주 교육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민주시민교육은 여전히 한계점에 머물러 있다. 논문 학교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이소연, 박은아)의 연구 결과를 보면 정치적․사회적 이슈를 토론하는 수업시간에 대다수 학생과 다른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은 43%만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참여국 전체 평균 71%보다 28%p 낮았다. 토론을 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선호하지 않을 수 있지만, 논쟁적 이슈에 대한 토론이 민주시민 교육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입시제도 안에서 교육활동을 바꾸기는 힘들 수 있겠지만 학생들이 학교 안팎으로 사회단체에 직접 참여하거나, 직접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청소년의 정치효능감이 증진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민주시민교육을 제공하는 데 있어 국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2024.08.30
-
학생부 관리[사문 주제] 양적연구계획서 발표사회문화 양적연구계획 발표 1. 연구주제: 행동경제학적 접근을 통해 환경인식이 친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 탐구 2. 탐구필요성 환경정책분야에서 공공이 바람직한 행동을 하도록 사용하는 장치는 규제적,법적 시스템, 경제적, 시장 메커니즘, 사회정치적 접근법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 경제적 접근법은 사전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단기간에 성과를 기대할 수 있어 선호된다. 경제적으로 완벽히 타당한 정책이 마련되었다 할지라도 현실에서는 비합리적인 결과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제한적이고 유한한 합리성을 인식하고 이에 근거하여 행동과 동기를 연구하는 행동경제학적 관점에서 환경인식이 친환경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해보고자 한다.* 제한된 합리성 (Bounded Rationality)허버트 사이먼이 1956년 제시한 개념으로, 인간은 해결해야 할 문제의 크기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보다 큰 경우 완벽하게 합리적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함. 3. 가설설정환경인식이 높을수록 친환경행동의 횟수도 증가할 것이다 3-1. 이론적 고찰-환경인식을 세가지 부분으로 나누었다.환경관심, 환경지식, 환경행동-가설에서 ‘친환경 행동’을 ‘탄소배출량 저감을 위한 세금 지불 의사’라고 정의했다.-행동경제학 이론 중 전망이론(프로스펙트이론)의 특징 중 민감도 체감(한계효용 체감 법칙)을 활용하였다. (가치함수) 전망이론은 사람들의 효용수준이 이익보다 손실에 더 민감하며 특히 이익구간에서는 안전한 선택을, 손실구간에서는 위험한 선택을 선호하게 된다고 한다. 또한 S자 모양의 효용곡선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여기에서 효용은 '기준점' 을 기반으로 하므로, 이득이나 손실의 수준이 똑같더라도 어떤 기준점에서 측정하는가에 따라 느끼는 효용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민감도 체감이란 동일한 10만원 수익 증가라도 0원에서 10만원으로 늘 때 느껴지는 심리적 가치가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변할 때보다 더 높게 되는 특징을 말한다. 4. 연구설계-질문지법 이용1) 설문대상: 30~69세 이하 총 400명 (30대 100명, 40대 100명, 50대 100명, 60대 100명)이유: 환경이슈에 상대적으로 민감하며 경제적으로 독립이 되었고, 환경인식과 관련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나이라고 생각됨 2) 변수설정환경인식은 환경관심, 환경지식, 환경행동의 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3) 변수에 대한 조작적 정의환경인식: 자연환경의 보존과 개발에 있어 개인이 가지는 자연에 대한 환경인식탄소세 지불 의사: 탄소세 부과 시 지불할 의사탄소세 부과 인지 여부: 탄소세 부과 인지 여부탄소세 지불의사 금액: 탄소세 부과 시 지불할 금액-> 척도 정하기 3) 설문지 문항 구성 1. 환경인식 파악 (5점 척도: 1 매우아니다 ~ 5 매우 그렇다) 유형1) 환경관심-환경 기사나 보도를 주의 깊게 보는 편이다-내가 사는 곳의 환경 오염 수준에 관심을 기울인다 유형2) 환경 지식-환경오염의 원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어떤 행동이 환경보호에 도움이 되는지 말할 수 있다. 유형3) 환경 행동-재활용원료나 재생소재로 만든 제품을 구매하려고 노력한다-가까운 거리는 걷거나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비닐봉투의 사용을 줄이려고 노력한다. -탄소배출량을 줄이는데에 세금이 징수된다면 지불할 의사가 있습니까?-지불할 의사가 있다면 얼마가 마땅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참고> 탄소배출량 심각도 주의300 이상30이상~80미만농도 (등급)300->250 (매우심각-> 심각)250->140 (심각->주의)2024.08.30
-
학생부 관리[언매 주제] 광고 속 맥락 분석 활동<매체언어의 탐구와 활용 – 도시바의 LED 전구 광고 속 맥락을 분석해 작가의 의도 해석하기>20528 최여경 제작: ‘도시바’ 기업광고: “도시바의 LED 전구와 보낸 10년의 삶”https://www.youtube.com/watch?v=FYb230A1o0I-> 광고 영상 광고 내용: 커튼 뒤에 비치는 한 남자의 인생을 잔잔하게 보여준다. 전구 외에는 아무것도 없던 그의 공간에 강아지가 오고, 사랑하는 여인을 만나 결혼을 하고, 그 후에 펼쳐지는 그의인생을 볼 수 있다. 많은 이야기를 커튼 뒤에 비친 그림자만으로 전달했다.시간이 지나가도 전구는 남자의 주변을 비추고 따뜻하게 감싸준다. 시간은 흘러 10년이 다되어가고 전구의 수명도 다 되어간다. 전구는 마지막 하루의 빛을 밝히게 되고 그동안 집을 밝혀준 날들을 10년의 달력으로 표기해서 보여준다. 이제는 도시바의 새로운 전구가 집의 또 다른 10년을 밝혀주기 위해 준비한다. <질문> 1) 어떤 상품을 광고하고 있는가?전구.‘빛’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치로서 커튼과 그림자를 사용했다. 2) 광고 타겟층은 누구인가?전구를 구입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이다. 3) 광고 속 사회적 의미는 무엇인가?도시바의 LED 전구는 수명을 다할때까지 광고 속 남자와 삶을 비춰주고, 주변사람들을 따뜻하게 해주고, 항상 남자의 인생을 감싸준다.전구의 성능을 부각하며 사람의 인생과 연결시키고 있다. 4) 도시바의 LED 전구 광고에는 어떤 표현 기법이 쓰였는가?스토리텔링을 이용해 소비자의 머릿속에 효과적으로 전구가 기억되게 했다. -> 광고를 분석하면서 스토리텔링이 쓰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도시바는 광고에 스토리텔링을 써서 효과적인 마케팅을 이끌어냈다. 그래서 스토리텔링의 힘과 스토리텔링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왜 마케팅에 스토리텔링을 이용하는지 궁금해져서 조사했다. <스토리텔링의 힘과 스토리텔링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법> ‘스토리텔링’이란 '스토리(story) + 텔링(telling)'의 합성어로서 말 그대로 '이야기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즉 상대방에게 알리고자 하는 바를 재미있고 생생한 이야기로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행위이다. 스토리텔링은 정보를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쉽게 이해시키고, 기억하게 하며, 정서적 몰입과 공감을 이끌어내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2. 스토리텔링 마케팅 상품에 얽힌 이야기를 가공, 포장해 광고·판촉 등에 활용하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다. 만화 한자책 『마법천자문』의 인기는 스토리텔링의 위력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이다. 경향은 과학이나 역사 서적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스토리텔링 마케팅의 효과는 관광 등 문화산업에서도 나타난다. 똑같은 남이섬이라 하더라도 ‘드라마 〈겨울연가〉 주인공이 거닐던 남이섬’이면 한번 더 보고 싶다. 그러므로 지방자치단체 등 문화산업 주체들은 ‘스토리’와 ‘체험’이 있는 문화상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다. 요즘 유명 관광지와 그곳에 얽힌 이야기를 결합한 다양한 한류 상품을 기획한다. 명품 보석·시계로 유명한 불가리는 베스트셀러 작가인 페이 웰던에게 아예 『불가리 커넥션』이란 소설작품을 써달라고 의뢰했다. 이 책의 표지는 불가리의 목걸이 사진이었는데 이 목걸이가 소설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대형 플랫폼 기업들의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3. 마케팅과 스토리텔링의 연결고리마케팅에서 스토리텔링은 기업의 가치와 존재 이유를 표현하는 것이다. 판매하는 제품은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를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다. 해당 기업이나 브랜드가 왜 존재하는지, 무엇을 위해 매일 시간과 노력과 돈을 들이는지, 그 결과물인 제품이 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주고 어떤 도움이 되는지를 표현한다. 따라서 기업의 가치, 조직의 구성원, 제품, 활동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유기적으로 조직하고 표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마케팅에서의 스토리텔링이다.2024.08.30
-
학생부 관리[경영 주제] 5 force 이론으로 월마트가 한국에서 실패한 이유 분석고등학교 2학년, 경영학과를 희망했던 저의 탐구 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마이클 포터의 5 force 이론으로 월마트가 한국에서 실패한 이유 분석 -영어기사 작성하기 왜 월마트는 한국에서 실패했을까? 미국시장 점유율 1위인 월마트를 아시나요? 월마트는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11,500개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는 대기업입니다. 세계시장에서 성공한 월마트는 한국시장으로도 진출을 했지만 시작부터 부진한 시장점유율과 판매실적으로 2006년 한국에서 철수하게 됩니다.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한 미국에서와는 달리 한국에서 월마트가 실패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어떤 산업에서든 성공하기 위해서는 ‘산업 매력도 분석’과 ‘기업 경쟁력 분석’을 해야한다고 마이클 포터의 5 force 이론에 나와 있다. 월마트가 실패한 이유도 산업 매력도 분석과 기업 경쟁력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산업 매력도를 결정하는 5가지 요소로는 진입자의 위협, 구매자의 교섭력, 공급자의 교섭력, 대체재 위협, 기존 경쟁자들의 경쟁이 있다. 한국 소매 산업의 매력도를 <그림1>로 분석해보자. 구매자가 매우 많고, 공급자도 충분히 있어 시장이 매우 매력적이다. 또한 현재 산업 내 경쟁자가 몇 군데 있지만 심각한 위협을 줄 수준은 아니다. 신규 경쟁자가 추가로 생길 가능성도 낮고, 대체 산업도 별로 없기 때문에 산업 매력도가 높다. 따라서 월마트가 한국 시장에 진출한 일 자체는 옳은 결정이다. 문제는 전략 선택을 잘못했다는 점이다. 산업 매력도가 높은 기업 경쟁력 산업을 선택한 다음에는 성과를 내야 한다. 이를 위한 2가지 기본 전략은 ‘저원가 전략’과 ‘차별화 전략’이다. 또한 기업은 사업 범위를 얼마나 넓힐지 결정해야 한다. 경영전략의 핵심은 자신의 역량을 기초로 주어진 환경에서 가장 적합한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다. 기업의 역량이 아무리 뛰어나도 경영환경에 맞지 않는 전략을 택해 실패한 사례가 세계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이다. 월마트의 핵심역량은 대형 점포, 넓은 주차장, 큰 물류 창고 등을 기반으로 하는 ‘규모의 경제’였다. 그래서 부동산 가격이 저렴한 미국, 브라질 등에서는 쉽게 성공할 수 있었다. 반면 부동산 가격이 비싸고 적절한 장소를 구하기 힘든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기 힘들다. 월마트는 제품을 값싸게 공급한다. 그러나 싼 가격만을 강조하는 전략은 한국에서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왔다. 한국 소비자들은 무조건 값이 싼 제품을 대량으로 구입하지 않는다. 품질이 좋은 제품을 다양하고 편리하게 구입하려고 대형 유통업체를 이용한ㄷ. <그림2>나 <그림3>의 화살표가 보여주듯, 월마트는 한국시장에서 저원가 전략이 아니라 품질 다양성, 쇼핑 편의성을 높이는 차별화 전략을 택했어야 했다. 문화적 요소들은 크게 고려하지 않은 월마트의 영업태도는 마케팅과 서비스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미국에서는 최소한의 서비스를 제공해서 인건비와 운영비를 줄임으로써 많은 물건을 싼 가격에 제공하는 전략으로 월마트가 엄청난 성공을 거둔 듯하나, 하지만 한국의 소비자들은 미국의 소비자들과는 다른 문화적 성향을 지녔다. 국내 소비자들은 대형마트에서도 친절한 서비스를 받으면서 깨끗하고 편한 환경에서 장을 보기를 원했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불만족을 이끌어냈다. 경영전략 본질은 기발한 아이디어 제시가 아니라 복잡한 경영 현상을 쉽게 파악해 최선의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사업 범위를 넓힐 때 각 나라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맞는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2024.08.30
-
학생부 관리스스로 생기부 점검하는 방법대학 입시는 학생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생기부는 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인성을 평가받는 중요한 자료로 작용합니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생기부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단순히 학교에서 제공하는 양식만을 채우는 데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은 자신의 경험과 성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게 하여, 결국 지원하는 대학에서 원하는 학생상을 전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스로 생기부를 점검하며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 과정이 필수입니다!! 생기부 컨설팅은 비용이 정말 높은데요. 컨설팅 비용을 아끼고, 스스로 생기부를 점검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입결 비교할 때 어떤 등급을 기준으로 비교해야 할까? ( 전과목? 국영수사? 국영수과? 국영수사과? ) 자신의 학종 등급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국영수사, 국영수과, 국영수사과, 전과목 등급의 평균점을 내고 이것이 자신의 학종 등급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만약 내신이 2.0인데, 한문이 5~7등급이라면....?? 2.0인 친구인데 국영수 사과가 2.0인데 한문이 5등급 7등급 이렇게 받는 친구들도 간혹 있는데, 이런 경우 대학에서는 아 이 친구가 모든 과목을 열심히 하는 성실한 친구는 아니었구나라고 생각합니다. 이 친구들에 대한 성실성은 마이너스를 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우리 학교에 들어왔을 때 학업 능력은 되겠다라고 평가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영수가 점수가 좋은데 전 과목 점수가 낮으면 성실한 부분에 대해 많은 점수를 주는 학교를 지원하는 걸 조금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기부 완성도 판단 기준?1) 내 성적을 면밀하게 따져서 수시에 적합한 성적인지 먼저 확인하기이때는 전과목 등급 국영수 사학 국영수 사과 등급 이 4가지의 과목의 등급들은 평균점을 내서 이것이 나의 진짜 성적이라고 생각을 해야 합니다. 이 성적을 기준으로 서울대학교 홈페이지에 나온 권장과목 역량 -핵심과목과 권장과목들에 대한 과목을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과목들에 대한 나의 성적이 얼마만큼의 좋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찾아보는 것으로 학업역량을 진단해볼 수 있습니다!2) 2학년 생기부가 끝나거나 1학년 생기부가 끝난 후, 질문받을 수 있는 문항이 몇개인지 찾아보기!나의 진로 역량과 혹은 신화탐구 역량이 얼마나 뛰어난지를 알기 위해서는 현 2학년 생기부가 끝나거나 혹은 1학년 생기부가 끝났을 때 생기부에서 내가 과연 질문받을 수 있는 문항이 몇 개나 나오는지를 한번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2학년 생기부가 끝나거나 1학년 생기부가 끝난 후, 질문받을 수 있는 문항이 몇개인지 찾아보기!면접 질문 문항이 많이 나올수록 생기부 완성도가 높음.*1~2학년 생기부에서 전공 질문이 많이 나오는 경우 ->전공적합도를 많이 보는 학교를 지원할 시 유리합니다!30~40개 이상나의 궁금증을 유발하는 문항이 적다면, 그 분야의 진로역량이 떨어진 것입니다.3학년 때 성적을 높이면서도, 진로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3) 내가 주도적으로 활동한 것이 잘 드러나 있는지 확인하기 임원활동, 학생회활동, 심화프로젝트 등 자신이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진행한 프로젝트들이 잘 서술되어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내가 어떤 역할을 했고, 이 역할을 어떻게 했으며, 결과 또한 나온다면 진로역량과 더불어 공동체역량까지 보여줄 수 있습니다! 만약 컨설팅을 받을 생각이 있더라도 스스로 생기부에 대해 점검한 후 비교해보면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2024.08.30
-
학생부 관리독후감, 어떻게 써야 할까??독서를 생기부에 넣는 것은 중요합니다.그렇기에 독후감을 작성하여 제출하는 것이죠. 그럼 사실상 독후감을 가장한 독서 기반 탐구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 걸까요?? -> 정확한 공식 용어는 아니지만 '독후감을 가장한 독서 기반 탐구 보고서' 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A분야에 관심이 많아 이 책을 읽고 이러한 탐구활동을 진행함. 약간 이런식으로...? 해야하는걸까요? -> 책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또한 좀더 구체적으로 세특에 녹여야 합니다. "평소 A분야에 관심이 많아 이 책을 읽고 이러한 탐구활동을 진행함." 이런 문구가 들어가는 것은 나쁘진 않지만, 평범한 생기부로 보일 수 있습니다ㅠㅠ "A분야에 관심이 많다"라는 문구가 들어가는 것도 괜찮고, 좀더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선 A분야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는 활동이 들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예) "사회학에 관심이 많아~"-> "사회문화 과목에서 진행한 ~탐구 이후 000에 의문이 생겨~" 그리고 어떤 탐구활동을 진행했는지 드러나야 합니다! 이럴 경우, 독서가 탐구의 동기가 되는 것이죠. *독서활동을 어떻게 활용해야 좋은 세특을 만들 수 있는지 팁 간단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1. 책을 읽고 후속활동 하기 2.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책으로 심화시켜 확장하기 3. 책을 각종 수행평가, 교내 교육활동, 프로젝트 활동의 자료로 활용하기 과연 독후감에 들어가면 좋은 내용은 무엇일까요? <독후감에 들어가면 좋은 내용> : 책을 읽게 된 동기, 읽으며 배운 점, 궁금한 점, 비판적으로 바라본 점, 연계하며 펼친 후속 활동 *후속활동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탐구보고서(탐구동기가 독서)로 이어지는 것이죠. 세특을 위한 독후감은 단순히 내용과 느낀점을 쓰는 것이 아닙니다.어떤 내용이 세특에 들어가면 좋을지 생각하면서 신중히 작성하는 것입니다.전에 스토리노트에서 어떤 구조의 세특이 좋은 평가를 받는지 알려드렸었죠??만약 보지 않으셨다면 보고 오는 것을 추천드립니다.좋은 세특 구조에 맞추어 독후감을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세특에 어떻게 쓰이는지도 알려드리겠습니다!<세특에 쓰이는 문구> 1. 책을 읽고 후속 활동을 했을 때 -> ~책을 읽고 ~에 궁금증이 생겨 "~"를 주제로 탐구활동을 진행함. 뒤에는 탐구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쓰기 2.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책으로 심화시켜 확장하기 -> 수업시간에 ~이론을 배운 후 궁금증이 생겨 "~책"을 읽음. 뒤에는 책을 읽고 어떤 생각을 했는지 등 서술하기 3. 책을 각종 수행평가, 교내 교육활동, 프로젝트 활동의 자료로 활용하기 -> 예) ~주제로 토론활동에서 찬성측 반론자로 참여하여 책의 ~내용/문구를 근거로 활용함. 뒤에는 구체적+논리적인 근거 서술하기 이렇게 정리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스토리노트 링크-(좋은 세특의 구조란 무엇일까?)리로스쿨ㅣ교육 포털 (riroschool.kr) (독서로 차별화된 세특 만드는 방법)리로스쿨ㅣ교육 포털 (riroschool.kr)2024.08.30
-
학생부 관리독서, 생기부에 어떻게 녹여야 할까??독서가 정말 중요한 건 많은 학생들이 알고 있을텐데요하지만독서를 생기부에 어떻게 녹여야 할지 잘 모르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상황에서 독서를 어떻게 생기부에 넣어야 할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책을 통해 내 사고가 어떻게 확장되었는지 나타내자 #책을 통해 내 사고가 어떻게 확장되었는지 나타내는 방법 : 인상깊은 부분(의문이 들었거나 깨달음이 많았던 부분 등)을 읽고 구체적+논리적 “근거”를 통해 자신만의 주장을 설립하기 근거=내가 왜 이런 주장을 하는지 보여주는 자료 및 탐구과정 2. 읽은 책에 문제점과 대안이 있을 때 할 수 있는 활동 #읽은 책에 문제점과 대안이 있을 때 할 수 있는 활동 : 저자의 관점을 비판해보기 (나는 무엇을 근거로 이런 관점을 가졌는데, 저자의 ~관점은 ~이유 때문에 옳지 않다. 그래서 저자가 내세운 대안은 ~을 근거로 옳지 않다 또는 ~한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방향으로 대안을 수정해야 한다.) 이렇게 해볼 수도 있습니다! 예시) 책을 읽다 보면 종종 저자가 다루지 못한 문제점이나 한계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럴 때는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활동을 통해 독서의 깊이를 더할 수 있습니다. 내가 읽은 책에서 환경 문제를 다루었지만, 저자가 제시한 해결책이 미흡하다고 느꼈다면, 이를 바탕으로 환경 보호를 위한 캠페인이나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요약)1. 책을 읽고 저자의 관점 비판하기 -구체적이고 논리적인 근거 필수 -저자가 제시한 결론을 보완하는 새로운 해결방안 제시 2. 저자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이 일치할 때 -저자가 제시한 것을 그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 약간 키워드 등을 바꾸어서 자신의 언어로 바꾸기 생기부 독서활동 예시1) 수업 시간 중 교과 내용과 잘 연계된 독서활동: <법과 정치> 수행평가 과제로 ' OOO 한국, OOOO를 꿈꾸다'를 읽고 한국 사회 OOO 자료를 시각자료를 통해 설명하고 이 중 OO 불평등, OOO와 관련된 허술한 OOO에 주목하여 조사하고 의견을 발표하는 과정이 논리적임 2) 독서를 통한 지식의 확장 경험이 잘 드러나는 경우: 운동과 에너지 단원은 OOO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OOO은 저에게 생소하게 느껴짐. 'OOO'을 읽고 원심력, 구심력, 회전력, 각운동량 보존법칙과 같은 물리법칙을 쉽게 이해함. 영미문학 수업에서 'OOOO'를 읽고 시대 배경과 등장인물을 분석함. OOO의 삶에 호기심이 생겨 자료조사 후 에세이 쓰기로 이어짐. 그 이후 OOO 동아리에서 자료 소개, 보고서 작성을 위해 밤새워 탐구하는 등 OOO에 대해 친구들과 공유하고 토론하는 것이 재미있음. -> 이런 과정을 통해 지식 확장 경험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독서활동을 통한 지식 확장과 자기 성찰이 잘 드러나는 경우: 서평 수행평가에서 'OOO'의 서평을 작성하고 책의 키워드로 'OO'을 골라 발표하면서 OO이 무엇인지 깨닫기 위해 OOO 사상에 대해 고민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서술한 점이 우수함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톡을 통해서 물어봐주세용 #생기부 #독서 #학종 #세특2024.08.30
-
학생부 관리"뻔한" 소재를 가지고 "특별한" 세특 만드는 방법!!탐구 주제를 정하긴 했는데, 너무 흔한 소재는 아닌가??너무 뻔한 건 아닐까??라고 생각하신 적 있으신가요? 괜찮습니다!!제가 알려드린 방법을 이용한다면 뻔한 소재로 뻔하지 않은 세특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저도 고등학생 때 어떤 탐구 주제를 무엇으로 할지,이 소재를 너무 흔한 건 아닌지 고민을 많이 했는데요..... 세특의 핵심 “구조”만 알고 있다면 상관없습니다! 입학 사정관이 좋아하는 세특에 대해 저의 스토리노트에서 다룬 적이 있으니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참고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입학사정관이 좋아하는 세특을 간략하게 요약하자면,[동기-과정-결과]로 구성하는 건데요. 과정에는 탐구 주제와 심화 과정이 포함됩니다.탐구주제가 흔한 소재라도, 과정이 뻔하지 않다면!! 차별화된 세특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예) 한국사 시간에 ‘한국의 민주주의 역사’를 설명하는 활동을 함 ->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인 ‘한국의 민주주의 역사’에 대해 심도있게 조사를 한 후 학우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함. 세특엔 이렇게 기술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기술되는 건 단순 나열식 + 얕은 내용이기에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수정해야 할까요?‘과정’을 좀더 심화시켜야 합니다. 학우들에게 이애하기 쉽게 설명했다고 했는데, “어떤 방법으로”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는지 (예를 들어 민주주의 과정에 대한 그림이나 도표로 시각적으로 설명했다거나, 실제 사진을 포함하여 비교 설명했다거나 등) 추가하면 좋습니다. 또한 발표내용과 자신의 의견을 서술하는 것이 좋은데요.단순히 ~내용이 인상적이었다라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연구결과”, “학술 연구 자료”, “책”을 통해 ~이런 생각을 했고, 이러한 사고 과정을 통해 나만의 주장을 도출하게 되었다고 추가하는 것이 훨씬 좋습니다. 그럼 수정을 해볼까요?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인 ‘한국의 민주주의 역사’에 대해 심도있게 조사를 한 후 학우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함.->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인 ‘한국의 민주주의’에 대해 ~점에서 궁금증이 생겨 ~를 주제로 조사를 함. ~을 인식하며 “학술 연구 자료”를 스스로 찾아 읽고, 학자들의 견해를 비교분석해봄.~을 분석하며 ~을 비판함. 이런 형식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자신이 어떤 내용으로 탐구활동을 하는지, 무엇을 참고했는지에 따라 차별화된 세특을 만들 수 있습니다.자신이 활동한 내용을 기반으로 세특을 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지도 않은 내용을 적는 건 안되겠죠?? 주제는 뻔하더라도, 나만의 생각을 확립해가는 과정이 자세하게 드러난다면 특별하고 우수한 세특을 만들 수 있습니다!탐구의 깊이를 나타내는 또하나의 방법으로는 "독서"가 있습니다!독서로 차별화된 세특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앞선 스토리노트에서 많이 다루었으니,관심있다면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톡을 통해서 물어봐주세용2024.08.30
-
공부 방법수능 준비를 위한 효과적인 시간 관리 방법수능 준비를 위한 효과적인 시간 관리 방법 수능 준비는 고등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시기 중 하나입니다. 이 시기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시간 관리가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제대로 된 시간 관리를 통해 수험생들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필요한 공부량을 소화하며,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능 준비를 위한 효과적인 시간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목표 설정하기시간 관리의 첫 단계는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수능을 준비하는 이유와 목표 점수를 구체적으로 정해보세요. 예를 들어, "상위 10%에 들어가겠다" 또는 "특정 과목에서 1등급을 목표로 하겠다"와 같은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목표는 공부의 방향성을 제공하며, 동기 부여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2. 계획 세우기목표를 설정한 후에는 세부적인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일주일 단위 또는 월 단위의 계획을 작성하여 각 과목별로 공부할 내용을 정리해보세요. 예를 들어, 월요일에는 수학 1단원 복습, 화요일에는 영어 독해 연습 등으로 구체적인 일정을 짜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계획은 현실적이어야 하며, 유연성을 두어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3. 우선순위 정하기각 과목의 중요성과 자신의 현재 수준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어떤 과목이 더 어려운지, 어떤 과목이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지를 분석해보세요. 예를 들어, 수학이 약하다면 수학 공부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효율적으로 시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시간 블록 설정하기효과적인 시간 관리를 위해 '시간 블록' 기법을 활용해보세요. 이는 특정 시간 동안 집중해서 공부하고, 그 후 짧은 휴식을 취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50분간 집중해서 공부한 후 10분간 휴식을 취하는 식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집중력을 높이고, 피로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학습 환경 조성하기효율적인 시간 관리를 위해서는 적절한 학습 환경이 필수적입니다. 공부할 때는 방해 요소를 최소화하고, 조용하고 편안한 공간에서 집중할 수 있도록 하세요. 또한, 필요한 학습 도구와 자료를 미리 준비해두면 불필요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6. 정기적인 점검과 조정계획을 세운 후에는 정기적으로 자신의 진도와 성과를 점검해야 합니다. 매주 또는 매달 자신의 공부 상황을 리뷰하고, 필요한 경우 계획을 조정하세요. 만약 어떤 과목에서 예상보다 성과가 떨어진다면, 그 과목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거나 다른 학습 방법을 시도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7. 충분한 휴식과 자기 관리효율적인 시간 관리는 단순히 공부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이 아닙니다. 적절한 휴식과 자기 관리도 매우 중요합니다. 하루에 최소 7-8시간의 수면을 취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사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를 유지하세요. 또한, 친구나 가족과의 소통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8. 동기 부여 유지하기수능 준비 과정에서 동기 부여를 유지하는 것도 시간 관리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지속적으로 떠올리고, 작은 성과에 대해 스스로를 칭찬하며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거나 서로의 목표를 공유함으로써 동기 부여를 높일 수 있습니다. 수능 준비는 긴 여정이지만, 효과적인 시간 관리를 통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습니다. 목표 설정, 계획 세우기, 우선순위 정하기, 시간 블록 설정, 학습 환경 조성, 정기적인 점검, 충분한 휴식, 동기 부여 유지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시간 관리 전략을 구축해보세요! 이러한 노력이 여러분의 수능 준비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최선을 다해 준비한 만큼 좋은 결과가 따라올 것임을 믿고, 자신감을 가지고 임하시기 바랍니다~!!2024.07.31
-
진로 탐색전공 선택을 위한 자기 분석과 탐색 방법대학 진학을 앞둔 고등학생들에게 전공 선택은 인생의 중요한 전환점 중 하나입니다. 이 시기에 자신이 어떤 전공을 선택할지를 고민하는 것은 매우 큰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올바른 전공 선택을 위해서는 먼저 자신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탐색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전공 선택을 위한 자기 분석과 탐색의 중요성, 방법, 그리고 그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자기 분석의 중요성자기 분석은 자신의 흥미, 가치관, 강점, 약점 등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성향과 적성을 이해하게 되면, 어떤 전공이 자신에게 적합한지를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과학에 대한 흥미가 크고, 문제 해결을 즐기는 성향이 있다면, 자연과학이나 공학 계열의 전공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반면,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이 많고, 사람들과의 소통을 중시한다면 사회학이나 인문학 계열이 더 맞을 수 있습니다. 2. 자기 분석 방법자기 분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흥미 검사: 여러 온라인 흥미 검사 도구를 활용해 자신의 관심 분야를 파악해보세요. 예를 들어, 홀랜드 직업흥미검사나 MBTI 성격 유형 검사를 통해 자신이 어떤 직업과 전공에 적합한지를 알 수 있습니다. 자기 반성: 일기를 쓰거나, 자신이 지나온 학창 시절을 돌아보며 어떤 과목에서 즐거움을 느꼈는지, 어떤 활동에서 성취감을 느꼈는지를 기록해보세요. 이러한 반성은 자신의 흥미와 강점을 찾아내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강점과 약점 분석: SWOT 분석(강점, 약점, 기회, 위협)을 통해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떤 전공이 자신의 강점을 살릴 수 있을지를 고민해보세요. 가치관 확인: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와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사회적 기여를 중시하는지, 경제적 안정성을 중시하는지 등을 고민해보면 도움이 됩니다. 전공 관련 자료 조사: 각 전공의 커리큘럼, 진로 전망, 관련 직업 등을 조사하여, 어떤 전공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3. 탐색 과정자기 분석이 끝났다면, 다음 단계는 실제 전공을 탐색하는 것입니다. 탐색 과정에서는 다양한 전공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그 전공이 어떤 커리큘럼과 진로를 제공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전공 관련 자료 조사: 대학의 공식 웹사이트, 전공 관련 책자, 논문 등을 통해 각 전공의 특성과 커리큘럼을 조사합니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전공의 내용과 방향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멘토와의 상담: 해당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멘토나 교수님과의 상담은 귀중한 정보의 원천이 될 수 있습니다. 그들의 경험담과 조언을 통해 전공 선택에 대한 실질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관련 활동 참여: 관심 있는 전공과 관련된 동아리, 세미나, 워크숍에 참여해보세요. 실제로 경험해보는 것은 전공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자신의 적성을 확인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4. 고려해야 할 요소전공 선택을 위한 자기 분석과 탐색 과정에서는 몇 가지 중요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미래 전망: 선택한 전공의 취업 전망과 산업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변화하는 사회와 경제 환경에 따라 어떤 전공이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지를 분석해야 합니다. 개인의 가치관: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고려해보세요. 예를 들어, 사회적 기여를 중시한다면, 사회복지학이나 환경학과 같은 전공이 적합할 수 있습니다. 학습 스타일: 자신이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는지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론 중심의 학습을 선호하는지, 실습 중심의 학습을 선호하는지에 따라 선택할 전공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5. 결론전공 선택은 단순히 대학 진학을 위한 결정이 아니라, 앞으로의 진로와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택입니다. 자기 분석과 탐색 과정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전공을 찾는 것은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글에서 제시한 방법들을 활용해 자신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다양한 전공을 탐색함으로써, 보다 만족스럽고 의미 있는 선택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각자의 길을 찾아 나아가는 과정에서 충분한 고민과 준비가 뒷받침된다면, 미래의 어떤 도전도 자신 있게 맞설 수 있을 것입니다!!2024.07.31
