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
25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고3 사회문화 문제 풀이 3(11번~15번)
안녕하세요! 멘토 리미나입니다! 오늘은 2025년 고3 연합학령평가 사회문화 문제를 한 번 풀어보고자 합니다. 제가 너무 오랜만에 풀어보는 문제라 다소 해설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 미리 양해 구합니다. 문제 사진 넣고 풀이 다는 식으로 하고자 합니다! 11번: 우선 질문을 살펴보겠습니다. 자기 문화의 정체성이 상실되는 건 문화 동화가 유일한 상황에서, A가 예, B랑 C가 아니요인데 1점이니, A는 문화 동화가 아닙니다. 외래문화가 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정착되는 건 문화 병존이니, A가 예, B랑 C가 아니요인 상황에서 2점이므로, A는 문화 병존입니다. 자기 문화와 외래문화가 결합하여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는 건 문화 융합이고, A는 문화 병존인 상황에서 예에 들어갔고, B는 예, C는 아니요인 상황에서 2점이니, B는 문화 융합, C는 문화 동화입니다. 1번, 자국의 전통 의상이 외국의 전통 의상으로 대체된 사례는 문화 동화, C라고 보는 게 더 맞겠죠. 2번, B가 문화 융합이니까 정답입니다. 3번, 자국의 전통 음악과 외국의 음악을 모두 즐기게 된 사례는 A, 문화병존에 해당합니다. 4번 A와 달리 B는 자기 문화와 외래문화가 나란히 존재한다, A와 B의 순서가 바뀌었네요. 5번은 알 수 없으니, 답은 2번 12번: A, B 모두 금전적 지원을 원칙으로 하면서 우리나라의 사회 보장 제도와 동일하니 일단 사회보험이나 공공부조입니다. 여기서 B는 상호 부조의 원리가 적용되니 B가 사회보험, A가 공공부조겠네요. (나) 지역의 인구가 (가) 지역의 인구의 3배이니, (가) 지역은 100명, (나) 지역은 300명이 거주한다고 보겠습니다. 그러면 전체는 400명. 여기서 %를 구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그냥 계산하는 거(저는 이번에 이 방법을 풀었습니다.), (나) 지역이 3배이니, 전체 %는 (나) 지역 %에 3배 더 가깝습니다. 아무튼, ㄱ은 26, ㄴ은 17, ㄷ은 13. 1번, ㄱ은 26, ㄴ은 17인데 ㄱ이 ㄴ보다 작다니 틀렸고요. 2번, (가) 지역의 비수급자 수는 21명, 갑국 전체의 A와 B의 중복 수급자 수는 56명이니 비수급자 수가 더 적으니 틀렸고요. 3번 사후 처방적 성격이 강한 제도는 사회보험, ㄷ은 26인데 수급자 비율이네요. 비율은 72, ㄷ의 2배는 26이니 3번은 옳습니다. 답은 3번. 4번, 보편적 복지 이념을 바탕으로 하는 제도는 사회보험. 비율은 이거 저렇게 계산하면 안 될 거 같긴 한데, 틀렸고요. 정부 재정으로 비용을 전액 충당... 공공부조인 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일단 틀렸어요. 5번까지 안 봤어요. 답은 3번. 13번: 이건 그냥 1번부터 보겠습니다. 1번, ㄹ은 기자와 소설가 중 진로를 고민하는 거지, 역할 갈등이 아니니 틀렸고요. 2번, ㅂ은 문학 협회네요. 이익 사회이면서 비공식적 사회화 기관인 게 맞으니, 답은 2번. 3번 ㅅ은 역할에 대한 보상은 아니고, 4번 성취 지위와 귀속 지위의 위치가 달라졌네요. 5번도 공식 조직과 비공식 조직 위치가 다릅니다. 답은 2번. 14번: 마지막 줄을 보면 A는 비슷하게 생긴 물건만 보아도 울음을 터트리는 등 공포를 느끼는 반응을 보였다고 하니 답은 4번, 연구 대상자의 인권과 안전을 고려하지 않았네요. 15번: 세대 간 이동이랑 세대 내 이동은 일단 정의는 아니까 넘기겠습니다. 부모 세대의 계층 구조는 피라미드형이라고 하니, 우선 동그라미 개수를 세겠습니다. 피라미드형이면 상층<중층<하층이어야 하고, 저는 동그라미 1개당 10명으로 계산했습니다. 여기서 계산하면 부모 세대 A는 20, B는 30, C는 50이니, A가 상층, B가 중층, C가 하층입니다. 이제 표를 다시 그려주겠습니다. 1번, 세대 간 하강 이동을 경험한 중층 자녀는 있죠. 저기 상층에서 중층이 된 10명 있네요. 2번, 세대 간 상승 이동은 40명, 세대 간 하강 이동은 30명이니 세대 간 상승 이동이 더 많습니다. 3번, 현재 상층인 자녀 중 모두 세대 내 상승 이동을... 모두 경험하지는 않았습니다. 10명은 경험하지 않았네요. 4번, 부모 세대와 달리 자녀 세대에서는 폐쇄적 계층 구조가 나타난다... 일단 세대 내 계층 이동이 있었으니 틀렸네요. 5번, 현재 자녀 세대의 계층 구조는 다이아몬드형, 20년 전 자녀 세대의 계층 구조는 모래시계형이니 사회 통합에는 현재가 더 유리하네요. 답은 5번. 12번이랑 15번이 꽤 해설을 많이 쓰게 되는 문제였네요. 사회문화는 생각보다 잘 기억이 나서 나름 잘 풀었습니다. 16번~20번도 금방 들고 오겠습니다. 사실 풀기는 다 풀어서 해설만 달면 되거든요. 그럼, 이상으로 이번 스토리노트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