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접 준비
수능 전 면접 최초합 스토리 낋여왔습니다 :)
안녕하세요 :) 리로스쿨 멘토 푸탱이입니다!오늘은 수능 전에 면접을 보는 학생들을 위해 수능 전 면접 준비 과정부터 꿀팁까지 모두 자세하게 이야기해 드리려고 합니다!수능 전에 면접을 치르는 후배님들이 계신다면 꼭 정독하시길 바랍니다 :> ----------------------------------------------------------------------------------------------------------------- (당시 멘토의 상황)본격적인 면접 스토리를 얘기하기 전에, 당시 저의 상황에 대해 간략하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그 이유는 이 글을 보시는 분들과 저의 상황이 동일하지는 않을 것이기에 내용을 읽으시고 여러분들의 상황에 맞춰서 적용하시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입니당 ㅎㅎ1) 3합 8(과탐 2개 필수)이라는 수능 최저가 1개 있었다.2) 면접 전형이 총 4개였는데, 수능 전 면접 1개 / 수능 직후(2~3일 뒤) 2개 / 수능 3주 뒤 1개였다. 즉, 수능 이후에 면접을 준비할 시간적인 여유가 거의 없었다….3) 면접 전형으로 쓴 4개의 학교의 1차 전형을 모두 붙어서 4개 학교의 면접 준비가 필요했다.(모두 가고 싶었던 학교&과였습니다!) 저의 상황을 한 줄로 요약해보자면.. “3합 8의 최저 준비를 하면서 동시에 3개 학교 면접(수능 3주뒤 제외)을 준비했어야 했다.”이겠죵..ㅎㅎ 그리고 최저 있는 학교의 경우 상향~우주 상향이었기에 면접에 비교적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 ----------------------------------------------------------------------------------------------------------------- 이제 면접 이야기를 해봅시다! 우선 저는 면접 치르기 한달 전부터 면접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제 성격상 벼락치기를 못하기 때문입니당..) 면접 준비 과정1) 생기부에 적힌 모든 내용에 대해 정독하고 [계기 / 내용 / 느낀점]의 틀에 맞춰 내용을 정리한다. *내가 한 역할이 있다면 “역할”에 대해서도 정리하기 *활동에 대한 탐구보고서나 발표자료 등을 찾아보면서 정리하기2) 생기부 원본과 위에서 정리한 생기부 정리본을 같이 보면서 예상 질문을 도출하고, 예상 답변도 적어본다. 예상 질문은 활동 내용, 나의 역할, 느낀점, 활동과 관련된 개념 및 원리 등을 중심으로 도출한다. *면접관분들이 생기부에 적힌 문장을 토대로 질문을 하시기 때문에 생기부 원본에 적힌 문장을 읽어보고 질문거리 작성해보기3) 면접 보는 학교와 학과의 교육목적(목표), 졸업 후 진로, 교과목, 전공제도 등 학교만이 가진 특장점에 대해 정리한다. *우리 학교에서 배우고 싶은 교과목이 있는지, 우리 학과의 커리큘럼을 알고 있는지 등에 대해서도 한두개씩은 자주 여쭤보시고, 만약 질문이 나오지 않더라도 답변할 때 엮어서 할 수 있는 내용들이기에 면접보는 학교별로 정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당!4) 지원한 학과와 관련 있는 과목의 선생님 or 친한 선생님 or 친한 친구와 모의면접 진행하기 *모의면접할 때 꼭 촬영해서 나의 습관 파악하기 *내가 지원한 학교와 학과의 면접 스타일(수만휘나 학교 홈페이지에 올라오는 예상질문 참고)을 말씀드리면 면접 준비하는 데 더 도움이 되겠쬬?! 면접 관련 꿀팁1) 첫인상이 중요하다! - 처음에 인사할 때 긴장되더라도 밝은 미소와 큰 목소리로 인사하고, 앉으라는 말이 없다면 의자에 앉기 전 면접관께 앉아도 되는지 여쭤보고 앉는 등 좋은 첫인상을 가져봅시다!2) 모의면접을 가능한 많이 하자!- 모의면접을 해보다보면 사소한 습관(ex. 말할 때 눈동자가 위로 간다, 손을 계속 꼼지락거린다, 다리를 떤다 등)이 많이 보이기 때문에 교정하기 좋습니다! 3) 질문의 핵심 위주로 두괄식으로 답변하자!- 먼저 주장(ex. 저는 A활동을 진행했습니다.)을 언급하고 이후 세부 내용에 대해 길지 않게 2~3문장(ex. A활동에서 --을 했습니다. 