-
학생부 관리우수한 세특을 만드는 좋은 주제 선정법 -비법: ㅁㄴㅇ ㅈㅈ우수한 세특을 만드는 좋은 주제 선정법 4가지 비법4: ‘마니아’ 주제 마지막 네 번째 요소는 본인만의 독특한 관심 분야를 소재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어느 정도 학술적이면서 모든 학생이 관심을 가지지 않는 분야이면 좋습니다. 대표적으로 ‘주식’이나 ‘미국 역사’가 있습니다. 우선, 주식의 경우 주식 분석에 쓰이는 기법들을 주변 환경에 적용시켜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관 투자자들은 저마다의 기업 가치 평가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미래의 현금 흐름을 현재의 가치로 환산하여 합하는 DCF 방식을 채택합니다. 이를 학교에 적용해볼 수 있는 것입니다. 민사고와 같은 사립학교는 엄밀히 말해 법인 형태에 가깝기 때문에 학생들의 등록금을 매출로, 교사의 월급, 시설 운영비 등을 비용으로 산정하여 현금 흐름을 계산하고 민사고의 가치를 산정할 수 있습니다. ‘미국 역사’에 관심이 많은 통계학과 학생을 상정해 보겠습니다. 이 학생은 ‘확률과 통계’ 시간에 배운 개념을 확장하여 미국의 대선 결과를 예측해보는 프로젝트를 구상할 수 있습니다. 미국 역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인문학적 요소를 변수로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산식을 통해 각 주별 승리 확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접근 방식은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주제를 선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본인만의 독특한 관심 분야를 활용함으로써, 학생은 보다 깊이 있는 분석과 탐구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세특의 품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저는 고3때 경영학과에서 사회학과로 진로를 바꾸어습니다. 그래서 고3때 내가 ‘노동사회학’에 대한 마니아라는 것을 보여주고사 생기부를 채웠습니다. 지금 생각하기에 이때 어떤 주제를 했으면 좋았을지, 어떻게 생기부에 활용할지 추가로 더 알려드리겠습니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회적 정체성과 삶의 질” 이 주제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겪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과 그들이 형성하는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비정규직 노동자는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의 경험은 노동 시장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주제를 세특에 활용할 경우,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그들의 삶의 질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터뷰나 설문조사를 통해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 고용 안정성 부족, 사회적 낙인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들의 사회적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리고 이들이 소속감을 느끼는 집단이나 커뮤니티에 대한 탐구를 통해 보다 풍부한 내용을 담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주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첫째,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연구 결과는 실제 정책이나 사회적 논의에 기여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닙니다. 둘째, 비정규직 노동자의 경험은 개인적이고 다양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사례를 통해 깊이 있는 분석이 가능합니다. 이는 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분석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이 주제를 통해 학생은 노동사회학의 이론적 배경과 실제 사례를 연결하여 보다 입체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동시장 이론이나 사회적 자본 이론을 적용하여 비정규직 노동자의 사회적 위치를 분석하고, 이들이 겪는 어려움을 다각도로 조명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주제는 학생 개인의 관심과 열정을 반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연구의 깊이와 진정성을 더할 수 있습니다.2024.07.31
-
학생부 관리우수한 세특을 만드는 좋은 주제 선정법 -비법3: ㅊㅇㅈ ㅎㅅㄷㅇ우수한 세특을 만드는 좋은 주제 선정법 4가지 비법3: 창의적 학생다움 앞에서는 전문성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혹시 안보셨다면..?? 우수한 세특을 만드는 좋은 주제 선정법 –비법 1/ 비법2 먼저 읽고 이 글을 봐주세요~) 그런데 여기서는 ‘학생다움’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하니, 좋은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 까다로워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학생다움’은 쉬운 난이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내용의 난이도가 전문적이면서도 얼마든지 ‘창의적 학생다움’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자신의 주변에서 소재를 찾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경영학과를 지망하는 학생이 기숙사 학교에 재학 중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평일 밤마다 학교 기숙사에서 4인 1실 방에서 잠을 청하는데, 어느 날 문득 직사각형 모서리 끝 부분이 각자의 침대가 붙어있는 침대 배치가 최선인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관련된 전공 서적을 읽은 후 공간 심리학을 적용해 더 나은 침대 배치 방안을 고민해볼 수 있습니다. ‘창의적 학생다움’을 드러낼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학생이 속한 환경의 구체성을 담는 것입니다. ‘경제 활성화’라는 키워드에 관심 있는 학생이 있다고 해보겠습니다. 해당 학생은 “대한민국 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해 탐구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이는 크게 두 가지 이유에서 좋은 주제가 되지 못합니다. 첫째, 해당 주제는 굉장히 방대한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읽는 사람 입장에서 눈에 띄는 주제가 아닙니다. 둘째, 해당 주제의 경우 다뤄야 하는 분량 자체가 많기 때문에 정말 학생이 해당 주제에 대해 깊은 분석을 했는지에 대한 신뢰가 담보되기 어렵습니다. “대한민국 경제 활성화 방안”과 같은 주제는 경제 관료 여러 명이 머리를 맞대도 쉽사리 뾰족한 답을 찾기 어려운 주제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좀 더 범위를 좁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종로구 소재 학생이라면 “종로구 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범위를 좁힐 수 있습니다. 범위를 한층 더 좁혀 “종로구 OO 시장 매출 증대 전략”으로 주제를 잡을 수도 있습니다. 이렇듯 “창의적 학생다움”은 자신의 근방을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쉽게 달성할 수 있는 요소입니다. 결론적으로, 창의적인 주제 선정은 학생의 개성과 전문성을 동시에 드러낼 수 있는 기회입니다. 주변 환경을 반영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주제를 설정함으로써, 학생은 자신의 목소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면접관에게도 깊은 인상을 남길 수 있는 강력한 방법이 될 것입니다. 점점 학생들의 생기부 수준이 상향 평준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상향 평준화된 학생부들 중에서 자신의 학생부가 눈에 띠기 위해선 '창의적 학생다움'이 잘 드러났는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너무 뻔한 주제,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탐구방법이 아닌, 나만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고민하는 것이 중요 열쇠라고 생각합니다.#저의 포트폴리오 중에서 ‘학업/전공/잠재/공동체역량 모두 드러내는 사회탐구 보고서의 정석’ 과 ‘후속+연계 탐구활동?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에서 ‘창의적 학생다움’이 잘 드러나는 주제들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우수한 세특을 만드는 좋은 주제 선정법 비법 1과 비법2 를 보지 않았다면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합니다~!2024.07.31
-
학생부 관리우수한 세특을 만드는 좋은 주제 선정법 -비법 2: ㅅㅅ우수한 세특을 만드는 좋은 주제 선정법 4가지 비법2: 시사 앞선 스토리노트에서 설명한 전문성 있는 주제를 갖추는 것은 모든 학생에게 중요한 원칙입니다. 지금부터 설명할 나머지 원칙은 반드시 적용할 필요는 없지만, 적절하게 활용할 경우 면접관들의 눈길을 끌 수 있는 소재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의 두 가지 주제를 살펴봅니다! “대한민국 경제 위기 극복 방안”“코로나발 유동성 파티 이후 대한민국 경제 위기 극복 방안”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두 주제 모두 그리 훌륭한 주제는 아니지만 두 번째 주제가 첫 번째 주제보다 훨씬 더 적절한 주제입니다. 입학사정관과 교수님들도 결국 사람인 만큼, 많은 텍스트를 일일이 해석할 수는 없습니다. 그들은 키워드별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대한민국 경제 위기 극복 방안”처럼 익숙하고 클리셰적인 단어들로만 구성된 주제는 한 번 읽히고 마는 문장이 되기 쉽습니다. 반면, “코로나발 유동성 파티”라는 시의적절한 문장을 삽입함으로써 보다 흥미로운 주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롤스의 정의관으로 비추어 본 가습기 살균제 사건 당시 국민 담론’을 주제로 진로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롤스의 정의관을 정부의 대처와 당시 여론의 반응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시계열 순으로 분석합니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1994년부터 2011년까지 발생한 사건으로, 이미 10년도 더 된 일이지만, 여기서 언급하는 ‘시사성’은 주제에 서사를 부여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흥미로운 주제로 인식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시사적인 내용이 최근의 일이 아닐 필요는 없습니다. 실제로 지난 입시에서 서울대 화학부에 합격한 학생은 ‘가습기 살균제 사건의 원인 물질 및 유해성 조사’라는 주제로 보고서를 작성했습니다. 보통 시사성 있는 주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분야를 정하고, 이와 관련된 사건들을 리스트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경제학과를 지망하는 학생이라면 역사적 불황 시기를 나열하는 식입니다. 그 후에는 뒤에서 설명할 나머지 두 원칙을 적용할 수 있는 소재를 필터링하는 것이 우월한 전략이 됩니다. 이러한 주제를 선정할 때, 학생들은 항상 자신의 관심사와 열정을 반영해야 합니다. 흥미롭고 시의적절한 주제를 선택하는 것은 단순히 면접관의 눈길을 끌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배운 내용을 진정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제를 선정할 때는 자신의 경험과 의견을 포함시키는 것도 중요합니다. 또한, 주제를 선정한 후에는 관련 자료를 철저히 조사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주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보다 심도 있는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 위기와 관련된 통계 자료, 전문가 인터뷰, 그리고 최근의 뉴스 기사 등을 활용하여 주제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제 선정 후에는 꾸준한 피드백을 통해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친구나 선생님에게 의견을 구하고, 그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주제를 더욱 다듬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세특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시사성이 있는 주제를 철저히 준비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것이 우수한 세특을 만드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2024.07.31
-
학생부 관리우수한 세특을 만드는 좋은 주제 선정법 -비법 1: ㅈㅁㅅ우수한 세특을 만드는 좋은 주제 선정법 4가지 비법1: 전문성"이해할 수 있는 한, 최대한 깊게" 수시 합격생 중 3점대 내신의 외고생이나 4점대 내신의 과학고생을 종종 볼 수 있는 이유는, 이들이 수강하는 수업의 깊이와 폭뿐만 아니라 ‘세특의 깊이’가 일반고와 차별화되기 때문입니다. 대학 입장에서는 해당 학과에 대한 이해도와 관심도가 높은 학생을 선발할 수밖에 없습니다. 동아리 활동과 진로 활동까지 연계되는 세특 부문이 더 고난이도 과목으로 채워지는 만큼, 생기부를 장식하는 주제의 수준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반대로 말하면, 교육과정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일반고 학생들도 ‘외고와 같은 깊이의 세특’을 만들 수 있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는 점입니다. 예: 뛰어난 분석적 사고력으로 예리하고 유의미한 질문을 자주 던져 교사를 긴장하게 하며, 수업 중 다룬 접속법의 심화 수업을 요청하여 별도로 보충을 진행했을 정도로 지적 호기심이 많습니다. 또한, ‘잉카의 길’ 에세이 분석에서 정확한 번역으로 그동안 쌓아온 실력을 발휘하고, ‘문화관광 팜플렛 제작’ 활동에서는 조장을 맡아 핵심 역할인 대본 작성과 나레이션 녹음을 스페인어로 수행했습니다. 원어민 선생님께 개인적으로 감수를 요청하고, 여러 번 수정을 거쳐 문장 완성도와 회화 실력을 높였습니다. 이처럼, 계획 수립과 팜플렛 편집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아 배려와 리더십을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수한 생기부를 만들기 위한 기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단순하면서도 확실한 방법은 “고등학생이 이런 것도 했다고?”라는 인상을 심어주는 것입니다. 위 세특 사항은 엄밀히 말해 아래 설명할 4단계를 모두 따르지 않지만, 전문성을 갖춘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의 심화 내용을 담는 것이 우월 전략임을 확실히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통상 120km/h 속도로 공을 던지는 중학생 투수들 중 140km/h를 던지는 선수가 있다고 할 때, 그 누구도 나이에 어울리지 않다고 나무라지 않는 이유와 같습니다. 즉, 일반고에 재학 중인 학생이라도 특정 학과에 대한 애정이 크고 관련 분야에 대한 실력이 우수하다면 외국어 교과 세특이나 진로 활동 등에서 전문성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문과에서 수학이 중시되는 경제학부를 지망하는 학생이라면, 미적분 교과의 연계 활동으로 ‘입실론-델타 논법’에 대한 탐구 이야기를 담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본인조차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을 삽입하는 것은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앞서 입시 게임을 다트에 비유했을 때, 내신은 다트의 방향, 생기부는 다트 면적, 면접은 ‘자력’에 해당합니다. 훌륭한 생기부와 내신을 마련해 훌륭한 다트를 만들었다 하더라도 ‘자력’이 부족하다면 다트판에 잠시 붙었다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수도권 유명 외고 전교 1등 학생이 훌륭한 생기부를 갖추었음에도 면접에서 주제에 대한 질문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해 탈락한 사례가 있습니다. 최근 2차 반영 면접의 비율을 높이거나 면접을 실시하는 전형을 새롭게 신설한 대학이 많아졌습니다. 예를 들어, “인천 부평구 가치평가”라는 훌륭한 주제를 생기부에 기재한 학생이 있다면, 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더라도 면접 대비 과정에서 “대략적인 가치평가 방법을 설명해주세요” 정도의 질문은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꼬리물기식의 질문이 시작되면 문제가 됩니다. 준비한 답변에 이어 “다른 가치 평가법 대신 해당 가치 평가법을 사용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등의 질문이 이어진다면 쉽게 답변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심화된 내용을 담되, 반드시 학생 본인이 이해하고 있는 내용이어야 합니다!!! 다음 스토리노트에서 비법 2~4까지 순서대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2024.07.3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노동자없는 노동 –사회과학계열[독서활동] 노동자없는 노동 –사회과학계열 노동사회학에 관심있던 고3 때 이 책을 읽었는데요. 앞으로 큰 변화가 있을 노동시장에 대해 다룬 책입니다. 어떤 내용인지, 세특에는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책 제목: 노동자 없는 노동- 플랫폼 자본주의의 민낯과 미세노동의 탄생저자: 필 존스 책 목차서문 메커니컬터크: 미세노동의 탄생1장 실리콘밸리의 잉여2장 인공지능 혹은 인간지능?3장 서비스형 인간4장 지워지는 노동5장 미래는 배제된 사람들 손에 달렸다후기 미세노동이 만드는 유토피아 내용소개 《노동자 없는 노동》은 현대 사회의 노동과 경제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책으로, 저자 마르쿠스 가브리엘이 쓴 작품입니다. 이 책은 21세기 경제 구조의 변화와 그에 따른 노동 개념의 재정립을 탐구하며, 기술 발전과 자동화가 가져오는 사회적, 경제적 영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특히, 앞으로의 노동 시장에서 인간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습니다. **1. 현대 노동의 위기** 가브리엘은 현대 사회에서 노동이 점점 더 비인간화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자동화와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많은 전통적인 직업이 사라지고 있으며, 이는 노동자에게 심각한 위기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이러한 변화가 단순히 기술적 발전의 결과에 그치지 않고, 경제 구조의 근본적인 재편성을 요구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노동이 단순히 생계 수단이 아니라 인간 존재의 중요한 부분임을 강조하며, 노동이 인간의 정체성과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2. 노동의 가치 재조명** 이 책에서 가브리엘은 노동의 가치를 재조명합니다. 그는 전통적인 노동 개념이 변화함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노동이 등장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예를 들어, 자원봉사나 취미 활동과 같은 비정규적이고 비금전적 형태의 노동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는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로 인정받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인간이 노동을 통해 자신을 실현하고, 사회와 연결되는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3. 기술과 인간의 관계** 가브리엘은 기술 발전이 인간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습니다. 그러나 그는 기술이 단순히 노동력을 대체하는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합니다. 기술은 인간의 역량을 확장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기술이 인간의 삶을 어떻게 풍요롭게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4. 새로운 사회적 계약** 이 책에서 저자는 새로운 사회적 계약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현재의 경제 구조는 노동자와 고용주 간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불만과 갈등을 낳고 있습니다. 가브리엘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계약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기본소득제와 같은 대안적인 정책을 제안하며, 모든 시민이 최소한의 삶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합니다. 이는 노동의 가치와 의미를 재정의하고, 모든 사람들이 존엄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5. 결론: 미래의 노동에 대한 비전** 《노동자 없는 노동》은 단순히 현재의 노동 문제를 다루는 것을 넘어, 미래의 노동에 대한 비전을 제시합니다. 가브리엘은 기술 발전이 가져오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고방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우리는 노동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인간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노동의 의미와 가치를 고민하게 만들며, 앞으로의 사회를 어떻게 구축해 나가야 할지를 생각하게 합니다. 《노동자 없는 노동》은 현대 사회의 노동 문제를 심도 있게 탐구하며, 새로운 형태의 노동과 사회적 계약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중요한 저작입니다. 이 책은 수많은 이론적 근거와 사례를 통해 독자들에게 깊은 통찰을 제공하며,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노동의 본질에 대한 고찰과 함께,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강력히 추천하는 책입니다. #책을 활용한 탐구 주제 추천#1. 기술 발전과 노동의 미래 - 기술이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미래의 노동 형태에 대한 탐구. 예를 들어, 인공지능과 자동화가 특정 직종에 미치는 영향과 인간의 역할 변화에 대해 조사해볼 수 있습니다. 2. 노동의 가치 재정의 - 현대 사회에서 노동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탐구. 자원봉사, 프리랜서, 비정규직 등 다양한 형태의 노동이 사회에서 어떻게 인정받고 있는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3. 기본소득제의 필요성과 효과 - 기본소득제가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효과를 탐구. 기본소득제가 노동자에게 어떤 경제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 4. 사회적 불평등과 노동 - 노동 시장에서의 불평등 문제를 탐구. 성별, 인종, 계층에 따른 노동의 차별적 대우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갈등에 대해 연구할 수 있습니다. 5. 자율성과 노동 - 현대 노동에서 자율성이 어떻게 보장되고 있는지를 탐구. 자율적 근무 형태가 직원의 삶의 질과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볼 수 있습니다. 6. 노동과 인간 존재의 의미 - 노동이 인간의 정체성과 존재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탐구. 과거와 현재의 노동 개념 비교 및 노동이 인간 삶에 미치는 영향을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7. 환경과 지속 가능한 노동 - 지속 가능한 발전과 노동의 관계를 탐구. 친환경적인 노동 관행이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조사해볼 수 있습니다. 8. 글로벌화와 노동 - 글로벌 경제에서 노동의 변화와 그로 인한 사회적 영향에 대해 탐구. 특히, 개발도상국에서의 노동 조건과 선진국의 비교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과목 연계: 사회, 경제, 윤리, 과학 등 다양한 과목과 연계하여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회 과목에서는 노동의 역사적 변화를, 경제 과목에서는 기본소득제의 경제적 효과를 탐구할 수 있습니다.2024.07.31
-
기타[대학소개] 이거 보면 여기 오고 싶을걸?? -서울시립대[대학소개] 이거 보면 여기 오고 싶을걸?? -서울시립대 ‘더글로리, 펜트하우스, 선재업고튀어, 응답하라 1988’ 이 드라마들을 본 적이 있으신가요??모두 유명하고, 저도 봤던 드라마입니다.이 드라마들 모두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촬영했었는데요!! 이 뿐만이 아니라 메가스터디 광고, 나이키 광고, 뮤비 촬영 등등 서울시립대학교로 촬영오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촬영오고 싶을 만큼 예쁘고, 매력적인 서울시립대의 장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서울시립대학교는 수험생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선택지입니다. 저는 이 대학교의 학생으로서, 서울시립대의 여러 장점들을 직접 경험해보았고, 이를 통해 이곳이 왜 많은 학생들에게 사랑받는지를 잘 알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립대의 장점인 저렴한 등록금, 장학금 제도, 아름다운 캠퍼스, 평지의 이점, 그리고 우수한 시설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첫째, 서울시립대의 저렴한 등록금은 많은 학생들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합니다. 대학교에 진학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울시립대는 타 대학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등록금을 유지하고 있어,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학비에 대한 걱정이 많은 수험생들에게 큰 장점이 될 것입니다. 저렴한 등록금 덕분에 학생들은 학업에 더욱 집중할 수 있고, 다양한 경험을 쌓는 데 필요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둘째, 서울시립대는 뛰어난 장학금 제도를 갖추고 있습니다. 다양한 장학금이 마련되어 있어, 성적이 우수한 학생뿐만 아니라 경제적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장학금을 통해 학비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서울시립대의 장학금 제도는 학생들이 꿈을 이루는 데 큰 힘이 되어줍니다. 수험생 여러분도 장학금 신청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덜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길 바랍니다. 셋째, 서울시립대의 캠퍼스는 정말 아름답습니다. 캠퍼스 곳곳에는 녹지가 풍부하고, 잘 정돈된 조경이 있어 학생들이 공부와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많습니다. 특히, 캠퍼스 내의 다양한 시설들은 학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예쁜 캠퍼스는 공부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친구들과의 소중한 추억을 쌓을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수험생 여러분이 서울시립대에 입학하게 된다면, 이 아름다운 캠퍼스에서의 생활은 분명히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넷째, 서울시립대는 평지에 위치해 있어 이동이 매우 편리합니다. 캠퍼스가 평지에 위치해 있다는 것은 학생들이 수업에 가는 데 불편함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많은 대학교들이 언덕이나 경사가 있는 지역에 위치해 있어 이동이 불편할 수 있지만, 서울시립대는 그런 걱정 없이 편안하게 다닐 수 있습니다. 이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해주며, 학생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마지막으로, 서울시립대의 우수한 시설은 학생들의 학습 환경을 더욱 향상시킵니다. 최신식 강의실, 도서관, 연구실 등은 학생들이 최상의 학습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특히, 도서관은 방대한 자료를 보유하고 있어 학생들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쾌적한 독서 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와 같은 시설들은 학생들이 학업에 전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줍니다. 결론적으로, 서울시립대는 저렴한 등록금, 우수한 장학금 제도, 아름다운 캠퍼스, 평지의 이점, 그리고 훌륭한 시설로 인해 많은 수험생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입니다. 이곳에서 학업을 이어간다면, 경제적 부담을 덜고, 쾌적한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누릴 수 있습니다. 수험생 여러분, 서울시립대에서의 새로운 시작을 꿈꾸며, 여러분의 미래를 위해 최선을 다해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저의 멘토 프로필 사진을 보면 귀여운 캐릭터가 보일텐데요~ 바로 서울시립대의 마스코트인 '이루매' 입니다!학교 상징동물이 '매' 라는 사실~!!이루매가 너무 귀엽고, 기념품들도 예뻐서 학교 갈 맛이 납니당 ㅎㅎ2024.07.31
-
기타스트레스, 어떻게 해야 잘 풀 수 있을까??<스트레스 푸는 방법> 수험생들은 중요한 시험을 준비하면서 많은 스트레스를 겪게 됩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학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도 해로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험생들이 실천할 수 있는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첫째, 규칙적인 운동이 큰 도움이 됩니다. 운동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신체 활동을 통해 엔도르핀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기분이 좋아지고, 긴장이 완화됩니다. 수험생들은 짧은 시간이라도 매일 산책이나 조깅, 요가 등을 통해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자연 속에서의 운동은 더욱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상쾌한 공기를 마시며 몸을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가 크게 줄어들 것입니다. 둘째,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험 준비로 인해 밤늦게까지 공부하는 경우가 많지만, 수면 부족은 집중력과 기억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루에 최소 7~8시간의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수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잠들기 전에는 스마트폰 사용을 줄이고,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유지하면 몸과 마음의 피로를 덜 수 있습니다. 셋째, 명상이나 호흡 운동을 통해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간단한 호흡 운동을 통해 긴장을 완화하고 마음을 차분하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깊게 숨을 들이쉬고 천천히 내쉬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명상은 불안감을 줄이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매일 5~10분 정도 시간을 내어 명상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넷째, 친구나 가족과의 소통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수험생들은 공부로 인해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질 수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주변 사람들과의 대화가 필요합니다. 자신의 고민이나 스트레스를 털어놓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만으로도 큰 위안이 될 수 있습니다.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거나,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는 활동도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다섯째, 취미 활동을 통해 긴장을 풀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공부 외에도 좋아하는 일을 하는 시간을 가지면 마음의 여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듣고, 책을 읽는 등의 취미 활동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창의력도 키워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자신의 관심사를 발견하고 그에 몰두하는 것은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합니다. 여섯째,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막연히 공부하는 것보다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에 맞춰 계획을 세우면, 성취감을 느낄 수 있어 스트레스를 덜어줄 수 있습니다. 일정한 시간에 공부하고, 중간중간 휴식 시간을 가지며, 작은 목표를 달성했을 때 스스로를 격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져서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상담사나 심리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는 다양한 스트레스 관리 기법을 제시해 주고, 개인의 상황에 맞는 해결책을 찾아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수험생들이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운동, 충분한 수면, 명상, 소통, 취미 활동, 목표 설정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자신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실천함으로써, 수험생들은 보다 건강한 마음가짐으로 시험 준비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스트레스 관리는 단순히 시험을 준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앞으로의 삶에서도 중요한 습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 꾸준히 실천해보세요! 수험생활은 정말 힘들고 포기하고 싶을 때도 있습니다 제가 알려드린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서 도움되었으면 좋겠습니다~!2024.07.31
