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멘토 리미나의 대학 생활 1(feat. 시간표와 어플)
안녕하세요, 멘토 리미나입니다! 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제가 1학기와 2학기를 보내면서 어떻게 대학 생활을 했는지를 간략하게 적어보고자 합니다! 1. 먼저 1학기가 되기 전1학기가 되기 전 겨울방학에는 대학 관련 행사는 2개가 있었는데요. 바로 수강 신청과 신입생 OT! 연합 MT도 있었지만, 저는 연합 MT는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수강 신청의 경우 학교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요. 저희 학교는 신입생의 경우 예비 가방이라는 걸 사용할 수 없어서, 수강 신청을 바로 들어갑니다. 저 같은 경우 미리 과목 코드를 적어놓고, 모바일로 따다닥 눌러서 신청했답니다. 신입생 OT는 말 그대로 신입생 OT. 끝나고 뒤풀이도 했고요. 입학식도 있었는데, 입학식은 가지 않아서... 2. 1학기 시간표1학기의 제 시간표는 월요일 1~3교시, 6~8교시. 화요일 6~8교시. 수요일은 공강. 목요일 4교시, 6~8교시, 금요일 1~3교시, 6~8교시였는데요. 이중 금요일 1~3교시는 교수님이 온라인 강좌를 1시간 올려주셔서 2교시부터 시작했습니다. 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데에는 버스를 1번은 무조건 갈아타야 하는 상황이었는데요. 다행히도 학교까지 가는 버스가 4대나 있고, 그 4대 모두 1번 갈아타는 형식으로 탈 수 있기 때문에 조금은 쉬운 편이었답니다. 1교시 수업을 갈 때는 대체로 8시 전에는 나갔는데요. 1교시 수업의 경우 버스가 4대나 있긴 하지만, 2대는 사람이 너무 많기 때문에 대체로 2대만 탔네요. 2교시 수업이나 4교시, 6교시 수업을 갈 때는 그냥 시간 확인해서 버스 시간 맞춰서 나갔어요. 갈아타는 방식의 특성상 시간이 안 맞으면 정말 힘들어지니까요. 하교의 경우 차고지라서 그런지 버스의 시간이 정확하지 않고, 시간표가 확실하게 있는 것도 1대뿐이라서 최대한 이 버스에 맞춰서 타려고 하고 있어요. 3. 2학기 시간표2학기의 제 시간표는 월요일 공강. 화요일 6~8교시, 수요일 6~8교시, 목요일 2~3교시, 6~8교시, 금요일 1~3교시, 6~8교시와 가상대학 이러닝 3학점짜리가 있는데요. 이중 금요일 6~8교시는 기말고사만 오프라인으로 보고 사실상 온라인 강좌입니다. 통학이기 때문에 최대한 오전 수업을 없애보려 했고, 그렇게 해서 만들어진 시간표가 바로 이와 같습니다. 금요일 1~3교시의 경우 1교시 때 시작하는 날도 있지만, 2교시 때 시작하는 시간도 있어서 1교시에 들어가는 시간은 적은 편이죠. 대체로 버스 2대를 이용하는데, 가끔 시간이 어긋나면 다른 버스들도 타는 식으로 등교하고 있습니다. 하교의 경우 1학기 때와 마찬가지로 버스의 시간이 정확하지 않고, 시간표가 확실하게 있는 것도 1대뿐이라서 최대한 이 버스에 맞춰서 타려고 하고 있어요. 4. 대학 생활을 하면서 많이 쓰는 어플들?일단 '에브리타임(에타)'이 많이 쓰이지 않을까요? 에브리타임은 대학생 커뮤니티 앱인데요, 자기 인증을 하면 익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입니다. 하지만 엄청 많이 쓰는 편은 아니에요. 익명의 특성상 다소 공격적인 어투나 조금 얼굴이 찌푸려지는 어투를 쓰는 사람들도 많거든요. 그리고 저는 '코스모스', '전자 출결', '다글로', '수강 신청', '클로버노트', '한국장학재단', '헤이영 캠퍼스'이라는 어플도 따로 깔아서 사용 중인데요. 