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25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고3 수학 문제 풀이 4(확률과 통계)
안녕하세요! 멘토 리미나입니다! 오늘은 2025년 고3 연합학령평가 수학 문제를 한 번 풀어보고자 합니다. 제가 너무 오랜만에 본격적으로 풀어보는 수학 문제라 다소 해설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 미리 양해 구합니다. 문제 사진 넣고 풀이 다는 식으로 하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확률과 통계입니다! 23번: 이거, 중복조합입니다. 조합으로 바꿔서 풀어주면 됩니다. 6C3이니, 답은 20, 1번! 24번: 이게 정석으로 푸는 방법은 아니었던 걸로 기억하긴 하는데... 저는 항상 이렇게 풀어서... 객관식이니까 어떻게든 풀면 되지 않나 파입니다. 이 방법은 우선 외곽선에 1을 긋고, 여기서 이제 만나는 지점 꼭짓점마다 더하는...? 그런 방법입니다. 답은 34, 5번입니다. 25번: 중복을 허용하여 4개를 택하는, 중복순열 문제입니다. a가 적어도 한 번 나와야 하니, a가 나오지 않는 경우를 빼주겠습니다. 4⁴-3⁴. 저는 그냥 4제곱을 해줬고요. 혹은 여기서 (4²+3²)(4²-3²)=(4²+3²)(4-3)(4+3)으로 계산하는 것도 방법이겠죠. 답은 175, 2번입니다. 26번: 서로 이웃한 2장의 카드가 모두 4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1이랑 3을 묶고 시작하겠습니다. 13_-_-가 되거나 _-_-31이 될 수 있습니다. 2X4!/(2!X2!)=12. 313을 묶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에 따라 4!/2!=12. 답은 24. 같은 숫자가 적혀있는 카드끼리는 서로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그냥 이렇게 계산해 주면 됩니다. 27번: 우선 조건 (나)를 먼저 보겠습니다. f(f(x))=x. 3의 배수일 때. 즉, f(f(3))=3, f(f(6))=6이라는 소리네요. 여기서 조건 (가)를 확인하겠습니다. 만일 f(3)=1이면 f(1)=3이므로 조건 (가)를 충족하지 않습니다. f(3)=4면, f(4)=3이므로, 조건 (가)를 충족하지 않습니다. 즉, f(3)=3, f(6)=6이라는 소리죠. 그럼, f(1)이랑 f(2)는 1~3 사이여야 하고, f(4), f(5)는 3~6 사이라는 소리입니다. 여기서는 중복 조합을 적용하면 됩니다. 3H2X4H2=6X10=60. 답은 60, 4번입니다. 28번: 흰색 접시를 2개 이웃하는데 무조건 짝수/홀수로 이웃해야 합니다. 2C1X2C1=4. 원배열이니까 3!/3=2. 흰 접시 사이 검은색 접시(문제지에는 검정색이라 적었습니다)가 있는 경우의 수는 검은색 접시가 3개이니 3!=6. 흰 접시 배열은 2!=2. 따라서 4X2X6X2=96, 답은 96, 4번입니다. 사실 이 문제 해설을 찾아보니까 이해된 문제였습니다. 29번: 노가다 뛰다가 틀리고 방법 여러 개로 해봤는데도 죄다 틀리더라고요. 보겠습니다. 우선 16은 2⁴. 짝수가 1개면 안 되는데, 시험지에 잘못 적었네요.짝수가 2개인 경우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a×b×c×d=2⁴인 상황에서 짝수가 2개이니, 4가 2개. 4의 자릿수 먼저 찾아보면 4C2고, 나머지 두 숫자는 홀수 중 아무거나면 되니까 중복 순열입니다. 4C2×3×3=54.짝수가 3개인 경우입니다. 246, 224... 4가 1개 이상이어야 합니다. 226이면 24n이 되어서 16의 배수가 안 되니까요. 짝수 자리 3개 고르는 값은 4C3=4, 짝수 중 4가 1개 이상이어야 하니까 3³-2³=27-8=19(중복 순열인데, 중복 순열이 기호가 잘 안 보여서 이렇게 대체합니다.). 그리고 남은 1개가 홀수. 4×19×3=228.마지막으로 짝수가 4개인 경우의 수입니다. 6×6×6×6이어도 16의 배수가 나오니까 상관없이 그냥 중복순열. 3×3×3×3=81.따라서 54+228+81=363. 답은 363. 30번: 29번보다는 쉬운 문제지만, 이 문제는 노가다 문제나 다름없다는 게 개인적인 제... 견해라고나 할까요. 학생들이 받는 검은 공 개수를 a, b, c, d, e, 흰 공 개수를 a', b', c', d', e'로 두겠습니다. 공을 받지 못하는 학생 수가 있을 수 있고, 학생 A, B, C가 받는 공의 개수의 합은 홀수이기에 D, E가 받는 공의 개수의 합도 홀수이므로 조건 (가)와 (나)를 모두 만족하는 건 d+d'=2, e+e'=1밖에 없습니다. 이제 d, d', e, e'의 경우의 수를 따져보겠습니다.우선 (d, d', e, e')가 (1, 1, 0, 1)일 때입니다. a+b+c=3, a'+b'+c'=2. 3H3×3H2=60.두 번째, (d, d', e, e')가 (1, 1, 1, 0)일 때입니다. a+b+c=2, a'+b'+c'=3. 3H2×3H3=60세 번째, (2, 0, 1, 0)일 때입니다. a+b+c=1, a'+b'+c'=4. 3H1×3H4=45네 번째, (2, 0, 0, 1)일 때입니다. a+b+c=2, a'+b'+c'=3. 3H2×3H3=60다섯 번째, (0, 2, 0, 1)일 때입니다. a+b+c=4, a'+b'+c'=1, 3H4×3H1=45마지막으로, (0, 2, 1, 0)일 때입니다. a+b+c=3, a'+b'+c'=2, 3H3×3H2=60.따라서 60×4+45×2=240+90=330. 답은 330입니다. 이걸로 드디어 수학이 끝났습니다. 다음은 사회문화나 한국사를 들고 오게 될 거 같습니다. 그럼, 이상으로 이번 스토리노트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