-
공부 방법[고3] 수능 사회탐구 공부법[고3] 수능 사회탐구 공부법 개념 학습 사회탐구는 개념공부만 잘해도 점수를 올릴 수 있습니다. 만약 인강 커리를 듣는다면 그대로 공부해도 상관없습니다. 인강 선생님의 책을 사서 강의를 듣고 문제를 풀어도 됩니다. -사설 인강 커리를 듣지 않는 사람들을 위해 1) 수능특강 사기 첫단원 개념을 쭉 읽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이해를 해야 합니다. 외워야 하는 부분이 있기에 그 부분은 자주 보면서 외워야 합니다.개념을 최소 3회독을 해야 머리 속에 들어옵니다. 처음 읽을 때는 외울려는 마음보다는 슥 훑어본다는 느낌으로 읽고, 그 다음부터 이해+암기하면서 읽어야 합니다. 처음 문제를 풀 때는 개념 정리를 보면서 해도 됩니다. 그 후에는 개념 정리를 보지 않고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같은 문제를 3번씩 풀어야 하기에 문제집에다가 답을 적지 말고 다른 노트에다가 답을 적는 것이 좋습니다. 수능특강을 2번째에 풀 때부터 틀렸거나 헷갈리는 문제의 개념을 다른 노트에다가 정리를 해야 합니다. 저는 이 노트를 개념 오답 노트라고 불렀습니다. 개념 오답 노트에 헷갈렸던 개념들을 적고, 이동시간 및 쉬는 시간에 자주 봤습니다. 2) 기출문제집 풀기 (마더텅)기본 개념을 다했으면 이제 기출 문제집을 공부해야 합니다. 기출은 개념의 적용이기에 많이 풀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설 인강 풀커리를 타는 학생들은 강사가 하라는 대로 하면 됩니다. 수특 공부법으로 한 학생들은 개념이 날라가기 전에 복습을 해주는 느낌으로 마더텅을 사서 풀어야 합니다. 마더텅은 문제가 많고, 해설도 자세히 되어 있어 좋습니다. 분명히 문제를 풀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을 텐데, 그런 부분은 해설강의나 해설지로 꼼꼼히 채워야 합니다. 이때도 틀렸거나 헷갈리는 개념은 개념 오답 노트에 적어야 합니다. 3) 사설 실모 풀기시간을 재면서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지엽 개념, 어려운 유형 등 자신이 모두 잘 공부를 했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시간 내로 다 푸는 것에 의의를 두면 안됩니다. 4) 실전 연습수능이 다가오면 평가원/교육청 기출을 출력해서 시간 재고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풀고 나면 선지 하나하나 꼼꼼히 보고 개념 오답 노트를 활용해야 합니다. 팁) 개념 오답 정리노트-문제를 풀고 나서 틀렸던 개념이나 헷갈리는 개념들을 노트에 정리해야 합니다. 사탐은 개념이 중요하기에 헷갈렸던 개념들을 모아서 여러번 읽어야 합니다. 계속 틀렸던 개념들을 읽고, 적다보면 자연스레 외우게 됩니다!팁2) 문제 풀 때 문제집에 바로 체크하지 말고, 노트에 따로 답을 적어두는 것이 좋습니다.여러번 문제를 풀어야 하기에 답을 미리 체크하면 다시 풀기 어렵습니다. 맞았는지, 틀렸는지 표시는 문제 번호 위에 작게 해주면 좋습니다. 제가 실제로 공부했던 방법입니다! 내신으로 생활과 윤리, 사회문화, 한국지리, 동아시아사 과목을 공부했고, 수능 때는 생활과 윤리와 사회문화를 선택했습니다.제가 알려드린 것은 수능, 내신 공부할 때 모두 적용되는 공부법입니다.많은 도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4.07.29
-
공부 방법[고3] 여름방학 필수 체크리스트 6가지[고3] 여름방학에 해야할 일 여름방학은 고3 학생들에게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기간 동안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계획을 세우는 것이 향후 대학 진학과 수능 성공에 큰 도움이 됩니다. 다음은 여름방학 동안 집중해야 할 네 가지 주요 사항입니다. 1. 수시 원서 쓸 학교 라인 정하기 & 마지막 생기부 채우기여름방학은 수시 원서를 준비할 최적의 시기입니다. 먼저,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학교와 전공을 정리하세요. 각 학교의 입학 요강을 분석하고, 자신에게 맞는 학교 라인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생기부(생활기록부)에 기재될 내용을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세요. 학교 활동 등을 정리하여 자신의 강점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세요. 2. 수능 공부여름방학은 수능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과목별로 학습 계획을 세우고, 모의고사를 통해 자신의 실력을 점검하세요. 약한 과목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기출문제를 풀어보며 시험에 대한 감각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시기에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수능 준비에 큰 도움이 됩니다. 3. 멘탈 케어입시 준비 과정에서 멘탈 관리도 매우 중요합니다.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유지하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과 취미 활동을 병행하세요. 친구들과의 소통이나 가족과의 시간을 통해 정서적인 지지를 받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명상이나 심호흡 등을 통해 마음을 안정시키는 방법도 고려해 보세요. 4. 체력 보충체력은 공부의 기본입니다. 여름방학 동안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체력을 보충하세요. 운동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입니다. 건강한 식사를 통해 영양을 보충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건강한 몸과 마음이 공부의 효율성을 높여 줄 것입니다. 5. 생기부 주요 활동 정리하기생기부에 기록된 주요 활동들—동아리, 세특 등을 정리하세요. 각 활동에 대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어떤 성과를 얻었는지를 구체적으로 생각해보면 면접 시 자신 있게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아리 활동에서 맡았던 역할이나 학교 활동 경험을 통해 배운 점을 정리해 두면 좋습니다. 생기부 주요 활동을 정리하면 면접 준비할 때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기부 활동 정리하는 시간에 비중을 두면 안됩니다! 휴식시간을 활용해서 아주 잠깐 동안만 하고, 나머지 시간은 공부에 쏟아야 합니다!! 잠시 머리를 식힐 수 있는 시간으로 활용하면 좋습니다. 6. 수능 시간표대로 과목 공부해보기수능은 8시 40분에 국어 시험을 봅니다. 이른 아침부터 국어 문제를 풀어야 하는 것이죠. 오전에 글을 읽는 연습을 매일 하는 것이 수능 시험장에서도 정신을 차릴 수 있습니다. - 1교시 8시 40분 ~ 10시 : 국어2교시 10시 30분 ~ 12시 10분 : 수학3교시 13시 10분 ~ 14시 20분 : 영어4교시 14시 50분 ~ 15시 20분 : 한국사5교시 15시 35분 ~ 16시 37분 : 탐구 영역 6교시 17시 05분 ~ 17시 45분 : 제2외국어/한문 여름방학은 고3 학생들에게 결정적인 시기입니다. 위의 다섯 가지 사항을 잘 준비하고 실천한다면, 향후 대학 진학과 수능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힘내세요!!2024.07.29
-
공부 방법<고2 여름방학 공부법> –영어편 (하위/중위/상위권)<고2 여름방학 공부법> –영어편 필수) 올바른 학습 계획 짜기!!여름방학 공부 계획을 짜기 앞서 자신의 학습 방법과 방향을 점검해야 하는데요. 올바른 방법으로 지금까지 공부하고 있었는지, 부족한 부분은 무엇인지 메타인지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의 부족한 점은 무엇인지 알아야 그 부분을 메꾸기 위해 더 공부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실천 가능한 학습량을 설정해야 합니다. 터무니없이 과도한 계획을 세우다 보면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자신이 할 수 있는 학습량을 계획하여 매일 완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구체적인 학습량을 설정해야 계획을 잘 실행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학습량은 1주일 단위로 설정하는 걸 추천합니다! 영어 공부 1. 하위권 -어휘 암기 필수: 중고등 필수 어휘 + 어원편 어휘 학습이 필요합니다. 선택지 빈출 어휘 학습이 중요합니다. 영어로 되어 있는 선다형 선택지에서 모르는 단어 먼저 학습하세요! 형광펜 표시 후 노트에 적고 공부해도 좋습니다. -> 서점에 가서 마음에 드는 영어 단어장을 골라서 매일 1강씩 암기하기 추천하는 영어 단어장: 워드마스터, 고단끝 등 -각 모의고사 문항마다 어려운 문장을 한 개씩 선정하고, 노트에 적은 뒤 구문독해 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독해는 고2~고3 기출분석 & 유형별 풀이법 훈련하기 -미니모의고사로 감잡기 (시간안에 문제를 푸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감’만 잡도록 해야 합니다) 2. 중위권 -문법 공부: 강의+문제집 또는 문법 문제집을 풀면서 학습하기 -듣기 17개에서 오답이 없도록 공부-영어 유형 (주제/제목, 빈칸추론, 순서배열, 문장삽입, 장문독해 등)에서 자신이 취약한 부분 먼저 공부 -단어암기량을 평소의 1.5배~2배 이상으로 늘리면 좋습니다. 독해력 상승에는 단어암기가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월~토요일까지 매일 단어 50개씩 외우고, 일요일에 단어 시험을 보면서 복습하면 좋습니다. 3. 상위권 -타과목을 공부하는 시간에 피해를 주지 않는 선에서 어휘와 독해 영역 공부하기 -단어암기는 습관적으로 매일 필수!!-> 문제를 풀면서 모르는 단어는 따로 노트에 적어두고, 시간날 때마다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상위권이라면 기본 영단어 뜻을 알고 있을 테니, 모르는 단어를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해는 고3 기출 & 고난도 유형 선별 문제 & 시간 조절 훈련하기 -듣기에서 틀리는 유형이 없도록 완벽 대비 중요 #성적대와 상관없이 ‘단어 암기’는 정말 중요합니다.단어가 성적 상승의 기본이기에 매일매일 꾸준히 외우고 복습해야 합니다!! #독해력을 올리기 위해선 문장의 5형식을 잘 숙지하시고 문장 성분 분석 및 부사구 파악 제거 연습을 반복해야 합니다. 수능 기출 문제를 풀 때 단순히 글을 읽는 것이 아니라, 구조를 분석하면서 읽어야 합니다. 구조 분석을 하기 위해선, 영어 문법 공부도 되어 있어야 합니다. 문장의 5형식, 문장 성분 분석을 공부한 뒤, 구조분석을 하면서 글을 읽는다면 바로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구조분석이 체화된다면 영어 글을 읽으면서 (처음부터) 이해할 수 있습니다.2024.07.29
-
공부 방법[고2] 여름방학 공부법 –수학 (+수학 문제집 난이도별 정리)<고2> 여름방학 공부법 –수학 필수) 올바른 학습 계획 짜기!!여름방학 공부 계획을 짜기 앞서 자신의 학습 방법과 방향을 점검해야 하는데요. 올바른 방법으로 지금까지 공부하고 있었는지, 부족한 부분은 무엇인지 메타인지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의 부족한 점은 무엇인지 알아야 그 부분을 메꾸기 위해 더 공부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실천 가능한 학습량을 설정해야 합니다. 터무니없이 과도한 계획을 세우다 보면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자신이 할 수 있는 학습량을 계획하여 매일 완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구체적인 학습량을 설정해야 계획을 잘 실행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학습량은 1주일 단위로 설정하는 걸 추천합니다! 수학공부 1. 공통과목 (수1, 수2) 개념 완성하기 수능에서 공통과목 22문항은 원점수 74점을 차지합니다. 표준점수 산출과정에서 공통과목의 가중치가 더 크기 때문에 정말 중요합니다. 개념을 아는 것 같은 느낌 정도만 있거나 문제를 풀긴 하지만 너무 오래 걸린다는 건 개념을 모르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기본서를 꼼꼼하게 풀어보고 개념을 확실하게 완성해야 합니다! 수학 개념 공부할 때 추천하는 책: 개념원리, 마플, 수학의 바이블 등개념 적용하면서 문제 풀 수 있는 책: 쎈, 마플 등양치기할 수 있는 책: 마더텅, 자이스토리 등 2. 1학기 내용 복습 만약 1학기 수학에서 배운 것 중 구멍난 곳이 있다면 지금! 메꾸어야 합니다. 여름방학은 짧지만 복습하기에는 최적에 시간입니다. 고등학교 2학년 1학기가 아니더라도 지금까지 배웠던 내용 중에서 모르는 부분이 있다면 이 시기에 채워야 합니다. 3. 2학기 내용 예습여름방학 기간이 짧더라도 2학기 복습은 필수입니다. 2학기가 되면 다른 과목 공부 때문에 수학 공부할 시간이 줄어들게 됩니다. 저의 경험상 수학은 많이, 그리고 확실하게 예습하는 것이 정말 도움이 됩니다. 수학 공부를 많이 해서 시험기간에 다른 과목 공부할 시간을 확보한다는 것은 큰 메리트이기에 중요합니다. 팁) 수학 개념노트 만들기 저는 수학이 가장 약한 과목이었습니다. 하지만 고등학교 2학년때 3등급 -> 97 (1등급)으로 올린 적이 있습니다. 이때 '수학 개념노트'를 만들었습니다. 수학 강의를 듣고, 쎈으로 문제를 풀며 기본기를 잡은 뒤, 수학개념정리를 보지않고 노트에 개념들을 정리 했습니다. 일반 노트 종이를 기준으로 세로로 접은 후 왼쪽 부분은 개념을 적고, 오른쪽 부분은 왼쪽에 있는 개념과 관련있는 틀렸거나 중요한 문제들을 적었습니다. 이렇게 정리한 개념노트는 밥먹을 때, 쉬는시간, 시험보기 직전에 자주 보면서 활용했습니다. 또한 개념노트에 자신이 못 푼 문제들의 개념들을 정리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쎈, 개념원리, 수능기출문제, 자이스토리 등을 이용하여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수학 문제집별 정리 (개인적인 생각)난이도가 낮은 것부터 순서대로 정리했습니다. -개념서: 50일 수학, 풍산자, 개념원리, 마플교과서-쉬운 유형서: 개념원리 RPM, 라이트 쎈, 심플 자이스토리, 쎈 기출제로 -유형서: 마플시너지, 쎈-심화 유형서: 1등급 만들기, 일품, 고쟁이, 일등급 수학, 절대등급, 최강TOT, 블랙라벨 수학이 어렵다는 학생이라면? 개념서 -> 라이트쎈 -> 마플시너지 순서대로 하기2024.07.29
-
공부 방법[고2] 여름방학 공부법 -국어편 (언매/화작/독서/문학)<고2> 여름방학 공부법 필수) 올바른 학습 계획 짜기!!여름방학 공부 계획을 짜기 앞서 자신의 학습 방법과 방향을 점검해야 하는데요. 올바른 방법으로 지금까지 공부하고 있었는지, 부족한 부분은 무엇인지 메타인지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의 부족한 점은 무엇인지 알아야 그 부분을 메꾸기 위해 더 공부해야 하기 때문이죠! 그리고 실천 가능한 학습량을 설정해야 합니다. 터무니없이 과도한 계획을 세우다 보면 쉽게 무너질 수 있습니다. 자신이 할 수 있는 학습량을 계획하여 매일 완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구체적인 학습량을 설정해야 계획을 잘 실행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학습량은 1주일 단위로 설정하는 걸 추천합니다! 국어 공부 언어와 매채 / 화법과 작문 2학년 2학기가 ‘언어와 매체(언매)’인 학생은 반드시 언매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합니다. 우선 현대문법 전 단원 개념을 익혀서 암기해야 하며 두 번째로는 기출을 풀어봐야 합니다. 3학년 때 ‘언매’인 학생은 이해 위주로 한번 연습이 필요합니다. 물론 기출도 풀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2학기가 ‘화법과 작문(화작)’인 학생은 수능 기출 일주일 정도면 충분히 연습이 됩니다. 오히려 과도한 화작 공부 투자 보다는 문학과 독서 공부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신 때 화작 공부를 해도도 늦지 않으니 독서와 문학 공부에 시간 투자를 바랍니다! -문법 추천 문제집: 다담 (수능/모의고사 기출 문제가 많이 수록되어 있고, 문법 개념 정리가 잘 되어 있습니다) 모의고사 고2 여름방학부터는 모의고사 풀이도 많이 연습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문학은 2학기 교과과정에 없기 때문에 모의고사를 통해 고3 수준으로 공부하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3 기출로 공부하는 것이 좋으나 중하위권 학생은 고2 모의고사도 좋습니다. 가급적 해설지를 참고하기 보다는 직접 지문에 근거해 오답 풀이를 해야 합니다. 화작을 선택한 학생은 화작이나 독서도 함께 모의고사를 통해 연습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문학 고1때 주요 문학 작품을 모두 정리한 학생이 많지 않을 텐데요. 특히 운문 문학의 주요 작품을 정리해야 합니다. 또한 문학 개념어 정립도 필수입니다! 만약 문학 개념의 기초가 잡히지 않았다면 ebs 윤혜정의 개념의 나비효과 강의를 듣는 것을 추천합니다. 독서 고2 독서는 개인적으로 수능 기출보다는 고3 ebs 수능독서를 우선으로 하고, 최근2년 기출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다. 따라서 매일매일 조금씩 공부하길 바랍니다. 상위권 학생은 영역별로 주 요내용을 파악하면서 연관된 배경지식을 넓혀가는 학습이 좋고, 중하위권은 글 전체 조직도, 중심내용, 요약, 문장, 핵심어등 기초적인 독서의 기본을 연습하면서 매일 천천히 조금씩 상세히 공부하길 바랍니다. 독서 문제를 반 정도 플리는 학생이라면 무작정 문제를 풀지 마세요! 우선 지문을 읽고 이해하는 연습이 가장 먼저 필요합니다. 지문을 읽으며 각 단락의 소주제, 핵심어, 글 전체의 주제 등을 파악하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이때 시간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선지의 근거 문장을 찾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독서는 철저히 주어진 지문에서 알 수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가 출제되기 때문에 선지의 내용 역시 지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선지의 근거 문장이 지문에 여러 군데 나뉘어 있을 수도 있으니, 근거 문장을 찾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또한 <보기>를 활용한 문제를 맞히기 위해 <보기>가 주어진 기출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겠습니다. 이때 중요한 건 틀린 문제뿐만 아니라 맞힌 문제까지 반드시 해설을 꼼꼼하게 보며 완벽히 이해하는 것입니다.2024.07.29
-
진로 탐색[선택과목] 플러스 요인이 되는 선택과목은 무엇일까? -이과편<선택과목, 무엇을 선택해야 될까?> -이과편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입시에서 선택과목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과에 비해서 과목 간 위계가 낮긴 하지만, 희망 계열에 맞는 선택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진학하고자 하는 학과와 다른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선택한다면, 입시에 있어서 불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리로톡에 올라오는 질문들을 보니, 선택과목 선정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문과/이과를 나누어서 희망 진로별 유리한 선택과목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요즘 대학에서는 전공적합성 또는 계열적합성을 생기부를 통해 판단합니다. 전공적합성과 계열 적합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진로선택과목입니다. 자신이 관심있는 진로와 관련된 진로선택과목을 듣는다면 전공적합성과 계열적합성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만약 희망하는 진로와 관련된 진로선택과목이 학교에서 열리지 않는다면 ‘공동교육과정’을 통해서 따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따로 수강한다면 전공적합성과 계열적합성을 드러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적극성 및 전공에 대한 관심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대학마다 권장 선택과목이 다를 수 있으니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의 학과 모집요강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대학 모집요강을 우선으로 본 후 제 스토리노트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자연계열-이수 필요성 50%이상인 과목과학사, 생활과 과학-이수 필요성이 70%이상인 과목과학사, 생활과 과학: 기하, 수학과제탐구, 물리학2, 화학2, 생명과학2, 지구과학2, 융합과학 2. 공학계열-이수 필요성 50%이상인 과목지구과학2-이수 필요성이 70%이상인 과목:기하, 수학과제탐구, 물리학2, 화학2, 생명과학2, 융합과학 3. 의학계열-이수 필요성 50%이상인 과목:기하, 수학과제탐구, 물리학2, 융합과학-이수 필요성이 70%이상인 과목화학2, 생명과학2 *세부 전공* 1) 보건계열진로선택: 화학2, 생명과학2, 보건, 심리학, 과학과제연구기타: 기하, 고급생명, 생명과학실험 2) 순수학문 계열진로선택: 수학과제탐구, 화학2, 생명과학2, 생활과학, 물리학실험기타: 고급 물리학 3) 자연계열진로선택: 과학과제연구, 생명과학2, 화학2, 융합과학, 심화(고급)수학기타: 지식재산일반 3) 공학(기계, 전자)진로선택: 기하, 물리학2, 고급물리, 고급수학, 융합과학, 정보과학, 공학일반, 지식재산일반, 물리학실험기타: 생명, 화학2 4) 공학(화학, 생명)진로선택: 기하, 화학2, 물리학2, 과학과제연구, 심화(고급)수학, 생명과학실험, 고급생명과학, 융합과학기타: 물리학실험 5) 공학 (건축)진로선택: 기하, 물리학2, 물리학실험, 공학일반, 정보과학기타: 지식재산일반6) 공학 (컴퓨터)진로선택: 물리학2, 물리학실험, 정보과학, 융합과학, 공학일반기타: 고급수학, 화학2, 생명과학2, 창의경영 7) 농업, 생명계열진로선택: 고급생명과학, 생명과학2, 농업생명과학, 창의경영, 생태와 환경, 과학과제연구기타: 화학2, 고급수학2024.07.27
-
진로 탐색[선택과목] 플러스 요인이 되는 선택과목은 무엇일까? -문과<선택과목, 무엇을 선택해야 될까?> -문과편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은 입시에서 선택과목이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과에 비해서 과목 간 위계가 낮긴 하지만, 희망 계열에 맞는 선택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본인이 진학하고자 하는 학과와 다른 고등학교 선택과목을 선택한다면, 입시에 있어서 불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리로톡에 올라오는 질문들을 보니, 선택과목 선정에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 같더라고요...그래서 문과/이과를 나누어서 희망 진로별 유리한 선택과목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요즘 대학에서는 전공적합성 또는 계열적합성을 생기부를 통해 판단합니다. 전공적합성과 계열 적합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진로선택과목입니다. 자신이 관심있는 진로와 관련된 진로선택과목을 듣는다면 전공적합성과 계열적합성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만약 희망하는 진로와 관련된 진로선택과목이 학교에서 열리지 않는다면 ‘공동교육과정’을 통해서 따로 수강할 수 있습니다. 만약 따로 수강한다면 전공적합성과 계열적합성을 드러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적극성 및 전공에 대한 관심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대학마다 권장 선택과목이 다를 수 있으니 자신이 희망하는 대학의 학과 모집요강을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대학 모집요강을 우선으로 본 후 제 스토리노트를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진로선택과목>-전공학업 평가 기준 1. 인문계열-이수 필요성 50%이상인 과목: 실용국어, 실용 영어, 진로 영어, 사회문제탐구, 고전과 윤리-이수 필요성이 70%이상인 과목: 심화 국어, 고전 읽기, 영어권 문화, 영미문학 읽기 2. 사회계열-이수 필요성 50%이상인 과목: 심화국어, 실용영어, 영어권 문화, 진로 영어, 고전과 윤리-이수 필요성이 70%이상인 과목: 경제수학, 여행지리, 사회문제탐구 1) 언론, 광고 분야진로선택: 사회문제탐구, 과학사, 생활과학, 논리학, 음악감상과비평, 미술감상과 비평기타: 경제, 사회문화 2) 경상 분야진로선택: 경제수학, 논술, 사회문제탐구, 심화영어, 제2외국어2기타: 수2, 미적분 3) 사회과학진로선택: 사회문제탐구, 생활과학, 철학, 논리학, 심리학, 음악감상과 비평, 미술감상과 비평, 고전과 윤리기타: 경제수학, 미적분 4) 어문진로선택: 심화국어, 심화영어, 고전과 윤리ㅡ 고전읽기, 미술감상과 비평, 제2외국어2기타: 고전문학감상 5) 교육진로선택 사회문제탐구, 과학문제탐구, 생활과학,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체육, 미술, 실기기초, 고전문학감상기타: 보건, 진로와 직업 6) 인문진로선택: 사회문제탐구, 고전읽기, 고전과 윤리, 과학사, 생활과 과학, 철학, 논술 기타: 보건, 논리학 #만약 학교에서 ‘고급경제’ 과목을 이수하고 싶은데, 과목이 열리지 않는다면???-> ‘클러스터’ 이용하기클러스터란 다른 학교에서 만들어지는 선택과목들을 들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클러스터를 잘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희망 진로와 관련된 선택과목을 전략적으로 선택해서, 입시에서 불이익이 없도록 하셨으면 좋겠습니다.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톡을 통해 질문주세용2024.07.27
-
공부 방법[고1] 여름방학 공부법[고1] 여름방학 공부법 1. 나만의 학습계획 세우기 자신의 현재 상태가 어떻고, 성적은 어떤지 메타인지를 해야 합니다.자신을 되돌아보지 않고 공부 계획을 세우다 보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1학기 동안 어떤 단원 및 내용을 공부했는지 알아야 앞으로의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1학기 내신 성적을 보면서 어떤 과목이 취약하고, 특히 어떤 단원의 개념이 부족한지 알아야 합니다. 만약 수학(상) 1단원 개념에서 구멍이 뚤린 곳이 있다면 그 부분부터 메꾸어야 나중에 수학 공부할 때 무너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고1부터 만들어 놓은 학습 계획은 3년 간 수험 생활에도 영향을 줍니다. 학교 다닐 때처럼 규칙적인 생활을 유지하되, 약간 휴식을 주는 날도 있어야 합니다. 평소에 학교에서 수업을 받았던 평일에는 스터디카페, 카페, 자습실, 집 등에서 자기 주도 학습을 하거나 인강을 듣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휴식이 필요하다면 취미 생활을 해도 괜찮습니다. 정해진 계획만 다 지킨다면 나머지 시간에 휴식을 취해도 상관없으니 정해진 계획을 다 지키는 연습부터 해봅시다! 2. 고1~고2 국어, 영어 모의고사 공부하기 이 시기에는 모의고사 대비를 위한 국어, 영어 공부를 해야합니다. 만약 국어 개념이 부족하다면 윤혜정의 개념의 나비효과 ebs 강의를 들어도 좋습니다. 영어 단어를 매일 외우고 복습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국어/영어) -수능형 문제에 익숙해지자!-모의고사를 통으로 풀어봐도 된다!물론 하나의 모의고사를 푸는데 너무 오래 걸려서 힘들다면 파트별로 나누어서 풀어도 됩니다. -시간에 연연하며 문제를 풀지 말자!고1이면 아직은 시간 체크하면서 모의고사 문제를 풀지 않아도 됩니다. 괜히 시간 내에 풀려고 하면 스트레스를 받고, 대충 푸는 습관이 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간에 연연하지 않고 문제를 풀되, 대신 꼼꼼히 신중하게 풀어야 합니다. -틀린문제는 오답노트하자!수학만 오답노트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국어도 필요합니다. 틀린 문제를 다시 풀어보고, 선지의 근거는 본문 어디에 나와있는지 밑줄치면서 찾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오답노트 적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복하다보면 시간은 줄여지고, 자신이 어디서 틀리는지 확실하게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이 모르는 어휘 등을 정리해도 좋습니다! 3. 고1 수학 (하) 중간고사 부분은 개념, 실전 문제 공부수학은 범위도 많고 응용문제도 많아서 미리 예습을 해야 합니다. 내신 기간에 4주 동안 수학개념은 처음 배우면서 공부한다면 그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얻기 힘듭니다. 만약 고1 수학 (하)부분을 예습하지 않았다면 무조건 예습해야 합니다. 개념을 공부하고 싶다면 인강을 들으면서 인강에 맞는 개념문제집을 풀거나 쎈을 추천합니다. 개념을 어느 정도 알았다면 기출문제집 (마플, 마더텅, 자이스토리 등)을 풀면서 양치기를 해야 합니다. 수학은 예습을 많이 하는 것이 좋기에 최소 1학기에서 1년치 예습을 확실히 한다면 내신기간에 다른 과목 공부를 더 많이 할 수 있습니다. 고1 여름방학은 촘촘하게 계획을 세워 무리하게 진행을 하기보다는, 매일매일 공부량을 늘려간다는 목표를 가지고 공부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공부를 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히” 인 것 같습니다.고1때부터 “꾸준히”하는 연습을 한다면 앞으로 성적을 올릴 수 있는 밑바탕을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그럼 여름방학 알차게 보내길 응원하겠습니다~!!2024.07.27
-
학생부 관리학교생활 TIP: 자기평가서 작성하는 방법<학교생활 TIP: 자기평가서 작성하는 방법> 학기가 끝나갈 때 쯤 학교 선생님께서 세특을 작성할 때 참고할 자기평가서를 가져오라서 합니다! 세특에 반영되는 내용이기에 정말 중요하고, 잘 써야 할 것 같은데.... 어떻게 써야할지 막막하신 분들 계실 것 같은데요.그래서 선생님도 좋아하시고, 좋은 세특을 만드는데 기여할만한 자기평가서 작성하는 꿀팁 알려드리겠습니다! 1. 자신이 한 활동들을 정리해본다어떤 활동들을 했는지 정리하는 시간을 먼저 가져야 하는데요.수행평가, 발표, 추가보고서 등 세특에 쓰일 수 있는 활동은 무엇인지 되돌아봐야 합니다.발표를 준비하면서 참고한 자료는 무엇인지, 어떤 책을 읽었는지, 보고서를 어떻게 썼는지, 어떤 주제로 수행평가를 했는지 다 알고있어야 합니다.만약 토론 수업을 했다면 찬성과 반대 의견은 무엇이며 어떤 것을 근거로 들었는지 모두 정리해야 합니다!최대한 자세하고 심화적인 내용까지 가지고 있어야 세특을 작성할 때 뿐만아니라 면접을 준비할 때도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2. 좋은 세특의 구조에 맞춰 활동을 요약한다. 좋은 세특의 구조란 무엇일까요? 바로 동기-과정-결과가 드러난 형식입니다.자세하게 말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탐구 계기-과정 (주제/탐구 방법) -결과 (느낀점/ 후속활동) 양적 연구 계획서 작성하기 활동에서 ‘전망이론을 통해 환경인식이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탐구’를 주제로 발표함. ‘환경인식이 높을수록 탄소 배출량 저감을 위한 세금 지불 의사도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 후 질문지법을 통한 연구 과정을 설계함. 민감도 체감이 적용된 가설의 결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결과를 예측하고, 행동경제학 실험의 결과는 확률적 우세에 근거하므로 소수집단의 결정을 해석하기가 불분명하다고 연구의 한계점을 밝힘. 사회과학적 탐구심이 매우 깊은 학생으로 철저히 준비하는 연구 계획 및 분석적 발표가 놀라움 제가 알려드린 좋은 세특의 구조로 분석해보겠습니다. 1) 동기먼저 동기가 안나왔습니다. 왜 이 활동을 하게 되었는지 나오지 않아 아쉽습니다. 전망이론을 수업시간에 배웠다라는 내용이 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네요. 2) 과정-주제: 전망이론을 통해 환경인식이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탐구-가설설정: 환경인식이 높을수록 탄소 배출량 저감을 위한 세금 지불 의사도 높을 것이다 이론을 활용한 주제를 정했다는 점에서 좋습니다. 이후에 가설설정을 하고, 가설이 맞는지 검증해보는 활동도 같이 나온다면 더 우수한 내용을 만들 수 있습니다. 3. 결과-탐구 과정에서의 깨달음 및 학습: 행동경제학 실험의 결과는 확률적 우세에 근거하므로 소수집단의 결정을 해석하기가 불분명하다고 연구의 한계점을 밝힘. -선생님의 주관적 평가: 사회과학적 탐구심이 매우 깊은 학생으로 철저히 준비하는 연구 계획 및 분석적 발표가 놀라움 탐구 과정에서의 깨달음을 꼭 느낀점으로만 적을 필요는 없습니다. ~을 느꼈다는 너무 뻔한 내용이기 때문이죠. 연구를 하면서 어떤 한계점이 있었고, 나중에 이걸 극복해서 다른 활동으로 이어진다면 더욱 유기적인 생기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선생님의 주관적 평가는 학생이 쓸 수 있는 영역이 아닙니다. 만약 수업을 열심히 듣고, 탐구활동 및 수행평가에도 성실히 참여하면서 선생님과 친분을 유지한다면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선생님의 주관적 평가가 들어가면 대학에서는 학생의 인성부분을 평가할 수 있어 좋습니다. 제가 전에 올린 스토리노트 ‘학교생활 TIP: 생기부가 잘 적히도록 선생님과 소통하는 법’을 참고한다면 더 도움될 것 같습니다. 3. 실전 적용 제가 실제로 적었던 자기평가서를 보여드리며 설명하겠습니다. 표와 그래프를 적절히 활용할 줄 알고, 지표를 해석하여 원하는 내용을 담은 ‘~주제~’이라는 기사를 작성함.(주제) 한국 노동시장이 기업규모로 구분되는 이중노동시장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지적함. 주로 고용 형태에 의해 분리된 다른 나라에 비해 한국은 기업 규모에 따라 임금과 고용안정성 등의 일자리 특성에서 격차가 생긴다는 사실을 분석함.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이 OECD 주요 국가들에 비교해서 낮음을 그래프로 보여주며 대기업의 시장독점과 불공정 거래에 따른 중소기업의 낮은 수익률도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언급함. (과정) 원청기업과 하청기업, 그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큰 격차가 사회적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해소를 위한 노력으로 ~ 도입을 강조함. (결과) ~~~~~ 기사를 보고 (동기) 실제로는 어떤지 알아봄. 일본의 버블경제 원인과 현 경제상황을 ~~ 등으로 파악한 후, 한국의 저성장을 분석하여 비교함. 국가통계포털과 세계은행 자료를 참고해 한국과 일본의 GDP를 비교하는 데 사용함. (과정) 사람이 중요한 한국의 경제상황을 짚고 인구구조적인 부분에서 저성장 구조가 심화될 것임을 언급함. 자산시장은 일본처럼 될 가능성이 크지만 책 ~~~에서 말한 것을 예시로 들며, 중요한 건 ~~~ 것이라고 함. (결과) 이렇게 적는다면 여러분들도 우수한 생기부를 만들 수 있습니다!제가 적은 자기평가서가 그대로 세특에 들어간 건 아닙니다. 선생님께서 참고하시고 보완하거나 추가/삭제 하셨는데요.세특을 적는 건 선생님이니까! 무조건 자신의 자기평가서 그대로 적어달라는 건 안됩니다!#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톡을 통해서 물어봐주세용 :) #앞으로도 도움되는 스토리노트가 올라갈 예정이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2024.07.23
-
