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145
1. 20분 단위 집중 분할 공부
낮은 집중력을 고려해 20분씩 끊어 공부함.
과목 간 밸런스 조절 및 집중 유지에 효과적.
단, 수학은 예외로 길게 공부하거나 모의고사 단위로 진행.
2. 시간 단위가 아닌 태스크(Task) 단위 계획
“9시~11시 국어”처럼 시간으로 정하지 않음.
정해진 시간에 못 끝내면 실망감이 들 수 있어서, 완료해야 할 할 일(task) 중심으로 계획.
초반엔 걸리는 시간 측정 → 그 후 시간 기반 계획 가능.
핵심은 각 태스크에 걸리는 시간을 아는 것.
3. 계획 완료마다 스티커 붙이기
체크 표시 대신 스티커 붙이기로 성취감 강화.
뇌에 긍정적인 자극을 줘 계획 이행률 증가.
실제로 필자도 스티커 덕에 성취감 향상을 느낌.
4. 미룬 과목은 다음 날 제일 먼저
하기 싫어서 건너뛴 과목은 반드시 다음 날 가장 먼저 공부.
이렇게 해야 과목 편중 없이 고르게 학습 가능.
5. 강제 환경 조성으로 실행력 강화
의지보다 환경이 중요.
단어 시험 내기 등으로 강제성과 승부욕 활용.
실행력이 떨어질 땐 경쟁/내기 환경을 만들어보는 것이 유효.
다음글 2025.09.29 예비 고3, 1.46등급 서울대 1지망입니다. 가능할까요? [입시상담반]
이전글 2025.09.26 겪어보기 전까지는 절대 모른다는 9잘수망의 진실 |입시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