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난 그저 대학생 새내기일뿐인뎅.. 중앙대학교 경영학부에서는 뭘 배울까?
안녕하세요 고등학생 멘티님들 :)저는 경영학과에 관심 있는 멘티님들을 위해, 중앙대학교 경영학부는 어떤 학문을 배우는지, 어떤 전공 수업들이 개설돼있는지, 그리고 졸업 후에는 어떤 분야로 진출하는지 등 경영학부에 대한 모든 것을 이야기 해드리려고 합니다. 뭘 배우는지 정확히 모른 채 경영학부에 진학해서 경영학부가 적성에 안 맞아서, 휴학하거나 편입, 심지어는 수능을 다시 치러 가는 동기분들이 굉장히 많아요. 여러분들은 기쁘게 대학 진학 후 고생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중앙대학교 경영학부에 관한 모든 것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재밌게 읽어주세요 :) 우선 중앙대학교 경영학부는 경영학 전공과 글로벌금융 전공으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이것은 입학하기 전 자신이 선택해 지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입학 전부터 정해져 있습니다. 경영학부에는 총 6개의 반이 있습니다. A, B, C, D, 창제, 글로벌금융 반이 개설돼있고, 글로벌금융반을 제외한 나머지 5개 반은 학번 순으로 구성됩니다. 재학생 수가 한 학년에 무려 500명 이상으로, 너무 인원이 많기 때문에 반을 나누는 것이죠. 반끼리의 교류는 경영학부 동아리나 각종 행사를 통해 진행되지만, 주로 같은 반끼리 진행되는 행사와 활동이 많기 때문에 같은 반 학우끼리 친밀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니면 수업에서 다른 반 친구를 만날 수도 있긴 합니다. 경영학 전공부터 알아볼까요? 경영학 전공 학생들은 1학년 때 ‘경영학원론’, ‘경제학원론’ ,'회계학원론', ‘경영통계학’의 전공기초 과목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합니다. 2학기에 개설되는 강의인 ‘무역학개론’은 전공기초가 아닌 전공 과목이기 때문에 수강하고 말고는 자유입니다. 2학년 때는 ‘경영정보시스템’, ‘마케팅’, ‘재무관리’, ‘조직행동론’, ‘중급재무회계1’, ‘관리회계’ 총 6개의 전공필수 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합니다. 3학년 때는 ‘경영과학’이라는 전공필수 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하고, 4학년 때는 ‘경영전략(캡스톤디자인)’이라는 전공필수 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마케팅리서치’, ‘중급재무회계2’, ‘고급회계’, ’인적자원관리', ‘해상보험론’, ‘경영조직론’, ‘세법개론’ 등의 전공 과목을 이수할 수 있는데, 이는 본인의 자유입니다. 그러나 최소이수학점을 넘겨야 졸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이 전공필수 과목과 더불어 전공(선택) 과목을 수강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글로벌금융 전공을 알아보겠습니다! 크게 다를 건 없지만, 글로벌금융 전공 학생들은 2학년 때 ‘금융경제론’, ‘재무관리’, ‘조직행동론’, ‘중급재무회계1’, ‘경영과학’, ‘기업재무론’, ‘투자론’, ‘중급재무회계2’, ‘관리회계’의 전공필수 과목들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합니다. 3학년 때는 ‘경영전략’, ‘원가회계’, ‘파생상품론’, ‘국제재무관리’의 전공필수 과목들을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4학년 전공필수 과목은 없습니다. 경영학부는 졸업하고 어떤 분야로 진출할까요?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CPA, 금융권, 마케팅 관련 직종, 경영기획 관련 직종입니다.CPA는 최소 2-3년을 준비해야 하는 만큼, 1차만 합격한 후 일반 기업의 회계 관련 부서로 입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혹은 2차까지 최종 합격을 통해 회계사가 되어 회계법인으로 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부분의 학생이 휴학하며 CPA 고시를 준비합니다. 금융권은 보험, 증권, 은행 등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산운용사 등의 자격증을 공부하고 금융 학회에서 1-2년 활동하다 금융권 인턴을 통해 취업 준비를 하는 것이 보통의 경우입니다. 마케팅이나 경영기획 관련 직종을 위해서는 대외활동, 공모전 활동을 통해 스펙을 쌓는 것이 보통입니다.하지만 위의 경우를 제외하고도 수많은 길이 열려있고, 경영학부는 정말 본인이 하기 나름입니다. 본인이 관심있는 분야나 노력하는 분야에 맞춰 진로를 얼마든지 색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멘티님들도 지금부터 본인의 관심사, 진로에 대해 고민해보며 행복한 시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