학생부 관리학교생활 TIP: 생기부가 잘 적히도록 선생님과 소통하는 법학교생활 TIP: 생기부가 잘 적히도록 선생님과 소통하는 법 일반고를 다니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은 ‘학교 선생님과 소통을 잘 하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활동들을 했기에 생기부에 선생님께서 자세히 적어주셨으면 좋겠는데, 선생님은 간략하게 적어주셨습니다. 세특을 보고 ~활동을 했으니 더 적어달라고 수정 요구를 부탁드리면 선생님께서는 “세특 수정 요구는 선생님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이다. 정말 무례하구나.” 라고 하시면서 거절하셨습니다. 나의 인생이 걸린 생기부인데, 왜 선생님들께서는 학생들의 요구를 받아들여주지 않는지 궁금했고, 화가났습니다. 물론 이 부분은 학교마다 선생님들마다 다릅니다. 하지만 보통의 일반고 학생들은 이런 일을 겪은 적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경험을 통해 생기부가 잘 적히도록 선생님과 소통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고등학교 1,2,3학년이 될수록 이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팁들을 많이 얻게 되었습니다.일반고를 졸업한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알려주는 팁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수업시간에는 수업 잘 듣기 수업시간에는 당연히 수업을 잘 들어야겠죠? 내신 문제도 선생님 수업에서 나오기 때문에 당연히 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하지만 졸려서 자는 학생들, 수업시간에 학원 숙제를 하는 학생들, 딴 짓하는 학생들 등.. 수업태도가 좋지 않은 학생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저는 10개 이상의 고등학교에서 교육멘토링 수업을 진행한 적이 있는데요. 잠깐 선생님이 되어본 입장에서 앞에서 수업하면 모든 학생이 무엇을 하는지 다 보입니다. 딴 짓을 하는 것까지 다 보이고, 어떤 학생이 수업을 잘 듣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선생님과 눈이 마주치고, 수업 필기를 열심히 하면서 잘 듣는 학생들은 당연히 예뻐 보입니다. 이렇게 선생님께 좋은 이미지의 학생으로 인식된다면 당연히 선생님도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수업예절 잘 지키고, 학급 교우관계가 원만하고, 학교에서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한 좋은 학생으로 남을 수 있습니다. 이런 건 매우 당연히 지켜야 할 기본적인 사항이지만, 놓치는 학생들도 꽤 많습니다. 학교 선생님께 좋은 이미지의 학생으로 남는다면 선생님이 신경써서 세특을 잘 써주려고 하십니다! 세특에는 선생님의 개인적인 평가가 들어갈 수도 있는데, 저는 ‘~면에서 최고의 학생임’ 이런 멘트들이 많았습니다. 면접에서 교수님들이 굉장히 인성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던 학생이네요ㅎㅎ 라고 말씀하셨습니다.이런 긍정적인 평가가 학종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꼭 명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2. 심화 탐구하기 전에 과목 선생님과 상의하기 모든 탐구활동을 하기 전에 과목 선생님과 상의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이 수행평가나 선생님이 하라는 다른 탐구 활동이 아닌 다른 탐구를 하기 전에 선생님과 상의하라는 것입니다! 교과시간에 배운 개념과 연계하여 탐구를 하거나 다른 것과 연계된 심화활동을 한다면 매우 좋습니다. 하지만 가끔 선생님과 상의 없이 탐구활동을 진행할 때 세특에 기재가 안된다고 하시거나, 별로 좋게 보지 않으셔서 세특에 적게 적어주실 수 있습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이런 계획을 가진 탐구활동을 한 후 세특에 적어도 될지 먼저 물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여러분이 열심히 후속활동을 하고 나서 세특에 잘 적힐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사실 제가 말한 팁들은 너무나도 기본적인 것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과하기 쉽습니다.현실적으로 세특을 적어주는 사람은 선생님이기에... 잘 좋은 이미지로 보여야 합니다... 성실히 학교 생활하고, 생기부를 채우기 위한 활동들을 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2024.07.21
-
학생부 관리학종에서 일반고가 특목자사고에 비해 불리한 이유<학종에서 일반고가 특목자사고에 비해 불리한 이유>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일반고가 더 불리하다는 말 들어보셨나요??일반고를 다니면서 저는 학종이 더 불리하기에 교과를 위주로 써야 한다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학교 선배님들도 학생부종합전형보다 교과를 주전형으로 대학을 가셨습니다.그래서 더욱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면서 걱정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저는 현역으로 학종을 6개 쓰고, 5개 대학에 합격했습니다.일반고 학생들의 최대 약점을 알고 있었고, 이를 극복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일반고와 특목 자사고 생기부의 가장 큰 차이는 ‘탐구능력’ 입니다. 겉으로만 본다면 생기부의 양, 질에서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지만, 가장 큰 차이는 탐구력에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원인을 제대로 알고 있다면, ‘보완’할 수 있는 영역 중 하나입니다. 왜 일반고 학생들의 생활기록부에서는, 탐구의 깊이가 특목자사고 학생들보다 얕아보일까요? 이 원인부터 분석해보면, 대표적인 원인은 3가지에 있습니다. 첫째, 탐구 활동의 주제가 명확하지 않아 단순 자료조사처럼 보이는 경우탐구 활동은 ‘가설 설정 | 검증 | 의의’ 이 3 가지 구조를 보이며, 탐구 활동의 방향성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가장 기본인 탐구활동의 주제’를 한 눈에 알 수 없고, 찾아야만 한다면 하루 수백명을 평가하는 입학사정관의 눈에는, 당연히 좋은 생기부로 비춰지기 어렵습니다. 둘째, 탐구활동의 성과, 의의가 드러나지 않은 경우그러나 탐구활동의 주제 및 제목이 잘 드러난다고 하더라도, 탐구 활동의 내용 (성과 및 의의)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면, 이 또한 흔한 생기부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발표 시간에 ~에 대해 발표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보임’‘급우들과 토론을 통해 ~ 에 대해 논의하며, ~에 대한 입장을 표명함’ 뻔하디 뻔한 세특으로, 생활기록부를 받아본 적이 있다면, 최소 1-2 과목 정도는 이런식으로 기술되어 있는 세특을 보았을 것입니다. 이러한 세특을 보며, ‘발표, 토론’ 내용이 있으니 긍정적으로 평가받을 것이라 생각하면 오히려 독입니다. 이는 학생이 어떤 사고과정을 통해 탐구를 진행했는지, 그 탐구를 통해 무엇을 배웠는지 알 수 있는 내용이 전혀 없기에, 입학사정관의 입장에서는 흔한 생기부 중 하나로 보이게 될 뿐입니다. 월 1회 열리는 채플(2021.03.05.-2021.12.24./10회)에 참여하여 기독교 정신을 배우고, 강연과 문화 공연을 통해 채플의 주제가 되는 내용들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하며, 이타심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함. 매주 월요일 아침 바이블 타임 방송(2021.04.05.-2021.12.20./22회)에서 성경구절을 읽고, 경건하고 진지하게 한 주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함께 기도하면서 학업계획을 수립하고 성실히 참여함.교내 독서프로그램인 수요 아침독서방송 BOOK-AIR(2021.04.07.-2021.12.22./15회)를 듣고, 독서 방송활동지를 14회 성실하게 작성하며, 책 내용과 관련하여 자신의 감상과 생각을 꼼꼼하게 정리함.자율활동에서 이런 형식의 세특을 받은 것이 있나요? 활동 제목과 간략한 내용만 적힌 세특은 매우 안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 활동을 왜 했고, 어떻게 했으며, 자신의 사고 과정이 자세하게 나와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만약 생기부 수정기간에 이런 내용을 보신다면 수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정할 수 없다면 다음 학기에 우수한 생기부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일반고등학교에서도 깊은 탐구 능력을 볼 수 있는 세특을 작성하여, 좋은 합격 결과를 만든 생기부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양적 연구 계획서 작성하기 활동에서 ‘전망이론을 통해 환경인식이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탐구’를 주제로 발표함. ‘환경인식이 높을수록 탄소 배출량 저감을 위한 세금 지불 의사도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 후 질문지법을 통한 연구 과정을 설계함. 민감도 체감이 적용된 가설의 결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결과를 예측하고, 행동경제학 실험의 결과는 확률적 우세에 근거하므로 소수집단의 결정을 해석하기가 불분명하다고 연구의 한계점을 밝힘. 사회과학적 탐구심이 매우 깊은 학생으로 철저히 준비하는 연구 계획 및 분석적 발표가 놀라움.-주제: 전망이론을 통해 환경인식이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탐구-가설설정: 환경인식이 높을수록 탄소 배출량 저감을 위한 세금 지불 의사도 높을 것이다-탐구 과정에서의 깨달음 및 학습: 행동경제학 실험의 결과는 확률적 우세에 근거하므로 소수집단의 결정을 해석하기가 불분명하다고 연구의 한계점을 밝힘. 이렇게 대학교 수준의 어려운 주제가 아니더라도,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활용해서도 가설을 설정하고, 결과에 따른 추가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옳은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맞았다’ 라는 흐름으로 생기부를 작성하지만, 오히려 ‘가설이 틀렸고, 그 과정에서의 사고 오류를 찾기 위해 추가적인 탐구 활동을 진행함’이라는 내용이 훨씬 학생의 탐구 능력을 보여주기 좋은 흐름이라는 점도 함께 기억해둡시다! 하지만, 단순히 전문적인 내용으로 생기부를 채우는 것은 결코 좋은 탐구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꼭 알아야 합니다. 오히려 나의 지금 상황에서는 이렇게 2 차 – 3 차 탐구까지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는 주제가 있을지, 이 부분을 먼저 생각해봅시다!2024.07.21
-
기타[독서활동] 인간관계론 -세특활용법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요즘 떠오르고 있는 책인 데일 카네키의 인간관계론에 대해 다루겠습니다!이 책을 처음에 봤을 때 심리학과에게만 관련있는 거 아니야..???? 라고 생각했지만,책을 읽고 나서 모든 계열과 관련있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그렇기에 이 글을 보는 모두! 집중하여 보시고, 세특에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아이디어 얻어가시면 좋겠습니다!!! <인간관계론>지은이: 데일 카네키출판사: 현대지성2019.10 "성공하는 인간관계를 맺으려면?" <인간관계론>은 쉽게 말해, 사람들과 관계를 잘 맺는 법을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언뜻 보면 고루하다고 느낄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진리는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법입니 다. 사람을 대하는 기본 원리 역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기억 해야 합니다. 이 책은 '사람을 다루는 기본 원칙', '사람들이 나를 좋아하 도록 만드는 법', 타인을 설득하는 법','사람을 바꾸는법'등 인간관계의 여러 원칙을 다양한 사례를 들어 설명합니다. 유 명 인사들의 사례부터 평범한 우리도 겪을 법한 이야기까지 다채롭고 풍부한 사례로 채워져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습 니다. 내가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 타인을 설득하고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니 관계의 중심이 '나'에게 있어야 할 것만 같습니다. 그러나 이책을 관 통하는 가장 핵심적인 메시지는 '타인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입니다. 먼저 다른 사람의 관점에서 생각해보고, 그것을 기준 으로 나의 언행을 결정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중심적이기 마련이고, 자신의 욕구에 충실한 것은 인간의 타고난 본능일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을 뛰어넘어 역지사지의 태도를 가져야만 역설적으로 내가 원하 는 것을 이룰 수 있음을 우리는 이 책을 통해 배울 수 있습니 다. 그리고 그 배움이 의미를 발하기 위해서는, 배운 것을 실 행에 옮겨야만 하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학교생활에 매우 유용합니다. 학 교에서 만나는 다양한 구성원들과 소통하고 리더십을 발휘할 때 도움이 될 것입다. 다른 학교 구성원들과도 협동, 협업을 해야 하는 전교회장, 학급회장, 동아리 장이 되려는 학생들은 꼭 읽어볼 것을 추천합니다. 이 책에서 배운 내용을 직접 활용해보고, 누군가와 맺는 관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집중해봅시다. 사회의 구성 원으로서 한 더 성장하는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관련 학과모든 계열 후속 활동으로 확장하기-<인간관계론>을 읽고 달라진 자신의 모습에 대해 에세이 작성하기. 책에서 배 운 내용을 통해 어떻게 스스로를 성찰하고 주변을 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했는지 적어본다.- 책에서 배운 내용을 일상에서 맺는 관계에 실제로 활용해보고 그 변화를 기록 한다. -책에서 인상 깊었던 에피소드를 카드 뉴스로 만들어 인터넷에 업로드해본다. 같이 읽으면 좋은 책(인간력>(다사카 히로시| 웅진지식하우스|2017. 05. ) 제가 쓴 '후속활동으로 확장하기' 부분은 예시로 만들어 낸 것이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면 좋겠습니다!앞으로 더 도움되는 스토리노트 많이 가져오겠습니다~! 언제든 궁금한 점이 있다면 1대1 톡을 통해 질문 주세용 :)2024.06.30
-
기타[독서활동] 땀 흘리는 소설 -세특 활용법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책 <땀 흘리는 소설>을 가지고 어떻게 세특에 활용할 수 있을지 알려드리겠습니다~!줄거리와 후속활동 추천을 써놓았으니 도움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땀 흘리는 소설>지은이: 김혜진 외출판사: 창비교육2019.03 '을'로서 살아가는 청춘들의 땀을 담은 이야기<땀 흘리는 소설)은 현직 교사들이 선정한 단편소설 여덟 작품을 수록한 책입니다. 이 책을 엮은 선생님들은 한자리에 모여 "우리는 왜 아이들에게 노동을 가르치지 않을까?"라는 질문을 놓고 탄식했습니다. 학생들이 사회에 나갈 준비를 갖 추려면 무엇보다 노동을 이해하고 공부해야 하는데, 국가가 지정한 '최소한'의 교육과정 내에서는 그 이야기를 할 수 없다 는 사실이 못내 안타까웠다고 합니다. 그래서 문학작품을 통 해 일과 노동 이야기를 해보자고 결의했습니다. 그렇게 비교 적 최근에 발간된 젊은 작가들의 소설 가운데, 일하는 사람들 의 다양한 양상을 담은 소설을 골라 엮었습니다 여덟 편의 소설 속 주인공들이 겪는 사건이나 감정, 사회 적 배경은 고등학생들도 충분히 공감할 만합니다. 아직 학생 의 신분으로 이 책을 읽겠지만, 곧 사회 구성원으로서 노동을 하며 살게 될 여러분이 겪게 될 사회의 단면을 미리 엇본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입니다. 김혜진의 <어비)는 과연 땀 흘리는 노동만이 "일다운 일 인가, BJ나 유튜버들이 하는 일은 가치 있는 노동이 아닌가 하는 생각거리를 던집니다. 김세희의 <가만한 나날)은 블로 그로 광고성 후기를 남기는 일을 하는 주인공을 통해 직업의 무거운 '사회적 책임'을 절감하게 만듭니다 취준생 자매의 이야기를 다룬 김애란의 <기도>는 요즘 청 년들이 느끼는 좌절감을 묘사하며, 서유미의 <저건 사람도아 니다)는 일하는 여성의 애환을 기발한 상상력을 통해 풀어법 니다. 구병모의 <어디까지를 묻다)는 성우가 꿈이었던 화자가 콜센터에서 일하며 겪는 일을 보여줌으로써 '감정 노동'의 어 려움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김재영의 <코끼리>에서는 이 주 노동자의 삶을, 윤고은의 <P>에서는 산업 재해의 실태를 장강명의 <알바생 자르기>에서는 근로자의 권리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각 소설의 마지막 장에는 그 소설을 선정한 이유를 소개하 며, 소설에서 우리가 생각해보았으면 하는 질문을 던집니다. 학생들이 이 책에서 관심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친구들과 토 론하고 한 편의 글을 작성해보는 활동을 하면 좋을 듯합니다 또한 인상 깊었던 작가의 다른 작품들을 찾아 읽는 것도 책읽기의 영역을 확장하는 좋은 방법이 될 것입니다 관련 학과국어국문학과, 법학과, 사회학과 후속 활동으로 확장하기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인권 문제, 이주 노동자들의 인권 문제. 산업 재해의 위험 에 놓일 수밖에 없는 열악한 노동 환경 등에 대한 뉴스를 찾아보고, 이러한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와 사회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토론해본다. 같이 읽으면 좋은 책(10대와 통하는 노동 인권 이야기)(차남호 I 철수와영희|2013.01.)2024.06.30
-
기타[독서활동] 언어의 줄다리기 -세특활용법안녕하세요! 책 <언어의 줄다리기>를 읽고 나서 어떻게 독후활동을 하고, 세특에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언어의 줄다리기>신지영출판사: 21세기북스2021.05. 관련분야: 사회, 국어 "우리가 몰랐던 언어 속의 숨은 의미 파헤치기" 이 책의 제목을 보면 두 언어 사이에 첨예한 힘겨루기가 벌어지는 장면을 상상하게 됩니다. 팽핑한 줄의 긴장감마저 느껴집니다. <언어의 줄다리기>는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의 사 회, 문화적 맥락을 짚어보고 그 속에 숨은 정치와 이데올로기 를 파헤치는 책입니다. 또한 이데올로기의 변화와 맞물려 새 로운 언어가 기존의 언어를 위협하는 순간의, 그 힘겨루기를 자세히 다릅니다. '대통령'과 '각하는 민주주의의 가치를 훼손하는 단어입 니다. '미망인'과 '과부'는 납성우월주의를 극단적으로 보여즙 니다. 미혼'과 '기혼'리는 단어의 밀바탕에는 이분법적인 사 고가 자리합니다. 책에서는 이렇게 과거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눈은 가치를 끌어안고 있는 단어들의 어원 을 살펴봅니다. 그리고 단어의 이번에 담긴 진짜 의미를 모르고서 무심코 사용하는 우리의 실태를 되놀이봅니다. 책에서는 또 다른 언어들 사이의 줄다리기도 관전할 수 있 습니다. '요즘 애들'과 '요즘 어른들' 간의 줄다리기, 일상 언어 와 어문 규정, 표준어와 문화어, 한국어와 조선어 사이의 준다 리기도 흥미진진합니다. 언어가 가진 이데올로기는 우리의 사고를 지배하고, 그것 은 다시 사회 전반의 이데올로기를 만들어나갈 것입니다. 그 러므로 우리는 항상 비판적인 시각으로 예민하게 언어를 다 루어야 합니다. 책을 통해 언어가 가진 힘을 이해하고, 언어의 감수성 을 날카롭게 벼르어 일상에서 더 정확한 언어를 사용할 수 있 을 것입니다. 또한 언어가 등장하고 소멸하는 과정을 사회상 과 가치관이 변화하는 과정에 비추어 바라봄으로써, 우리 사 회와 역사에 대한 이해를 한층 높일 수 있습니다. 관련학과국어국문학과, 사회학과 후속 활동으로 확장하기 - 최근 저출산을 대체하는 단어로 '저출생이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 두 단어 사이의 정치적, 문화적 의미를 탐구한다.- 현재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여 과거와 쓰임이 변화한 단어들을 찾아보고 보고서를 작성한다.-헬조선 물론Yolo. '소확행 등 시대를 대변하는 단어들을 살펴보고 그다 의 사회적 분위기와 경제적 정치적 상황을 조사한다. 또한 이러한 단어들이다 유행하게 되었는지 연관지어 생각해본다. 같이 읽으면 좋은 책 <미끄러지는 말들> -백승주출판사: 타인의 사유 ( 2022.04) 전에 올린 스토리노트에서 인문사회계열 책을 어떻게 잘 읽을 수 있는지 알려드렸는데요~! 제가 알려드린 방법으로 이 책을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세특에는 단순히 책을 읽음이라고 적히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왜 읽었고, 읽은 후에 어떤 생각이 들었고, 후속활동으로 어떤 탐구활동을 했는지 적는 것이 좋습니다.위에 적은 후속활동으로 확장하기는 제가 예시로 들은 것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스토리노트에서 독서를 한 후 어떻게 후속활동으로 확장할 수 있을지 더 알려드리겠습니다!2024.06.30
-
기타인문사회계열 책들 이렇게 읽어보세요!저는 인문사회계열의 책들을 많이 읽었는데요.책을 어떻게 읽어야 독후활동을 하기 좋은지, 오래 기억할 수 있는지 등의 방법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인문사회 분야는 학업, 진로 역량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태도, 가치관을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의 책을 읽을 것을 권합니다. 고등학생 필독서로 소개된 책이나 널리 알려진 책들만 선택할 필요는 없습니다. 유명한 책이 아니더 라도 그 안에서 나에게 영감을 주는 한 문장을 만난다면 그것 만으로도 많은 이야기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소개하는 책들 역시 필수적으로 읽어야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필요한 책들을 취사선택해서 읽고 자신의 환 경에 맞게끔 적절히 활용하길 바랍니다. 책을 활용하는 방법 만 안다면, 어떤 책을 읽더라도 그 방항과 원칙을 적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책을읽게 된 동기와 과정에 학생의 지적 호기심, 자기주 도적인 탐구 능력이 진정성 있게 드러난다면 어떤 영역의 책 이라도 괜찮습니다. 책을 읽을 때는 책의 성격에 따라 새로운 개념이나 어려운 어휘를 꼼꼼하게 읽기,. 질문하면서 읽기, 비 판적으로 읽기 등그 책에 맞는 읽기 전략을 활용해서 읽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독서를 하고 난 후에는 매 번독서 일지를 기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지에 기록한 내 용들을 물어보고 종합하여 한 편의 서평을 작성해불시다. 김 신의 언어로 고민하면서 서평을 작성하는 과정에서 책의 내 용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으며,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을 것입 니다. 보통 기말고사가 끝난 후, 혹은 수행평가를 할 때 '주제탐 구 발표' 시간이 돌아읍니다. 주제탐구 발표는 세특에 기록될 가능성이 아주 높으므로 주어진 기회를 충분히 활용해야 합 니다. 주제탐구를 발표할 때 평소 배웠던 교과 내용을 심화하 거나, 자신의 진로와 교과 내용을 연관 지어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과목 간 연결고리를 찾아내어 교과통합 주 제를 선정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국어과에서는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주제로 책 읽기 활동을 실시하기도 하는데, 이 시간에는 학생들이 혼자서는 하기 힘든 아주 깊이 있는 책 읽기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이 기회률 허투루 보내지 말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특 합시다. 책을 읽고 후속 활동 주제를 정했다면, 그에 맞는 연구 방법과 결과물 산출 방식을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보통 학생들은인 터넷 검색으로 자료를 찾고 거기에 따라 보고서 쓰는 방법을흔 히 선택합니다. 비교적 품이 적게 들고 시간을 아길 수있기 때문 입니다. 하지만 인터넷에 떠도는 자료를 짜깁기하여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은 좋은 평가로 이어지기 힘듭니다. 비록 짧은 소견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생각을 녹여낸 보고서와 그렇지 않은 보고서는 차이가 크며 쉽게 구분이 됩니다. 그러므로 자료의 정리와 이해에 그치지 않고, 자기만의 생각 과 견해가 드러나는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노력해봅시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 스스로 성장할 수 있으며, 세특에 그 과정이 잘 드러난다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고서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를 이용한 영상률 제작하기, 카드뉴스 제작하기 등의 활동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틀 단순히 차 용하지 말고,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돋보이도록 고민해봅시다. 평소에 스스로 책을 읽기 어렵다면 마음 맞는 친구들과 독 서동아리를 운영해보는 방법도 바람직합니다.비록 자율동아리 활동은 생기부에 기록되지 않지만 독서에 강제성을 부여하고 동 기를 유발한다는 점에서 동아리 활동은 좋은 경험이 아리원들과 진로의 방향이 유사하다면 진로가 됩니다. 통 읽어도 좋고, 그렇지 않더라도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는 차원에서 함께 독서를 하면 효과가 배가됩니다. 다른 학생들의 생각을 듣고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해봄으로써 다양한 의견을 나눌수 있으며 세상을 보는 시야가 넓어지기 때문입니다.2024.06.30
-
학생부 관리학년 별 생기부 구성 방법 -고등학교 2학년<12> 학년별 생기부 구성 방법 –고등학교 2, 3학년 저는 6학종을 지원하여 5합격을 했었는데요. 6학종을 쓴 만큼 특히나 학생부 관리에 더 신경 썼습니다. 3학년 때 진로를 바꾸고 나서 걱정도 많았지만, 저만의 노하우로 학생부를 잘 채울 수 있었는데요. 이 스토리노트를 읽으시는 여러분들께도 그 노하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고등학교 2 학년] 이제는 내실을 다질 때 2학년 때부터는 본격적으로 생기부를 기획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1학년 때 작성된 생기부를 분석하는 것이 필수인데, 만일 본인이 현재 지망하는 학과나 진로가 변경되었다면 연결될 만한 소재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1학년 때 철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드러냈어도, 2학년에 접어들면서 '심리와 경제'라는 키워드에서 연계된 '행동경제학'이라는 키워드를 설정하여 한 학기만에 자연스럽게 경제학부가 선호하는 인재상을 담을 수 있었습니다. 제아무리 연관성이 없어 보여도 주의 깊게 살핀다면 얼마든지 엮을 만한 소재일 수 있습니다. 진로가 일관된 학생의 경우, 보다 심화된 탐구를 진행해야 합니다. 가령 마케팅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 1학년 당시 '민족사관학교의 기업가치 산정'이라는 주제로 보고서를 작성했다면, 2학년에 올라와 이를 '민족사관학교 매입방식에 대한 분석: 자기자본 및 차입매수 비교'라는 주제로 심화할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3학년] 외출 전 마지막 화장마감일 전까지, 3학년은 최선을 다해서 일종의 자기소개서를 작성한다는 마음으로 생기부를 마감해야 합니다. 이제는 폐지된 자기소개서에서 묻던 지원동기, 향후 학업계획 등이 모두 드러나야 합니다. 2학년 때까지 본인의 관심사와 색채를 보였다면, 고등학교 3학년 때는 특정 학과를 상정하여 해당 학과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부합하는 지원동기와 학업계획을 언급해야 합니다. 경영학과를 지망하는 학생이라면 수에 대한 감각 혹은 기업 및 산업에 대한 깊은 호기심과 수학 의지를 보여주어야 하는 식입니다. 지금까지 세특 위주의 이야기를 했는데 '행동특성'란에 대한 분석도 필수입니다. 1학년, 2학년 생기부에 기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3학년 때 어떤 내용을 보완해야 하는지 기획해야 합니다. 경제학과의 경우 경영학과에 비해 학자적인 학생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따라서 경제학부를 지망하는 학생을 상정해보았을 때, 2학년 '행동특성'란에 "동시에 여러 가지 활동을 하는 것에 흥미가 있음" 정도의 코멘트만 있다면, 3학년 때는 "한 주제에 대해 집요하게 파고드는 집념이 뚜렷한 학생임" 정도의 코멘트가 뒤따르도록 전략적인 자세를 갖추어야 합니다. 저는 3학년 생기부에 더욱 신경을 썼습니다. 3학년때 진로가 바뀌었기 때문에 2학년 생기부 내용을 분석하면서 연결점을 찾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리고 3학년 생기부에서 탐구 심화도를 보여주기 위해 많은 자료들을 찾아보고 공부했습니다. 제가 알려드린 학년별 생기부 구성 방법을 최대한 활용해서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2024.06.30
-
학생부 관리학년 별 생기부 구성 방법 -고등학교 1학년<11> 학년별 생기부 구성 방법 –고등학교 1학년 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고등학교 1 학년, 2 학년, 3 학년 학생이 각각 어떤 전략으로 생기부를 구성해 나가야 하는지 설명하고자 합니다. 진로나 기존 생기부 내용에 따라 전략이 조정되어야 하지만, 이제 처음 고등학교를 입학한 학생을 상정하여 모범적으로, 시계열순으로 생기부를 채워 나가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면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한가지 원칙만 기억하면 됩니다! “생기부는 기록하는 게 아니라 기획하는 것이다” [고등학교 1학년] 적응을 넘어 적용으로 생기부는 기록이 아닌 기획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1학년 때부터 진로에 대한 대략적인 설정이 필요합니다. 가장 좋은 경우는 고등학교 1학년 때 설정한 진로가 3학년 때까지 유지되는 동시에 생기부의 방향성과 깊이가 고도화되는 것입니다. '대략적'이라고 표현한 이유는 도중에 진로가 바뀌어도 직접적인 불이익이 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진로 방향성 변경에 대한 논리적인 설명이 담겨야 합니다.1학년 1학기는 대개 적응의 시기이기 때문에 생기부에 큰 신경을 기울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어디까지나 '현상'이지 결코 '문제'는 아닙니다. 당장 3학년 때 진로를 선회한 경우에도 내신 대비 상위권 학교를 간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진로 설정 시기가 저학년일수록 좋은 생기부를 형성하기 수월한 것이 사실입니다. 학기가 지날수록 자신의 목표 대학에서 멀어지는 학생이 수능으로 입시 전략을 선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특히 일반고의 경우 이런 전략의 성공률이 높지 않습니다. 심리적으로도 수시로 일군 하방 대학이 있어야 더욱 안정된 심리 하에 수능공부에 임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시 전형을 노리는 학생은 물론 수능전형을 염두에 두는 학생의 경우라도 1학년 때부터 생기부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1학년 때라도 계열 혹은 세부계열 정도는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2학년에 접어들어 문과에서 이과로 변경하는 수준의 생기부상 변화를 준 학생이 유수 대학에 합격한 사례도 있습니다. 하지만 진로선택 과목이 신설된 현재 입시 체제에서는, 특정학과에서 요구하는 고등학교 권장 이수과목이 존재하기 때문에 뒤늦게 계열을 선택할 경우 불리한 입지에서 시작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계열 혹은 세부계열을 정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최종적으로 3학년 때 이루어져야 할 것은 특정 과를 겨냥한 '탐구주제 혹은 학습내용 담기'입니다. 가령 심리학과를 지망하는 학생이라면 3학년 때 심리통계, 문화심리학과 같은 세부적인 학습 내용이 적용되어야 합니다. 해당 학생의 1학년, 2학년 생기부 내용 중 심리학과 관련된 내용이 조금이라도 담겨 있다면 충분합니다. 철학 혹은 심리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저학년 때부터 '인간의 본성'처럼 두 학과와 관련되면서도 구체적이지 않은 내용을 담음으로써, 해당 계열에 대한 흥미를 드러냄과 동시에 고학년에 접어들면서 다양한 학과 선택의 유연성을 담보할 수 있습니다. 입학사정관이나 교수님 모두 17살이라는 나이에 설정한 진로가 바뀔 수 있음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학과에 완전히 특화된 주제를 작성하기 보다는 해당 계열을 포괄할 수 있는 주제로 생기부를 채워 나가는 전략이 유효할 것 같습니다. 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의 생기부 전략에 대해서도 앞으로의 스토리노트에서 다룰거니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2024.06.30
-
기타[독서활동] 유튜브는 책을 집어 삼킬 것인가<10> [독서활동]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 책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를 읽고 세특을 쓰려고 할 때, 줄거리는 무엇이고 저라면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유튜브는 책을 집어삼킬 것인가>김성우, 엄기호출판사: 따비 관련 학과언어학과, 사회학과. 미디어학과. 교육학과 “우리 시대 문해력에 대한 논의” 이 책은 유튜브가 책의 공간을 잠식하면서 사람들의 문해 력을 해치고 있다는 단순한 이야기를 하는 책이 아닙니다. 유 튜브를 멀리하고 책을 가까이해야 한다는 뻔한 이야기는 더 더욱 아닙니다. 두 학자의 대담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우리 시 대의 문해력, 리터러시에 대한 담론을 담고 있습니다. 유튜브가 등장하면서 '읽고 쓰는' 시대에서 '보고 듣는' 시 대가 도래했습니다. 유튜브를 통해 지식을 얻고 소통하는 시 대. 유튜브의 시대 속에서 우리는 '리터러시'를 어떻게 정의해 야 할까요? 길이가 짧고 자극적인 미디어에 길든 사람들은 깊이 있는 사유의 힘을 기르기 점점 힘들어집니다. 반향실 효과(비슷한 의견으로 둘러싸여 편견에 빠지는 현상)에 갇혀 자신을 성찰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편협한 사고로 다른 사람들의 삶을 이해하지 못하고 쉽게 배척해버려 사회적 갈등을 불러일으키기도 합니다. 이에 저자는 '리터러시'를 대안으로 제시합니다. 이 책에 서 정의하는 리터러시란 타인과 나를 연결해주는 다리이자 '좋은 삶'을 살기 위한 역량입니다. 저자는 리터러시 교육과 평가에 대해 이야기하며, 나아가 교육이 변화해야 할 방향성 을 제시합니다 리터러시를 개인의 역량으로 치부할 때 차별과 혐오가 생 겨납니다. 경제 자본과 문화 자본이 풍부하여 좋은 콘텐츠를 골라 활용하는 가정과 그리지 못한 가정에서 자라나는 아이 들의 리터러시 격차는 점점 더 벌어질 것입니다. 이것이 개인 의 영역을 넘어서 사회 전체의 위기가 될 것이라는 논의 역시 생각해볼 만합니다. 이 책은 리터러시와 관련해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독자들에게 성찰할 거리를 던집니다. 그런 점에서 학생들이 읽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펼치기 좋은 책입니다. '미디어 리 터러시'를 다룬 다른 책들을 추가로 읽고 미디어 생활과 접목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또한 미디어 소 비자인 동시에 생산자로서 우리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보았으면 합니다. 후속 활동으로 확장하기!!!-최근 학생들의 문해력이 저하되는 원인을 분석하고, 문해력 증진을 위한 교육 의 방향에 대해 토론해본다. - 미디어 리터러시와 관련하여 '미디어를 어떻게 제대로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토론하고 그 내용을 카드뉴스나 신문으로 제작하여 전시해본다. 같이 읽으면 좋은 책<미디어 리터러시, 세상을 읽는 힘>(강용철ㆍ정형근| 샘터|2022. 04.) 미디어 리터러시라는 주제는 미디어 학과 말고도 사회계열 학과에서도 활용하기 좋은 주제입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소재가 뻔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개인이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2024.06.30
-
