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고등학교의 시험과 다른, 대학교 시험의 준비 과정부터 점수 산출까지
고등학교 시절, 우리는 무수히 많은 시험을 치른다. 모의고사, 내신, 쪽지시험 등 자잘한 각종 시험들은 대입의 여정에 긴장감을 불어넣는다. 대학교에서도 마찬가지로, 각종 난관들 특히 시험은 대학생들을 긴장하게 만든다. 하지만 우리를 떨게 만드는 요인은 서로 다르다. 대입 과정에서 치르는 시험은 한 문제 한 문제가 우리의 운명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긴장감을 부여하는 한편, 대학교에서 치르는 시험은 조금은 다른 이유에서 긴장감을 준다. 보통의 고등학생이라면, 한 달 전쯤부터 시험(내신)을 준비할 것이다. 하지만 보통의 대학생들은 그러지 않는다. 과제하랴 노느랴 바쁜 그들은 시험 2~3주 전까지는 시험에 대한 준비를 거의 하지 않는다.대망의 시험 2주 전부터, 대학생들은 본격적인 시험 공부에 돌입한다. 물론 평소에 조금씩 공부해 왔던 학생들은 2주 전부터도 비슷한 페이스로 공부하긴 하지만, 대개 2주 전부터 벼락치기를 하겠단 마인드로 페이스를 올린다. 공부를 시작하면 먼저 강의록을 다시 읽어보며 배운 내용을 다시 떠올린다. 사실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데, 대학에서는 단순히 강의록을 n회독하는 것만으로도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는 과목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단, 고등학생 때랑 마찬가지로 n회독을 할 때에 단순히 읽는 것이 아니라, 몰랐던 내용을 보완한다는 생각으로 읽어나가야 한다. 강의록 정독 및 복기를 마치고, 일부 과목들은 기출 문제를 풀어야 한다. 기출 문제와 비슷하게 나오는 사례가 은근히 많기 때문에 이를 미리 접하고 시험을 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는, 교과서 문제 또는 타 교수가 출제했던 문제를 풀어본다. N제를 푸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다. 사실 여기까지 하는 학생들이 그다지 많진 않다. 만약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이 단계까지 밟는다면, 당신은 고득점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각자의 공부를 마치고, 시험지를 받아보면 다소 놀랄 것이다. 고등학생까지의 시험 양식과는 전혀 다른 양식의 시험이 당신을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대학 시험은 대체로 서술형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여 답을 구하는 과정을 중요시하게 본다. 물론 객관식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객관식 문제의 양이 지배적인 내신 및 수능 시험과는 정반대의 양상을 띠고 있다. 심지어 어떤 문제는 정답이 없이 '논하라'는 형식으로 되어 있어 순수히 학생의 사고 과정을 묻는 경우도 있다. 또한, 위에서 기출 문제에 대해 언급하긴 했으나, 교수에 따라서 기출 문제의 기조를 당해 엎어버리는 경우도 허다하다. 예를 들어, 이전까지는 보강 영상에 다룬 내용들이 주로 나왔다면, 올해 들어 갑자기 수업 시간에 언급한 내용만이 주로 나오는 경우가 있다. 시험지를 받고 나서 당혹스러움과 '아, 이것이 대학 시험이구나, 이것이 대학 공부로구나..'라는 감정을 동시에 느끼고 나면, 시험 결과에 대해 한 번 더 놀랄 것이다. 일단 100점이 나오기는 하늘의 별 따기이다. 이것도 과목 by 과목이지만, 대체로 전공 과목으로 깊게깊게 들어갈수록 100점을 맞는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 된다. 100점은 고사하고 90점도 거의 없을 것이다. 나아가, 평균이 40점 이하대로 떨어지는 웃픈(?) 대참사가 벌어질 수도 있다... 한편, 이렇게 낮은 점수대와는 별개로 최종 성적이 매겨지는 방식은 상대평가, 절대평가* 두 가지로 나뉜다. 고등학생 때와 비슷한 구조인데, 절대평가는 보통 100점 만점에 95점 이상 A+, 90점 이상 A0...과 같이 점수를 매기는 방식이다.(보통 교양이 상대평가 과목들이며,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상대평가는 상위 5% 점수의 학생들 A+, 10%까지 A0 등의 방식으로 점수를 매기는 것이다.(상대평가 과목들의 난이도가 대체로 높음) 그 외에도 절대평가를 빙자한 상대평가도 있기는 하다. 지금까지 대학교에서의 시험 방식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사실 더 많은 사항들이 있지만, 이는 독자 여러분이 직접 대학에 와서 겪어봐야만 느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의 시험 모두 대체로 노력와 투자한 시간에 비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멘티님들도 원하는 대학교에 입학하여 느껴보시길 바란다.* 종합 성적, 그러니까 시험+출석+과제 등 모든 점수를 합쳐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등급을 가른다.** 고려대학교 기준 / 학기당 2회 시험 과목 기준으로 대학교에서의 시험 방식을 기술하였다.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