이를 통해 --를 깨달았고, 이후 대학에 진학해 ---에 대해 더 공부해보고 싶습니다. / 이후 추가적으로 --에 대해 탐구했습니다.)정도 말한다면 면접이 늘어지지 않고 면접관이 답변을 이해하기 수월합니다!4) 예상 답변의 키워드만 암기하자!- 여러분 예상 답변을 진짜 내용 이해없이 달달 외우기만 하잖아요? 답변할 때 한 번 꼬이면 당황해서 머리가 하얘집니다..(몸이 긴장되어 있으니까용..!) 그래서! 내용을 어느정도 이해하면서 답변의 핵심 키워드만 외워주면 답변하기 훨씬 수월해집니다!!5) 이공계 학생들이라면 생기부 내용을 정리할 때 용어의 정의와 원리에 대해서 반드시 정리하고 다 숙지하고 가자!- 이공계 칭구들은 높은 확률로 생기부에 적힌 수학 or 과학 관련 개념에 대한 질문이 나올겁니다..!(저도 4개 학교 모두 개념 설명 질문받았었어요!) 면접에서 개념의 정의, 원리에 대해서 반드시 숙지하고 갑시다!6) 시간이 남는다면 지원하는 과에 관련된 시사나 용어에 대해 알아보고 가자!- 학과에 대한 질문(ex. 우리 학과는 뭐하는 학과에요?)에 답변할 때 활용하면 남들에 비해 내가 이 과에 진짜 관심있다는 것을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7) 질문의 답이 생각나지 않을 때 솔직하게 인정하거나 답할 수 있는 질문으로 유도하자!- 여러분이 면접장 들어가면 긴장이 돼서 갑자기 내용이 생각나지 않을 수 있어요..ㅠㅠ 그럴 때, 솔직하게 “긴장이 돼서 시간을 조금만 주실 수 있으신가요?”, “아직 그 부분까지는 알아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다른 질문주시면 열심히 답해보겠습니다.” 라는 등 시간을 오래 끌지 말고 인정하고 넘어갑시다!(단, 2번 이상 쓰진 마세요..!) 그리고 만약 면접관이 A의 정의에 대해 물어봤을 때, A의 정의가 잘 기억나지 않고 A의 활용방안이 기억난다면 이에 대해 답변드려도 되는지 정중하게 여쭤본 후 A의 활용방안을 언급하면서 끝에 짧게라도 A의 정의에 대해 언급하면 오히려 점수를 얻을 수 있을겁니다 :)(실제 제 사례입니당..!)8) 면접장에 갈 때 물과 간식을 챙기자!- ㅎ ㅏ.. 이 부분에 대해 할 말이 굉장히 많은데요.. 우선 저는 4번의 면접 모두 2~4시간 정도 대기했습니다… 이게 학교마다 어떤 학교는 면접자에게 사전에 물을 배부하고, 다른 학교는 면접 후에 물과 간식을 배부하고, 또 다른 학교는 면접 전후로 물도 안줍니다.. 제가 한 번은 점심시간이 애매하게 껴있어서 면접 끝나고 점심을 먹으려고 했었어요. 근데? 이 학교는 면접자들에게 물도 안주는 학교여서 저는 물도 없고 점심을 못 먹어서 배도 고픈데 간식도 없고… 이런 상태로 4시간을 기다려서 진짜 한마디로 맹한(?) 상태로 면접을 봤어요.. 최종적으로 예비 번호를 잘 받긴 했지만 진짜 너무 힘들었던 기억이 있거든요..! 그러니까 여러분들은 꼭 물과 간식을 챙기시길 적극 추천드립니다 :) ----------------------------------------------------------------------------------------------------------------- 저의 면접 준비과정과 면접 꿀팁 어떠셨나요?! 저의 경험을 최대한으로 끌어모아 작성해보았는데 수능 전에 면접을 보는 친구들한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용 :) 면접에서 여러분을 잘 보여준다면 저처럼 내신 등급이 조금 낮더라도 면접에서 뒤집을 수 있으니, 긴장 놓지 말고 면접 준비 열심히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수능 전에 면접을 보는 친구들 중에 저처럼 최저를 맞춰야 하는 친구들이 있다면, 절대 수능 공부를 소홀히 하시면 안된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수능 공부와 면접 준비의 밸런스를 잘 맞춰서 준비하셔야 합니다..! 다음에는 면접을 본 4개 학교(숭실대, 아주대, 광운대, 세종대)에서 받았던 질문과 면접 분위기 등 실제 경험을 담은 스토리노트 낋여오겠습니다! 이번 스토리노트를 읽어보시고 궁금한 점이나 질문하고 싶은 내용이 있으시다면 편하게 1:1 문의 남겨주세요 :) 수능 전 면접을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 화이팅하세요!!
202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