코스모스는 학교에서 사용하는 LMS라는 웹 사이트를 모바일 버전으로 돌린 거라고 보면 될 거 같아요. LMS는 온라인 강의를 듣고, 교수님과 소통이 가능한 학교 강의 관리 사이트입니다. 이게 다른 학교에도 있는지는 자세히 모르겠어요. 전자 출결은 블루투스를 이용해서 앱으로 한꺼번에 출석 체크를 하는 어플인데요. 교수님들이 굳이 호명하지 않아도 출석 체크가 가능합니다. 다만 이 어플 오류가 조금 자주 나는 편이에요. 오늘 2~3교시 수업 들을 때도 처음에 출석이 되지 않아서, 몇 번 반복하니까 그제야 되더라고요. 수강 신청은 이름 그대로 수강 신청할 때 쓰는 어플입니다. 필수로 깔아야 하는 어플은 아니고, 컴퓨터랑 동시에 로그인은 불가능하죠. 컴퓨터를 통해서 하는 방법도 있고, 앱도 있는데, 저는 1학기 2학기 두 번 다 앱으로 해서 1학기는 올클, 2학기는 2개를 못 잡았지만 나름 만족하면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다글로와 클로버노트는 둘 다 음성녹음 어플인데, 저는 주로 다글로를 애용합니다. 클로버노트는 깔아두긴 했는데, 전화 녹음 한 건 주로 클로버노트를 통해 확인하는 편이에요. 한국장학재단은 굳이 설명 안 해도 다들 느낌이 올 것 같고.. 헤이영 캠퍼스는 반값 점심이라는 것도 있고, 뭔가 이벤트가 많아서 깔아뒀어요. 5. 학교 기본 일정은?일단 기본적으로 구성된 건 50분 스케쥴인데... 어, 이게 고등학교를 다니다 보면 꼭 그런 분들 계시잖아요? 50분 수업에 10분 쉬는 시간인데 꼭 그 10분 쉬는 시간 안 지켜주는 분들... 네, 대학도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대학교 수업은 1학점, 2학점, 3학점 이런 식으로 다양하게 수업 시간이 잡혀요. 저도 위에 나열한 시간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월 123, 화 678 이런 식으로 잡히거든요. 이걸 잘 조합해서 학생 스스로가 시간표를 짜야 합니다. 참고로 저는 아직 경험하지 못했지만, 일부 수업은 일주일에 한 번에 몰아서 하는 게 아니라 이틀, 사흘에 걸쳐서 하는 경우도 있어요. 이런 경우도 꼭 제대로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개강일은 항상 3월 2일, 9월 1일. 물론 공휴일이거나 주말이 겹치면 당연히 미뤄지고요. 그다음 평일이 개강입니다. 종강은 대체로 15~16주 차인데, 저는 1학기에는 모든 수업이 다 15주 차에 종강이었습니다. 중간고사는 대체로 8주 차에 열리지만, 정확히는 7~9주 차 사이에 아무 때나 볼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기말고사도 14~16주 차 사이에 보는데, 저는 지금껏 15주 차에만 봤네요. 방학 시작일은 모든 학생이 다 다릅니다. 교수님이 휴강하거나 해서 미뤄지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시험은 여러 유형이 있어요. 오픈북, 클로스북. 객관식, 서술형, 주관식, 논술형... 기타 등등. 혼합형도 있고요. 교수님마다 시험에 주는 시간도 달라요. 1시간, 2시간, 3시간... 시험 시간이랑 수업 시간이 다른 경우도 있고요. 수업은 14시 시작인데, 시험은 15시에 본다든지.6. 마지막으로...?쓰다보니까 글이 너무 길어져서 중간에 한 번 자르고 다음 편을 이어서 쓰고자 합니다! 곧 다음 편도 올릴 예정이니 기다려주세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