학생부 관리내 생기부에 꼭 필요한 책 고르는 법<9> 내 생기부에 꼭 필요한 책 고르는 법 아무 책이나 읽지 말자, 내 생기부에 꼭 필요한 책 고르는 법 1. 좋은 책 선정하는 방법교실에서 많은 학생들이 토로하는 고민 중 하나가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 모르겠어요 라는 것입니다. 세상의 많고 많 은 책들 중, 자신의필요에 딱 맞는 책을 고르기란 막연하고 어렵습니다. 양질의 책을 고르기는 더 힘듭니다. 다양한 분야 의책을 꾸준히 읽어서 자기 나름의 책 고르는 기준이 생기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학생들은 당장 다독을 할 물리적 시간이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여러분이 좋은 책을 고르는 데 도움될 만한 방법을 몇 가지 소개합니다! 1)서울대학교 지원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책 리스트 서울대학교는 매년 지원자들이 가장 많이 읽은 책 리스트 를 홈페이지에 제공해왔습니다. 지원자들이 자기소개서의 '독 서활동란'에 기록한 책들을 통계 낸 자료입니다. 전체 지원자 쁜 아니라 단과대학별로도 통계를 내서 순위대로 세 권씩 목 록을 제공합니다. 2024학년도 대입부터는 자기소개서가 폐 지되면서 더 이상 목록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 아쉽지만, 지난 자료들은 참고용으로 충분히 가치가 있습니다 고전이라 불리는 책들부터 현재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비 교적 최근에 발행된 책들까지 스펙트럼이 다양합니다. 목록 은 2014년부터 제공하고 있으므로 연도별로 미 훑어보고, 지금까지 순위에 오랫동안 올라 있는 책이라면 한번쯤 읽어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2) 각대학 추천도서 모든 학교가 제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각 대학에서는 학과 홈페이지에 추천도서 목록을 제공합니다. 자신이 가고 싶은 대학, 학과의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추천 도서 목록이 있는지 살펴보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관 추천도서 국립중앙도서관은 사서추천도서 목록을 제공합니다. 의 도서이면서 현재의 사회상을 반영한 책들이 만사"양 많습니다. 천의 글과 목차까지 제공하고 있어 책을 직접 보지 않고도 책의 내용과 방항을 가능할 수 있 어 편리합니다 책따세'는 교사들이 모여 만든 독서 모임으로, 독서를 권 장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합니다. 공식 추천 도서 목록은 전ㆍ 현직 교사들이 꼼꼼히 읽고 추천하는 도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야별, 연도별로 제공합니다. 책의 난 말경 이도와 추천 글도 제공하므로 학생들이 책을 고 를 때 참고하기 좋습니다. 학교도서관저널'은 교육 현장의 교사, 사서, 도서 전문가, 활동가 등이 활동하는 단체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추천할 만한 책들을 선정하여 소개합니다 문학 인문 과학, 예술 분 야로 도서를 나누어놓아서 자신의 관심 분야에 해당하는 책 을 골라볼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저널의 블로 그나 인스타그램에 추천 도서와 서평이 꾸준히 업로드되니 적극 활용하면 좋겠습니다.교사 추천도서 학생들의 독서를 장려하기 위해 각 고등학교마다 추천 도 서 목록을 제공하곤 합니다. 각 과목 선생님들이 선정한 책이 라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도서들이 많으므로, 교과 내용을 더 심화하여 공부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서점 스테디셀러, 베스트셀러 온라인 서점의 스테디셀러, 베스트셀러 목록을 꾸준히 살 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스테디셀러 목록은 오랜 시간 사랑받 아 온 양질의 서적을 고르기에 좋고, 베스트셀러 목록은 그 시 기의 사회 트렌드 변화를 읽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두 가지 목록 이외에도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카테고리를 꾸준히 살펴보면 좋습니다. 상세 페이지에서 책 의 내용을 참고하거나, 그 책을 이미 읽은 사람들의 리뷰를 읽 다 보면 자신과 맞는 책을 고르는 요령이 생길 것입니다. 희망 학과 교수가 집필한 대중서 자신이 희망하는 학교와 학과가 명학하다면, 그 학과의 교 수님들이 쓴 책을 읽어보는 것도 좋습니다. 전공 서적을 읽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대부분은 고등학생 수준에서 읽기 힘들 기 때문에 교수님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쓴 도서가 있는지 찾아보면 유용할 것입니다.2024.06.30
-
학생부 관리입학사정관이 말하는 좋은 세특이란??<8> 좋은 세특이란? 입학사정관이 말하는 좋은 세특이란?? 2020년에 이루어진 공동연구에 따르면, 세특이 학생부 종합전형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묻는 질문에 대해 교사 의 90.5퍼센트와 입학사정관의 89.0퍼센트가 세특의 영향력 이 크다고 웅답했습니다 세특에 어떤 사항을 중요하게 반영해야 하는가를 물었을 때 입학사정관들은 '과목에 대한 흥미, 진로 연계성', '학습 태 도ㆍ성실성ㆍ참여도'에 높은 점수를 주었습니다. 학생이 배운 교과목을 얼마나 우수하게 학습했는가 하는 부분보다는 학 생 자신의 관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질문과 답을 스스로 구성 한 노력의 과정, 학습 태도 등이 세특에 잘 기술될 경우 변별 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습니다. 세특 평가 시 지원자를 변별하는 데 가장 유용한 요소를 물 었을 때는 '수업 내용과 연계된 탐구 활동에 대한 기술'과 '교과 성취 수준의 이해 및 성취도에 대한 기술'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습니다. 다시 말해, 수업 내용과 연계된 구체적인 탐구활 동을 입학사정관들이 가장 높게 평가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학생들은 본인의 관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어떻 게 질문을 구성하고 탐구하는 과정을 보여줄 수 있을까요? 가 장 효과적인 방법과 자료는 독서입니다. 입학사정관들이 실제 세특에 기재된 다양한 내용 중에서 평가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요소로 꼽은 항목은 '학생 제출 과제물 내용'과 '교과서 내용 기반의 응용 탐구 활동', 그다음으로는 교과 수업 외 개인별 심화 학습 활동'과 '교과목외학 교/학급별 탐구 프로젝트 내용' 순서로 나타났습니다. 과제물 의 수준이나 제목보다는 주도성, 학업태도, 성실성, 문제해결 력 등이 변별력의 기준이 된다고 응답했습니다. 입학사정관들이 말한 과제물은 학교에서 치르는 수행평 가와 연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수행평가에 다양한 독서가 활용되며, 이는 교과서 내용을 기반으로 응용 탐구 활 동을 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제로 학교에서는 과세특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이나 보고서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데, 이때 책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과나 진로에 맞는 적절한 책을 선정하는 것은 정말 중요합니다. *독서를 생기부에 잘 활용하여 상위권 대학에 합격하는 비법은 앞선 스토리노트에서 다루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좋은 세특은 쉽게 말해 다음과 같은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동기-과정-결과]동기부분에서는 자신이 이러한 탐구를 하게 된 계기가 드러나야 합니다. 학교 수업 어떤 단원을 배우고 나서 호기심이 생겼다거나, 어떤 책을 읽고 궁금해졌다거나, 전에 했던 활동 이후 문제점이 생겨 다른 방법으로 탐구활동을 했다거나 등등 이러한 동기가 드러나야 합니다. 과정에서는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주제’ 와 ‘디테일’이 드러가야 합니다. 단순히 어떤 주제로 활동을 했다고 적는 건 매우 안좋습니다. 왜냐하면 디테일이 없는 단순 나열식 세특이 되기 때문이죠. 그렇기에 어떤 주제로 탐구활동을 했으며, 자세하게 어떻게 했는지 드러나야 합니다! 디테일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독서나 논문 등 전문성 있는 자료를 이용한다면 신뢰도와 심화도가 더욱 높아져 입학사정관들의 눈길을 끌 수 있을 것입니다. 결과부분에서는 탐구활동의 결과나 느낀점, 의문점, 앞으로의 계획 등이 드러나야 합니다. 단순히 탐구활동을 했다라는 과정만 드러나는 것은 심화도가 없습니다. 그렇기에 탐구활동의 결과는 무엇인지, 나는 이부분에서 어떤 것을 깨달았으며 무엇이 문제였는지, 어떤 의문점이 들었는지 언급해야 합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의문점이 생겼는데, 이러한 점을 미래에 해결하는 연구원이 되고 싶다라는 포부가 담긴 문장이 드러나도 좋습니다. 이렇게 동기 과정 결과를 지켜서 세특을 작성한다면 여러분들도 입학사정관이 좋아하는 생기부를 만들 수 있습니다!2024.06.30
-
기타[독서활동] 아주 쓸모 있는 세계 이야기 -세특 활용법<7> [독서활동] 아주 쓸모 있는 세계 이야기 세특활용법 책 아주 쓸모 있는 세계 이야기를 읽은 후 어떻게 세특에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아주 쓸모 있는 세계 이야기> 남영우 외 4명 도서 분야: 정치사회관련 과목: 세계지리, 한국지리, 세계사, 한국사, 사회문화, 정치와 법관련 학과: 사회학과, 지리교육과, 사학과, 정치외교학과 줄거리이 책은 세계 각국의 다양한 문화와 역사, 습관 등을 소개하는 책이다. 저자는 여행을 통해 직접 경험한 여러 나라의 독특한 문화와 풍습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겨울 축제, 이탈리아의 커피 문화, 중국의 새해 풍습 등 각국의 특색 있는 모습을 소개한다. 또한 다양한 나라의 전통 음식과 전통 놀이, 의상 등을 자세히 설명하여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저자는 세계 각국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 책 말미에는 여행 팁과 문화 충돌을 피하는 방법 등 실용적인 정보도 제공한다. 전반적으로 이 책은 세계 각국의 문화와 풍습을 생생하게 소개하여 독자들의 글로벌 마인드를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 책을 읽은 후 후속활동 하는 방법 1) 가장인상깊은주제를 최신 이슈와 연결하여 본인의 생각을 정리해 본다. (예시) 가장 인상적인 주제는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 이야기다.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는 보스포 루스해협부터 흑해와 칼카스신맥 , 카스피해. 우랄산맥을 이은 지경선이다. 이에 따르면 튀르키예와 러시아는 아시아와 유럽, 양쪽에 걸쳐 있다. 그리고 실제로 유럽은 이들을 비유럽권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크다.하재반 양국의 생각은 조금씩 다르다. 튀르키예는 NATO 회원국이며, 2005년부터 줄기차게 EU 가입을 희망했으나 번 번이 회원국들의 반대로 실패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인권 탄압 문제: 튀르키예의 언론인과 시민들에 대한 탄압. 구속은 EU의 핵심가치와 충돌한다. 2. 사회.정치 안정 문제: 2016년 발생한 군사 쿠데타 이후 사회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다.3. 정치 및 외교적 대치: 튀르키예의 북키프로스에 대한 군사적 지원과 중동 지역 간섭은 EU 회원국들의 우려를 사고있다.4.경제적 측면: 튀르키예의 붙안정한 경제 상황과 재무 정책에 대한 우려가 EU 가입을 막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이유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유럽 국가로 발돋움하려는 튀르키예와 달리, 러시아는 NATO 확대를 반대하고 우크라이나를 침략하는 등 긴장 관계를 유지하며 독자 노선을 강행하고 있다. 2)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은 사례와 이유를 정리해 본다.1. 화장실의 형태가 지역마다 다른 이유 -기후는 화장실에도 영향을 미친다. 추운 지역은 보온, 더운 지역은 환기와 냉각을 중요시한다. 2. 음식 맛은 어느 나라가 좋나? -기후 조건: 기후 조건은 작물 생산과 음식 공급에 큰 영향을 미친다. -토양 품질: 비옥한 토양은 더 많은 작물의 생산으로 이어져 식문화를 다채롭게 만든다. 수자원:충분한 수자원은 농업과 축산업에 필수다. 이는 식문화 발전에 영향을 끼친다. -지리적 위치: 해안 지역은 내륙보다 더 다양한 식재료에 접근할 수 있다. 3.스위스가 영세 중립국이 될 수 있었던 지리적 환경은? -2차 대전 당시 독일과 이탈리아에서 스위스를 점령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이에 스위스는 침공당하면 알프스 의 통로클 파과하겠다고 선언하고 힘한 지형을 이용한 게릴라 작전을 준비했다. 결국 독일과 이탈리아는 스 위스의 중립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위내용을 비교과활동 특기사항이나 과세특에 활용한다. (세계사 교과 세특 예시)심도 있는 세계사 학습을 위해서는 지리적 상식이 필요하다고 느낌. 이에 기초 지리 지식은 교과서 탐 독으로 최신 이슈는 세계 뉴스와 다큐멘터리 시청으로 축적하겠다는 포부를 밝힘. 교과 통합 주제를 선정해 탐구하는 수업에서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선에 있는 나라들'을 발표했는데, 평소의 노력이 빛을 발했다며 뿌듯해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음. 경계선에 있는 나라로 튀르키예, 캅카스 3국, 러시아를 꼽 있는데 각 나라의 정치 노선은 상반되며, 이들을 바라보는 유럽과 아시아의 시선도 상이함을 강조함.2024.06.30
-
기타[독서활동] 구멍가게 이야기 -사회<6> [독서활동] 구멍가게 이야기 –사회 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책 구멍가게 이야기를 읽은 후 어떻게 세특에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구멍가게 이야기> 박혜진, 심우장도서 분야: 사회문화관련 과목: 사회문화, 한국지리, 한국사 등관련 학과: 사회학과, 지리학과, 사학과 등줄거리주인공 은수는 구멍가게를 운영하는 중년 여성이다. 그녀는 작은 구멍가게로 살아가며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은수는 구멍가게에 찾아오는 단골 손님들의 삶과 이야기에 공감하며, 그들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구멍가게는 그녀와 단골 손님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공간이 된다. 은수의 구멍가게에는 다양한 사연을 가진 사람들이 등장한다. 그들의 삶을 통해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모습이 드러난다. 구멍가게는 작은 공간이지만, 그 안에서 은수와 손님들은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인생의 지혜를 나누게 된다. 이를 통해 작은 일상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게 된다. 이 책은 작은 구멍가게를 통해 우리 사회의 모습을 담아내며, 일상 속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사연과 인생의 이야기를 전달한다. 2. 책을 읽은 후 후속활동 추천 1) 구멍가게'를 포함한 레트로 문화 연구가 갖는 사회학적 의미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사회학적 의미&내용1.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 형성 -사람들은 특징 시기의 문화로 자신의 정체성과 소속감,차별성 표현2. 소비와 소비문화에 대한 통찰력 제공 -소비의 다양성과 소비자의 가치관, 선호도 소비행태 분석에 도움 3. 시대별 문화적 변화와 영향 연구 -문화가 특정 시대의 경제. 정치. 기술 발전. 사회에 미치는 영향 분석4. 커뮤니티 형성과 정보 공유 추적 -SNS상에서레트로문화 요소의 공유를 통한 소통 분석에 도움 5. 현대와 과거 사회의 상호작용 탐구 -과거의 형성과정을 통해 현대 사회의 가치관, 문화적 동항이해6. 지속 가능한 소비와 환경 이해 촉진 -레트로문화와스타일을 통해 자원과 상품의 재순환 이해 2) 현대 사회에서 구멍가게의 이미지는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1. 구멍가게는 주로 과거의 시대나 문화 상징하는 장소로 인식된다. 현대 사회에서 구명가게를 방문하는 사 람들은 자신의 어린 시절로 돌아가거나 과거의 경험을 회상하려는 욕구를 느낀다. 2. 구멍가게의 제품이나 스타일은 종종 자신만의 독특하고 고유한 개성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된다. 3. 사람들은 구멍가게 방문 사진, 동영상을 공유하면서 이를 매개로 사람들과 소통한다. 4. 일부 사람들은 현대 사회의 모더니즘과 혁신에 반대의 입장을 취하며, 과거의 전통과 가치를 중시하는 경항 이 있다. 이들은 구멍가게나 과거의 문화를 현대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긴다. 5. 구멍가게는 지속 가능한 소비의 예시로도 간주 된다. 중고 제품을 구매하거나 재활용 패션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은 구멍가게를 방문하여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려는 노력을보인다. 3) 위 내용을 비교과활동 특기사항이나 과세특에 활용한다. (사회문화 교과 세특 예시) 문화 변천의 원동력과 특징을 알아보며 최근 유행한 레트로'에 주목함. 한 사회의 문화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으로 유행과 소비 형태를 꼽고, 이 들을 불가분의 관계라고 설명함. 몇 년 전, 1980년대 후반~ 1990년대 후반 배경의 드라마가 시리즈로 방영될 정도로 인기를 끌며 사회 전반에 '레트로 문화' 열풍 을 불러왔다고 분석함. 쉽고 빠르며, 보기 좋은 물건과 장소만 선호하던 사람들이 레트로에 신선함을 느꼈고, 사회 전반에 걸쳐 레트로 풍 관광 명소가 부각되었다고 발표함. 그 중 대표적인 장소로 구멍가게를 꼽음. 레트로 문화에서 느끼는 바는 세대별로 다르나 공통적으로 중고 제품 및 재활용 등에 관심 을 환기해 지속 가능한 소비를 유도한다고 평가한 점이 인상적이었음.2024.06.30
-
학생부 관리독서로 차별화된 생기부 디자인하는 방법 (2)<5> 독서로 차별화된 생기부 디자인하는 방법!! (2) 이전 스토리노트를 보고 독서가 왜 생기부에서 중요한지 알게 되셨나요?? 안보셨다고요~??혹시나 안보신 분들은 빠른 이해를 위해 ‘독서로 차별화된 생기부 디자인하는 방법!! (1)’을 보고 오시는 걸 추천드립니다!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교과세특 사례를 보며 우수한 독서 활동이란 무엇인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물리 1: 교과에 대한 호기심이 아주 많은 학생으로 물리학의 기본 개념을 잘 정리 하고 그 원리를 정확히 이해함.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더 알고 싶은 내용을 친구들과 토 론하며 실험으로 확인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부족한 부분은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반복적 인 학습으로 물리 분야에 대한 큰 성취 결과를 보여줄, 물리 법칙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 해 이론적인 개념들에 더 큰 호기심을 보이며 단순한 암기보다 공식 등의 유도 과정을 정 확히 이해하고 원리를 알고 유도 방법을 익힘. 영화 속 물리학 찾기 수행평가로 영화 '앤트 맨', '앤트맨과 와스프'를 보고 양자 세계에 대해 관심이 생겨 양자물리에 대해 조사를 함. 이를 더 발전시켜 터널링 현상과 양자역학, 다이오드의 원리 등과 접목하여 보고서를제 출했고 수업 중 발표하여 친구들과 선생님께 큰 호응을 얻음. 이에 그치지 않고 조사 과정 중 알게 된 에사키 다이오드가 교과 과정에서 학습한 '미시세계와 양자현상'과 관련이 있 다는 것에 호기심이 생겨 '파인만의 여섯 가지 물리 이야기, '세상에서 가장 쉬운 양자역 학 수업'을 읽는 등 스스로 심화 학습하는 능력이 뛰어남. 화법과작문: 수업 시간에한 번도 자는 모습을 본 적이 없을 만큼 성실히 임하는 학생임. 수업 시간의 교사 발문에 단순하고 직설적인 어법으로 답변하면서도 언어감각에 대해자 신이 부족한 면을 잘 알아 스스로 보완하고 고쳐야 할 부분을 찾아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 결해 나가려는 노력이 돋보이는 학생임. 한 예로, 자신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하는 데에 스스로 부족하다 인지하고 '데미안'과 '진화심리학'을 읽은 후 줄거리, 논의점, 심층조사 및 분석, 발표와 토론, 피드백 등 5단계 작문 보고서를 작성함. 이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요약 하고 정리하여 발표하는 능력이 크게 향상됨!. 단순 활동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본인이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사회적 이슈나 국제적인 사건사고에 접목시키는 등 작문실 력 향상에 대한 열의를 느낄 수 있음. 출처: 2024년 <한양대학교 학생부 종합전형 가이드북> 대학이 원하는 독서는 수준 높은 전공 서적의 탐독이 아닙니다. 자신의 관심사와 흥미에 맞는 책, 교과나 전공 계열의 지적 호기심을 탐구하는 용도로 읽을 책이면 됩니다. 물론, 주도적으로 책을 읽고 개인에게 유의미한 독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학생부에 적힌 독서 활동은 면접의 단골 질문으로 나올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단편적인 서평 쓰기로 끝난 독후 활동이라면 다시 한번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서의 '양'보다는 질'에 신경 쓰세요. 한 학기에 네댓 권을 읽더라도 학습및진 로 연계와 심화에 초점을 두면 됩니다. 책을 먼저 읽고 호기심이 생기는 부분을 교 과, 진로와 연결해 해석해봐도 좋고, 수업 시간 배운 내용을 책으로 심화시켜 확장 해봐도 좋아요. 책은 각종 수행평가, 교내 교육 활동, 프로젝트 활동의 자료로 적극 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독서 감상문 작성부터 발표, 토론, 실험 등의 성과를 학생부에 잘 녹여내는 것이 관건일 거예요. 독서 후줄거리와 느낀 점을 '독서기록 장'이나 '독서교육 종합지원 시스템에 꼭 기록하세요. 고등학교 생활 3년의 독서 활동을 차곡차곡 모아 독서 포트폴리오를 꾸릴 수 있어요. 이 포트폴리오는 고3 때 면접 준비용으로 요긴하게 활용할 수도 있죠 학생부에 기재되는 일련의 독서 활동은 3년 동안 공을 들여야 합니다. 학생부에 적힌 독서 이력을 보면 학습과 진로에 대한 관심도와 그 깊이를 알 수 있지요. 전공 분야의 책만 읽기보다 학년별로 전략적으로 읽는 것이 좋습니다. 3년 동안 일반 교 양도서와 전공(계열) 도서를 두루 읽되 학년이 오를수록 전공(계열 ) 도서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또한 자연계열을 희망해도 예술 서적을 읽고, 인문계열 을 희망해도 과학 분야의 책을 읽기를 추천합니다. 학생부 차별화를 위해 독서를 강조했지만, 사실 독서를 체계적이고 꾸준히 한학 생은 학생부에 지적 호기심, 탐구심, 학업 능력이 드러남은 물론 직간접적으로 지 적 능력이 성장해 있을 것입니다. 독서를 통해 미래를 설계하고 발전한 자신을 발견하길 기대합니다. 독서를 공부해야 할 시간도 없는데 해야행 할 숙제'로 여기지는 말고, 학생부와 자신의 내적 성장을 위한 밑거름'이라고 여기길 바랍니다!2024.06.30
-
학생부 관리독서로 차별화된 생기부 디자인하는 방법 (1)<4> 독서로 차별화된 생기부 디자인하는 방법!! (1) 독서로 학생부를 채우면 상위권 대학이 보인다 입학사정관들은 학생부에 기재되어 있는 교과학습발달상황(교과세특 + 개세특 ) 창의적체험활동(자율활동, 동아리활동, 진로활동), 행동 특성 및 종합의견의 내용을보고 학업 역량, 진로 역량, 공동체 역량을 평가합니다. 수치화되지 않는 태도와 잠재력을 평가하며, 교과 활동의 참여도와 얼마큼 능동적으로 학교생활을 했는지 가금합니다. 비슷한 성적의 수많은 학생부 안에서 입학사정관의 눈을 사로잡으려면학생부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수업 활동이 드러나야 합니다. 단편적으로 수업을 듣는 것이 아니라 배운 지식을 스스로 생각하고 이를 확장한 내용이 담겨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수행평가를 할 때도 주도적으로 탐구심을 발휘하는 자세, 주도적으로성장하려는 태도가 필요합니다.같은 수업을 듣고도 이러한 열정과 성취를 보여줄 수 있는 방법에는 '독서'가 있 습니다. 독서활동 상황이 대입에 기재되지 않는다고 독서를 안 해도 된다는 생각은 크나큰 오해입니다. 상위권 대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차별화된 학생부를 위해 전략적으로 독서를 활용합니다. 독서활동은 과세특, 개세특이나 창의적체험활동 등 학종의 모든 평가 영역에 기재가 가능합니다. 독서를 통한 지적 경험은 수 행과제, 프로젝트 활동, 관심사의 탐구, 진로 탐색 노력 등을 드러내며 학생부 평가 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지금은 자기소개서가 없어졌지만, 서울대 는 해마다 자기소개서에서 고등학교 재학 중에 자신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책세 권을 선정하고, 그 이유를 각각 서술하게 했습니다. 서울대 아로리 웹진에서도 독 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신입생들의 서재, '서울대생들이 읽은 도서목록' 등 독서 와 관련된 정보를 꾸준히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울대는 여전히 독서를 통해 생각 을 키워온 큰 사람을 기다린다.'라는 문구와 함께요. 독서는 모든 학습의 기초입니다. 학업 태도, 지적 호기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탐구능력을 다른 학생과 차별화하기엔 독서만큼 유용한 도구도 없습니다. 대학 공 부를 위한 수학 능력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독서로 채워진 학생부를 입학사정 관이 지나칠 이유가 없습니다. 학생부에 독서 이력을 드러내며 자신의 역량을 충분 히 어필하길 바랍니다. 2024학년도부터 학생부의 '독서활동상황'이 없어진 이유는 책 제목만 무분별 하게 올리는 현상 때문입니다. 책을 제대로 읽었는지, 어떻게 할용하고 배운 점은 무엇이었는지, 대학 입장에서는 알아볼 방법이 없었지요.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 고자 교과세특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에 입력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단, 감상문 작 성 등 단순 독후 활동이 아닌 교육 활동을 전개했다는 전제가 있어야 해요. 단순 도 서명으로는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썼다고 해서 학생부를 빛나 게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까요. 그래서 학업 및 진로와 관련하여 스스로 관심사를 발전시키고 확장, 심화하는 활동이 필요합니다. 책을 읽게 된 동기, 읽으며 배운 점, 궁금한 점, 비판적으로 바라본 점, 연계하며 펼친 후속 활동 등을 밝히는 적극 적인 독서가 뒤따라야 합니다. 다음 스토리노트에서 교과세특 사례를 보며 우수한 독서 활동의 힌트를 얻어보겠습니다~!2024.06.30
-
학생부 관리학생부에서 중요하게 평가하는 세가지역량??<3>학생부에서 중요하게 평가하는 세가지 역량?? 학생부에서 중요하게 평가하는 세가지 역량이 있는데요.학교 교육과정에서의 경험과 노력이 헛되지 않도록 다음의 세가지 역량을 유념하여 입시에 성공하는 학생부를 준비합시다! 1. 학업역량 첫째는 학업 역량입니다. 학업역량은 대학 공부를 위한 기본 학업성취수준과 학 업 수행 태도, 적절한 학습 전략과 실행 과정을 말합니다. 학업 성취도에 대한 평가 는 종합적 학업 능력, 추세적 발전 정도, 그리고 희망 전공과의 연계 등을 기본으로 합니다. 학업 태도는 학업을 수행하고 학습하려는 태도와 의지로써 능동적인 자세 로 배우는 자기주도 학업역량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탐구력은 학교에서 이루어지 고 있는 탐구 활동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했는지, 그 성과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2. 진로역량 둘째는 진로 역량입니다. 이는 자신의 장래 희망과 관련한 다양한 경험과 준비 정도를 말합니다. 전공(계열) 관련 교과 이수 노력은 자신의 진로 희망에 따라 일반 선택과목과 진로선택과목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단순히어 떤 과목을 들었느냐보다 이수과목의 내용과 충실도, 노력의 정도를 보는 것이지요. 전공(계열) 관련 교과 성취도는 고교 교육과정에서 전공(계열)에 필요한 과목을 수 강하고 취득한 학업성취 수준입니다. 진로 탐색 활동과 경험은 희망 전공(계열)에 대한 관심과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한 경험, 주의를 기울인 정도를 말합니다. 진로 탐색을 위해 이루어진 활동, 노력, 성장의 결과를 평가하게 됩니다. 3. 공동체역량 셋째는 공동체 역량, 즉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태도를 말합 니다. 협업과 소통능력은 단체 활동 과정에서 서로 돕고 함께 행동하는 모습, 구성 원들과 협력하여 공동의 과제를 수행한 경험, 타인의 의견에 공감하고 올바르게 의 사소통하는지 확인합니다. 나눔과 배려는 학급, 동아리, 수업 등 다양한 공동체 활 동에서 이타적인 노력을 보인 경험이 있는지를 평가에 반영합니다. 책임감을 가지 고 맡은 역할을 다했는지, 공동체가 정한 규칙을 잘 지키는지 등을 살핍니다. 리더 십은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들을 주도한 경험이 있는지, 구성원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의견 조율에 힘썼는지 등을 평가합니다. 각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대입에 유리하도록 다양한 교육 활동을 합니다. 누구에 게나 똑같은 기회가 주어지지만, 학습 태도와 역량에 따라 학생부에 적힌 내용은 판이합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제한된 글자 수 안에 평가 요소를 만족하는 내실 있 는 내용이 담겨 있어야 좋은 학생부라 할 수 있지요. 우수한 학생의 기록을 담당하 는 선생님들은 적고자 하는 내용이 넘쳐서 글자 수에 맞춰 어떻게 내용을 압축해서 담느냐를 고민합니다. 그만큼 '학업 역량', '진로 역량', '공동체 역량'이 나의 학생부 곳곳에 포진해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의 생기부에도 학업역령, 진로역량, 공동체 역량이 잘 드러났는지 분석해보는 활동도 꼭 필요합니다!2024.06.30
-
학생부 관리입시의 기본, 학생부 알아보기!!1. 입시의 기본은 학생부다매년 11월이면 치러지는 수능, 단 한 번의 시험만 잘 보면 우수한 대학을 갈 수 있습니다. 내신 성적, 비교과 활동 없이 수능에 올인할 수도 있습니다. 오로지 수능 만을 위한 공부를 해서 입시에 성공할 수도 있지만, 대입은 사실 그렇게 호락호락 하지가 않습니다. 서울대는 2023학년도부터 정시에 '교과평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수능과 함 께 학생부를 평가한다는 얘기입니다. 교과평가에는 교과학습발달상황을 평가 항목 으로 교과 이수 현황, 교과 학업성적과 더불어 과목별 세부능력 및 특기 사항을 반영합니다. 그래서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 성취도가 우수해야 함은 물론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학습 태도 또한 중요합니다. 고려대도 2024학년도 정시부터 수능 100%로 선발하는 일반전형과 '수능-교과우수전형'을 실시합니다. '수능 80%+ 학생부(교과) 20%'의 일괄합산 방식으로 서울대와 마찬가지로 정시에서 학생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연세대 또한 2026 대입부터 정시에 학생부 교과를 반영한다 고 예고했습니다. 우리나라 유수의 대학이 정시에 학생부를 도입한다는 말은 이러 한 움직임이 다른 대학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뜻합니다. 대학은 시험을 넘어 학교생활에 충실한 인재를 원합니다. 수능 성적표에는 학업 태도, 성실성, 지적 호기심, 탐구심 등을 평가할 수 없지요. 대학에 와서도 적극적 이고 진취적인 태도를 보이는 인재, 학업에 즐거움을 찾고 탐구하는 인재,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지닌 인재, 공동체 안에서 소통하고 책임감을 드러내는 인재를 대학 은 바라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생활 전반이 모두 담긴 학생부를 평가하는 이유입니 다. 앞으로 학생부의 영향력은 더욱 강화됩니다. 이전에 있었던 자기소개서가 2024학년도 대입부터는 전면 폐지되고 상위권 대학에서 정시의 교과 활동 확대는 학생부의 중요성을 더욱 공고히 합니다. 학종을 위해서라도, 앞으로 정시를 위해서라도 학생부 관리는 필수입니다. 2. 입시에 성공하는 학생부 평가요소를 공략하라 학생부는 학생의 학업 성취와 발달 상황을 적은 문서로 학생의 학교생활을 세세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출결부터 학업 성취도, 학습 태도, 진로 희망 등 학생의 개별적인 특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줍니다. 학교생활의 전반을 적은 문서이지만 전체 항목이 대입에 활용되지는 않습니다. 학생부의 가장 많은 영역을 평가하는 입 시전형은 ‘학생부종합전형'입니다. 학생부종합평가에서는 학생부의 교과 성적과 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행동특 성 및 종합의견, 창의적 체험활동 상황의 비교과 활동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정량화된 내신등급만이 아닌 담임선생님과 교과 담당 선생님이 3년 동안 관찰하여 기록한 각 학생의 다양한 역량을 확인합니다. 전 과목에서 수업 태도는 어땠는지, 관심 분야는 무엇인지, 학업 성취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 주도적으로 진 로 역량을 키웠는지, 급우들과 조화롭게 학교생활을 했는지 등 전반적인 학교생활 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표에서 알 수 있듯 2024학년도 대입부터는 수상 경력, 개 인 봉사 활동, 독서활동 상황 등이 입시 자료로 활용되지 않습니다. 자기소개서와 교사 추천서도 폐지되었습니다. 각 항목당 글자 수는 줄었고 간소화되었습니다. 즉, 간편화된 학생부 단 하나만으로 학생을 평가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학생부는 자기소개서와 교사 추천사를 품을 만큼 더욱 풍성하고 내실 있게 꾸며져야 합니다. 그렇다면, 학생부를 어떻게 디자인해야 좋은 평가를 받을까요? '지피지기 백전불 태'라 했습니다. 지금 내가 치를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 항목에서 대학이 무엇을 눈여겨볼지 살펴보세요. 다섯 대학은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요소를 표준화하기 위 해 2021년에 세부평가항목을 제시했습니다. 다음의 표와 같은 연구 결과는 전국 의 각 대학에서 평가요소와 평가항목으로 쓰입니다. 평가 요소는 크게 학업 역량' '진로 역량', '공동체 역량' 이렇게 세 가지입니다. 각각의 세부 평가항목과 평가 내 용을 잘 읽고 숙지하시길 바랍니다.2024.06.30
-
기타[입시정보] 입시를 알면 대학이 보인다!!1. 입시를 알면 대학이 보인다 입시는 고등학교 입학과 동시에 시작됩니다. 고등학교 생활에 적응할 만하면 수 행평가와 지필평가가 코앞에 닥치죠. 중학교 생활만 생각하고 넋 놓고 있으면 입시 평가 자료로 활용되는 고1 내신을 망칠 수도 있습니다. 입시 원서는 고3 때 쓰지만, 고1부터 입시 전형과 방법을 꼼꼼히 살피고 준비해 야 비로소 입시에 성공할 수 있다는 거죠. 작년 입시와 올해 입시는 또 다릅니다. 입 시의 흐름을 읽고 전략적으로 입시를 준비해야 하는 까닭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대입은 모집 시기에 따라 크게 수시와 정시로 나닙니다. 정시는 대학수 학능력시험(수능) 성적으로만 평가하고 학교생활기록부의 교과 성적은 반영하지 않습니다. 반면 수시는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성적, 학습 활동 등을 평가합니 다. 다음의 표에서 우리나라 대입 전형 체계를 잠시 파악해볼까요? ‣ 학생부 위주 전형 학생부 위주 전형은 학교생활기록부를 주요 전형요소로 반영하며, 아래와 같이 구 분한다. ㅡ학생부 교과 전형: 학교생활기록부 교과 성적을 중심으로 평가하며, 모집단위 특성에 맞도록 학교생활기록부를 반영하여 평가한다. ㅡ학생부 종합 전형: 입학사정관 등이 참여하여 학교생활기록부 비교과를 중심으 로 교과 및 면접 등을 통해 학생을 종합 평가한다. ‣ 논술 위주 전형 논술 위주 전형은 논술을 주된 전형요소로 반영하며, 만약 논술고사를 실시해도 학 생부 반영 비율이 논술 비중보다 높으면 '학생부 위주 전형'으로 구분한다. ‣ 실기 위주 전형 실기 위주 전형 유형은 실기를 주된 전형요소로 반영하며, '특기자 전형'을 포함한다. ‣ 수능 위주 전형 수능 위주 전형은 수학능력시험 성적을 주된 전형요소로 반영한다. 수시 전형에서 큰 선발 비율을 차지하는 건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 (학종)입니다. 학생부교과전형은 내신 성적만을 평가 요소로 삼고, 학생부종합전형 은 학생부의 내신 성적, 교과 활동, 비교과 활동과 함께 면접 등으로 학생의 역량과 잠재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한때 '학종 시대'라는 말이 나돌 정도였습니다. 학종의 평가 대상인 비교과 활동을 빵빵하게 채우려고 각종 컨설팅, 스펙 쌓기에 혈안이 된 때도 있었습니다. 학교 외부 활동으로 '스펙 부풀리기'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지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지금은 모든 교외 활동이 학생부에 기재되 지 않습니다. 학교 안에서 이루어진 활동만 평가 요소가 되는 것입니다. 학종 체제의 비판에 대응하여 정부는 2019년에 대입 공정성을 위해 수도권 대 학의 정시 비율을 40% 이상 확대하라고 권고했습니다. 이후 수도권 대학들은 지 금까지 정시 모집을 차츰 늘리고 있고, 반면 지방 국립대는 급격한 학생 수 감소로 수시모집 비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2024학년도 대입은 수시모집 비율이 79%, 정시 모집은 21%입니다. 지역별로 분석하면 수도 권에서는 수시로 64%, 정시로 36% 선발하지만 비수도권은 수시로 88%, 정시로 12%를 뽑습니다. 특히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수도권 지역 대학의 경우는 수시 모집 선발 인원 중 학종의 비중이 44.9%로 가장 크게 나타났습니다. 학종의 공정 성의 우려에도 대입의 중심은 여전히 학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3 때 대입 원서는 4년제 일반대학을 기준으로 학생 한 명당 수시모집은 총 6개, 정시모집은 총 3개의 원서를 쓸 수 있습니다. 9번의 기회가 있다는 얘기입니다. 고 1부터 '나는 정시파!'라며 학생부를 무시할 수 없습니다.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 고 입시를 준비하는 편이 현명합니다. 상당수의 고등학교에서 학종을 위해 다양한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고1부터 교과, 비 교과, 수능까지 꼼꼼히 챙겨야합니다.2024.06.30
