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의 학과인 관광개발경영학과는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복합적 학문입니다. 관광은 단순한 여가활동이나 서비스 산업을 넘어 지역경제, 문화콘텐츠, 지속가능성, 공간기획, 창의적 마케팅까지 포괄하는 다층적인 분야입니다. 따라서 이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다양한 역량인 기획력, 분석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실천적 감각을 갖춰야 하며, 그 능력을 입증할 수 있는 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관광 분야 공모전입니다.공모전은 수업에서 배운 이론을 현실 문제에 적용해보고, 현장의 니즈를 파악하며, 실질적인 기획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단순히 ‘학교 공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관광 산업의 생태계에 직접 참여해보는 경험이자, 미래 관광 기획자, 마케터, 정책가로서 성장하는 과정입니다. 게다가 관광개발경영학과는 기획과 마케팅, 공간계획, 지역개발, 관광트렌드 분석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관광 공모전에서 발휘할 수 있는 강점이 많습니다. 실제로 많은 공공기관, 지자체, 기업에서는 관광 활성화, 지역브랜딩, 여행 콘텐츠, 관광벤처 등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모하는데, 이는 전공자에게 매우 유리한 주제입니다. 또한, 관광산업은 현장 경험과 실적이 특히 중요한 분야입니다.향후 취업 시에도 단순한 학점보다 기획서, 수상 경력, 프로젝트 경험이 더 강력한 무기가 되며, 자기소개서와 포트폴리오, 면접에서 말할 수 있는 ‘나만의 사례’가 된다는 점에서 공모전은 전공자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그렇다면 관광 공모전, 어디서 어떻게 찾을까? 관광 관련 공모전은 의외로 다양하고 많습니다. 특히 지자체, 관광공사,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진흥원, 농어촌공사, 환경부 등 공공기관에서 매년 다양한 주제의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그 외에도 스타트업, 여행 플랫폼, 콘텐츠 제작사에서 주최하는 민간 공모전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주요 공모전 플랫폼 씽굿 (https://www.thinkcontest.com)공모전코리아 (https://www.contestkorea.com)문화체육관광부 홈페이지한국관광공사(kto.or.kr) – 관광벤처, 기획전 등 다수 개최지자체 홈페이지 및 SNS – 지역관광 아이디어, 홍보 콘텐츠 공모 다수농어촌공사 – 농촌관광 활성화 아이디어 공모전청년정책포털 – 청년 대상 지역정책/관광 기획 공모 연계 키워드로 검색하기 관광 기획 공모전지역관광 콘텐츠여행 아이디어 공모전청년관광 활성화스마트관광 / 지속가능관광 / 해양관광 / 워케이션 / 관광벤처 3. 관광 공모전, 어떻게 준비할까? (1) 주제 분석 및 타깃 설정 관광 공모전은 대체로 ‘어디에,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경험을 제공할 것인가?’라는 3요소를 중심으로 기획됩니다.→ 예: “○○시를 방문할 수 있도록 MZ세대 타깃 관광 콘텐츠 기획” 따라서 주제 분석 시 다음과 같은 요소를 파악해야 합니다. 지역 혹은 장소의 현황, 문제점주최 기관이 해결하고자 하는 방향성대상 연령층 및 관광 트렌드평가 기준 (실현 가능성, 창의성, 지역성 등) (2) 자료조사 및 벤치마킹 관련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 공식 통계자료, 관광자원 DB 등을 적극 활용합니다.유사한 사례를 벤치마킹하되, 단순 모방이 아닌 ‘새로운 조합’으로 풀어야 합니다.관광트렌드 보고서 (예: 한국관광공사, 트래블인사이트, 카카오·네이버 여행 리포트 등)도 큰 도움이 됩니다. (3) 기획안 작성 기획안은 논문처럼 딱딱하게 쓰기보다는, 논리적 흐름에 스토리를 담아야 설득력이 생깁니다.관광 공모전 기획안 구성은 보통 아래와 같은 형태를 따릅니다. (4) 시각 자료와 PPT 구성 PPT는 시각적 흡입력이 중요합니다. 한눈에 들어오는 이미지/도식화/지도 등을 적극 활용하세요.글보다는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하며, 발표자 중심의 구조로 구성합니다.로고, 지도, 예상 일정표, 프로그램 도식화 등은 자체 제작하면 가산점이 있습니다. (5) 팀워크와 역할 분담 공모전에서 전공자들이 모이면 의견이 충돌할 수도 있지만, 역할을 분명하게 나누고 서로 존중하면 훨씬 퀄리티 높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역할 예시: 총괄 기획자 (전체 흐름 조율)리서처 (자료조사 및 지역 분석)콘텐츠 디자이너 (PPT/시각 자료)발표자 및 피칭 연습 담당 4. 관광 공모전, 발표까지 간다면? 발표 준비 포인트 스토리텔링 중심으로 흐름을 정리합니다. (문제 → 해결책 → 기대효과)‘왜?’를 강조하세요: 왜 이 지역인가, 왜 이 콘텐츠인가, 왜 효과적인가?질문 대응은 사전 시나리오 작성 + 예상 질문 리스트를 준비하면 좋습니다.팀 발표일 경우 순서, 타이밍, 연결까지 반복 연습이 필요합니다.관광개발경영학과는 실무에 강한 전공입니다. 이론 공부도 중요하지만, 직접 기획하고 실행해보는 경험이 더욱 결정적입니다.공모전은 이 모든 것을 경험할 수 있는 매우 실질적인 통로입니다. 실패해도 괜찮습니다.실패한 공모전이 내 전공 역량을 성장시키는 가장 값진 디딤돌이 됩니다.그리고 한 번 두 번 경험을 쌓다 보면, 어느새 나만의 언어로 관광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되고, 그 경험이 취업과 진로의 결정적인 강점이 됩니다. “관광은 사람과 지역을 연결하는 일입니다.”그리고 공모전은 바로 그 연결을 실현하는 훈련장이자, 진짜 관광 전문가로 나아가기 위한 필드입니다. 지금, 당신의 전공을 살아 숨 쉬게 만들 첫 걸음,공모전에서 시작하세요!!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