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세부 목차는 내용 소개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사회과제연구 계획서 -주제, 선정계기, 이론적 배경, 활동 설계
3P
-
2. 사회과제연구 1차 보고서 - 활동 개요
6P
-
3. 사회과제연구 최종 보고서 - 인구 감소 사회, 극복 보다는 "적응"
12P
-
4. 사회과제연구 후속 심화 활동 - 이상적 사회상 구축
41P
내용 소개
"3학년 생활기록부는 심화된 내용이 있어야 한다", "생활기록부는 1학년에서 3학년까지 이어지는 스토리가 중요하다."
여러분들도 이 말들을 한 번쯤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저도 3학년 시기 이 말들을 많이 들어왔고, 따라서 어떤 활동을 어떻게 심화탐구 하여 제 학생생활기록부를 완결해야 할지 많은 고민을 했었는데요.
마지막 세특이니 지금까지 했던 어느 활동보다 잘해야 한다는 부담감도 있었고, 마냥 "심화된" 걸 탐구해야 한다고 생각하니 막막했던 것 같아요.
하지만 저는 결국 이 활동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고, 지망하는 학과에 대한 심화적 탐구심이 드러나 입시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어요.
또한 진로에 관한 구체적인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이를 몇 차시 활동에 거쳐 수정하고 고민하며 심화된 내용으로 발전했던 점이 학생생활기록부에 모두 기재될 수 있었고요.
따라서 당시의 저와 똑같은 고민을 하고 있을 학생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이 포트폴리오들을 가져와봤어요.
막연하게 '심화된 세특이 뭐지? 어떻게 써야 하지?', '안 그래도 수능 준비로 바쁜데, 마지막 세특에는 얼마 정도로 힘을 쏟아야 하는 거지?'라고 고민하고 있는 친구들에게 이 포트폴리오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저는 과연 어떤 활동으로 학생생활기록부를 짜임새 있게 마무리할 수 있었을까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1. 활동 계획서 작성 내용
2. 1차 보고서 작성 내용
3. 최종 보고서 작성 내용
4. 1,2,3을 바탕으로 스스로 더욱 심화된 탐구를 한 내용