-
주제탐구보고서[주제탐구활동] 기업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통한 탄소중립실천 -생명과학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바로 지난 스토리노트에 천이와 산림복원방안에 대해 쓴 과학탐구논술 내용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이번에는 그 후속활동을 어떻게 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2학년때 생명과학을 했었는데요. 이 당시에는 경영학과를 희망하던 시기라서 기업과 ESG 경영에 관련된 내용으로 많이 활동했었습니다.발표 대본 내용이니 그대로 따라하신면 여러분의 생기부 평가에서 감점받을 수 있습니다.그러니 참고만 해주세요. 주제: 기업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통한 탄소 중립 실천 (주제 선정 이유) 생물다양성을 보전해야 미래의 팬데믹을 예방할 수 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이것을 보고 생물다양성 보전하는 방법들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생물다양성 파괴에 기업이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기업의 생물다양성 보전 방법에 대해 궁금해졌고, 더 나아가 탄소중립 실천까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ESG경영을 하는 방법 중 하나인 생물다양성 보전과 탄소중립을 기업이 어떻게 실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 주제를 선택했습니다. 먼저 생물다양성이란 일정한 지역에 존재하는 생물의 다양한 정도를 의미합니다. 생물다양성은 종 다양성, 유전적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을 모두 포함합니다. 생물다양성 파괴 원인은 다양하지만, 불법 포획과 남획, 서식지 파괴, 외래종 유입, 기후변화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생물다양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한 종이라도 멸종하면 전 세계적으로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 종이 사라진다는 것은 이와 관련된 유기체와 환경 간 복잡한 연결 시스템이 무너져버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가사리 제거 실험에서 로버트 페인은 생물 다양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홍합이 크게 번식하면서 생물 15종 중에서 7종이 사라졌습니다.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많은 기업들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ONY가 있습니다. SONY는 One Blue Ocean Project 해양 플라스틱 운동을 실시하고, 드론을 환경 관련 사업에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협생 농법’도 연구하고 있는데요. 협생농법이란, 지구 생태계의 자기 조직화 능력을 종합적으로 활용하면서 인간에게 유용한 식물을 생산하는 농법입니다. 식량생산뿐만 아니라 환경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까지도 포괄적으로 고려하는 생태계 활용법입니다. 그리고 쌀겨를 활용한 소재 개발도 하고 있습니다. 소니가 독자 개발한 Triporous™는 버려지는 쌀겨를 원료로 하여 재활용한 것으로, 독특한 미세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Triporous™는 미세구멍이 많은 기존 활성탄보다 울퉁불퉁한 굴곡이 많이 있습니다. Triporous™는 기존 활성탄으로는 흡착하기 힘들었던 큰 유기분자나 바이러스 등 일부 유기 물질을 보다 쉽고 빠르게 흡착할 수 있고, 독자적인 미세 구조로 가스와 악취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특성도 가지고 있는데요. 물 정화나 공기 정화, 방취제·악취 제거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Triporous™의 뛰어난 흡착 특성을 살린 제품과 솔루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탄소중립을 실천하고 있는 기업들도 많습니다. 탄소중립이란, 개인, 회사, 단체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기업들도 ESG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트렌드에 따라가기 위해 탄소중립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제로에너지 건물이란,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아여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건축물을 말합니다. 액티브 기술 중 태양광 발전 시스템인 BIPV를 활용한 한화빌딩은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폐마스크의 환경오염 문제도 심각합니다. 코오롱 그룹은 전국 사업장에 일회용 마스크 수거함을 설치하여 직원들의 마스크를 매장용 옷걸이로 바꾸었습니다. 폐마스크의 재활용으로 5.4t 정도의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합니다. 코카콜라 등 라벨로 발생하던 비닐 폐기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무라벨 병으로 바꾸었습니다. (=중소기업은 ESG 경영이 대기업보다 더 힘듦, ESG인식 세우고, 대기업 지원 촉진하고, 정부에서 ESG 분야 스타트업 육성하는 것 필요함)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ESG경영을 위한 전담 조직이 부족하고나 ESG 경영 준비 필요성에 덜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나있습니다. 환경, 사회, 지배구조 순으로 준비가 어렵다고 합니다. 중소기업의 ESG 인식을 세우고, 대기업 협력사 지원을 촉진하며, 정부에서 중소기업들을 지원하고, ESG 분야 스타트업 육성하는 것 등을 실행하면 중소기업도 ESG 경영을 부담없이 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될 것 같습니다. 중소기업에서 ESG경영을 실천하기에 더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환경을 위해 기업의 행동이 바뀌는 것도 중요하지만 소비자도 친환경 제품을 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고려하는 가치 소비가 증가해야 합니다.2024.05.31
-
주제탐구보고서[주제탐구활동] 과학탐구논술쓰기 -생명과학1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학생부에 대회활동이 기록되진 않지만, 대회에 참여한 내용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제가 다닌 학교에서는 과학의 날을 맞이하여 과학탐구논술쓰기 대회를 열었습니다.이 내용을 생명과학1에 넣었는데요.어떤 내용을 넣었는지 참고만 해주시고 그대로 따라하는 것은 안됩니다. 과학탐구논술쓰기 문제상황: 동해안 지역에 발생한 산불을 9일간 지속됭 역대 최장 산불이었다. 산불이 지나간 자리엔 천이가 일어난다. 과학자 A는 사람이 전혀 개입하지 않고 재가 된 나무까지도 그대로 두는 자원복원을 주장하고, 과학자 B는 특정 수종을 중심으로 인위적인 숲을 조성하여 회복되게 하는 인공조림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논술 주제1. 산림 복원 담당자 관점에서 과학자 A와 B의 주장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 중 지지하는 의견을 말하시오. 또한 담당자로서 조사 결과 산불피해 지역의 천이 과정에서 칡과 솔이끼가 나타났다고 가정할 때, 각 식물이 우점할 것으로 생각되는 시기를 찾고, 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이 식물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제거할 것인지 그대로 둘 것인지) 따른 근거와 주장을 제시하시오. 2. 산불로 인해 손상된 산림 복원 방안의 외국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생태계 천이 과정에 적합한 과학적 복원방안을 제안하시오. 논술문 요약 과학자 A와 B의 주장에 대한 장단점 분석 -과학자 A(자연 복원) 주장의 장점: 복구가 빠르고 생물 종 다양성, 1차 순생산성, 영양소의 흡수 측면에서 우수하여 생태계를 안정화시키는 데 유리하다. -과학자 A(자원 복원) 주장의 단점: 종자 천이시 목재 이용 가치가 매우 떨어진다. -과학자 B(인공조림) 주장의 장점: 우량 소나무 종자로 양묘한 포트묘를 인공식재할 경우 50~100년 생장시 목재가치가 매우 높은 용재를 생산 할 수 있다. -과학자 B(인공조림) 주장의 단점: 토사 유출 심하고 막대한 국가 예산이 투입된다. 조림과정 중 중장비와 사람들이 산불 피해지역에 들어가 작업하는 과정에서 불안정한 토양생태계가 교란된다. 대규모 조림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밟고 다닐 경우 생태계가 교란되어 복원이 늦춰진다 칡과 솔이끼의 우점시기, 제거여부 및 근거 산불 완전히 진화될 때 솔이끼 우점 -> 햇빛, 습도 조절될 때 칡 우점 근거: 산불이 완전히 진화된 산불 피해 지역은 진화 과정에서 사용된 물로 인해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솔이끼가 우점하기 좋은 환경이다. 하지만 햇빛이 들고 습도가 어느 정도 조절되면, 칡이 우점한다. 산불피해로 인한 조림지 등은 재나 연기로 인한 햇빛 차단이 없을 시 오히려 임지가 햇빛에 노출되어 칡이 번성하기에 좋은 환경조건이기 때문이다. 칡을 제거할 것이다.칡은 억센 생명력과 왕성한 번식력으로 줄기를 잘라도 뿌리에서 다시 나와 주위의 나무를 타고 올라 순식간에 숲 전체를 뒤덮어 햇빛을 차단하고 질식시켜 나무의 생장을 저해시키기 때문이다. 산불로 인한 삼림복원의 외국사례조사 자연복구 사례: 대형산불이 발생했던 미국의 옐로스톤 국립공원깊이가 깊고 생태적으로 안정되어 있던 지역이기 때문에 자연회복에 의존해도 별 문제가 없었다. 또한 땅 넓이가 워낙 크고 경사도 완만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처럼 폭우가 내리는 지역도 아니다. 우리나라 생태계에 적합한 복원방안 제시 (+나의 의견) 복구가 시급한 민가와 학교 주변, 도로 등은 우선적으로 인공조림을 하자.자생식물 관리체계 마련해서 자생식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자.기후대 등을 고려해 종자이동구역을 구축하고 자생식물 종자수집구역을 선정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해야한다. 종자수집부터 유통까지 자생식물의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이력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고품질의 자생식물 보급을 위한 품질인증제도를 운영해야한다. 이 활동을 통해 ESG 경영활동의 일환으로 멸종위기 자생식물 자원의 보전 및 복원을 확대하고, 지속가능한 식물자원의 새로운 가치를 발굴하여 미래자산을 확보하는 것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과학 발표할 때 ESG 경영을 실천하는 중소기업들에 대한 내용으로 연결되었다.2024.05.31
-
주제탐구보고서[주제탐구활동] 교육불평등 -교육학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교육학시간에 어떤활동을 하면서 세특을 채웠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콜만의 교육불평등에 대해서 학교 수업시간에 배운 후 후속활동으로 쓴 글입니다.콜만의 교육불평등이 무엇인지에 대해 시립대 면접에서 물어봤는데요.제가 쓴 글을 그대로 따라 쓰는 것은 여러분들게 좋지 않으니 참고만 해주세요.[교육불평등(문제점)과 해결방안 제안] 교육불평등은 교육성취 측면에서 고등교육의 수직적 불평등과 수평적 불평등의 두 유형이 공존하는 양상이다. 학업성취 측면에서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는 추세 = 계층 간 학업성취 격차가 심화되는 형태교육불평등의 심화 요인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사교육에 대한 투자가 적었고 학업성취를 촉진하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형성 또한 낮다. - 교육 불평등 정의: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자녀의 교육기회 및 교육결과가 차별화되는 정도를 의미하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교육기회 및 교육결과 사이의 연관성으로 측정한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교육 성취 : 교육성취는 사회경제적 지위 획득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변수이면서 그 자체로 사회경제적 지위를 나타낸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자녀가 상급학교에 진학할 가능성, 그리고 더 높은 학력을 갖게 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학업성취를 통제한 후에도 부모의 교육수준과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자녀가 전문대학보다 4년제 대학에 진학할 확률이 더 높게 나온다. 성취에 대해 제한을 가하더라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차이만으로 고등교육 진학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학업 성취: 한국에서 시험은 공정한 평가 방법이자 선발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시험 중심 교육과 경쟁이 사회적으로 수용되는 편이다. 시험은 공정한 평가 방법이라는 인식과 다르게 연구들은 일관되게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자녀의 시험 성적 학업성취가 높다고 보고된다.- 결론: 교육성취 측면에서 교육불평등은 수평적 계층화(질적측면)와 수직적 계층화(양적 측면) 두 유형이 공존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수직적 계층화의 측면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자녀가 대학에 진학할 가능성이 증가했다. 하지만 고등교육의 기회가 확대되면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대학 진학 여부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하고, 자녀가 진학하는 대학 유형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했다.수평적 계층화에서는 지위가 높을수록 자녀의 학업성취가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중 교육수준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즉 교육불평등은 최근 출생일수록 심화되는 추세로 확인되었다.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교육결과 간 관계를 종합하면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대학 진학 자체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의 학생들이 대학 진학 대학 유형 대학 서열 등 세 가지 측면에 대한 접근 모두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었다. 이러한 불리함은 대학 서열이 높아질수록 증가했다. - 해결방안 제안: 상위권 대학 진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녀의 학업성취를 매개로 하며, 학업성취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지만 상위권 대학에 진학하려는 포부가 있는 학생들에게 학업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움과 지원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자본( 관계적 동조 기대교육수준, 부모의 관심과지지, 부모의 학교활동 참여)과 문화자본(독서 향유)을 의도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지원된다면 교육불평등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지만 상위권 대학에 진학하려는 포부가 있는 학생들에게 제도적 지원 필요하다. 현재는 입시정보를 얻거나 강의를 듣기 위해서도 많은 돈이 필요하다. 이들을 위해 제도적 차원에서 도움을 주어 돈을 지원해준다거나 입시정보를 주는 기회를 늘려야 할 것이다. 논문 고등교육 기회 확장과 교육불평등 양상 변화 연구: 국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김지연, 박순용)에 따르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생들이 많이이 진학하는 대학은 전문대학이라고 한다. 따라서 전문대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전문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생들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학생들 혹은 학업성취가 높은 학생들과 대입 경쟁하지 않으면서, 졸업 후에는 그들에게 대학교육을 통한 상승이동의 기회를 제공하여 불평등을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2024.05.31
-
주제탐구보고서[주제탐구활동] 교육사회학 이론에 대한 발표 -교육학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3학년때 선택한 과목 중에 교육학이 있었습니다.3학년때는 교육학을 희망했었기에 진로희망분야인 사회학과와 연관시키기 좋았습니다. 사회학과에서 좋아하는 생기부 내용 중 하나는 사회학이론을 사회현상에 접목시켜 분석하는 것입니다!저는 교육학 이론들에 대해 공부한 뒤, 교육학 이론들을 세상에 적용시켰습니다! 교육학에서 활동한 내용이 시립대 면접에서 물어보기도 했습니다.그만큼 이론을 사회에 적용시켜 공부하는 것은 대학에서 중요하게 여긴다는건데요다음은 제가 고등학교때 발표에 사용했던 자료들입니다.참고만 하시는 것이 여러분 생기부 평가에서 좋으니 참고만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교육사회학 이론주제 선정 동기: 수업시간에 배운 교육사회학 이론 중에서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론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어짐 <내용 정리>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관점은 다양하며 주로 기능주의 이론, 갈등 이론, 해석학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교육사회학 이론사회학적 관점-거시적 관점 – 기능이론/ 갈등이론-미시적 관점 –해석적 접근-결합(거시+미시)-교육과정 사회학 – 해석적 접근/ 갈등이론 1.기능주의 이론: 사회의 질서와 현상유지, 합의, 사회적 통합을 주요 관심사로 가지며, 교육을 통한 사회의 유지와 존속이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한 설명 제공 1) 기능주의 사회학자 -뒤르껨-입장: 보편적 사회화( 사회구성원들에게 보편적 가치와 규범을 내면화, 사회의 동질성 확보, 학교교육의 핵심은 도덕성 교육, 전문화 교육이 증가할수록 사회전체의 동질성 유지를 위한 보편화 사회화가 중요)모든 교육은 교육의 목적으로서” 사회 유지, 안정에 필요한 여러 측면의 “공통요소를 아동에게 심어주지 않으면 안 된다.”(뒤르켐) -저서: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 자살론, 교육과 사회학 2. 갈등이론: 기능이론이 전제하는 합의에 의한 사회질서 유지에 반론 제기한다.학교가 지배집단의 가치나 이데올로기, 서열화된 기존의 계급 구조를 재생산한다고 주장하며 사회의 부조리한 문제의 원인을 학교교육과 사회구조적 불평등과 관련지어 설명함 1) 발전과 전개마르크스주의: 경제결정론-경제구조가 정치, 국가, 교육을 결정한다신마르크스 주의: 상부구조와 하부구조가 상화작용한다-> 지배계급에 유리한 모순된 사회구조, 계층간, 계급간 갈등 존재 -마르크스의 교육사회학 이론관련 도서: 마르크스, 엥겔스 교육론 : 자본주의 사회 교육은 자본주의 생산양식과 소유관계의 산물이라 규정함자본주의 사회 교육은 절대 다수의 국민을 기계로 만드는 훈련에 불과하므로 소멸시켜야 한다고 함교육은 노동과 분리 되어서는 안되며, 노동이 교육의 일부고 교육을 물질 생산과 결합시켜야 한다고 강조 1) 마르크스 교육론 특징-> 교육과 학교를 동일시 하는 일반적인 교육관 배격-> 교육을 사회 개혁의 핵심적 수단으로 중시-> 마르크스는 1869년에 있었던 제1 인터네셔널에서 ‘적절한 교육체계의 수립을 위해서는 사회적 조건의 개혁이 필수적이며, 동시에 사회적 조건의 개혁을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교육체계의 수립이 필수적이라고 주장 -그람시 (마르크스를 비판)마르크스의 사상체계를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인식하여 ‘비판적 마르크스주의’의 전통을 세웠다고 할 수 있다. 비판적 마르크스주의는 인간을 사회역사의 창조적 주체라고 인식하고, 과학과 구술보다 역사가 길고 근본적이라고 생각하는 인본주의적 가치를 중시한다. 이 전통에 의하면 마르크스주의는 사회의 변혁을 추진하는 실천이론이라는 것이다.(출처: 이건만, 교육과 교육사상, 1999) -마르크스 갈등이론과 베버 갈등이론의 차이 분석-갈등이론의 전제: 인간이 소유하고자 하는 대상물은 제한되어 있고 인간의 소유욕은 무한하나, 이 모순을 해결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인간간의 경쟁과 갈등은 불가피하다 1) 마르크스 갈등이론과 베버 갈등이론은 투쟁의 무기에 대한 관점에서 차이 존재함 -마르크스 갈등이론: 경제적 생산수단이 투쟁의 목표이자 무기-베버 갈등이론: 경제적 부, 사회적 지위, 권위등이 투쟁의 목표이자 무기 2) 역사관 차이-마르크스주의 및 신마르크스주의적 이론은 진보적, 혁명지향적, 나관주의적-베버 이론은 보수적, 미래에 대해 비교적 회의적 3) 교육관 차이-마르크스: 교육과 생산의 연결고리에 주목-베버: 교육의 합리화 기능에 주의 환기 -보울스와 진티스의 경제 재생산론 (마르크스주의 영향 받음)상응이론과 차별적 사회화에 토대하여 생산현장의 생산관계(자본가-노동자 관계)가 학교 교육을 결정한다.=자본주의 생산관계를 재생산 한다 -상응이론: 생산현장의 사회적 관계와 학교의 사회적 관계 둘이 상응관계 (시키는 대로 해야함, 등급과 관계가 정해져 있음)-> 학교조직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 자본주의 생산 현장에서의 지배 복종관계를 재상산하는 것이다 -차별적 사회화: 계급에 따라 다른 규범과 특성을 주입. 자본가 계급 학생에게는 경영자에게 필요한 규범 (성취성, 지뉘성, 지도성) 교육, 노동자 계급의 학생에게는 복정, 규칙 엄수 등을 교육2024.05.31
-
주제탐구보고서[주제탐구활동] 노동, 사회, 국제에 관심있는 사람 주목! -영어권문화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 고등학교 2학년 때 영어권문화라는 과목이 있었습니다. 영어로 말하기 발표를 할 때 어떤 주제로 했는지, 내용은 무엇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제가 한 주제를 그대로 따라한다면 여러분의 생기부가 평가받을 때 감점받을 수 있으니 참고만 하세요.영어권문화 이 발표 주제덕분에 제가 경영학과에서 사회학과로 자연스럽게 바꿀 수 있었습니다. 원래 경영학에 관심있었지만 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에 더 관심이 가게 되어서 노동사회학을 좀 더 공부해보고 싶었습니다. 제가 경영학과에서 사회학과로 3학년때 진로를 틀었지만 어떻게 6학종 5합격을 할 수 있었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스토리노트를 참고하셔도 좋습니다! 만약 진로를 바꾸고 싶은데 생기부에서 유기성을 어떻게 드러낼지 고민인 학생들은 이걸 참고하거나 1대1 톡을 이용해서 질문주세용TITLE: Eugene Debs, Labour activist, socialist, politicianThese days, interest in workers' human rights is increasing due to the boycott of SPC companies.So I wondered what the labor struggle was in foreign countries, and I got to know the labor activist Eugene Victor Debs.He participated in the labor movement and the socialist movement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eft and progressive movements in the United States.He formed the National Railroad Workers' Union in 1893 and protested against unfair wage cuts, an American railroad company.In 1895, he founded the Social Democratic Party.He is also interested in international trade union movements, so he forms the World Federation of Industrial Workers (IWW).Social democracy critical of capitalist characteristics is called Devism. 이 활동이 영어권문화 세특에 적혔습니다. 그리고 사회학과 면접에서 유진데브스가 누구인지 자세하게 물어보기도 했습니다.이렇게 세부적으로 물어볼 거라고는 생각 못했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다행히 알고 있던 내용이라서 답변하기에는 수월했습니다.여러분도 만약 세특에 인물이 있거나 세부적인 내용이 있으면 면접에서 물어볼 수도 있으니 관련 내용들을 그때그때 기억하는 것이 좋습니다!저는 이 발표를 하고 노동운동가 유진데브스에 대해 좀더 자세히 다루었습니다.이처럼 후속활동을 하거나 다른 과목에서 연계된 활동을 한다면 생기부의 유기성이 드러나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2024.05.30
-
주제탐구보고서[주제탐구활동] 환경, ESG경영, 그린워싱 관심있는 사람 주목! -영어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저는 경영학과를 희망했었습니다. 특히 환경, ESG경영, 그린워싱에 대한 관심이 많았는데요.영어 발표 수행평가 할 때 어떻게 주제를 잡았고, 어떤 내용으로 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제가 했던 주제를 그대로 따라하는 것은 여러분 생기부 평가에서 감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참고만 해주세요. Title: Criticizing the necessity of green washing through the case of green washing of ESG management companies After reading the article related to green washing in the mock test fingerprint, I thought it would be related to ESG management.So I read the book 'The ESG Revolution is Coming' and learned about ESG management and greenwashing.ESG stands for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For example, there is Patagonia, which makes clothes using eco-friendly materials.Greenwashing refers to marketing as if it is not actually eco-friendly, but environmentally friendly.For example, Volkswagen's "clean diesel," which produces far more pollutants than the standard.Some people say not to criticize green washing strictly because green washing products are also helpful to the environment and interest in the environment can increase.However, greenwashing should be criticized because it deceives consumers and rather harms the environment.In Korea, greenwashing can be punished by law, but most of them are difficult to punish. Strong regulations are needed to prevent greenwashing. #생기부 잘 적히는 꿀팁 알려드리겠습니다!!1. 일단 키워드를 선택해라! 저는 환경, ESG경영, 그린워싱으로 했습니다.2. 발표 등 탐구활동을 한 후 후속활동을 해라!저는 발표를 한 후 그린워싱과 관련된 책도 읽고, 학교에서 운영하는 모의국회에 참여하여 환경노동위원회-법개정 역할을 맡았습니다.3. 후속활동을 하지 못한다면 과정에서 심화된 것을 보여주기!!저는 후속활동으로 책을 읽었지만, 만약 후속활동을 하지 못한다면...?? 발표를 준비하면서 책을 읽거나 논문을 찾아보고 이를 생기부에 넣으면 됩니다. 이렇게 꿀팁 알려드렸으니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2024.05.30
-
주제탐구보고서[주제탐구활동] <서울, 1964 겨울>을 읽고 보고서 작성 -문학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고등학교 2학년 문학 시간에 어떤 작품을 가지고 보고서를 썼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수업시간에 <서울, 1964년 겨울>을 배웠었는데요.이걸 배운 후 상호텍스트성이 있는 다른 작품들을 읽었습니다.이를 바탕으로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한 뒤, 생기부에 적었습니다. 여기서 저의 키워드 중 하나는 '상호텍스트성'이었습니다.고등학교 2학년 독서시간에 '상호텍스트성'을 배웠고, 이를 이용한 글쓰기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그래서 문학 세특에서도 상호텍스트성을 다시 한 번 언급하고 싶었습니다. 아래 글은 어떤 구조로 보고서를 썼는지 간략하게 서술한 것입니다.이걸 그대로 따라한다면 여러분의 생기부 평가에서 감점을 받을 것이기에 참고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제: <서울, 1964년 겨울>과 <서울, 1986년 여름>, <서울 1994년 여름> 상호텍스트성 중심으로 분석하기 1. 서사구조 <서울, 1964년 겨울>에서 중요한 단어는 ‘날다’와 ‘꿈틀거림’이다. ‘나’는 사관생도가 될 꿈을 가지고 서울에 올라왔지만 시험에 실패해 꿈꾸던 것을 못한 인물인 동시에 여전히 꿈틀거리는 욕망을 지니고 있는 인물이다. 2. 인물-제 3자와 합석해서 이야기 전개가 이루어진다.-제 3자의 외로움으로 쇠외 인물에 대한 현실대응 방식을 이야기한다. 1) <서울, 1964년 겨울>의 인물-나: 화자로서 확실한 주관이 없는 인물이다. 시골 출신으로 소외감과 고독감을 느끼며 살아간다. 이기적이고 개인적인 현대 젊은이들을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안: 부잣집 장남이며 대학원생이다. 삶을 냉소하면서 자기 구원을 시도하는 지식인으로 개인주의적인 인물이다.-사내: 죽은 아내의 시체를 팔 수 밖에 없을 정도로 가난에 찌든 서적 외판원이다. 도시인의 소외와 고독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3. 모티브 <서울, 1986년 여름> <서울, 1964년 겨울>이 두 글을 공통점은 크게 두 가지 면으로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등장인물 면에서 대학원생 안의 성격이 대학생 청년 최성기의 성격과 매우 비슷한 점이다. 가난했고 침체되었던 1964년 서울의 상황이 조금은 경제적으로 넉넉해지고 활기차는 1986년 여름의 상황으로 패러디되면서 조금 더 여유롭고 명랑한 성격의 인물인 청년 최가 만들어진 것 같다. 두 번째는 두 글의 공간적인 배경이 같다는 점이다. 시간적인 배경이 다르다는 것은 제목만 봐도 알 수 있다. <서울, 1964년 겨울>은 밤거리의 선술집 -> 중국집 -> 화재현장 -> 여관으로 배경이동이 된다. <서울, 1986년 여름>은 서울 뒷골목의 포장마차 -> 맥주집 -> 여관으로 배경이동이 된다. 이 밖에도 두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소재는 ‘실재 나이에 맞지 않는 겉늙음’, ‘꿈틀거림’이 있다. 4. 배경1960년, 1980년, 1990년대의 시대 상황과 소설의 배경을 이야기한다. <서울, 1964년 겨울> 한국의 1960년대를 배경으로 쓰였다. 1960년대는 3.15부정선거에 대한 규탄시위와, 이 시위가 도화선이 도어 이루어낸 4.19혁명, 한일 협정 반대 시위, 베트남 파병 반대 시위 등 여러 시위들이 일어났다. 특히 1964년에는 한일 협정 반대 시위가 있었따. 1964년, 박정희 정부는 경제발전자금과 기술을 일본으로부터 들여오기 위해 일본과의 국교 정상화를 추진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일제 강점기 식민 통치에 대한 일본의 사과와 배상 문제를 명확히 하지 않아 사회의 비난을 받았다. 이에 전국에서는 시위가 전개되었다. 1964년 6월 3일 한일 협정 반대 시위는 절정에 달했고 박정희 정부는 비상계엄령을 선포아고 군대를 동원해 시위를 진압했다. 5. 주제의식인간 소외를 중점적으로 다뤘다.-<서울, 1964년 겨울>의 주제: 사회적 연대감과 동질성을 상실한 현대인의 소외. 주체성 없는 현대인의 삶과 현실의 부적응으로 인한 삶의 허무. 결론세 작품 모두 각각 다른 작가의 패러디 의도를 가지고 인간소외를 말한다. 소설에서 인물들의 이름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는 이유는 이들이 1964년 서울을 살아가는 보통의 사람들임을 나타내는 동시에, 이들이 서로에세 의미있는 존재가 되지 못하는 사람들임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타인의 불행에 무관심하고 자기 자신의 편익만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그리고 있다.2024.05.30
-
