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리로 멘토 2기 써영입니다. 지난 1편에 이어 내용 작성하겠습니다. 오늘 쓰고자 하는 내용은 '교직 과목' 입니다. 지금 열심히 수시, 생기부, 세특 활동 준비 중인 고1, 2, 3학년 친구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이 드는데요,오늘 저의 글이 여러분들의 1학기 세특 요소를 정하는 데 도움이 되거나, 2학기 수행평가 시간에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면 좋겠습니다.교대, 사범대 등 교육계열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많이 읽어주면 좋겠네요 :) 교직 과목은, 교육부에서 발급하는 학교급별 2급 교원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 반드시 22학점 이상을 이수해야 하는교대와 사범대 학생들이 반드시 들어야 하는 과목들의 일부분입니다. 먼저 교직과목으로는,교직이론, 교직소양, 교육실습으로 나누어 집니다.교직이론의 경우, 교육학개론, 교육심리, 교육사회, 생활지도 및 상담,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이 있고교직소양의 경우, 특수교육학개론,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 교직실무, 다문화교육의 이해, 교과-소프트웨어 융합역량 교육론이 있고,교육실습의 경우, 교생과 교육봉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과연 이 교직 과목들을 고등학교 학생들이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대학에서 배우는 교직 과목들을 고등학생 때 미리 공부해보고, 탐구해봤다는 내용을 적절히 담는다면 교육 계열을 희망하는 학생이라는 걸 대학에 더 잘 보여줄 수 있겠죠? '심리학'을 수강중이라면, 교육심리 관련한 교육심리학자, 교육학자의 견해와 관련된 탐구를 할 수 있을 거고,'사회학' 또는 '교육학' 수강중이라면, 교육사회와 관련된 이론 및 우리나라 교육과 관련된 교육사회학적 문제에 대해 탐구해볼 수도 있을 겁니다.또한 학생 생활지도와 관련하여 '생활지도 및 상담', '교육심리', '학교폭력예방 및 학생의 이해' 등을 활용해볼 수 있을 겁니다.그리고 '철학' 및 '도덕윤리' 과목에서는'교육철학 및 교육사'와 관련하여, 철학자들의 교육에 대한 견해, 그리고 여러분들의 나름대로의 교육 철학, 교육 사회와 교육 문제들과 관련된 여러분들의 의견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파악해보거나, 현재 여러분들의 견해 피력 등의 활동들도 할 수 있을 겁니다.특정 교과교육과를 희망하시는 분들이라면, '교육과정', '교육평가'와 관련해서도 엮어서 탐구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곧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니, 이 부분도 함께 다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최근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다문화 아동들이 학교에 늘어나고 있죠.다문화와 관련된 이슈와 이들과 함께 어떻게 교육할 수 있을지 여러분 나름대로의 생각을 정리해서 활용해볼 수도 있겠습니다. 제가 위에 작성한 것들은 모두 간단하게 생각해본 예시들입니다.교육학과 관련된 책들이 정말 많습니다. 원론 수준의 어려운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개론과 학생들을 위해 쉽게 쓰인 책들도 많습니다.그러니 이런 책들을 빌려서 심도 있는 탐구를 함께 진행하면 더 좋을 것 같네요. 혹시나 이런 주제도 괜찮을까? 라는 생각이 드신다면, 1:1 질문으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