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진로가 정해지지 않았다면, 한 번 알아보자! - 제4편. 직업가치관 편-
안녕하세요! 멘토 리미나입니다! 이번 스토리노트에서는 아직 진로가 정해지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몇 가지 검사를 추천해 보고자 합니다! 이 스토리노트도 시리즈로 이어지는 스토리노트인데요, 저번 스토리노트 이후로 꽤나 오랜만에 들고 왔습니다! 직업가치관입니다!! 1. 직업가치관직업가치관이란, 직업을 선택할 때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기준을 말합니다. 직업가치관은 결정이나 판단의 기준이 되고, 직업선택에 필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앞으로 갖게 될 직업만족도에 큰 영향을 주기에 꽤 중요합니다! 직업가치관으로 인해 하고자 하는 동기와 앞으로의 계획을 짤 수도 있고, 삶의 목표와 같은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도 있죠. 또한, 직업가치관은 곧 내가 이 직업을 선택하면서 기대하는 기준점이라고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직업가치관을 알고 고르면 좀 더 직업을 가진 이후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수많은 연구 결과에서 직업가치관이 흥미보다도 근원적인 의미를 가지며 개인의 진로 선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하네요. 2. 직업가치관 요인요인들로는 총 13개가 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 직업가치관검사 기준입니다! 우선, 성취입니다. 성취는 자신이 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는 걸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로, 봉사입니다. 남을 위해 일하는 것을 중시하는 걸 의미합니다. 세 번째로, 개별활동입니다. 여러 사람과 어울려 일하기보다는 혼자서 일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네 번째로 직업안정입니다. 직업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종사할 수 있는지를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섯 번째로 변화지향입니다. 업무가 고정되지 않고, 변화가 가능한 것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섯 번째로 몸과 마음의 여유입니다. 마음과 신체적인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업무나 직업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곱 번째로 영향력 발휘입니다. 타인에 대해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덟 번째로 지식추구입니다. 새로운 지식을 얻는 것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홉 번째로 애국입니다. 국가를 위해 도움이 되는 것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열 번째로 자율성입니다. 자율적으로 업무를 해내가는 것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열한 번째로 금전적 보상입니다. 금전적 보상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열두 번째로 인정입니다.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실내활동입니다. 신체활동을 덜 요구하는 업무나 직업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저는 직업안정-몸과 마음의 여유가 공동 1위, 실내활동이 3위였습니다. 커리어넷에서는 여덟 가지를 보고 있는데요. 능력발휘, 자율성, 보수, 안정성, 사회적인정, 사회봉사, 자기계발, 창의성입니다. 능력발휘는 직업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는 것을 중시하는 걸 의미하고, 자율성은 일하는 시간과 방식에 대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걸 중시하는 걸 의미합니다. 보수는 직업을 통해 많은 돈을 버는 것을 중시하는 걸 의미하고, 안정성은 한 직장에서 오랫동안 일할 수 있는 것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회적인정은 내가 한 일을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는 것을 중시하는 거고, 사회봉사는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기계발은 직업을 통해 더 배우고 발전할 기회를 얻는 것을 중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창의성은 스스로 아이디어를 내어 새로운 일을 해볼 수 있는 걸 중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직업가치관과 흥미 검사의 관련성흥미검사는 현실형(R), 탐구형(I), 예술형(A), 사회형(S), 진취형(E), 관습형(C)입니다. 이 유형들은 앞선 13개의 요인과 연관이 있습니다. 현실형은 성취, 직업안정, 변화지향, 봉사, 애국, 자율성, 금전적 보상, 인정이 상대적으로 높고, 실내활동, 지식추구, 몸과 마음의 여유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탐구형은 지식추구, 성취, 개별활동, 인정, 변화지향, 직업안정이 상대적으로 높고, 봉사, 애국, 금전적 보상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예술형은 성취, 개별활동, 변화지향, 몸과 마음의 여유, 자율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애국, 봉사, 영향력 발휘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사회형은 봉사, 변화지향, 자율성, 성취가 상대적으로 높고, 금전적 보상, 개별활동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진취형은 성취, 영향력 발휘, 지식추구, 애국, 금전적 보상, 인정이 상대적으로 높고, 개별활동, 실내활동이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관습형은 성취, 직업안정, 몸과 마음의 여유, 애국, 금전적 보상, 실내활동이 상대적으로 높고, 변화지향, 지식추구, 영향력 발휘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이 직업가치관 검사와 흥미검사 결과가 유사하면 직업결정이 쉽습니다. 직업가치관 검사와 흥미검사 결과가 상이한 경우, 내적 가치 요인이 높으면 흥미 쪽에, 외적 가치 요인이 높으면 가치 쪽에 치중된다고 하네요.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니 100%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