주제탐구보고서[주제탐구활동] 도시화로 발전한 시진과 농민들의 변화 -동아시아사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2학년 동아시아사 과목에서 어떤 주제로 탐구활동을 했고, 내용은 무엇이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어떻게 주제를 정했고, 어떤 흐름으로 글을 썼는지 참고만 하는 것이 좋습니다!!아래 글은 여러분이 시진에 대해 탐구활동할 때 도움이 될 만한 점들을 서술해놓은 것입니다.주제를 그대로 따라하는 것은 여러분의 생기부 평가에서 감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 분야: 경영, 무역, 사회관련단원: 3단원 동아시아사의 사회 변동과 문화교류-도시의 성장 주제: 시진의 전문화 과정과 시진을 통해 상업과 접촉하려는 강남 농민으로 인한 변화-명.청 시대 도시화 과정에서 크게 늘어난 시진 탐구하기 주제선정이유: 다른 도시와 달리 수로를 통해 유통망을 형성한 시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 중국 : 행정도시 ‘현성’과 상공업도시 ‘시진’의 병존 중국의 도시는 수도, 배도, 성도, 부성, 주성, 현성이라는 행정위계에 따른 상하관계로 편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국의 지방행정은 성-부주-현으로 구성되었고, 부성과 주성은 현성과 현청사가 소재하였고, 이들이 행정과 상품유통의 중심지로써 도시로 기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현성은 송대에서 청대에 이르기까지 1,200곳에서 1,300곳이 존재했다. 행정중심기능을 갖는 전통적인 도시와 달리 송대에서 청대에 이르는 시기에 농촌지역의 시진이 성장하여 중소도시로 기능하였다. 시진은 1개 현당 1.3개 정도 존재했다고 추정된다. 시진은 촌락-시집-시진(중소도시)-대도시로의 성장과정을 밟는다. 전국의 3분의 1에 달하는 시진은 강남지역인 강소와 절강지역에 집중되었다. 강남의 도시화는 대략 9세기 후반부터 시작하여 남송시대에는 그 첫 단계의 전성기에 이르렀고, 경제기능을 가진 중소도시가 많이 발생하였으며, 명 중기에 재차 발전기에 돌입하여 장기적 성장단계에 돌입하였다. 시진의 성장은 도시수공업과 상업발달을 배경으로 주면 농촌에서 많은 인구들이 이주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중국사에서 인구이동은 매우 중요한 사회현상이었다. 대대적인 인구이동은 명 중기에서 명 말기, 명 말에서 청 초 두 시기에 있었다. 인구이동은 성 내부 지역간에는 물론 성과 성 사이에서도 나타났다. 인구이동의 유형은 농촌지역에서 도시 및 수공업지역으로의 이동유형, 농촌지역에서 금산구로의 이동유형, 인구가 과밀한 선진경제지역에서 낙후한 농촌지역으로의 이동유형으로 크게 구분된다. 명 중기에서 말기에 걸쳐 계속된 인구이동은 ‘북에서 남으로’라는 이전시대의 대세와는 달리 매우 복잡하고 다양했다. 이 기간 동안에 인구가 가장 집중된 지역은 섬서 남부, 사천 동북부, 하남 남서부, 호북 서북부로 이루어지는 사성교계지역이었고, 그 다음이 강서 남부, 복건 북부, 광동 동북부, 호남 동남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사성교계지역이었다. 성단위로 보면 호광지역에 인구가 집중적으로 유입되었고, 그 다음이 사천, 북직예, 산동, 하남 지방이었다. 명 말 청초에 걸쳐 또 한 번의 대대적인 인구이동이 있었다. 사천지역은 명 말 장헌충의 난 때문에 인구가 격감되었다. 청 초기 사천의 인구비중은 전체의 1%에 불과 했지만, 1761년(건륭 26)에는 전체 인구의 10%로 격증했다. 이와 같은 인구이동으로 인해 명대 양자강 중류 일대의 토지가 급속히 개발되었으며, 토지개발의 결과 중국의 경제중심지가 분화되었다. 특히 송대에서 명 초까지는 양자강 하류의 강소성, 절강성 지역이 경제 문화의 중심지였다. 그런데 명 중기에서 강남지역은 일반적으로 강소성의 소주, 송강, 상주, 태창의 4부주와 절강성의 가흥, 호주, 항주의 3부 등 7개의 부주를 일컫는다. 이 지역은 동으로는 황해, 서로는 산구사이에 위치하는데 모두가 태호 주변지역이어서 대소의 하류가 관류하고, 항주로부터 북경에 이르는 경항 대운하의 연변에 위치한 풍요로운 평원이며 수향택국이었다. 도시화는 이 지역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강남지역은 명초에 홍무제가 뽕나무, 마, 목면의 재배를 권장하고 조세의 일부를 그 생산물로 납부하게 하면서 경제구조가 변모하였다. 이 지역에는 면화를 원료로 하는 면직업과 견직업이 발달하였다. 특히 면직업에 견직업의 방직기술이 결합되면서 고급면포 생산이 이루어졌다. 미곡을 재배하던 농경지가 뽕나무나 목면의 재배지로 변모하였고, 견직업, 면직업 분야에서 일자리를 구하는 사람들이 대거 몰려들어 인구가 급증하였다.강남지역에는 소주, 남경, 항주 같은 대도시만이 아니라 시진이라는 다수의 중소도시들이 밀집하였다. 명, 청시대 발달한 도시 중 시는 대개 100~300호 정도로 보편적이었고, 500~1,000호는 그리 많지 않았으며, 1,000~2,000호는 극소수였다. 진은 대개 1천호 이상의 중급도시를 지칭했는데, 인구는 2천호에서 3천호정도였다. 명청시대 강남지방의 도시화는 이미 존재하던 대도시는 안정되어 성장세가 둔화된 반면, 시진은 수적인 증가와 함께 시진내외의 호구수도 증가함으로써 도시규모의 확대와 번영이라는 양면적 발전이 이루어졌다.소주부 오강현 성택진의 경우 명초에는 50~60가구에 불과한 촌락이었으나 15세기 중엽부터 상인과 수공업자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16세기 중엽에는 100여 호로 증가했고, 17세기 전반에는 1천호, 강희연간(1662~1772)에는 1만여호로 증가한 결과, 1740년(건륭 5)에는 진으로 승격하였다. 소주부 진택진의 경우 14세기 중엽에는 수십호의 촌락이었으나 15세기 중엽에는 300~400호, 16세기 중엽에는 2천호~3천호로 증가했다.명말 청초를 기준으로 하여 1만호 이상의 초대형 진은 소주부에 성택진 등 6개, 송강부 2개, 호주부 2개, 가흥부 3개, 항주부 1개, 가흥과 호주부 사이에 있었던 호청진 등 모두 15개였다. 거민이 수천호에서 만호에 이르는 중형 진도 10개였다. 이처럼 명청시기 강남지역의 시진은 매우 빠르게 늘었다. 소주부의 시진은 1550년 이전에 102개였다가 18세기 중엽에는 157개로, 19세기에는 264개로 늘었다. 송강부는 1550년 이전에 59개였다가 18세기 중엽에는 167개로, 19세기에는 369개로 급속하게 늘었다.이처럼 늘어난 강남의 시진들은 업종별로 전문화된 자신의 산업을 가지고 있었다. 예컨대 비단생산의 중심은 남심진, 성택진, 면포생산의 중심은 남상진, 나점진, 미곡유통의 중심지는 풍교진과 평망진 등이 대표적 시진이었다. 시진은 교통이 중요하므로, 강남지역의 경우에는 수로의 연변이나 교차지점에 형성되었다. 그러므로 특정 행정단위 내에서만 형성된 것이 아니라 현과 현의 경계에 위치하기도 하고 2개의 성에 걸쳐있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풍경진의 북측은 강소성, 남측은 절강성에 속했다. 이들 시진은 성벽에 둘러싸여 있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내용을 가지고 탐구주제를 정한다면 경영, 무역, 사회, 국제에 관심있는 학생들에게 좋을 것 같습니다!2024.05.30
-
주제탐구보고서[주제탐구활동] 조카마치가 일본사회에 끼친 영향 -동아시아사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포트폴리오에 올리지 못했던 학교 수행평가나 보고서들을 스토리노트에 올리고자 합니다! 고등학교 2학년 동아시아사 과목에서 발표한 내용인데요. 많은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제가 쓴 내용과 똑같이 하는 것은 절대 학생부 평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습니다.그러니 주제를 어떻게 잡았는지, 발표는 어떤 흐름으로 하면 좋은지 등을 참고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분야: 무역, 사회, 경영, 국제 조카마치가 일본 사회 변화에 끼친 영향 (주제선정이유)전에 일본여행을 가고 싶어 일본에 대해 찾아봤었는데 ‘조카마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발음이 독특해 눈길이 갔었습니다. 조카마치가 도시라는 것만 알았었는데 더 알아보고 싶어서 이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조카마치란 '성 밑에 건설한 도시'라는 뜻으로, 일본 센고쿠 시대 이후에 등장한 영주의 거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습니다. 군사적 방어를 위해 조성되었으나, 제조, 무역, 상업 도시로 발전했습니다. 과연 이 조카마치가 일본 사회 변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요? 먼저, 상업이나 무역을 발전시켜 일본의 경제적 성장을 도왔습니다. 특히 ‘산킨코타이 제도’가 상업을 발달시켰습니다. 산킨코타이 제도란 에도 막부가 지방의 다이묘를 통제하기 위해 다이묘를 정기적으로 에도에 머무르게 한 제도입니다. 여기서 ‘다이묘’란 일본 헤이안 시대에 등장하여 19세기 말까지 각 지방의 영토를 다스리고 권력을 행사했던 사람들입니다. 다이묘 행렬로 인해 도로와 역참이 정비되고, 소비가 활성화되었습니다. 둘째, 대도시인 오사카, 교토, 에도가 발전했습니다. 에도는 당시 인구가 약 100만 명으로 세계 최대도시였습니다. 각종 주요 상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시장이 발달하였습니다. 오사카에는 세금으로 거두어들인 쌀과 특산품을 저장하는 창고가 100채나 있었습니다. 전국의 주요 상품이 오사카에 모이면, 에도를 비롯한 각지로 보내졌습니다. 교토는 견직물, 미술공예 등 전통산업이 발달하였고, 사원과 신사에 참배하기 위해 전국에서 모여든 사람들은 교토에서 생산된 제품들을 사서 돌아갔습니다. 셋째, 상업과 금융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신흥 상인이 출현했습니다. 신흥 상인들은 여러 산업에 종사하여 막대한 부를 축적했습니다. 이 시기에 출현한 대표적 신흥 상인 가문으로는 미쓰이(三井), 고노이케(鴻池), 스미토모(住友) 등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미쓰이와 스미토모는 일본을 대표하는 기업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도쿄, 오사카, 교토가 옛날에도 중심도시였다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다이묘 행렬로 일본의 복잡한 국내 유통구조가 형성되었습니다. 그리고 요즘도 주식시장에서 쓰이는 일봉 차트가 이때 등장했습니다. 조사를 하다보니 현재의 일봉차트와 이때 일봉차트는 무엇이 달랐는지, 일본의 유통구조와 상업 금융 자본이 무엇인지, 일본의 주식시장은 어떤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리고 신흥 상인 가문인 미쓰이, 스미토모가 어떻게 일본을 대표하는 기업이 되었는지, 과정, 전략, 배경 등에 대해 더 조사해보고 싶습니다. 관련 단원: 3단원 동아시아의 사회변동과 문화교류-사회변동과 서민문화-도시의 성장 이 내용을 가지고 후속 탐구를 진행하는 것도 매우 좋습니다.제가 올린 발표문에서 자신의 희망학과와 관련된 키워드를 가지고 새로운 탐구주제를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2024.05.30
-
학과 탐색[학과소개] 문과도 IT분야로 진출가능하다고??!? -정보사회학과안녕하세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멘토 은결입니다 :)지난 스토리노트에서는 건국대학교 융합인재학과를 소개했는데요.이번에는 정보사회학과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저는 6학종 5합격으로 도시사회학과, 사회학과, 정보사회학과, 융합인재학과에 모두 합격했습니다.학종을 준비하면서 희망하는 학과에 대해서도 찾아봤는데요.저의 학과 소개 스토리노트가 진로를 고민하거나 궁금증이 있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정보사회학과>1. 정보사회란? 정보사회학은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정이 사회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하여 정보사회라는 현시점의 사회현상에 접근하는 학문으로 말할 수 있다. 정보사회학에서는 정보기술의 발전을 정보사회 출현의 핵심적 동인으로 파악하며, 사회의 변화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한다. 예를 들어, 정보사회에서는 귀속지위보다 정보를 활용하는 개개인의 능력이 중요해기 때문에 정보에 대한 접근과 활용 역량이 매우 중요해진다. 반면, 정보기술의 발전 자체는 자본주의 논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전 사회에서의 불평등이 정보사회에서 더욱더 심화된다는 주장역시 존재한다.정보사회학은 스마트폰, SNS과 같은 일상적 미디어에서부터 정보산업, 세계화와 정보경제 등 실제 우리의 삶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부분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바람직한 사회상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2. 정보사회학의 분야 정보사회학은 정보사회라는 분석대상에 접근함에 있어 기존의 사회학적 시각을 반영하는 동시에, 스마트폰, 사물인터넷 등 새로운 기술의영향력을 중심으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한다. 정보사회학의 연구 분야는 크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같은 온라인 네트워크의 영향력,‘댓글놀이’와 같은 온라인 공간에서의 독특한 문화적 현상, 해킹, 언어폭력, 사기, 인터넷 중독과 같은 역기능의 진단과 대응 방안의 마련,정보경제(The informational economy)의 측면에서 전자상거래, IT 생태계, 신산업 및 직종, 거시적 측면에서의 정보기술과 국가발전,세계화 등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한다. 사회학적 의미에서는 거시적 현상과 미시적 현상을 아우르고 있으며, 방법론적 측면에서도 해석적측면의 민속방법론에서부터 통계적방법론을 고루 사용하고 있다.3. 졸업 후 진로: ICT정책 관련기관 및 기구, IT분야, 기업, 행정기관, 언론홍보분야, 대학원 진학 정보사회학과 졸업생들은 그들의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IT 기업, 정부 기관, 연구소, 교육 기관, 비영리 조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분석가, 소셜 미디어 매니저, 정보시스템 컨설턴트, 디지털 마케팅 전문가, 정책 분석가 등 다양한 직업에 종사할 수 있습니다.정보사회학과는 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이 학과는 정보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현대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학문 분야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정보사회학과는 문과지만 IT분야로도 졸업후 진출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요즘은 문이과 통합인재를 좋아해서 문과라도 IT지식이 있으면 좋은데요. 사회학에 관심도 있으면서 IT분야에도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더 자세하게 조사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2024.05.30
-
학과 탐색[학과소개] 법조계, 정부, 공기업 희망하면 주목!!-융합인재학과안녕하세요!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멘토 은결입니다 :)저는 사회계열의 6개 학교를 지원했는데요,도시사회학과, 사회학과, 융합인재학과, 정보사회학과 입니다. 모두 학종으로 합격한만큼 학과에 대한 공부도 했었습니다.아마 많은 사람들이 도시사회학과, 융합인재학과, 정보사회학과에 대해 잘 모를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항상 제가 도시사회학과라고 하면 문과인지, 이과인지, 무엇을 배우는 학과인지 물어보거든요ㅎㅎ그래서 이번 스토리노트는 융합인재학과에 대해 소개해보고자 합니다!(도시사회학과와 사회학과에 대해 설명한 내용은 지난 스토리노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융합인재학과>융합인재라는 이름이 붙는 학과들은 꽤 있을 겁니다. 하지만 법 중심의 학과는 건국대 융합인재학과일텐데요.. 저는 건국대 융합인재학과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1. 학과 소개사회과학대학 융합인재학과는 고위관료, 전문 외교관, 법조계, 공기업 등으로 진출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창의적・실용적 리더 양성을 목표로 한다.융합인재학과는 학과가 지향하는 주요 사회진출 분야별(정부, 법조계, 공기업 등) 핵심역량 확보를 위한 고급 융복합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즉 미래 사회에서 고위관료, 법조인, 공기업 임직원 등으로서 성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융·복합적 지식과 역량 배양을 목적으로 학과 자체적으로 창의적・인문학적 기본교육을 실시하는 동시에, 고품질의 진로맞춤형 실용교육이 가능하도록 교과과정을 설계하여 운영한다. 예를 들면, 고위관료 진출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해 1차 시험인 공직적격성평가(PSAT)와 2차 시험인 행정학, 행정법, 경제학, 정치학 등 관련 전공 과목을 운영하고, 법조계 진출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해 1차 시험인 법학적성시험(LEET)과 함께 헌법, 민법, 행정법 등 관련 전공 과목을 개설해 운영한다. 이러한 진로맞춤형 교과과정 운영과는 별개로, 지도교수 진로상담, 진로별 전문가 특강 및 멘토링, 진로 분야별 학습동아리 운영 등을 통해 학생들의 성공적인 진로 진출을 실질적으로 지원한다. 2. 졸업 후 진로5급 공채시험(과거 행정고시에 해당), 전문 외교관, 외교아카데미, 법학전문대학원 진학, 공기업 진출, 다양한 국제기구에 진출 3. 교육과정1,2학년-사회과학분야의 가장 대표적인 전공 기초과목과 더불어 창의적・논리적 사고 및 이해 능력,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공 교과목들3,4학년- 자신의 관심사와 진로에 맞추어 법학, 경제학, 행정학, 정치학, 사회학 관련 전공교과목을 선택해서 수강 교과목: 논리적 이해와 소통, 민법입문, 헌법1, 상황분석과 문제해결, 미국의 사회변동과 국가발전, 헌법2, 융합인재개발론, 국제사회와 법, 사회문제 해결의 논리, 융합관리 사례연습, 융합조사방법론, 사회문제해결사례연습, 행정법1,경제학 사례연습, 공기업 경영론, 행정법2, 융합문제해결캡스톤디자인 처음엔 '융합인재'라고 해서 이과와 문과 내용을 모두 배울 수 있는 학과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융합인재학과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법학과라고 생각합니다. 정치, 경제, 사회 등을 종합적으로 배울 수 있으며, 로스쿨을 희망하는 학생들도 많이 진학한다고 합니다. 학과 선택을 고민한다면 대학 학과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꼭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2024.05.30
-
학과 탐색[학과소개] 사회학과가 뭐야? 사회운동하는거야?? -사회학과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저는 현재 도시사회학과에 다니고 있지만, 사회학과를 지원하여 합격했었습니다.도시사회학과는 사회학과와 비슷한 것도 많습니다. 사회학과 소개 사회학은 사회에 속해 있는 우리의 삶과 행동에 대한 학문입니다.‘사회학적 상상력’ 이란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다양한 문제들이 실제로는 사회구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하는 것을 뜻합니다. 사회학과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사회 현상에 대해 분석ㆍ연구합니다. 길거리에서 우연히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을분석하는 데에서부터 세계적 차원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과정을 연구하는데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합니다. 사회학의 다양한 분야-가족사회학, 경제사회학, 교육사회학, 노년사회학, 노동사회학, 농촌사회학, 문화사회학, 범죄사회학, 사회심리학, 역사사회학, 예술사회학, 정치사회학, 젠더사회학, 조직사회학, 종교사회학, 지식사회학, 환경사회학 등졸업 후 진로: 사회학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사회갈등 해결 분야경제적 사회적으로 여러분애에서 사회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기업과 노동자 간의 관계나, 경제적 사회적 상위 계층과 하위계층 간의 갈등, 기성세대와 청년 세대 간의 갈등, 이념 갈등 등 다양한 형태의 갈등을 분석, 관리, 해결할 수 있습니다-정부정책 관련 분야정책은 여러 측면에서 사회에 영향을 미칩니다. 행사, 경제, 의료, 복지, 이민 정책 등 정책을 만들 때에는 단순히 법이나 경제에 능통한 사람뿐만 아니라 그 정책이 적용되는 지점인 사회에 대해 깊고 넓은 시야를 가진 사회학자가 필요합니다. 정책연구원도 이와 관련된 직업입니다.-트렌드 분석 관련 분야빠르게 변하는 사회에도 유행은 금방 왔다가 사라집니다. 앞으로 다가올 트렌드에 대해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 역시 현실문제에 민감한 사회학 전공자들이 진출할 수 있는 분야입니다.-언론 관련 분야사회학은 사회 현상에 대한 폭녋은 이해를 하기 때문에 신문, 방송, 등 언론 분야에서 기자, PD, 앵커 등으로 활약할 수 있습니다.-법 관련 분야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법률대학원을 진학하려는 학부 과정에서 사회학을 전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법학대학원을 진학하여 변호사, 검사 등 법률계 종사자가 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관련 분야사회학에는 '사회통계'와 '사회조사방법' 과목이 있는데, 이것이 중요시 되는 분야입니다. 컴퓨터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자료를 정리하여 쓸모있게 구성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해진 지금, 데이터 분석 관련 분야에서 사회통계를 전공한 사람들의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사회학과를 오고 싶은 학생들을 위한 세특 주제 팁!!#사회학과에 오고자 한다면 사회학자들의 이론을 가지고 사회현상에 적용을 하는 활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표적인 사회이론은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이 있는데요. 이론들이 사회에 어떻게 적용되고, 자신은 어떤 입장인지 생각을 서술한다면 좋은 세특을 만들어나갈 수 있습니다.그리고 사회문제를 인식하고, 원인을 탐구하고, 직접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이 보여지는 활동도 좋습니다!사회문제는 학교 안과 밖에서 모두 일어나는데요. 해결할 수 있도록 참여하기에는 학교 안에서 일어나는 문제가 편할 수 있습니다. 학교 안에서 사소한 문제라도 발견한다면, 사회학적 상상력을 가지고 "왜??"라는 질문을 던져보시길 추천합니다."왜"는 사회학적 상상력의 기본입니다. 사회문제가 왜 발생했는지, 왜 아무도 해결하지 않는지, 내가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실천적인 탐구행동을 보여준다면 매우 좋습니다.사회학과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톡을 통해 질문주세용 :)2024.05.21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나는 미디어 조작자다 (라이언 홀리데이)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나는 미디어 조작자다' 책을 소개하고, 이를 어떻게 독서활동으로 활용하면 좋을지 알려드리겠습니다!제가 고등학생때 읽어봤던 책입니다. 책 제목- 나는 미디어 조작자다저자- 라이언 홀리데이출판사- 뜨인돌 (책 내용)이 책에서 홀리데이는 자신이 어떻게 뉴스의 주제를 조작하고, 헤드라인을 만들며, 대중의 관심을 조종해왔는지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미디어 산업 내부에서의 조작 및 이를 통한 여론 형성 과정을 폭로합니다. 그는 과거 마케팅 전략가로서 다양한 브랜드와 작가, 정치인들을 대상으로 홍보 활동을 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미디어가 어떻게 정보를 왜곡하고 대중을 조종하는지 목격했었습니다.. 특히 인터넷 미디어가 어떻게 클릭 수와 조회 수를 늘리기 위해 충격적이고 자극적인 내용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어떻게 진실이 왜곡되고 사라지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그는 미디어를 조작하는 기술과 전략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이러한 실제 사례들을 통해 독자들에게 미디어의 메시지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진실을 추구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책은 미디어의 역할과 영향력, 그리고 정보 소비의 윤리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현대 사회에서 정보와 진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만듭니다. 라이언 홀리데이는 우리가 매일 접하는 뉴스와 정보의 세계 뒤에 숨겨진 진실을 드러내며,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책 활용 방법) 1) 뉴스보도에서 기자의 역할은 어디까지인지 생각해본다 자극적인 정보들의 홍수 속에서 사실확인도 하지 않고, 기사화하는 기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뉴스 보도에서 기자의 역할이 어디까지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아래는 전통적으로 언론인으로서 기자에게 요구되는 자질을 써놓은 것입니다. 1. 현장 리포팅, 인터뷰, 문서 조사, 온라인 설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수집2. 수집한 정보검증, 사실확인, 뉴스 신뢰성 유지3. 대중의 관심과 사회적 중요성을 고려해 뉴스의 소재 선택4.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객관적, 명료한 언어 사용해 기사나 리포트 작성5. 중립성과 공정성 유지해 뉴스 작성6. 개인정보 보호, 민감한 주제 다루기 등에 관한 윤리적 지침 준수7. 대중에게 올바른 뉴스 제공, 사회적 논의 촉진 이것을 바탕으로 현재 기자의 역할이 잘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거나, 학교활동을 할 때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황색 언론의 위험성을 구체적으로 생각해보기 황색언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사실을 왜곡하거나 선정적인 방식으로 보도하여 독자들에게 혼란을 윱ㄹ하고 사회분열을 축진하는 언론황색 언론의 사례는 무엇이고, 왜 위험한지, 황색언론이 사회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조사하면 좋습니다.논문 등 전문적인 자료를 참고하여 학교 안에서 일어나는 문제와 황색언론의 연관성을 가지고 발표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황색언론은 실제 사회문제에 적용하고, 해결방안은 무엇이고, 직접 행동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사회문화, 정치와 법 등 과목에서 배운 개념을 적용하여 탐구활동을 할 수도 있습니다. (세특 예시)~사회문제에 의문을 품음 -> 사회에서 미디어가 지향해야 할 가치와 역할 고민함 (+어떤 역할인지, 어떻게 고민했는지 자세하게 적기)-> 최근 언론이나 학교의 모습과 올바른 가치와 비교하기->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 생각 적기 (+논문, 전문자 말 인용하기, 학교에서 배운 개념 활용하기) 제가 위에 적은 책 활용방법은 '내가 만약 고등학생때로 돌아간다면~'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이때 했으면 좋을 것 같은 활동들을 적은 것입니다. 세특예시도 이렇게 쓸 수도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하는 것을 적은 것이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2024.05.18
-
학과 탐색[학과소개] 전국에 1개밖에 없는 학과가 있다고??? -도시사회학과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제가 현재 재학 중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에 대해서 소개해드릴려고 하는데요.도시사회학과는 전국에 1개 존재하는 학과라 매우 생소할 것 같습니다.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소속이며 일반적인 사회학과와 커리큘럼이 약80%정도 유사합니다.하지만 공간, 도시, 방법론 등을 배우는 것에 더 특화되어 있고, 도시 안에서 일어나는 사회현상에 좀 더 관심을 가집니다. 학과 홈페이지에는 아래와 같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도시사회학과의 핵심교육목표는‘실천적 도시사회 전문가 양성’이다.실천적 도시사회 전문가란 도시의 다양한 현상들을 사회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제반 문제에 대해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다.교과과정은 기초능력 영역을 공동의 기반으로 하여 학년이 올라가면서 문화산업 전문가 영역, 지역사회 전문가 영역, 조사분석 전문가 영역으로 심화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시의 동태적 변화과정과 주민들의 다양한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특성화된 전문지식을 습득함으로써 도시사회학에 대한 사회의 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을 육성한다. 저는 사회문제에 관심이 있어서 사회학과를 희망했었습니다.그런데 도시사회학과에선 사회문제를 이해하면서 '현실적인 대안' 제시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서 더 관심이 갔습니다. 전공 과목으로는 사회학개론, 서울연구, 도시사회학입문, 사회통계, 가족사회학, 노동사회학, 양적방법론, 도시정치학, 도시사회지리학, 도시문화기획실습연구 등이 있습니다. 사회학개론- 사회의 여러분야를 '사회학적 상상력'을 통해 바라보는 수업으로 사회학이 무엇인지 기초를 배도시사회학입문- 도시사회학의 시초인 사회학자들과 도시사회학이 무엇인지 배우는 수업사회통계- 사회현상을 계량화하고 이를 통계적 방법으로 이해함. 이론 수업에서는 통계의 기본을, 실습 수업에서는 Stata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명령어 사용법을 익히게 됨도시정치학- 지방선거와 총선이 있을 때 개설되는 수업. 한학기동안 이론을 배우며 선거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수업임. 지정된 지역구의 투표율과 투표결과를 맞추는 관제를 하며, 이를 위해 직접 여론 조사를 함. 졸업 후 진로는 정말 다양합니다. 문화산업 전문가 : 사회정책, 문화 정책, 문화산업 기획, 이벤트 기획, 영상제작 분야 등지역사회 전문가 : 해외지역전문가, 도시전문가 등 도시정책 수립 부문과 지역사회연구 부문조사분석 전문가 : 사회조사 전문가, 언론계, 여론조사 연구소, 광고기획, 시장조사 및 마케팅 분야, 공무원, 학계 및 전 분야 이 외에도 정말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는 선배님들이 많습니다. 국가 공인 자격증인 '사회조사 분석사'를 준비할 수도 있는데, 행정 및 언로 분야의 각종 시험과 진출을 준비하는 데도 큰 장점이 있습니다. 도시사회학과는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소속이라서 특별히 누릴 수 있는 혜택들이 많습니다!! 1) 도시영화제도시영화제는 도시사회학과만의 특별한 프로그램입니다. 단순히 완성된 작품을 공모 받는 것을 넘어 영상제작과정에 직접 도움을 주고, 그 영화를 통해 관객들과 도시의 다양한 시선을 나누는 영화제입니다. 도시사회학과 학생들로 이루어진 기획단은 영화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행사기획, 조직관리, 대회협력 등 실무를 경험하며, '문화행사기획자' 혹은 '문화정책 전문가'로서 소양을 갖춥니다.또한 '경쟁부문'의 영상제작팀으로 도시영화제에 참가하게 되는 학생들은 영상제작에 관한 사전지식이 없더라도 영상제작 교육을 받아 영화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사회를 영상이라는 매채를 통해 바라보는 것이 정말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2) 도시미인 프로젝트 '서울의 도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프로젝트'의 줄임말입니다. 서울시립대는 2019년 부터 서울특별시와 함께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 소속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울시의 자매, 우호도시에 학생들을 파견하고, 해외 대도시에 대한 체험과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1년에 두 차례에 걸쳐 선발된 학생들은 여름방학과 겨울방학 중 한 달동안 해외 대도시에 머물러 해당 도시 구석구석을 탐험하며 자신들의 도시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합니다. 현재까지 탐방한 도시는 런던, 바르샤바, 몬트리올, 아테네, 울란바토르, 샌프란시스코, 베를린, 로스앤젤레스 등이 있습니다. 학생들이 해외 도시에 직접 가서 도시 연구를 할 수 있는데요.1인당 500만원이 지원되기 때문에 학생은 무료로 해외 도시 연구를 할 수 있습니다!!무료로 해외를 나갈 수 있다는 점이 정말 큰 장점인 것 같습니다. 사회학과에 관심있는 학생들은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에 대해 알아보고 지원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도시사회학과 학생들이 얻는 혜택들이 많으니, 도시사회학과에도 많은 관심 가져주시면 좋겠습니다 :)2024.05.18
-
학생부 관리[세부능력 특기사항] 3학년 여행지리 탐구활동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3학년 여행지리 과목과 도시사회학을 어떻게 연결지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과목: 여행지리 주제: 미국 메인스트리트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이대상권에 적용해보기 주제 선정 이유: 뉴스 기사에서 코로나 이후 이대 상권이 몰락했다고 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 코로나 이후 신촌 상권은 회복되고 있는 반면, 왜 이대 상권은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가?라는 궁금증이 생겼고, 직접 이대탐방을 가서 탐구를 했다. 요약뉴스를 본후, 코로나 이후 신촌 상권은 회복되고 있는 반면, 왜 이대 상권은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지 궁금증이 생김. 원인 알아보고 싶어 직접 이대상권을 탐방함. 이대상인, 이대학생과 인터뷰 후 상권 몰락 원인을 알아보고, 젠트리피케이션과 장기 상권 몰락 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함.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지방도시의 역사적 중심가로 재활성화 방법(강동진)’을 참고하여 미국 메인스트리트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이대상권에도 적용해봄. 커뮤니티, 공간, 경제 재활성화를 목표로 잡고 6가지 개선방안(전임 운영자 확보,강력한 민관파트너십 구축,지역 공간 확보,지자체의 큰 관심과 지원을 받기, 창의적인 홍보,지역특화형 이벤트와 행사 개최)을 내놓음. 주제발표 활동에서 베를린의 다문화 카니발 축제를 대상으로 베를린의 지리적 위치 및 축제의 다문화 콘텐츠에 대해 탐구한 PPT 발표를 진행함. 단순한 오락위주의 축제가 아니라 과거의 이민 소수자들이 얽힌 사건을 기리는 역사, 사회, 정치적 메시지가 담긴 행사임을 알린 점이 인상적임. 특히 샐러드볼 이론처럼 각 문화의 개성을 존중하는 사회적 태도가 중요함을 강조함. 세계도시 여행 학습 후 다국적 기업에 관심이 생겨 다국적 기업의 기념 및 등장배경에 대해 개인탐구발표를 진행함. 애덤스미스의 핀공장을 예시로 노동의 공간적분업을 설명하면서 제품수명주기이론 및 최소비용이론을 조사한 점을 언급함. 베버의 공업입지론에 따르면 다국적 기업은 운송비를 고려해 최적입지를 선정하며, 해외 사례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지역적 공업 특성 및 국제 분업에 대해서도 면밀히 조사함. 뉴스를 통해 이대 상권의 몰락 추세를 접하고 회복 중에 있는 신촌 상권과의 비교분석을 진행함. 이대 상권의 상인들 및 재학생들을 직접 인터뷰하여 이대 내 복합 공간 완공 등을 이유로 상권 몰락이 과속화되고 있음을 파악함. 이후 미국 지방도시 재활성화를 위한 메인스트리트 성공사례를 이대상권에도 적용해 지역 특화형 이벤트 구상, 강력한 민간 파트너십 구축 등 현실성 있는 해결책을 구상함. 뉴스 기사에서 코로나 이후 이대 상권이 몰락했다고 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 이대 상권은 원리 중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고 빠르게 변화하는 의류 트랜드를 쫓던 곳이었다. 코로나의 영향이 커서 다시 상권이 살아나기 힘들 수도 있겠지만, 왜 홍대나 신촌은 코로나 이전처럼 상권이 활성화되고 있는 걸까? 원인을 탐구해보기 위해서 직접 이화여자대학교를 방문해보았다. <이대 학생분들과 상인분과의 인터뷰>이대 상권이 왜 몰락한 건지 물어보기 위해 먼저 상인분과 인터뷰 했다.인권비와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임대료도 감당하기 힘든 임차인들의 부담이 크고, 중국인 관광객의 급격한 감소로 이대 상권이 다시 살아나지 못하는 것 같다고 하셨다. 이대 학생은 재학시절 자주 방문했던 가게가 사라지자 옛 추억이 사라진 것처럼 아쉽다고 했다. 그리고 교내 ECC 복합단지 완공된 것도 이대 상권 몰락의 원인 중 하나일 것 같다고 말해주셨다. <인터뷰& 기사&논문을 통해 이대 상권 몰락 원인 추측>1) 인권비와 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임대로도 감당하기 힘든 임차인들의 부담이 크다2) 중국인 관광객의 급격한 감소3) 옷, 신발 등 쇼핑 수요가 인터넷으로 옮겨감4) 코로나 확산5) 교내 ECC 복합단지 완공 <신촌 상권 상황>한국부동산원 중대형상가 공실률 자료에 따르면 신촌공실률은 지난해 4분기 9.1%에서 올해 1분기 6.9%로 낮아졌다. 이는 서울시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신촌 연세로 일대 대중교통전용지구를 한시적으로 지정 해제하면서 오히려 신촌 상권 상황이 나아졌기 때문이다. <나의 생각 + 해결방안 > 이대 상권을 찾는 소비자들은 이대 상권이 패션 위주로 치우쳐 있어 최근 핫플레이스로 뜨는 연남동, 성수동과 달리 즐길거리가 없다고 한다.학생들의 수요에만 의존하는 상권에서 탈피해 다양한 고객층을 확대할 수 있는 콘텐츠와 특색을 갖춰야 한다. 임대료 상승에 홍대 상권은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 상수, 합정, 연남동 같은 지역으로 상점들이 빠져나갔었다. 이대 상권도 홍대상권처럼 젠트리피케이션과 장기 상권 몰락 발생 가능성이 있다. #미국 메인스트리트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이대상권에도 적용해보기 -논문: 미국 지방도시의 역사적 중심가로 재활성화 방법 분석-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강동진) 참고 미국은 한국과 다른 사회 및 경제시스템을 가지고 있지만, 지방도시의 메인스트리트를 활용한 지역 활성화 프로그램은 1977년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었다.‘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은 ‘역사보존트러스트’에 의해 지방도시의 중심가로에 입지한 역사적인 상업건물들의 멸실을 막기 위해 시작된 지역보존운동의 한 유형이다. 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은 1980년에 ‘메인스트리트센터’가 설립되면서 본격화되었고 현재 2050개소의 지방도시에서 도입하고 있을 정도로 선호되는 지역 활성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이대 상권에 적용시켜 코로나 이전의 모습으로 되돌려보는 것을 생각해보았다. 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은 4가지 관점과 8가지 원칙 속에서 진행된다. 4가지 관점: 실천력과 재정적 기반을 갖춘 튼튼한 ‘조직’을 구축, 역사성을 보유한 안전하고 깨끗한 분위기의 지역으로 ‘디자인’함, 역사, 사회, 문화, 경제의 핵심체로 메인스트리트를 ‘홍보’함, ‘경제 재건’함 8가지 원칙: 종합성, 높은 질, 파트너십, 발전적인 변화, 자산의 가치 재정립, 자조적 노력, 점진적 발전, 실천성 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은 환경 개선이나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둔 단편적인 지역 정책이라기 보다는 사회, 정치, 공간, 경제를 포괄하는 지역 재생운동의 한 유형이다. #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을 이대 상권 살리기에 적용했을 때의 개선방안 목표 3가지커뮤니티 재활성화공간 재활성화경제 재활성화 1) 전임 운영자 확보하기 (커뮤니티 재활성화)전임 운영자는 우리나라 시민단체의 사무국장에 해장하는 풀타임 유로근무자를 말한다. 모든 도시에서 자원봉사자의 성격을 탈피한 전문가들을 채용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는 경제 회복을 직접 체감할 수 없는 초기 3년에 달려 있는데, 실패 도시들은 모두 초기 3년에 동안 전문성을 갖춘 전임 운영자를 찾지 못한 경우라고 한다. 자산관리, 중장기 사업 추진, 상인과 자산소유자 등의 이해관계 조정과 갈등 기능을 수행하는 전임 운영자가 있어야 한다. 2) 강력한 민관파트너십 구축하기 (커뮤니티 재활성화)메인스트리트 프로그램은 지역민과 공공지자체의 결속을 기본으로 하며, 지역 자산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다. 3) 지역 공간 확보하기 (공간 재활성화)이대 상권이라는 공간들을 활용해 교통체계 변경, 환경정화 등을 한다. 4) 지자체의 큰 관심과 지원을 받기 (경제 재활성화)지역민의 힘만으로는 사업추진이 불가능하다. 지자체의 지원은 중장기적이어야 하며 사업단위보다는 지속적인 운영과 관리를 위한 지원이 더욱 필요하다. 5) 창의적인 홍보와 운영을 하기 (경제 재활성화)메인스트리트의 긍정적인 변화 내용을 서로 공유하면서 이를 공동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홍보매체의 개발이 필수적이고, 지역민의 방문수요와 관광객 확보를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개발이 뒤따라야 한다. 홍보 소책자, 지역화폐, SNS 홍보 등이 있다. 6) 지역특화형 이벤트와 행사 개최 (경제 재활성화)축제나 행사를 개최해 외부인을 끌어들이는 것이다. 그리고 이대 출신 유명인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2024.04.30
