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부 목차는 내용 소개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사회과제연구] 주제탐구보고서 개요
3P
-
2. [영어II] 과정형 글쓰기 개요
5P
-
3. [생활과 과학] 독후활동형 주제탐구보고서
8P
-
4. [사회문화] 수행평가 - 시사 이슈 자율탐구보고서
7P
-
5. [생활과 윤리] 자유주제탐구 보고서 - 노동자와 기업의 바람직한 소통
9P
-
6. [화법과 작문] 자유주제탐구 보고서 - <양주 별산굿 놀이>의 확장
14P
-
7. [사회문화] 사회문화 관련 관심주제
21P
-
8. [사회과제연구] 주제탐구보고서 - 플랫폼 기업 사업구조 구체화 및 경영전략 수립
18P
-
9. [화법과 작문] 독후활동형 주제탐구보고서 - <서투른 도적> 토론
30P
-
10. [영어II] 과정형 글쓰기 제출자료
32P
-
11. [생활과 과학] 주제탐구보고서 - 우리는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가
26P
-
12. [3학년 사회과제연구]
28P
-
13. 화작 세특
42P
-
14. 영어 교과 심화 탐구 보고서
51P
-
15. [생명과학Ⅱ/생활과과학][자유주제탐구보고서]
56P
내용 소개
중간고사 끝나면 슬슬 과목 세특 자료 제출해야할텐데, 학교생활기록부의 마지막 페이지는 도대체 어떻게 채워야 하는 걸까요? 3학년쯤 됐으니 엄청나게 어려운, 전공지식을 많이 드러내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고등학교 교과목의 기본기를 충실히 다져왔다는 걸 어필해야 할까요?
이 이야기에 고개를 끄덕이는 분들은 모두! 고3때의 저와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시는 겁니다.
저는 2학년이 끝날 때 까지도 최종지원할 하나의 학과를 결정짓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3학년때 마구 흩어진 1-2학년때의 학생부 내용을 하나로 묶고 부족한 교과목을 세특으로 보완하는 데 집중했죠.
아마 그 때의 저와 비슷한 상황이신 분들이 왕왕 있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자료는 제가 3학년 1학기에 '경영학과'로 진로를 확정지으며 그에 맞춰 작성 해 제출했던 교과목 주제탐구활동 보고서 묶음입니다.
저는 결과적으로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제가 원했던 서울 상위 14개 대학 경영학과에 진학하지는 못했기 때문에, 이 자료를 '그대로' 여러분의 세특작성에 참고하시는 건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저는 여러분이 제 3자로서 제 과제물을 비판하고 평가 해 봄으로써 여러분 자신에게 부족한 점을 깨달아 나가는 데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자기가 쓴 과제물은 나도 모르게 정이 쌓여서 그런대로 괜찮아 보일 확률이 높거든요. 제 과제물을 보고 '이 사람은 ~~한 측면에서 과제를 시도한 게 좋았는데 ~~한 부분이 부족했어' 혹은 '이 과목에서 이렇게도 쓸 수 있구나!'하고 인사이트를 얻으실 수 있길 바랍니다.
나름의 최선을 다하고 계시는 모두를 응원하며, 여러분의 최선이 결국 최고가 되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