-
주제탐구보고서[자율활동] 학교 문제 해결: 매점상품가격이 비싸 학생들 부담 높음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저는 학교 안에서 학생이 할 수 있는 활동을 최대한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했는데요.그중에서 2~3학년 동안 진행한 자율활동이 있습니다!바로 학교 문제 해결 프로젝트인데요. 학교에서 전공길드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길드를 직접 꾸리고,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활동이었습니다.이것은 경영학과에서 사회학과로 진로 변경을 할 수 있게 도와주었던 결정적인 활동 중 하나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진로변경을 고민하고 계신 학생, 사회학과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더 집중해서 읽어주시면 도움될 것 같습니다!그럼 어떤 활동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2학년 자율활동] - 학교 전공길드 프로그램에서 경영학과 길드로 참여함. (동기) -문제상황 인식문제상황: 실제 매점 상품이 편의점 상품 가격보다 비싸게 팔리고 있으며, 학생들은 가격이 높아진 것에 대한 이유를 알지 못한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권리를 일부 누리지 못하고 있음. (과정) 1. 매점의 상품 가격들을 조사한 후 gs, cu, 무인편의점 상품 가격과 비교함. 2. 매점 상품 가격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고등학교 재학생 128명 대상으로 진행함.3.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원그래프로 나타내어 수치화함.4. 같은 지역 타고등학교 재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함.5. 매점 주인분과 인터뷰6. 학교 교감선생님과 인터뷰7. 매점 단가 높아진 이유 분석8. 해결방안 고안 9. 고안한 해결방안을 바탕으로 제안서와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 (결과)1. 매점 단가가 높아진 이유인터뷰를 통해 서울시에서 학교 매점에 대해 제품을 조달하는 업체가 1개 뿐이라는 사실을 알게됨. 납품 업체가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임의로 가격을 올릴 수 있는 구조라는 점에 대해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듦. 이에 따라 매점 측은 최소한의 이윤 창출을 위해서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도출함. 하지만 타 학교 대상 설문을 통해 시중보다 상품을 싸게 판매하는 매점이 있다는 응답을 얻었음. 같은 업체로부터 상품을 조달받는 고등학교들은 어떤 과정으로 시중가보다 싸게 판매하는 것이 가능한지, 유통과정에서 차별점이 있는지 사후활동으로 해당학교에 직접 찾아가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 싶었음. 2. 해결방안 제안1) 매점의 인기상품 두 가지 이상을 세트메뉴로 만들어 할인하면 매점 측은 판매량을 늘릴 수 있어 이익이고, 학생 측은 세트상품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할 수 있으니 이익일 것이다. -> 매점 측으로 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음. 추후에 세트메뉴할인이 채택된다면 세트상품 종류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추가 설문을 진행하고 싶음. 홍보 포스터를 제작한다면 마케팅적 요소로도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임. 2) 타학교 매점과 연결하여 도매 과정에서 공동구매를 하는 방법-> 인상 요인 분석에서 납품 업체가 1개라는 사실을 알았고, 모든 기업이 최대 이익을 추구하는 것은 자명하므로 업체가 타 학교와의 공동구매를 허가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임. 학교 매점 상품가격 문제에 대한 해결 활동은 경영학과를 희망했던 2학년 때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생기부에 '경영학과 길드로 참여하여~'라는 문구가 적혀있어서 사회학과를 지원할 때 불이익을 얻는 것은 아닌가라는 두려움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활동을 통해서 사회문제 인식과 실천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줄 수 있어서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3학년 동아리활동과 자율활동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활동입니다. 분량이 넘쳐 2학년 세특에 제가 담고 싶은 내용을 모두 담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3학년 동아리활동과 자율활동에서 연계되는 활동을 하여 자세하게 적을 수 있었습니다. 제가 사후활동으로 어떤 것을 진행했고, 동아리활동과 자율활동 세특에 어떤 내용을 썼는지 다음 스토리노트에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톡을 통해서 물어봐주세용 :)2024.04.29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왜 세계의 가난은 사라지지 않는가/ 공정하다는 착각-정치,사회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저번 스토리노트 [독서활동]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지리의 힘에 이어 2번째 독서활동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왜 세계의 가난은 사라지지 않는가>저자: 장 지글러도서 분야: 정치사회 이 책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를 읽고 관심이 생겨 읽게 되었습니다. 교과 과목 개념과 연계된 점: 빈곤의 양상과 원인1) 도시와 농촌-도시의 높은 생활비와 과도한 경쟁, 농촌의 제한된 자원 접근성2)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선진국은 부유층에게 편중된 혜택, 개발도상국은 생계유지에 필요한 자원의 부족3) 자원과 환경의 영향- 자원 부족 지역은 생존 자체가 어려우며, 환경 문제로 더욱 악화될 수 있다4) 정치 및 정부 정책의 영향- 불안정한 정치 상황은 빈곤 문제를 악화시킨다5) 문화적 요인- 열악한 여성 인권이나 교육의 부재는 특정 지역의 빈곤을 악화시키고 있다 -> 1. 때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빈곤의 양상과 그 원인을 분석해 본다 2. 가장 대표적인 빈곤 지역을 뽑고, 그 원인을 분석해본다예) 지역: 인도 등 남아시아의 일부 국가-높은 인구 밀도: 인도는 전세계엣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짐. 부족한 자원을 차지하기 위해 발생하는 극심한 경쟁이 빈곤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임-사회적 불평등: 계급과 인종 간 불평등이 빈곤을 더 심각하게 만들고 있음-농촌 빈곤: 농촌 니역에서는 농업의 불안정성과 소득 부족으로 빈곤율이 더 높음 3. 빈곤 문제 개선 고민해본다-> 빈곤층의 경제적 상황 + 교육 + 계층 간 불평등 + 시민 민주주의와 정치 참여 관련지어 생각 4. 세특 활용 방법-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를 읽고 같은 작가인 장 지글러의 다른 책을 읽어봄 -부의 재분배 필요성을 역설함-빈곤의 근본적 원인으로 신자유주의를 꼽음.-빈곤문제 개선에 관해 교육의 역할을 논해봄. <공정하다는 착각>저자: 마이클 센델도서 분야: 정치사회 이 책은 1학년 교내 진로 독서 멘토링 프로그램을 하면서 읽게 된 책입니다. (자율활동)어떻게 1. 공정성의 관점에서 저소득층 지원 정책의 필요성과 윤리적 측면에서 정책에 대해 토의저소득층 지원정책의 의의: 사회적 격차 해소와 사회 안정성 확보, 평등 증진의 기여저소득층은 다양한 이유로 교육 같은 기본 자원에 접근하기 힘들고 이는 개인의 능력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문제로 이어진다. 만약 정부가 충분한 자원을 시행한다면 재능을 갖춘 시민 양성과 사회의 질적 성장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도 가져온다. 한편으로 이러한 정책은 지원 대상의 자주성과 책임감을 감퇴시킬 수 있다. 단순한 물질적 지원만이 아니라, 성장 기회 제공과 자립 기반 마련을 돕기에 개인의 삶을 개척할 때 도움이 된다. 2. '능력주의'에 집중대학 진학을 위한 과정에서 능력주의 비판, 책에서 나오는 하버드생들을 예시로 들 수 있음.능력주의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사례를 들어 의견을 펼치면 좋음. 3. 세특 활용 방법-사회 정의와 다양한 사회적 불평등을 알아보며 저소득층 지원 정책의 필요성을 윤리적 측면에서 평가함.-저소득층 지원 정책에 대해 ~라고 비판함.-정부와 사회의 대책에 대해 ~라고 평가함.-능력주의가 한국에서의 사회문제라고 꼬집음. (+구체적, 객관적 근거를 들어주면 좋아요) -> 저는 <공정하다는 착각>을 읽은 후 2학년 때 같은 저자인 마이클 센델의 <정의란 무엇인가>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을 읽었습니다.능력주의와 한국 교육의 관계, 저소득층 지원 정책과 소득불평등 지수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톡을 통해 물어봐주세용 :)2024.04.28
-
학생부 관리[독서활동]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 지리의 힘 -사회,정치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학생부 관리를 할 때 어떤 책을 읽을지, 어떻게 책을 활용해야 할지 고민이 정말 많은데요.제가 고등학교 시절 어떤 책을 읽었고, 어떻게 독서활동을 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저자: 장 지글러 도서분야: 정치사회학, 사회학관련 과목: 사회 책 내용 중 인상 깊은 점1) 일부 선진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여전히 기아 문제가 있다. 그 중 소말리아가 가장 심각한 나라라고 생각했다. 소말리아는 사막화로 인한 경작지 부족 문제와 더불어 오랜 내전으로 산업 구조와 기초 행정 시스템마저 붕괴했다. 게다가 소말리아 해적들로 인해 국제 긴급 구호팀의 활동도 곤란한 실정이다. 경제와 구조, 모든 측면에서 가장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다고 생각한다. 2) 현대사회를 '풍요 속 빈곤'이라고 표현한 점120억 명 이상이 충분히 먹고 살 수 있는 식량이 생산되고 있지만, 일부 국가 및 다국적 기업들은 식량 가격의 안정화를 위해 잉여 생산물을 폐기하거나 가격을 조작하고 있다. 이는 10억 명 이상이 기아에 허덕이고, 아이들이 영양실조로 사망하는 '풍요 속 빈곤'의 원인이다. 세특에 책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저는 어떤 형식으로 썼는지 간략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빈곤 포르노'는 기아 문제의 근본적 해결에 도움되지 않는다고 비판함. (왜 도움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는지 이유를 적으면 좋아요)-기아문제가 가장 심각한 국가로 소말리아를 꼽음. 다양한 측면의 근거로 의견 뒷받침함. (어떤 근거인지, 객관성과 전문성이 보장되는지 보여줄 수 있으면 좋아요)-현대 사회 속 기아문제의 원인을 분석하여 객관적인 자료와 함께 발표함. (+어떤 자료인지 밝히면 좋아요)-5초에 한명씩 기아로 아동이 사망하는 것은 식량을 투기의 대상으로 보는 다국적 기업의 탐욕과 식량 가격의 안정화라는 허울 좋은 명목아래 잉여 곡물까지 폐기하는 일부 선진국들의 이기적인 행태 때문이라고 지적함. -> 이 내용을 그대로 세특에 쓴 것이 아니라 이런 형식으로 썼기 때문에 참고만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지리의 힘 1, 2>저자: 팀 마샬도서분야: 정치사회, 사회학관련과목: 사회 (세계지리, 세계사, 정치와 법 등) 독서활동아프리카를 약탈하고 발전을 저해하는 주체와 내용을 과거와 현대로 나누어 분석한다지리의 힘1을 읽고 지리의 힘2도 읽어본다 세특에 어떻게 활용할까?-19세기~20세기 초반까지 전 세계는 제국주의 국가의 식민지 쟁탈전 시기로 유럽의 열강들과 미국, 일본 등의 세력이 그 외 지역을 분할 점령하여 약탈했다는 내용으로 발표-식민주의 잔재의 고통이 아직 남아있다는 것도 첨언-지리의 힘1에서 궁금증이 생긴 부분을 탐구하여 지리의 힘2까지 읽은 후 연결하여 분석 저는 지리의 힘을 읽고 인상적인 부분을 중점적으로 글을 작성하여 세특에 녹였습니다! 자신의 전공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책이더라도, 학교 교과 과목의 전문성을 드러내고 심화내용을 알아보고자 했다는 것이 생기부에서 보여지면 좋습니다. 모든 과목에서 자신의 전공과 억지로 연결하고자 하지 말고 교과 과목의 심화 개념을 드러낼 수 있는 활동을 해보는 것도 추천합니다~! 앞으로의 스토리노트에서 제가 어떤 책을 읽고 어떻게 활용했고, 추천할 만한 활동에 대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궁금한 점이 생기면 언제든 1대1 톡을 통해서 물어봐주세용 :)2024.04.28
-
학생부 관리독서로 차별화된 학생부를 만드는 방법안녕하세요~! 멘토 은결입니다 :) 제가 독서로 차별화된 학생부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입학사정관들은 학생부에 기재되어 있는 세특, 창의적체험활동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진로활동), 행동 특성 및 종합의견의 내용을 보고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 역량을 평가합니다. 비슷한 성적의 수많은 학생부 안에서 입학사정관의 눈을 사로잡기 위해선 학생부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수업활동이 드러나야 합니다! 단편적으로 수업을 듣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배운 지식을 활용하여 확장한 내용이 담겨있어야 합니다. 수행평가를 할 때 주도적으로 탐구심을 발휘하고 성장하려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같은 수업을 듣고 이러한 열정과 성취를 보여줄 수 있는 방법에는 ‘독서’가 있습니다! 독서 활동 상황이 기재되지 않는다고 해서 독서를 안 해도 된다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자신의 차별화된 학생부를 위해 전략적으로 독서를 활용해야 합니다. 독서활동은 학종의 모든 평가영역 안에서 기재가 가능합니다. 독서를 통해 수행평가, 프로젝트 활동, 관심사 탐구, 진로 탐색 노력 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독서를 통한 차별화된 생기부에 자신의 학업 태도, 지적 호기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탐구능력을 어떻게 녹일 수 있을까요? #단순 도서명 작성은 불가능하다. 책을 읽고 후속활동을 하자.-> 책을 읽고 호기심이 생기는 부분을 교과, 진로와 연결해 해석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학생부를 작성하기 위해선 [동기-과정-결과] 이 틀을 따르면 좋은데요. 독서는 동기-과정-결과 어느 단계에서 사용하든 상관없습니다. 중요한 건 어떻게 활용했는지, 어떤 내용인지 입니다! 대학 학과별 추천도서를 읽어보는 것도 좋고, 추천도서의 같은 저자가 쓴 다른 도서를 읽는 것도 좋습니다.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책으로 심화시켜 확장예) 세계사에서 배운 내용-19~20세기 과거 수탈주체는 유럽국가들이다. 식민지화, 인종분리와 차별 등의 방법으로 수탈했다. 수탈한 것은 자원과 노동력이고 이로 인해 현대까지 이어지는 아프리카의 분열이 그 피해이다. 현재 수탈 주체는 다국적기업, 국제금융기관과 정부이다. 산업구조 침투 및 독점으로 인해 자원수탈과 산업붕괴, 부채와 이재 상환으로 인한 경제 발전 저해가 발생했다. -> 지리의 힘을 읽음 -> 아프리카 원주민의 분포와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고, 유럽 열강의 이익에 따라 결정된 아프리카 국경선은 현재까지 분쟁의 씨앗이 되고 있으며, 독립 이후 수십년간 내전을 겪으면서 여전히 과거 식민 모국으로부터의 경제적, 정치적 간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 점이 인상적임-> 지리의 힘 2 읽음-> 지리적 측면과 더불어 역사와 정치적 측면을 다룸. 지정학적 긴장 상태의 지역과 세계정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탐구함-> 관련학과: 지리학과, 정치외교학과, 사학과, 사회학과 #책을 각종 수행평가, 교내 교육활동, 프로젝트 활동의 자료로 활용교내 토론활동에서 근거의 자료를 찾을 때 책 인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활동을 하면서 책을 활용한다면 자료의 전문성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 #꿀팁3년 동안 일반 교양 도서와 전공(계열)도서를 두루 읽되 학년이 오를수록 전공(계열)도서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또한 인문계열을 희망해도 과학 분야의 책을 읽고, 자연 계열을 희망해도 인문 서적을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시간도 없는데 언제 책을 읽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독서를 꾸준히 한다는 것은 학생부에 지적 호기심, 탐구심, 학업능력이 드러날 수 있지만 여러분의 능력도 함께 성장해 있을 겁니다. 독서를 ‘숙제’라고만 생각하지 말고 학생부와 자신의 내적 성장을 위한 ‘밑거름’이라고 여기길 바랍니다~! 제가 독서를 학생부에 어떻게 활용했는지는 앞으로의 스토리노트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 톡을 이용해서 물어봐주세용:)2024.04.27
-
학과 탐색3학년때 진로변경하고도 학종 5관왕 할 수 있었던 방법 (경영-> 사회)안녕하세요! 멘토은결입니다 :) 저는 1.2학년 때까지 경영학과를 희망하다가 3학년때 전략적으로 사회학과로 바꾸어 6학종 5합격이라는 결과를 냈습니다~! 제가 합격한 학과는 사회학과, 도시사회학과, 정보사회학과, 융합인재학과(법관련)입니다.왜 학과를 바꾸었고, 어떤 전략을 펼쳤고, 어떤 활동을 했는지 등 비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경영에서 사회학과로 학과 변경한 이유 1) 수학성적 <<< 사회성적1학년일 때 진로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서 그나마 관심있었던 경영, 광고홍보학과로 학생부를 채웠습니다. 경영.광고홍보학과를 희망했지만 1학년때는 하고싶은 활동들을 매우 다양하게 했습니다. (학교 모의국회 프로그램(법), 기자동아리, 금융경제캠프, 광고홍보전문가 꿈 발표 등) 2학년 때는 경영, 기업, 회계 등 경영학과에 심화된 활동을 좀더 많이 했는데요. 저에게 가장 큰 약점은 내신 수학 등급이 가장 낮은 점이였습니다. 반면에 사회등급은 다른과목에 비해 가장 성적이 좋았습니다. 경영학과는 수학등급을 중요하게 보는데, 수학등급이 낮은 제가 학종으로 경영학과를 쓴다면 떨어질 게 뻔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경영학과 내용을 학생부에 채워도 되는지 의문이 많았습니다. 2) 경영학에 대한 관심 <<< 다른 분야에 대한 궁금증 2학년때까지 억지로 경영관련 활동을 학생부에 채우려다 보니 3학년때 어떤 활동으로 채워야 할지 몰랐습니다. 저는 경영학이라는 한 분야에만 관심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현상, 사회문제 등 이 세상에 일어나는 현상에 궁금증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기자동아리를 하면서 학교 안팎의 문제들을 취재하고 해결하고자 노력하기도 했고, 정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공정과 정의나 인수공통감염병에 관련 책도 읽었습니다. 2학년 후반에 영어지문에서 하청기업 문제에 다루면서 한국의 이중노동시장 문제와 노동자 권리 침해 등을 본 후 노동사회학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경영보단 사회 전반적인 문제를 공부할 수 있는 분야를 희망하게 되었습니다. 나의 전략경영학과에서 사회학과로 자연스럽게 희망학과가 바뀌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노동사회학”을 중점적으로 두어 학생부를 채웠습니다.노동사회학: 노동과 그 조직을 특히 임노동의 관점에서 사회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의 일반적인 주제는 보다 넓은 사회적, 비교적인 맥락에서, 특히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정치적 관계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분석됩니다. 또한 노동이데올로기는 직업의 전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주요 관심사항이 됩니다. 노동사회학의 하위분야에는 노동과정론과 노동시장분석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회학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잘 다루지 않는 내용이라서 저만의 특색을 담기 위해 노동사회학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학과변경 성공에 기여한 결정적 활동들 1) 1학년때 다양한 분야의 활동을 함 (사회.법.광고홍보.마케팅.회계.인공지능.전염병)2) 지니계수와 관련된 통계 활동, 노동자 권리 보장법 다룸3) 3학년 선택과목 중 경제수학 선택 2학년때 3학년 선택과목 배우는 것중 미래사회와 세계문제 과목과 경제수학 과목 고르는 것이 있었습니다. 2학년 당시는 경영학과를 희망하기 위해 경제수학을 골랐지만, 3학년 때는 이게 경영학과와 사회학과 내용을 연결 지어주는 결정적인 과목이 되었습니다. 사회학과를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해, 학과변경을 고려하는 학생들을 위해 고등학교 과목: 경제, 정치와 법, 사회문화, 사회문제 탐구, 국제 정치, 국제 경제, 국제법, 한국 사회의 의해, 비교문화, 국제 관계와 국제기구, 사회 탐구 방법, 사회과제 연구, 실용 경제대학전공: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문화)인류학, 법학, 행정학 사회학과는 당연한 것을 당연하게 보지 않고, 사회학적 상상력이 있는 학생들을 좋아합니다. 사회학은 사회에 대해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으로 “통계”를 다루는 것도 중요합니다. 사회란 언어, 가치, 행동의 기본적인 규범과 문화적인 것들을 함께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사는 일정한 지역 내의 집단입니다. 팁을 드리자면 학교 안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발견하고, ‘왜?’라는 궁금증을 갖고, 과학적인 방법(양적.질적 방법론)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활동들을 한다면 사회학과 합격에 도움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회학에는 여러 분야가 있습니다. 예) 노인사회학, 종교사회학, 도시사회학, 정보사회학, 정치사회학, 노동사회학, 인구사회학, 심리사회학 등등 1->2->3학년으로 올라갈 수록 자신의 관심분야를 정해서 심화시키는 학생부를 채운다면 좋습니다. (예: 법,사회.정치 -> 사회.노동법 -> 노동사회학) 학과변경 꿀팁 -자신의 생기부를 꼼꼼하게 살펴보면서 학과변경을 해도 되는 생기부인지 고민하기-어떤 학과를 바꿔야 자연스러운 생기부가 나올 수 있을지 생각하기-가장 중요한 것은 "연결성"이다! 예를 들어 경영에서 사회학으로 학과 변경했다는 이유가 드러나지 않는다면 좋은 학생부가 나올 수 없다! -> 학과 변경 팁에 관한 이야기는 다른 스토리노트를 통해서 자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1대1톡을 통해서 질문주세용 :)2024.04.27
-
기타안녕하세요!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24학번 멘토 은결입니다 :)안녕하세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24학번 멘토 은결입니다 :)이렇게 글로 인사드리게 되어 반갑습니다. 저는 일반고등학교를 졸업했고,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총 6곳에 지원해 5곳에서 합격한 경험이 있습니다. 특히 모든 대학에서 면접을 치른 후 합격했기 때문에, 면접에 대한 자신감은 누구보다 높았고, 그만큼 준비도 철저히 했습니다. 면접은 단순히 암기나 스킬이 아니라, 나의 경험과 진심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현재는 서울시립대에 재학 중이면서 진학사 등 외부 교육기관에서 고등학생과 학부모님들을 대상으로 입시 및 진로 강연을 하기도 하고, 약 20여 개의 중·고등학교를 방문해 전공, 진로, 입시 관련 멘토링 활동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입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느꼈던 고민과 시행착오, 그리고 결과적으로 합격으로 이어진 저만의 전략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하고 있어요. 사실 저는 고등학교 1, 2학년 때까지는 경영학과를 목표로 했었습니다. 경제와 경영에 관심이 많았고, 자연스럽게 상경계열로 진로를 정했죠. 하지만 고등학교 2학년 후반에 들어서며 '나에게 정말 맞는 학문이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게 되었고, 그 결과 3학년 때 사회학이라는 분야로 진로를 바꾸게 되었어요. 처음엔 정말 많은 고민이 있었어요. '고3에 진로를 바꿔도 괜찮을까?', '이미 채운 학생부 내용이 상경계열 중심인데 괜찮을까?' 등등. 하지만 전략적으로 생기부의 흐름을 다시 구성하고, 세특·동아리·자율활동 등을 사회학과 관련된 주제와 연결하여 보완했습니다. 물론 단기간에 해내는 게 쉽진 않았지만, 결국 학종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 지금은 제가 진정으로 배우고 싶은 전공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경험들을 앞으로 '스토리노트'를 통해 자세히 공유해드릴 예정이에요! 앞으로 제가 다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세특, 동아리활동, 자율활동을 전략적으로 채우는 방법: 단순히 활동을 많이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연결성' 있게 채워야 학종에서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알려드릴게요. 예를 들어, 한 가지 주제를 정해서 그것이 세특, 동아리, 자율활동에서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방식이 중요하답니다.학과나 진로를 바꿔도 학종에서 이기는 방법: 진로 변경은 위험할 수 있지만, 올바른 방향성과 기록 전략이 있다면 오히려 나만의 스토리를 만드는 기회가 되기도 해요. 특히 사회과학 계열, 융합형 전공을 고민하는 친구들에게 실질적인 팁을 드릴 수 있을 거예요.사회학, 정보사회학, 도시사회학, 융합인재학(법·정치 관련) 등 관련 생기부 채우는 법: 이런 전공들은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관심 주제를 어떻게 사회현상과 연결하고 탐구 주제를 잡는지가 포인트입니다. 그 방법을 함께 나눌게요.면접 준비 방법: 제일 중요한 건 본인의 경험을 말할 수 있는 진짜 이야기를 만드는 거예요. 대학마다 유형이 다르고, 질문 방향도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는 전략과 연습 방법도 소개해드릴게요.탐구주제 정하는 방법: 탐구는 주제 자체보다 ‘왜 이 주제를 선택했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탐구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그 과정에서 독서, 동아리, 진로활동 등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도 함께 고민해보아요.생기부에 독서를 잘 활용하는 법: 단순히 책 제목만 나열하는 게 아니라, 어떻게 활동과 사고의 확장으로 이어졌는지를 써야 해요. 제 경험을 바탕으로 독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노하우를 정리해드릴게요. 이 외에도 입시와 관련해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이야기들을 앞으로 천천히 스토리노트에 하나씩 정리해서 올릴 예정입니다. 학종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정확한 방향을 알고 나만의 이야기를 만들어간다면 누구나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생각해요. 혹시 위에서 언급한 내용 외에도 개인적으로 궁금한 점이나 더 깊이 알고 싶은 주제가 있다면 언제든지 편하게 1:1 톡으로 연락주세요! 진심으로 고민하고 함께 방향을 찾아드릴게요. 우리 함께 입시라는 여정을 조금 더 덜 어렵게, 그리고 나답게 걸어가보면 좋겠습니다. 앞으로의 이야기, 많이 기대해주세요 :)감사합니다!2024.04.21
-
학생부 관리학종에 유리한 탐구주제 정하는 방법학교에서 수행평가, 보고서, 발표 등등 해야하는데 주제를 정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고요??잘 찾아오셨습니다!탐구주제를 선정하는 꿀팁 5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사회이슈사건으로 주제 선정해 연구하기신문기사 및 인터넷 뉴스를 조사하며 자신의 관심사와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여 연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사회경제에 관심을 갖고 조사하던 중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여러 외신 기사를 조사하고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제를 선정하여 연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연구과정에서 조금 더 심화된 주제로 연결되는 모습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도 좋습니다. 2. 학교 교과목 단원에서 배운 지식을 심화된 지식으로 조사하며 연구하기모든 교과마다 단원별 학습하는 지식의 방향성의 차이가 있습니다. 그 많은 학업 단원 중에 관심이 있거나 어려운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 추가 조사하는 과정에서 주제를 선정하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통합사회 시장과 금융 단원을 배운 후 '한국판 뉴딜정책'을 주제로 뉴스기사를 분석하고 의견을 도출하는 것이 있습니다. 다른 예를 들자면 생명 시간에 세균과 바이러스 이론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일상생활에서 세균 바이러스 실험을 진행하며 배움을 확장하는 것도 있습니다. 3. 고등학교 2,3학년의 경우 전학년에서 탐구한 주제를 더 발전하는 방향으로 주제 재선정하기우선 전학년 학생부를 자세하게 읽어보고 자신의 관심사 및 계획안을 마련한 수준에서 연구가 마무리 되었다면 다음 학년에서 관련된 주제를 다시 한 번 연구하며 조금 더 심화된 지식으로 발전시키면 좋습니다. 고등학교 1학년 한국사 시간에 '한국의 민주주의와 민주화 운동 탐구'에 대해 토의를 했다면, 고등학교 2학년 때 '민주주의 공고화'에 대해 탐구하고, 고등학교 3학년 때는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한국 민주주의'로 주제를 확장시켜 발표할 수 있습니다. 다른 예를 들자면, 고등학교 2학년 동아리 활동에서 신재생에너지 연구 주제로 태양열 소재 이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3학년 자율활동을 통해 태양열 에너지의 효율성 문제점과 우리나라에 맞는 태양에너지 산업 발전성에 대한 주제로 연구한다면 학년별 지식의 발전가능성으로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4. 논문 활용하기추천하는 논문 사이트는 DBpia, riss가 있습니다. 논문 사이트에 들어가서 관심있는 분야의 키워드를 검색하면 여러 논문들이 나올 것입니다. 이 논문들의 제목, 목차를 참고한다면 탐구주제의 방향성을 잡기 쉬워질 것입니다!DBpia, riss 등의 사이트에서 논문을 볼려면 돈을 내야 하는데요. 만약 현재 재학 중인 학교의 대표계정으로 인증한다면 무료로 논문들을 볼 수 있습니다!자신이 다니고 있는 학교의 논문사이트 계정을 알고 싶다면 학교 선생님께 따로 문의하면 됩니다. 제가 다니던 학교에서는 모든 학생들에게 DBpia 학교 대표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알려줘서 무료로 논문을 볼 수 있었습니다. 5. 원하는 대학 학과 홈페이지 들어가서 교육과정 참고하기모든 대학별로 교육과정, 인재상 등이 다릅니다. 그렇기에 자신이 가고 싶은 대학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학교마다 배우는 과목이 다를 수도 있는데 여기서 어떤 과목을 배우는지 본다면 중요 키워드를 뽑아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학과 교수님들의 전공과목을 본다면 자신의 관심분야를 좀 더 좁혀나갈 수 있어 다른 학생들과 차별화 된 심화주제를 정할 수 있습니다. 저도 고등학교 1학년때 어떤 탐구주제를 정해야 학종에서 유리할지, 나의 진로와 탐구주제를 어떻게 연결시켜야 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ㅠ위의 방법들은 제가 학교생활을 하면서 탐구주제를 정할 때 썼던 실제 방법들입니다! 예시들은 제가 실제로 정했던 탐구 주제들도 있고, 만들어낸 것도 있으니 참고 하셨으면 좋겠습니다.앞으로 '좋은 학생부 작성법', '중간에 진로를 바꿔도 학종에서 승리할 수 있는 방법' 등 수시전형에 관련된 스토리노트를 올릴테니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4.04.14
리로TALK
총 27건
-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2024.10.31
-
전공길드 활동에 대해서2024.10.28
-
세특 주제 질문 드립니다2024.10.17
-
면접 관련 질문입니다2024.10.16
포트폴리오
-
[상권분석] 허프의 확률모형으로 분석한 무인편의점의 성공 전략715
6
2025.01.12 -
종교 심화탐구는 어떻게 할까?? 자율주행차+칸트의 자율성과 책임의 관점585
9
2025.01.12 -
마케팅과 언어와 매체의 연결: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광고 분석610
31
2025.01.05 -
문학 후속탐구, 어디까지 해봤니? 소설까지 써본 활동 다 알려줄게!586
16
2025.01.05 -
기사 스크랩의 정석: 노동 시사와 법률, 이렇게 접근하세요!571
11
2024.12.24 -
정치, 사회, 경제학 희망 학생들을 위한 동아시아사&모의유엔 활동 모음735
14
2024.12.06 -
문과생의 생명과학 수행평가: 생태계 천이& ESG경영309
6
2024.11.21 -
교육불평등과 교육사회학이론293
8
2024.11.18 -
토론 1등의 자료 모음집: 교사 정당 가입 허용230
8
2024.11.18 -
모의국회 활동: 환경기술산업법 개정259
7
2024.11.15 -
인공지능과 철학의 융합: 인공지능은 사고할 수 있을까?299
9
2024.11.11 -
경영-> 사회, 자연스러운 진로 변경은 이렇게 드러내야 합니다702
5
2024.07.23 -
도시, 지리, 사회 관심있는 사람? 여행지리 탐구활동 모음927
6
2024.07.14 -
후속+연계 탐구활동?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1.0천
8
2024.07.14 -
학업/전공/잠재/공동체역량 모두 드러내는 사회탐구 보고서의 정석707
9
2024.07.08 -
문과생의 이과탐험기: 수학/인공지능 탐구활동 모음362
6
2024.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